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342B1 - 건축 자재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축 자재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342B1
KR100795342B1 KR1020060087915A KR20060087915A KR100795342B1 KR 100795342 B1 KR100795342 B1 KR 100795342B1 KR 1020060087915 A KR1020060087915 A KR 1020060087915A KR 20060087915 A KR20060087915 A KR 20060087915A KR 100795342 B1 KR100795342 B1 KR 10079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frame
rail part
pack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의영
Original Assignee
강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영 filed Critical 강의영
Priority to KR102006008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은 건축 구조물에 벽체 또는 창틀 등을 설치할 때 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체결 부재인 피스에 의해 서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유지보수 및 임의 변경이 가능하고, 패킹에 의해 완전밀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 자재용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커버 프레임, 패킹

Description

건축 자재용 프레임{Construction materials frame}
도 1은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a, b, c, d는 본 발명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6a, b는 본 발명 커버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건축자재용 프레임 2: 베이스 프레임
3: 커버 프레임 4: 레일부
5: 레일 홈 6: 패킹
7: 체결공 8: 피스
9: 조립식 벽체 패널 10: 유리
11: 본체 12: 단턱부
본 발명은 건축 자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구조물에 벽체 또는 창틀 등을 설치할 때 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피스에 의해 서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강한 내구성과 유지보수 및 임의 변경이 가능하며 패킹에 의해 완전밀폐가 가능한 건축 자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에 있어 조립식 벽체를 조립할 때는 "
Figure 112006065731990-pat00001
"형상의 프레임을 바닥면과 천장에 서로 내측 홈부가 마주보도록 대응하게 설치한 후, 프레임 사이 홈부에 조립식 벽체 패널 중 하나인 샌드위치 패널을 삽입한 후, 프레임의 측면에서 피스로 고정하고, 각 모서리 지주 부분은 프레임을 세운 후 바닥면과 천장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대응하게 설치한 후 샌드위치 패널을 삽입하고 피스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립식 벽체 패널을 설치한 후에는 임의 변경이 안되고, 파손시에는 부분보수가 안되 전체를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상기 기존의 프레임을 사용할 때는 단순히 내측 홈부 사이로 샌드위치패널만을 끼워넣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밀폐가 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일부에 유리 등에 의한 유리벽을 설치한 것을 예를 들면 벽체 부분에 고정 프레임을 매립 또는 부착할 때 고정 프레임 에 먼저 유리를 끼운 상태에서 설치하고, 유리와 프레임 사이 테두리에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마감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벽체에 설치된 고정 유리벽은 고정 프레임에 먼저 유리를 끼운 상태에서 설치를 하는 작업 과정이 복잡하고, 설치 후에는 유리가 파손되거나 고정 프레임 일부를 수리할 경우에는 벽체에서 고정 유리벽을 분해할 수가 없기 때문에 대형공사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정 프레임과 유리가 완전 밀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벽체나 벽체 일부에 유리벽과 다른 건축자재들을 설치할 때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분리 결합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가장자리를 따라 완전 밀폐하여 방음, 방한 등의 효과와 강한 내구성을 갖는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보수 하자 및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마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일정간격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커버 프레임에 피스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일치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패킹과, 상기 패킹을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부에 밀착 체결하도록 동일한 길이로 중앙에 돌출된 부분에 레일부와 패킹에 형성된 체결공과 일치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패킹과, 커버 프레임을 피스로 체결하여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이다.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은 조립식 벽체 패널(9), 유리(10) 등 건축자재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과, 패킹(6), 커버 프레임(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은 철, 알루미늄, ABS수지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11) 양측에 레일부(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본체(11)는 사각형상에 내부는 중공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원료를 절감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본체(11) 양측에는 커버 프레임(3)과 체결할 수 있도록 레일부(4)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단턱부(12)를 형성하여 패킹(6)이 설치되면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4)에는 패킹(6)과 커버 프레임(3)과 피스(8)를 체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따라 체결공(7)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건축용 자재인 패널(9) 등을 설치할 때 방음, 방한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완전 밀폐할 수 있도록 패킹(6)을 설치한다.
상기 패킹(6)은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재질 등을 사용하며, 레일부(4)와 동일한 폭과 레일부(4)에 형성된 체결공(7)과 일치하도록 체결공(7)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과 패킹(6)이 체결된 상태에서 건축자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3)을 결합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3)은 건축자재에 긴밀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맞닿은 면은 평면을 유지하고, 타측면은 중앙이 돌출되어 레일부(4)와 패킹(6)에 형성된 체결공(7)과 일치하도록 체결공(7)이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과 패킹(6), 건축자재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후 커버 프레임(3)을 밀착시켜 체결공(7)에 피스(8) 체결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은 베이스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부(4)에 패킹(6)을 내설하고 패킹(6) 위에 건축용 자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커버 프레임(3)을 밀착하고 커버 프레임(3)의 체결공(7)에 피스(8)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체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과 커버 프레임(3) 사이에 건축용 자재가 바로 삽입되는 게 아니라 패킹(6)이 내설된 상태에서 결합 되기 때문에 결합부가 완전 밀폐 된 상태를 유지하면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를 할 경우에는 피스(8)의 조임을 풀면 분해가 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 b, c는 본 발명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을 조립식 벽체의 지주로 사용할 때 벽체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건축용 자재인 벽체를 손쉽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부(4)의 형상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게 아니라 레일부(4)의 위치를 각각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은 패킹(6)이 내설되는 레일부(4)에 긴밀함을 유지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레일부(4)의 내측으로 다수의 레일 홈(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레일부(4)에 형성된 단턱부(12)를 생략한 베이스 프레임(2)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본체(11)의 형상도 사각형상만을 한정하는 게 아니라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건축용 자재 중 건축용 조립식 벽체 패널(9)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부(4)에 먼저 패킹(6)을 내설하고 그 위에 수직방향으로 조립식 벽체 패널(9)의 끝단부를 베이스 프레임(2)의 본체(11)에 밀착시킨 후 커버 프레임(3)을 조립식 벽체 패널(9)의 끝단을 체결하도록 밀착시켜 체결공(7)에 피스(8)를 삽입 패킹(6)과 베이스 프레임(2)에 체결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9)을 유지보수 할 경우에는 체결공(7)에 조임 체결된 피스(8)를 해지하여 순차적으로 커버 프레임(3)과 조립식 벽체 패널(9)을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주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의 베이스 프레임(2)에 레일부(4) 위치를 달리한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을 사용할 경우 조립식 벽체 패널(9)의 임의 변경도 가능한 구조이다.
도 6a, b는 본 발명 커버 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건축 자재용 프레임(1)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벽체 일부분에 고정된 유리벽(10)을 설명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에 체결하지 않고 기존의 벽체 또는 프레임에 유리(10)를 위치시킨 후, 패킹(6)과 커버 프레임(3)을 직접 피스(8)로 체결한 것을 구조로 베이스 프레임(2)과 체결했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조립식 벽체 패널(9), 유리벽(10)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버티칼 등 다양한 건축자재를 체결 및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패킹, 커버 프레임으로 구성된 건축 자재용 프레임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건축자재를 설치한 후 보수 및 임의 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 자재용 프레임은 패킹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 밀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건축 자재용 프레임은 재질 자체를 철 또는 알루미늄 또는 ABS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이며, 내구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건축 자재용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건축 자재용 설치방법보다 작업공정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패널과 유리벽의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마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일정간격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커버 프레임과 피스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베이스의 레일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일치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패킹과;
    상기 패킹을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부에 밀착 체결하도록 동일한 길이로 중앙에 돌출된 부분에 레일부와 패킹에 형성된 체결공과 일치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패킹과, 커버 프레임을 피스 체결하여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건축 자재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은 철 또는 알루미늄 또는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건축 자재용 프레임.
KR1020060087915A 2006-09-12 2006-09-12 건축 자재용 프레임 KR10079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15A KR100795342B1 (ko) 2006-09-12 2006-09-12 건축 자재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15A KR100795342B1 (ko) 2006-09-12 2006-09-12 건축 자재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342B1 true KR100795342B1 (ko) 2008-01-17

Family

ID=3921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915A KR100795342B1 (ko) 2006-09-12 2006-09-12 건축 자재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3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3405U (ko) 1981-01-26 1982-07-31
JPS58141005U (ja) 1982-03-18 1983-09-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中空パネル固定装置
JPH0384314U (ko) * 1989-12-19 1991-08-27
KR940005741U (ko) * 1992-08-25 1994-03-18 강경석 조립식 주택의 벽체부 조립장치
KR960008241U (ko) * 1994-08-06 1996-03-15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넬시공장치
KR200168553Y1 (ko) 1999-08-20 2000-02-15 주식회사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20040071930A (ko) * 2003-02-07 2004-08-16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3405U (ko) 1981-01-26 1982-07-31
JPS58141005U (ja) 1982-03-18 1983-09-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中空パネル固定装置
JPH0384314U (ko) * 1989-12-19 1991-08-27
KR940005741U (ko) * 1992-08-25 1994-03-18 강경석 조립식 주택의 벽체부 조립장치
KR960008241U (ko) * 1994-08-06 1996-03-15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넬시공장치
KR200168553Y1 (ko) 1999-08-20 2000-02-15 주식회사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20040071930A (ko) * 2003-02-07 2004-08-16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849752B1 (ko) 외장패널 고정용 지지장치
JP4490340B2 (ja) 断熱壁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170048130A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US7389617B2 (en) Building curtain wall sealing system
KR101863507B1 (ko)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20100128190A (ko) 건축 외장벽체 고정장치
KR101045941B1 (ko) 건축물의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100795342B1 (ko) 건축 자재용 프레임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200423294Y1 (ko) 창틀 마감재 고정 구조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KR102015433B1 (ko) 커튼월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200268847Y1 (ko) 천정판 연결구
KR20200009307A (ko) 타일 결합체
KR20090123400A (ko) 건물 외장용 패널 조립체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CN217811764U (zh) 一种玻璃隔墙的凹扣式连接结构
KR200374580Y1 (ko) 천장패널 장착구조
JP4520911B2 (ja) 断熱材の接続構造
JP2007009568A (ja) 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