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408Y1 -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408Y1
KR200317408Y1 KR20-2003-0002638U KR20030002638U KR200317408Y1 KR 200317408 Y1 KR200317408 Y1 KR 200317408Y1 KR 20030002638 U KR20030002638 U KR 20030002638U KR 200317408 Y1 KR200317408 Y1 KR 200317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anel
coupling
coupling portion
cei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to KR20-2003-0002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지지수단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마감 천정패널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천정패널 고정바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천정패널의 견고한 고정 결합 및 분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천정패널의 일변이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하여 180도 각도에 위치되고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에 설치되어서 천정패널의 결합시 압축되고 결합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을 반대쪽으로 밀어부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Holding bar for fixing the ceiling panel of a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내의 천정에 마감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는 천정패널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천정패널의 고정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하여, 설치 및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역사나 빌딩의 로비와 같은 대형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는 전기 배선이나 배관 등을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내장재로서 마감 천정패널을 조립 설치하게 된다.
마감 천정패널은 통상 건축물의 천정 기초 콘크리트층의 저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감 천정패널의 설치 및 시공 구조는 지금까지 여러가지의 것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295294호(2002. 11. 18)에는 천정용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다수 고정 설치된 고정볼트 하단에 결합구비되는 공지의 고정바와; 일측면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한쌍의 제 1 결합돌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인접한 측면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중앙에 제 1 안착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에 인접한 측면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한쌍의 제 1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 3 플랜지와, 상기 제 3 플랜지에 인접한 측면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안착홈과, 네 측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제 1 지지돌부로 이루어진 제 1 단위패널과;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결합돌부가 삽입되도록 한쌍의 제 2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 4 플랜지와,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중앙에 제 2 안착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 5 플랜지와,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결합구멍에 삽입되도록 한쌍의 제 2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 6 플랜지와, 일측면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안착돌부가 안착되는 제 2 안착홈과,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지지돌부에 대향되도록 네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 2 지지돌부로 이루어진 제 2 단위패널과;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한 플랜지 및 이에 겹치도록 위치되는 제 2 단위패널의 다른 플랜지, 그리고 두 플랜지에 대향되는 고정바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와; 양측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탄성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단위패널의 제 1 지지돌부 및 제 2 단위패널의 제 2 지지돌부에 걸려 지지되는 마감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천정용 패널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천정용 패널 조립구조는 제 1 단위패널과 제 2 단위패널이 제 1 결합돌부와 제 2 결합구멍에 의해 가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 결합되므로, 단위패널들이 외부의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 지지될 뿐 아니라, 단위패널들의 결합부위가 마감브라켓에 의해 미려하게 마감 처리되므로 미적 감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적용된 천정용 패널 조립구조는 천정 패널이 견고히 고정되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설치 작업시 혹은 유지 보수를 위하여 천정 패널을 분리 및 재조립할 필요가 있을 때, 일일이 고정나사를 풀고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결과 인력의 낭비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별도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천정패널의 견고한 고정 결합 및 분리를 실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를 도시한 전체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패널 고정바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탄력부재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고정바 5-천정패널
15-걸이부 17-바디부
19-제 1 결합부 21-제 2 결합부
23-탄성부재 25-날개부
27-돌기 29-걸림돌기부
31-걸림턱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지지수단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천정패널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일변이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하여 180도 각도에 위치되고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에 설치되어서 천정패널의 결합시 압축되고 결합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을 반대쪽으로 밀어부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는 반대쪽의 제 2 결합부 혹은 제 1 결합부 보다 길게 형성하여 천정패널의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탄성부재는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양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중간에 위치되고 돌기를 구비하여 형성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걸림돌기부가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1차 삽입되고, 다시 2차 회전 삽입됨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부의 돌기는 회전 결합을 위하여 일측 모서리를 소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의 전체 구조 및 천정패널의 조립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정패널 고정바(1)는 건축물의 천정 기초 콘크리트층(3)의 저면에 별도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측면으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천정패널(5)을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천정패널(5)은 통상 합판 등의 소재로 실내쪽을 향하는 적어도 한 면이 인테리어 효과를 갖도록 미려하게 제작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수단은 다양한 구조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그 일 예로서 천정의 기초 콘크리트층(3)에 행거볼트(7)를 매립 설치하고, 상기 행거볼트(7)에 행거클립(9)을 걸어 설치하며, 상기 행거클립(9)에 캐링채널(11)을 걸어 설치하고, 상기 캐링채널(11)에 고정된 클립(13)을 개재하여 본 고안의 고정바(1)를 결합 및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구조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클립(13)은 하단부에 걸림고리(13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13a)에 고정바(1)의 걸이부(15)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고정바(1)는 상기 걸이부(15)의 하단으로 대략 'U'자 모양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디부(1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부(17)의 측면 방향으로 천정패널(5)의 일변이 삽입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부(19)(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결합부(19)(21)는 각각 하나씩의 천정패널(5)이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어 180도 위치에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천정패널(5)의 타측 변은 인접하는 다른 고정바(도시생략)에 의해 삽입 결합되어서 지지된다.
여기서 특히 제 1 결합부(19)에는 천정패널(5)의 결합시 압축되고 결합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5)을 반대쪽으로 밀어부침에 의해, 인접한 다른 고정바의 제 2 결합부에 천정패널(5)의 타측 변이 견고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재(23)는 제 1 결합부(19) 혹은 제 2 결합부(21)에 모두 설치할 수 있지만, 한 쪽에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때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쪽의 제 1 결합부(19)의 길이를 다른쪽의 제 2 결합부(21)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탄성부재(23)에 의해 반대쪽으로 밀려지는 간격을 고려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탄성부재(23)는 도 1 및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양 날개부(25)와, 상기 날개부(25)의 중간에 위치되고 돌기(27)를 구비하여 형성된 걸림돌기부(2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이렇게 구성된 탄성부재(23)는 별도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용이하게 결합 고정 되는 바, 이러한 결합 구조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탄성부재(23)는 결합 과정의 초기 상태이고,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탄성부재(23)는 결합 과정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3)는 고정 결합시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양 날개부(25)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고, 그 상태로 고정바(1)의 제 1 결합부(19)의 걸림턱(31) 안쪽으로 1차 삽입 결합되고, 다시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 시킴에 의해 2차로 고정 결합되며, 그 결과 상기 걸림돌기부(29)의 돌기(27)가 걸림턱(31)에 끼움 결합된 상태의 실선 및 점선과 같이 결합 완료된다.
이와 같은 회전 결합을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23)의 돌기(27) 일측 모서리는 소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 형성한다.
한편 고정바(1)의 제 1 결합부(19)에 설치된 탄성부재(23)의 견고한 고정 및 이탈 방지를 위하여, 별도 구멍(33)을 마련하고 여기에 별도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성을 토대로 천정패널의 조립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1)의 제 1 결합부(19)에 탄성부재(23)를 회전 결합시킨다. 이때 탄성부재(23)는 하나의 천정패널(5)에 대하여 1-5개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탄성부재(23)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먼저 천정패널(5)을 잡고 그 일측 변을 제 1 결합부(19)에 삽입 결합시키되, 상기 탄성부재(23)가 완전하게 펴질 정도로 힘을 가하면서 삽입하고, 상기 천정패널(5)의 타측 변을 인접한 고정바의 제 2 결합부에 삽입한 후 손을 놓는다. 이때 천정패널(5)은 탄성부재(23)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지면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천정패널의 용이한 삽입 결합 및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천정패널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 인력의 절감과 작업 시간의 축소로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천정패널의 안정적인 설치 및 유지를 실현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지지수단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천정패널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일변이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하여 180도 각도에 위치되고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2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에 설치되어서, 천정패널의 결합시 압축되고 결합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을 반대쪽으로 밀어부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설치된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는 반대쪽의 제 2 결합부 혹은 제 1 결합부 보다 길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양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중간에 위치되고 돌기를 구비하여 형성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가 제 1 결합부 혹은 제 2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 삽입됨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4. 제 3 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부의 돌기는 회전 결합을 위하여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20-2003-0002638U 2003-01-28 2003-01-28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200317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38U KR200317408Y1 (ko) 2003-01-28 2003-01-28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38U KR200317408Y1 (ko) 2003-01-28 2003-01-28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408Y1 true KR200317408Y1 (ko) 2003-06-25

Family

ID=4940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38U KR200317408Y1 (ko) 2003-01-28 2003-01-28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KR200317408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200261928Y1 (ko)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KR200329105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JPH0214572Y2 (ko)
JP3620263B2 (ja) 開口枠の取り付け方法
KR200329104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2561165Y2 (ja) 竪樋保持具及び竪樋保持装置
JPH0450758Y2 (ko)
JPS5844202Y2 (ja) ガラス板の保持構造
JP2602683Y2 (ja) タイル施工用具
KR20030076731A (ko) 천정 패널 고정용 행거의 고정구
JP3881161B2 (ja) 鼻隠し継手及び軒先部の構造
JPH026165Y2 (ko)
KR200173800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행거구조
JP3374066B2 (ja) 吊子及び屋根材の接続構造
JP2551991Y2 (ja) タイル取付構造
KR100795342B1 (ko) 건축 자재용 프레임
JP2002146997A (ja) 板状建材の施工構造
KR200232479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타일과 설치대
JPH076364U (ja) 手摺の取り付け装置
JP3918165B2 (ja) 長尺化粧材の取付構造
JP3404196B2 (ja) 平板材固定用クリップ
JP2527451Y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入隅部壁パネル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