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798A - 도금용 랙 - Google Patents

도금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798A
KR20230026798A KR1020210108854A KR20210108854A KR20230026798A KR 20230026798 A KR20230026798 A KR 20230026798A KR 1020210108854 A KR1020210108854 A KR 1020210108854A KR 20210108854 A KR20210108854 A KR 20210108854A KR 20230026798 A KR20230026798 A KR 20230026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ing
plated
rack
straigh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620B1 (ko
Inventor
전태원
Original Assignee
전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원 filed Critical 전태원
Priority to KR102021010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6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798A/ko
Priority to KR1020230038511A priority patent/KR2023004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금용 랙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금용 랙은, 도금 장치에 일측부가 지지되는 랙 바디; 랙 바디에 마련되어 차량용 휠 너트를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의 일측 내벽을 두 접점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랙 바디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의 타측 내벽을 두 접접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의해 도금 대상물은 도금 시 도금액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도금 대상물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각 공정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일정한 도금의 품질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4점으로 전기적 통전의 접점이 되어 도금작업이 매우 잘 진행된다.

Description

도금용 랙{PLATING LACK}
본 발명은, 도금용 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 대상물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공정 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도금 품질을 확보함과 아울러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도금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방법과 도금 조건을 설정할 때에는 고객과 협의를 통해 도금규격을 바탕으로 하여 용도에 맞게 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재질, 크기, 형상, 외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과 용도에 맞는 도금방법을 설정해야 하며, 이러한 도금방식은 크게 랙 도금과 바렐 도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랙 도금은 피도금체를 치구나 걸이에 걸어서 도금하는 방식이며, 바렐 도금은 1개의 바렐 속에 많은 피도금체를 넣고 도금을 하는 방식이다.
이 중 랙 도금은 제품의 크기나 형상에 제약을 적게 받으며 도금할 수 있고, 일정한 도금 두께를 얻는데에 걸리는 시간이 바렐 도금에 비해서 짧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금속물의 도금을 하기 위해 도금 랙에 끼워 공정을 거쳐 도금을 하는 경우 내부에 홀이 뚫려 있는 경우에 비해 막혀 있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금의 공정이 여러단계를 거치는 과정 세척, 도금, 세척, 코팅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도금액과 물, 기타 코팅액이 서로 섞이는 문제가 발행하여 도금 공정의 처음과 마지막의 품질 차이가 많이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9307호(박경이) 2020. 08. 2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금 대상물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각 공정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일정한 도금의 품질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금용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금 장치에 일측부가 지지되는 랙 바디; 상기 랙 바디에 마련되어 차량용 휠 너트를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의 일측 내벽을 두 접점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랙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타측 내벽을 두 접접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해 상기 도금 대상물은 도금 시 도금액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금용 랙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랙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지지바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측 천장부를 지지하는 제2 직선부; 및 상기 제2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3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는 뒤집어진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랙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지지바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4 직선부; 상기 제4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측 바닥부를 지지하는 제5 직선부; 및 상기 제5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6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상기 제6 직선부는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볼록부의 제1 볼록바디와 상기 랙 바디의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볼록부의 제2 볼록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랙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랙 바디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금 대상물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각 공정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일정한 도금의 품질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4점으로 전기적 통전의 접점이 되어 도금작업이 매우 잘 진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제1 볼록바디의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볼록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좌측 영역에 도금 대상물인 차량용 휠 너트가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제1 지지부에 도금 대상물인 차량용 휠 너트가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도금 대상물인 차량용 휠 너트가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제1 볼록바디의 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볼록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좌측 영역에 도금 대상물인 차량용 휠 너트가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제1 지지부에 도금 대상물인 차량용 휠 너트가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1)은, 도금 장치에 일측부가 지지되는 랙 바디(100)와, 랙 바디(100)에 마련되어 차량용 휠 너트를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10)의 일측 내벽을 두 접점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200)와, 랙 바디(100)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타측 내벽을 두 접접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300)를 구비한다.
랙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 형상을 가져 복수의 도금 대상물(10) 예를 들어 차량용 휠 너트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랙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장치에 걸림 지지되는 걸이대(120)와,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어 도금 장치의 지지대를 가압시켜 걸이대(120)를 도금 장치의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가압편(130)과, 베이스 바디(110)의 상하부에 마련되어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볼록부(140)를 포함한다.
랙 바디(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랙 바디(100)의 걸이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일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도금 장치의 지지대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랙 바디(100)의 가압편(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걸이대(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도금 장치의 지지대를 걸이대(120)의 방향으로 가압시켜 걸이대(12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랙 바디(100)의 볼록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어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의 일단부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어 결합 영역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볼록부(140)는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가 도 2를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마련되게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록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볼록부(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제1 지지부(200)의 제1 지지바다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제1 볼록바디(141)와, 베이스 바디(110)의 하면부에 마련되어 제2 지지부(300)의 제2 지지바다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제2 볼록바디(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볼록바디(14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00)의 제1 지지바디(210)의 일측부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바디(210)의 타측부는 베이스 바디(1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볼록바디(14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300)의 제2 지지바디(310)의 일측부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바디(310)의 타측부는 베이스 바디(1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1 볼록바디(141)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천장부와 내측 측벽을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에 의해 도금 시 도금 대상물(10)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10)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각 공정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일정한 도금의 품질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00)에 의해 2점으로 접점되고, 제2 지지부(300)에 의해 2점으로 접점되어 총 4접점으로 전기적 통전의 접점이 되어 도금작업이 매우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이전에는 총 2 접점으로 도금 작업이 이루어졌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바디(10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지지바디(210)와, 제1 지지바디(21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직선부(220)와, 제1 직선부(22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천장부를 지지하는 제2 직선부(230)와, 제2 직선부(23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3 직선부(24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00)의 제1 지지바디(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선부(220) 내지 제3 직선부(240)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구조적 강도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직선부(230)와 제3 직선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진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직선부(230)의 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천장부에 접점될 수 있고, 제3 직선부(240)의 단부는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측벽에 접점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2 볼록바디(142)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바닥부와 내측 측벽을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디(2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는 제2 지지바디(310)와, 제2 지지바디(31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4 직선부(320)와, 제4 직선부(32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바닥부를 지지하는 제5 직선부(330)와, 제5 직선부(33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금 대상물(10)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6 직선부(34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300)의 제2 지지바디(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직선부(320) 내지 제6 직선부(340)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구조적 강도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직선부(330)와 제6 직선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5 직선부(330)의 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바닥부에 접점될 수 있고, 제6 직선부(340)의 단부는 도금 대상물(10)의 내측 측벽에 접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금 대상물의 수평을 유지하여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도금액이나 물, 기타 액들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각 공정간의 액체의 물성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일정한 도금의 품질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4점으로 전기적 통전의 접점이 되어 도금작업이 매우 잘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도금용 랙
100 : 랙 바디 110 : 베이스 바디
120 : 걸이대 130 : 가압편
140 : 볼록부 141 : 제1 볼록바디
142 : 제2 볼록바디 200 : 제1 지지부
210 : 제1 지지바디 220 : 제1 직선부
230 : 제2 직선부 240 : 제3 직선부
300 : 제2 지지부 310 : 제2 지지바디
320 : 제4 직선부 330 : 제5 직선부
340 : 제6 직선부 10 : 도금 대상물

Claims (5)

  1. 도금 장치에 일측부가 지지되는 랙 바디;
    상기 랙 바디에 마련되어 차량용 휠 너트를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의 일측 내벽을 두 접점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랙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타측 내벽을 두 접접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해 상기 도금 대상물은 도금 시 도금액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금용 랙.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랙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지지바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측 천장부를 지지하는 제2 직선부; 및
    상기 제2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3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는 뒤집어진 "v"자 형상을 갖는 도금용 랙.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랙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지지바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4 직선부;
    상기 제4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내측 바닥부를 지지하는 제5 직선부; 및
    상기 제5 직선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금 대상물의 밀폐된 측벽을 지지하는 제6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상기 제6 직선부는 "v"자 형상을 갖는 도금용 랙.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 바디의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볼록부의 제1 볼록바디와 상기 랙 바디의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볼록부의 제2 볼록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도금용 랙.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랙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랙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는 도금용 랙.
KR1020210108854A 2021-08-18 2021-08-18 도금용 랙 KR10251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854A KR102515620B1 (ko) 2021-08-18 2021-08-18 도금용 랙
KR1020230038511A KR20230047340A (ko) 2021-08-18 2023-03-24 도금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854A KR102515620B1 (ko) 2021-08-18 2021-08-18 도금용 랙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511A Division KR20230047340A (ko) 2021-08-18 2023-03-24 도금용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98A true KR20230026798A (ko) 2023-02-27
KR102515620B1 KR102515620B1 (ko) 2023-03-30

Family

ID=853295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854A KR102515620B1 (ko) 2021-08-18 2021-08-18 도금용 랙
KR1020230038511A KR20230047340A (ko) 2021-08-18 2023-03-24 도금용 랙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511A KR20230047340A (ko) 2021-08-18 2023-03-24 도금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56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19A (ko) * 2008-03-17 2009-09-22 (주)중앙피엔피 캡너트 탈거장치와 캡너트 탈거장치용 지그
KR101149742B1 (ko) * 2011-12-30 2012-06-01 조홍제 캡형 도금대상체 고정용 지그
KR20140100081A (ko) * 2013-02-05 2014-08-14 삼진산업 주식회사 캡형 피도금물 고정용 지그
KR20150011909A (ko) * 2013-07-24 2015-02-03 삼진산업 주식회사 캡형 피도물의 도금두께편차 개선 지그
KR101709645B1 (ko) * 2015-07-30 2017-03-08 윤대식 도금 행거
KR101925255B1 (ko) * 2018-06-26 2018-12-04 김근수 금속부재 도금장치
KR20200009307A (ko) 2018-07-18 2020-01-30 김정하 타일 결합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19A (ko) * 2008-03-17 2009-09-22 (주)중앙피엔피 캡너트 탈거장치와 캡너트 탈거장치용 지그
KR101149742B1 (ko) * 2011-12-30 2012-06-01 조홍제 캡형 도금대상체 고정용 지그
KR20140100081A (ko) * 2013-02-05 2014-08-14 삼진산업 주식회사 캡형 피도금물 고정용 지그
KR20150011909A (ko) * 2013-07-24 2015-02-03 삼진산업 주식회사 캡형 피도물의 도금두께편차 개선 지그
KR101496128B1 (ko) * 2013-07-24 2015-02-26 삼진산업 주식회사 캡형 피도물의 도금두께편차 개선 지그
KR101709645B1 (ko) * 2015-07-30 2017-03-08 윤대식 도금 행거
KR101925255B1 (ko) * 2018-06-26 2018-12-04 김근수 금속부재 도금장치
KR20200009307A (ko) 2018-07-18 2020-01-30 김정하 타일 결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340A (ko) 2023-04-07
KR102515620B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620B1 (ko) 도금용 랙
KR101609752B1 (ko) 아노다이징 처리용 렉크
CN217733319U (zh) 集成电路引线框架的双面挂镀装置
CN206755721U (zh) 冷柜吊篮及冷柜
CN207109121U (zh) 一种灯笼形电镀挂具
CN109454379B (zh) 一种悬挂式单轨墩柱翻转焊接装置
CN209346514U (zh) 一种提高承重能力的成列架用挂钩
KR101925255B1 (ko) 금속부재 도금장치
JPH0343238Y2 (ko)
CN207944164U (zh) 一种铝合金表面处理加工用挂架
CN208098441U (zh) 一种预处理挂具的挂钩装置
CN212925200U (zh) 一种清洗槽用的工件挂接结构
CN218143292U (zh) 一种节省空间的汽车零部件挂具及挂架
CN210944524U (zh) 一种适用性较强的货箱涂装前处理吊具
CN214655331U (zh) 双边钩头电镀挂具
CN208098440U (zh) 一种预处理挂具的挂钩装置
CN207483886U (zh) 电泳托架
CN213113564U (zh) 一种组合式电泳架
US3731839A (en) Dishwashing tank having integral handling means
CN212404336U (zh) 一种电镀设备用支撑架
CN215658550U (zh) 一种洗扫车污水箱焊接用工装
CN108869954A (zh) 一种拼接式载重机架
CN210849287U (zh) 一种自行车电机左右端盖防碰伤专用夹具
CN210403431U (zh) 一种具有动态定位功能的安装支架
CN216936615U (zh) 一种耐腐蚀可快换氧化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