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307A - 타일 결합체 - Google Patents

타일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307A
KR20200009307A KR1020180083500A KR20180083500A KR20200009307A KR 20200009307 A KR20200009307 A KR 20200009307A KR 1020180083500 A KR1020180083500 A KR 1020180083500A KR 20180083500 A KR20180083500 A KR 20180083500A KR 20200009307 A KR20200009307 A KR 2020000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ile
fixing part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김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하 filed Critical 김정하
Priority to KR102018008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307A/ko
Publication of KR202000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건축물의 벽체에 탈/부착이 간편한 타일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벽에 둘 이상이 마련되되, 그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에 마련되는 레일 및 한쪽에는 타일이 마련되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레일에 탈착 및 부착되는 타일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 결합체{TILE INSTALLATION 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탈/착이 간편한 타일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35301호(2013.04.09. 공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상기 타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는 그림 또는 문양이 그려진 전면판의 후면에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설치가 가능한 타일과, 상기 타일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타일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벽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을 다수개 구비하는 프레임부로 이루어지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타일을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퍼즐식으로 타일을 벽면에 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9984호(2006.11.28.공고,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는 타일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에 상기 타일이 삽입 결합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갖는 타일; 상기 타일을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타일이 슬라이드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타일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요홈 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일수용부를 갖는 지지블록;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결합될 때, 상기 타일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가 수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또는 단차 형상의 수직가이드레일을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형상의 수평가이드레일을 갖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삽입 체결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때, 상기 타일과 상기 타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그 양측면에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와 대응되도록 돌출 또는 단차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계돌출부와, 그 상하면에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계가이드레일을 갖는 경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42005호(2003.05.27.공개, “타일”)에는 폐쇄된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타일에 관한 것이지만, 특히 목욕탕, 화장실, 지하실과 같은 이른바 습윤 공간에 설치될 뿐만아니라 현관 입구, 온실 및 베란다에도 설치할 수 있는 타일을 제공하고자 적어도 하나의 장식판(2) 및 이 장식판 상에 발포 성형되거나 부착된 지지판(3)을 구비하며, 이 지지판(3)은 적어도 일측에서 장식판(2)의 윤곽선 뒤로 후퇴한 것을 특징으로 개시하고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지지판은 반대측에서 거의 같은 치수로 장식판 너머로 돌출하고 있고, 또 지지판은 반대측에서도 장식판의 윤곽선 뒤로 후퇴하고 있는데, 이 경우 결합 레일이 자유 공간을 실질적으로 충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다수의 타일이 하나의 레일에 결합되는 구조에서 벽체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더라도 레일이 직선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다수의 타일이 하나의 레일에 결합되는 구조에서 특정 타일을 보수할 때에 다른 타일을 레일에서 분리하거나 레일 자체를 해제하지 않고도 특정 타일만을 레일에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일 결합체가 개시(disclosure)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벽(1)에 둘 이상이 마련되되, 그 벽(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레일 고정부(100)와 상기 레일 고정부(100)에 마련되는 레일(200) 및 한쪽에는 타일(2)이 마련되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레일(200)에 탈착 및 부착되는 타일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고정부(100)는 상기 벽(1)에 고정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110)가 자유롭게 펼쳐졌다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고정부(100)는 상기 벽(1)에 접하는 상기 지지부(11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130) 및 상기 지지부(110)에서 상기 돌출 지지부(130)까지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지지 구멍(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200)은 한쪽이 상기 레일 고정부(100)에 마련되되, 상기 타일 고정부(300)가 마련되는 다른 한쪽은 둘 이상의 레일 돌기(210)가 마련되되, 레일 돌기(210)는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둘 이상의 레일 돌기(210)들 사이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고정부(300)는 한쪽에 상기 타일(2)이 마련되되, 상기 레일(200)에 부착되는 다른 한쪽은 적어도 상기 레일 돌기(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 돌기(210)의 안쪽 면과 접하는 형태로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고정부(300)를 통해서 상기 레일(200)을 따라 하나 이상의 타일(2)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타일(2) 사이의 상기 레일(200)에 삽입되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레일(200)과 상기 타일 고정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서 레일(200)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분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400)는 상기 레일(200)의 레일 돌기(210) 사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분리 몸체부(410) 상기 레일(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리 몸체부(410)를 관통하는 나사산(420) 및 상기 나사산(430)에 대응하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레일(200)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분리 몸체부(410)가 상기 타일 고정부(300)를 향해서 이동되도록 마련된 분리 볼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를 통해서 시공자가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바, 다수개의 타일(2)들 중에서 불량 또는 파손된 타일 하나만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분리부(400)를 통해서 타일(2)을 분리하기 위한 힘을 타일(2)이 아닌 분리부(400)에 가함으로써 분리 대상의 타일(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분리부(400)의 분리 몸체부(410)를 레일(200)에서 분리할 때에 타일(2)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으로 도구를 젖히는바, 분리 대상의 타일(2)과 인접한 다른 타일(2)이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기준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기준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일 고정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 2의 부분확대도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도 3의 부분확대도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기준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기준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일 고정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 2의 부분 확대도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도 3의 부분 확대도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크게 레일 고정부(100)와 레일(200) 및 타일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레일 고정부(100)는 벽(1)에 둘 이상이 마련되되, 그 벽(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레일 고정부(100)는 둘 이상의 지지부(110)와 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타일(2)이 설치될 벽(1)에 한쪽이 고정되는 두 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벽(1)에 통상의 접착제 또는 시멘트 및 볼트로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120)는 통상의 경첩과 같이 상기 각 지지부(11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두 개의 지지부(110)가 자유롭게 펼쳐졌다가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일 고정부(100)는 힌지부(120)를 통해서 지지부(110)를 벌린 각에 따라서 벽(1)에서부터 힌지부(120)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110)를 많이 벌리면 벽(1)에서부터 힌지부(120)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고, 지지부(110)를 좁게 걸리면 벽(1)에서부터 힌지부(120)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레일 고정부(100)는 이하 설명될 레일(200)이 상기 힌지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레일 고정부(100)는 울퉁불퉁하거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벽체에 타일(2)을 설치할 때에 벽(1)의 튀어나온 부분에서는 지지부(110)를 넓게 펼쳐서 설치하고, 벽(1)의 들어간 부분에서는 지지부(110)를 좁게 펼쳐서 이하 설명될 레일(200)이 벽(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레일 고정부(100)는 도 4에서와같이, 돌출 지지부(130) 및 지지 구멍(14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30)는 벽(1)에 접하는 지지부(110)의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30)는 지지부(11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1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지지구멍(140)은 벽(1)에 고정되는 통상의 볼트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구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구멍(140)은 지지부(110)에서부터 돌출 지지부(130)까지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일 고정부(100)는 지지부(110)가 벽(1)에 직각인 상태로 설치할 상태일 때에 돌출 지지부(130)에 마련된 지지구멍(140)을 통해서 지지부(110)를 벽(1)에 고정할 수 있고, 지지부(130)를 완전히 펼쳐서 지지부(110)의 측면이 벽(1)면 전체에 접하는 상태일 때에는 지지부(130)에 마련된 지지구멍(140)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지지구멍(140)이 단면적으로 '∧'모양이 되는바, 다양한 각도로 통상의 볼트를 시공할 수 있다. 즉, 벽(1)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돌출된 부분과 들어간 부분이 공존할 경우에 돌출 또는 들어간 부분의 경사면에 볼트를 사용하여 지지부(130)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레일 고정부(100)는 도 4에서와같이, 이하 설명될 레일(20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서 힌지부(120)에 레일(200)이 설치될 평면의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200)은 레일 고정부(100)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200)은 한쪽이 상기 레일 고정부(100)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일(200)은 레일 고정부(100)의 힌지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120)를 향하는 면과 대칭의 다른 한쪽은 둘 이상의 레일 돌기(210)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 돌기(210)는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둘 이상의 레일 돌기(210)들 사이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돌기(210)는 레일(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 돌기(210)가 마련된 쪽은 이하 설명될 타일 고정부(300)가 마련된다. 상술한 레일(200)은 레일 고정부(100)를 통해서 벽(1)과 평행하게 시공될 수 있고, 벽(1)과 평행하지 않게도 시공될 수도 있다. 레일(200)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통해서 레일 고정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레일 돌기(210)는 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레일 돌기(2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타일 고정부(300)는 한쪽에 타일(2)이 마련되되, 다른 한쪽에는 레일(200)에 탈착 및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타일 고정부(300)는 한쪽에 상기 타일(2)이 마련된다. 타일(2)은 통상의 접착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쪽은 레일(200)에 부착되되, 적어도 레일 돌기(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일(200)에 삽입되는 타일 고정부(300)의 한쪽은 레일 돌기(210)의 안쪽 면과 접하는 크기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타일 고정부(300)는 레일 돌기(210) 사이로 한쪽이 삽입되면, 레일 돌기(210)의 끝 단이 서로 벌어졌다가 다시 복귀되어 레일(200)에 고정된다. 즉, 타일 고정부(300)는 레일(200)의 레일 돌기(210)가 가진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당길 경우에만 레일(200)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타일(2)이 타일 고정부(300)의 한쪽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타일(2)에 설치된 타일 고정부(300)를 레일(200)에 삽입되도록 밀어주는 것만으로 타일(2)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타일 고정부(300)는 타일(2)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타일 고정부(300)는 타일의 모양과 무게 등을 고려하여 타일(2)의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수량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타일 결합체는 시공자가 벽(1)의 표면 굴곡 등의 표면 상태를 점검하고, 레일 고정부(100)의 지지부(110) 하나를 벽에 설치한다. 벽에 설치된 레일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벽(1)의 길이 방향으로 다른 레일 고정부(100)의 지지부(110) 하나를 벽에 설치하되, 두 개의 레일 고정부(100)가 벽(1)의 정면을 기준으로 바닥과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타일 결합체는 각각의 고정부(100)의 나머지 지지부(110)를 벽(1)에 설치하되, 벽(1)의 평면을 기준으로 고정부(100)의 힌지부(120)가 그 벽(1)과 평행하도록 상기 나머지 지지부(110)를 상기 벽(1)에 설치된 지지부(110)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조율하여 설치한다. 벽(1)에 설치된 레일 고정부(100) 전면의 힌지부(120)에 레일(200)을 설치한다. 타일 결합체는 타일 고정부(300)가 설치된 타일(2)을 레일(200)에 위치한 후, 타일 고정부(300)가 레일(200)의 레일 돌기(210) 사이에 삽입되도록 밀어서 타일(2)이 레일(200)을 따라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 모두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타일 결합체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분리부(4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400)는 대략적으로 분리 몸체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나사산(420)과 분리 볼트(4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타일 고정부(300)를 통해서 레일(200)을 따라 하나 이상의 타일(2)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는 구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됨이 타당할 것이다.
분리 몸체부(410)는 타일(2) 사이의 레일(200)에 삽입되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레일(200)과 상기 타일 고정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서 레일(200)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분리 몸체부(410)는 레일(200)의 레일 돌기(2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마련되되, 한쪽은 타일 고정부(300)와 레일(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분리 몸체부(410)는 레일(200)을 따라서 설치된 타일(2)들 사이로 한쪽이 노출되고, 다른 한쪽의 후면은 레일(200)과 접하거나 인접하고, 전면은 타일(2)에 설치된 타일 고정부(300)와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분리 몸체부(410)는 타일(2)들 사이로 노출된 한쪽을 시공자가 '1'자 드라이버 등으로 레일 돌기(210) 사이로 집어넣은 후, 분리 몸체부(410)가 레일 돌기(210) 사이를 통해서 분리되도록 힘을 가하여 분리 몸체(410)의 다른 한쪽의 전면에 위치하는 타일 고정부(300)가 함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분리 몸체부(410)가 레일(200)에서 분리시키는 것으로 타일(2)을 간편하게 레일(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분리부(400)를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는 타일(2) 사이로 노출된 분리 몸체부(410)를 통해서 시공자가 간편하게 타일 고정부(300)를 레일(200)에서 분리할 수 있는바, 타일(2)을 선택적으로 직접 해체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분리 몸체부(410)는 양쪽의 전면이 서로 인접한 타일(2)에 설치된 타일 고정부(300)와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즉, 분리 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타일(2)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분리부(400)는 나사산(420)과 분리 볼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나사산(420)은 레일(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리 몸체부(4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분리 볼트(430)는 나사산(430)에 대응하는 통상의 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볼트(430)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레일(200)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분리 몸체부(410)가 상기 타일 고정부(300)를 향해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분리 볼트(430)가 회전될 때에 분리 몸체부(410)가 레일(200)의 레일 돌기(210)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분리 볼트(430)만이 나사산(420)을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회전된 분리 볼트(430)는 분리 몸체부(410)를 관통하여 레일(200)을 향해서 돌출되고, 분리 볼트(430)가 돌출됨에 따라서 분리 몸체부(410)가 타일 고정부(300)를 향해서 이동되어 레일(200)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레일 고정부(100)를 통해서 레일이 벽체와 평행하거나 다양한 방향의 직선 등으로 설치될 수 있는바, 다수개의 타일(2)이 균일한 방향 또는 평편한 표면을 가질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레일 돌기(210)와 타일 고정부(300)를 통해서 시공자가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바, 다수개의 타일(2)들 중에서 불량 또는 파손된 타일 하나만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타일 결합체는 분리부(400)를 통해서 타일(2)을 분리하기 위한 힘을 타일(2)이 아닌 분리부(400)에 가함으로써 타일(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분리부(400)의 분리 몸체부(410)를 레일(200)에서 분리할 때에 타일(2)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으로 도구를 젖히는바, 분리 대상의 타일(2)과 인접한 다른 타일(2)이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타일(2)들 사이의 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통상의 볼트와 그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도구 및 그 도구를 볼트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만으로 타일 고정부(300)를 레일(200)에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명세서의 타일 결합체의 분리부(400)의 한쪽에 그 분리부(400)가 노출된 타일(2)과 다른 타일(2) 사이의 틈을 타일(2)의 후면에서 덮을 수 있는 덮개(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미 도시)는 타일(2)과 다른 타일(2) 사이의 틈을 실리콘 또는 시멘트 등으로 매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레일 고정부(100)에 의해서 벽(1)과 타일(2)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의해서 타일(2)과 타일(2)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덮개(미 도시)가 분리부(400)를 따라서 이동되는바, 분리부(400)의 이동에 따라서 타일(2)에 가해지는 힘을 타일(2)의 한쪽 면 전체로 분산시킴으로써, 타일(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의 타일 결합체는 상기 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타일(2)과 다른 타일(2) 사이의 틈으로 통상의 조명(미 도시)이 더 포함하여 벽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미 도시)은 상기에서 설명된 분리부(400)의 덮개(미 도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 벽
2 : 타일
100 : 레일 고정부
110 : 지지부
120 : 힌지부
130 : 돌출 지지부
140 : 지지 구멍
200 : 레일
210 : 레일 돌기
300 : 타일 고정부
400 : 분리부
410 : 분리 몸체부
420 : 나사산
430 : 분리 볼트

Claims (7)

  1. 벽에 둘 이상이 마련되되, 그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레일 고정부;
    상기 레일 고정부에 마련되는 레일; 및
    한쪽에는 타일이 마련되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레일에 탈착 및 부착되는 타일 고정부;
    를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 고정부는
    상기 벽에 고정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가 자유롭게 펼쳐졌다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레일 고정부는
    상기 벽에 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돌출 지지부까지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지지 구멍;
    을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한쪽이 상기 레일 고정부에 마련되되, 상기 타일 고정부가 마련되는 다른 한쪽은 둘 이상의 레일 돌기가 마련되되, 레일 돌기는 돌출 방향으로 갈수로 둘 이상의 레일 돌기들 사이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고정부는 한쪽에 상기 타일이 마련되되,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다른 한쪽은 적어도 상기 레일 돌기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 돌기의 안쪽 면과 접하는 형태로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돌기와 타일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고정부를 통해서 상기 레일을 따라 둘 이상의 타일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타일 사이의 상기 레일에 삽입되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레일과 상기 타일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서 레일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레일의 레일 돌기 사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분리 몸체부;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리 몸체부를 관통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레일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분리 몸체부가 상기 타일 고정부를 향해서 이동되도록 마련된 분리 볼트;
    를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떨어진 타일 사이의 틈으로 조명을 포함하는 타일 결합체.
KR1020180083500A 2018-07-18 2018-07-18 타일 결합체 KR2020000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00A KR20200009307A (ko) 2018-07-18 2018-07-18 타일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00A KR20200009307A (ko) 2018-07-18 2018-07-18 타일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07A true KR20200009307A (ko) 2020-01-30

Family

ID=6932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00A KR20200009307A (ko) 2018-07-18 2018-07-18 타일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798A (ko) 2021-08-18 2023-02-27 전태원 도금용 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798A (ko) 2021-08-18 2023-02-27 전태원 도금용 랙
KR20230047340A (ko) 2021-08-18 2023-04-07 전태원 도금용 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7798C2 (ru) Система декоративных стен, замок с шипом и кирпичный элемент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09307A (ko) 타일 결합체
JP2012132296A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7161487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ケージ壁の壁要素を取付ける方法
KR200486029Y1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JP2016108923A (ja) 間接照明構造体のユニット部品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KR20120045593A (ko) 건물 벽면의 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감시공방법
JP6926445B2 (ja) 間仕切装置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100943239B1 (ko) 칸막이용 스터드
KR20150106785A (ko) 엘리베이터용 의장 패널 및 그의 고정 방법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KR200465403Y1 (ko) 가설 칸막이
KR20160098834A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6195240B2 (ja) 階段装置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0438365B1 (ko)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경량 칸막이 구조, 이칸막이의 설치방법 및 부분적인 개보수방법
KR101368996B1 (ko) 천정 또는 벽체의 마감재 시공 장치
KR102498775B1 (ko) 패널마감구조체
KR101281209B1 (ko) 건식 벽체 조립용 브라켓트
KR200479423Y1 (ko) 조립식 벽 판넬의 연결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