KR200317916Y1 - 탐구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탐구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916Y1
KR200317916Y1 KR20-2003-0007867U KR20030007867U KR200317916Y1 KR 200317916 Y1 KR200317916 Y1 KR 200317916Y1 KR 20030007867 U KR20030007867 U KR 20030007867U KR 200317916 Y1 KR200317916 Y1 KR 200317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body
rear support
support body
presen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완
Original Assignee
김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완 filed Critical 김현완
Priority to KR20-2003-0007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탐구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사실이나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것들을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평판 형태의 후방 지지 몸체(110)와,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전방에 대략 띠 모양으로 부착되어,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일정 영역이 노출면(112)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좌,우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22)가 형성된 전방 몸체(120)와, 상기 전방 몸체(1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절개부(122) 사이에, 내부에 각종 상패 또는 트로피 등이 위치되고, 외부에서 보일수 있도록 강화 유리(132)를 가지며 설치된 진열장(130)와, 상기 전방 몸체(12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각종 교구가 보관되는 교구박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탐구 학습 장치{research learning apparatus}
본 고안은 탐구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학습 주제와 관련된 사실이나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것들을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쉽고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탐구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은 정보의 홍수시대라고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특히 인터넷 관련 기술의 발전은 우리로 하여금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 속에 살게 하고 있다. 물난리가 났을 때 마실 물 찾기가 어렵듯이, 정보의 홍수 가운데 있는 우리는 학교 교육, 직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정보들 중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하고 어떤 정보는 불필요한 지 판단하기가 혼란스러운 시점에 서 있다. 이러한 혼란은 지식강국 건설의 기치 아래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교육 정보화 사업에서도 쉽게 발견된다. 교단선진화라 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대형 TV 등으로 치장된 화려한 모습 이면에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불거지고 있다. 학교에서 과제를 요구하면 인터넷에서 찾은 각종 자료들을 모아 제출은 잘 하지만 정작 본인들이 검색, 수집, 가공한 정보가 의미하는 바를 깨닫지 못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음란물과 같이 건져 올려서는 안될 정보들을 찾느라 바쁜 학생들이 넘쳐나고 있다. 사실 이러한 문제점은 정보화 교육을 시행하면서 의도하지 않았던 일들이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 세계화, 개방화 시대를 맞아 창의적인 교육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한데 반해 공급은 오래전에 마련된 구정책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오히려 그틀에 얽매인 부작용을 자초하고 있다. 주입식 교육의 현실은 새로운 시대에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있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함으로써 교육의 비효율적인 운영이란 지적을 낳고 있다. 따라서, 그간의 진부한 정책의 단점과 경직적인 교육 현실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학습 주제와 관련된 사실이나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것들을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탐구 학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의한 탐구 학습 장치
110; 후방 지지 몸체 112; 노출면
120; 전방 몸체 122; 절개부
124; 전방 표시판 130; 진열장
132; 강화유리 140; 교구박스
142; 도어 151,152; 동판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의 일예로써, 본 고안은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평판 형태의 후방 지지 몸체와, 상기 후방 지지 몸체의 전방에 대략 띠 모양으로 부착되어, 상기 후방 지지 몸체의 일정 영역이 노출면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좌,우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된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좌,우측에 형성된 절개부 사이에, 내부에 각종 상패 또는 트로피 등이 위치되고, 외부에서 보일수 있도록 강화 유리를 가지며 설치된 진열장과, 상기 전방 몸체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각종 교구가 보관되는 교구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몸체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후방 지지 몸체의 노출면에는 각종 학습에 필요한 문자, 그림,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열장 하부의 전방 몸체에는 소정 문자, 그림이 음각된 동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구박스에는 VTR, DVD 및 모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에 위치된 전방 몸체의 표면에는 소정 문자, 그림 또는 도안이 양각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탐구 학습 장치는, 후방 지지 몸체의 노출면에 학습 주제와 관련된 사실이나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것들을 문자, 그림 또는 도안 등으로 인쇄하여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불어, 본 고안은 전방 몸체의 좌,우측에 강화 유리를 갖는 진열장이 설치되어 있어, 교육에 관련된 각종 트로피나 상패 등을 용이하게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몸체의 전방에 교구박스가 설치되어 있어, 각종 교육용 기구를 간단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상기 교구박스에 VTR, DVD 또는 모니터를 설치하여, 학생에게 더욱 다양하고 인상적인 시청각 교육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탐구 학습 장치(100)는 후방 지지 몸체(110),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전방에 결합된 전방 몸체(120), 상기 전방 몸체(120)의 좌,우측에 결합된 진열장(130) 및 상기 전방 몸체(120)의 전방에 결합된 교구박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를 한다. 이러한 후방 지지 몸체(110)는 건물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대략 정사각 또는 직사각 모양의 평판 형태를 할 수 있고, 재질은 목재, MDF, 무늬목 또는 이의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전방 몸체(120)는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전방에 대략 띠 모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몸체(120)의 좌,우측에는 일정 공간의 절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 몸체(120)는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전면이 노출면(112)이 되도록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2부분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부에 위치된 전방 몸체(120)의 표면에는 대략 역삼각 형태로 전방 표시판(12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표시판(124)은 역삼각뿐만 아니라, 정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 등의 매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여기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전방 표시판(124)에는 학교명, 회사 상호 또는 명칭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인쇄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방 몸체(120) 및 전방 표시판(124)의 재질은 목재, MDF, 무늬목 또는 이의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진열장(130)은 상기 전방 몸체(1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절개부(1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열장(130)은 내부에 각종 상패 또는 트로피(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정확히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 유리(132)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진열장(130) 내에 위치되는 물품이상패 또는 트로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밖에도 다양한 물품이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열장(130) 내부에는 상부 벽면에 할로겐 램프(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진열장(130) 내부의 물품이 외부에서 잘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교구박스(140)는 상기 전방 몸체(120)의 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구박스(140)에는 각종 교육용 도구가 보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교구박스(140)에는 여닫을 수 있는 도어(14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교구박스(140)의 상부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VTR, DVD 및 모니터 등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본 고안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탐구 학습 장치(100)는 전방 몸체(120)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후방 지지 몸체(110)의 노출면(112)에 각종 학습에 필요한 문자, 그림 또는 도안 등을 직접 인쇄하여 놓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쇄는 노출면(112)에 직접 인쇄하거나, 미리 인쇄된 필름, 페이퍼, 아크릴 등을 부착시켜 대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출면(112)에는 학습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문자나 그림 또는 도안을 적절히 인쇄 또는 배치하여, 학생 스스로 학습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응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문자, 그림 및 도안 등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문자, 그림 및 도안은 한예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진열장(130) 하부의 전방 몸체(120) 좌,우측에는 소정 문자, 그림이 음각된 동판(151)이 더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교구박스(140)의 경사면에도 동판(152)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동판(151,152)의 부착 위치를 본 고안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동판(151,152)은 전방 몸체(12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내용으로서는 트로피나 상패를 받게된 경위 또는 인명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와 마찬 가지로, 도면에 도시된 상기 동판(151,152)의 형태와 내용은 한 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상부에 위치된 전방 몸체(120)의 표면에도 소정 문자, 그림 또는 도안이 양각 형태로 부착 또는 인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 위치 및 내용을 본 고안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는 후방 지지 몸체의 노출면에 학습 주제와 관련된 사실이나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것들을 문자, 그림 또는 도안 등으로 인쇄하여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전방 몸체의 좌,우측에 강화 유리를 갖는 진열장이 설치되어 있어, 교육에 관련된 각종 트로피나 상패 등을 용이하게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몸체의 전방에 교구박스가 설치되어 있어, 각종 교육용 기구를 간단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상기 교구박스에 VTR, DVD 또는 모니터를 설치하여, 학생에게 더욱 다양하고 인상적인 시청각 교육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탐구 학습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평판 형태의 후방 지지 몸체(110);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전방에 대략 띠 모양으로 부착되어, 상기 후방 지지 몸체(110)의 일정 영역이 노출면(112)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좌,우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22)가 형성된 전방 몸체(120);
    상기 전방 몸체(1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절개부(122) 사이에, 내부에 각종 상패 또는 트로피 등이 위치되고, 외부에서 보일수 있도록 강화 유리(132)를 가지며 설치된 진열장(130); 및,
    상기 전방 몸체(12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각종 교구가 보관되는 교구박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탐구 학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몸체(120)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후방 지지 몸체(110)의 노출면(112)에는 각종 학습에 필요한 문자, 그림,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구 학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130) 하부의 전방 몸체(120)에는 소정 문자, 그림이 음각된 동판(15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구 학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구박스(140)에는 VTR, DVD 및 모니터가 더 설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구 학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 위치된 전방 몸체(120)의 표면에는 전방 표시판(124)이 더 부착되고, 상기 전방 몸체(120) 및 전방 표시판(124)에는 소정 문자, 그림 또는 도안이 양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구 학습 장치.
KR20-2003-0007867U 2003-03-17 2003-03-17 탐구 학습 장치 KR200317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67U KR200317916Y1 (ko) 2003-03-17 2003-03-17 탐구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67U KR200317916Y1 (ko) 2003-03-17 2003-03-17 탐구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916Y1 true KR200317916Y1 (ko) 2003-06-27

Family

ID=4940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67U KR200317916Y1 (ko) 2003-03-17 2003-03-17 탐구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9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9189A (en) Reusable learning aid
US7754954B2 (en) Music edu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4626218A (en) Modular furniture design aid
US20070094904A1 (en) Self-clinging, easily removed, marking sheet with indica
NO314209B1 (no) Framgangsmåte og system for oppslag av plakater
WO2006046083A1 (en) Multipurpose mobile demonstration device
US20060222858A1 (en) Flexible dry erase/ instructional magnets
KR200317916Y1 (ko) 탐구 학습 장치
KR101866148B1 (ko) 학습용 미니북 및 미니북 편집구조
KR20080091316A (ko) 음악 교육용 교재
US20100011639A1 (en) Message Creation and Display Device
KR200336723Y1 (ko) 탈부착 기립형 학습자료 표시판부재
JP2649214B2 (ja) 教材用の室内装飾用具及びその製作方法
GB2046980A (en) Music teaching apparatus
KR200336403Y1 (ko) 학습교재용 스탠드 표시판
JP2649212B2 (ja) 教材用のアナログ時計、その製作方法、教材用のアナログ時計用表示盤及びその製作方法
CN210809789U (zh) 一种经济管理学教学辅助装置
KR200255303Y1 (ko) 홀로그램 표시창을 갖는 아동 도서
Chen Bringing folk art into full play in cultivating the innovative ability of art students in vocational colleges
CN206864015U (zh) 一种中文教学用多功能示教板
WO2001039157A1 (en) A teaching aid
JPS5930922Y2 (ja) 学習装置
GB67332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tructional or educational apparatus
KR100473648B1 (ko) 문자학습카드와 이를 구비한 문자학습교재
Chapman Rethink the way you organise your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