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71Y1 - 공사장용 안전휀스 - Google Patents
공사장용 안전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6371Y1 KR200316371Y1 KR20-2003-0006866U KR20030006866U KR200316371Y1 KR 200316371 Y1 KR200316371 Y1 KR 200316371Y1 KR 20030006866 U KR20030006866 U KR 20030006866U KR 200316371 Y1 KR200316371 Y1 KR 2003163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fence
- support
- construction
- wire mesh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사장용 안전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에 의하면, 철망(12)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에 해당되는 삽입부(11a)가 구성되어 받침수단(20,30)에 밀착고정되는 지주대(11)와; 상기 지주대(11)의 삽입부(11a) 상단에 설치되고, 삽입부(11a)와의 일정한 간격(G)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조립구멍(H)을 가지는 조립편(11h); 그리고, 상기 조립구멍(11h)을 통하여 조립 및 분리되는 볼트(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망(12)의 하측을 지지하는 보강대(13)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수단은, 지주대(11)의 삽입부(11a)가 삽입되는 삽입홀(22a)을 가지는 고정부(22)와, 상기 고정부가 상측으로 직립되게 부착된 지지부(21)로 구성되는 받침대(20)와;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H빔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받침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여러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건축현장 및 도로 공사현장 등과 같이 주의가 필요한 장소의 울타리를 형성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이 요구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고, 바람이나 충격 등과 같은 외부영향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이나 도로 공사현장의 주위에 다수개의 안전휀스를 울타리 형태로 배치하여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험지역임을 알리게 된다. 이러한 안전휀스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철제로 제작된 안전휀스,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안전휀스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제로 제작되는 종래의 안전휀스는 벤딩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된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를 기준으로 상측에 구성되는 철망과, 하측에 철판형태로 이루어진 표식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철망은 다수개의 철사를 가로 및 세로로 교차되게 엮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휀스는, 상술한 구성이 모두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하여 부피가 큰 것은 물론이고, 무게가 무거워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하다. 또한, 철망을 이루는 가로 및 세로 철사가 교차되는 부위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외부 영향에 의하여 철망의 형태가 찌그러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제로 된 안전휀스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성도료로 표면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휀스는 달리는 차량에 의하여 튕겨지는 돌멩이의 돌부리와 같이 날카로운 물체나 차량에 부딪혀 넘어질 때의 충격에 의하여 밀착성이 낮은 유성도료가 벗겨지게 된다. 이 상태로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 안전휀스가 쉽게 부식되어 다른 공사장에서의 재활용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철제 안전휀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안전휀스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안전휀스의 경우에는 가벼워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가장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재의 안전휀스는 차량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공사장에 흩어져 있던 돌멩이와 같은 단단한 물체를 튕겼을 경우에 깨어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차량 등과 같은 외부영향에 의하여 쉽게 넘어져 울타리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받침수단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재활용이 가능한 공사장용 안전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휀스의 받침수단을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휀스의 받침수단을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전휀스 11 ..... 지주대
11a .... 삽입부 11h .... 조립편
11R .... 모서리 12 ..... 철망
13 ..... 보강대 13a ..... 보조보강대
14 ..... 광고표시부 20 ..... 받침대
21 ..... 지지부 22 .....고정부
30 ..... H빔 31, 32 ..... 날개편
B ..... 볼트 H ..... 조립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는, 철망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에 해당되는 삽입부가 구성되어 받침수단에 밀착고정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삽입부 상단에 설치되고, 삽입부와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조립구멍을 가지는 조립편; 그리고, 상기 조립구멍을 통하여 조립 및 분리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망은 가로 및 세로줄이 교차되는 부위는 평면을 이루고 있다. 즉, 철망의 가로줄 및 세로줄이 일체로 성형되어, 철판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한 것과 같은 형태로 철망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망의 하단에는 장방형의 보강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는 가장자리의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이 비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대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보조보강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를 바닥면에서 직립시키는 받침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주대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측으로 직립되게 부착된 지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를 바닥면에서 직립될 수 있도록 설치 가능한 받침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주대의 양측 하부의 조립편이 걸쳐지도록 날개편이 구성되어 있는 H빔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받침수단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10)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12)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에 해당되는 삽입부(11a)가 구성되어 받침수단(도시 생략)에 밀착고정되는 지주대(11)와; 상기 지주대(11)의 삽입부(11a) 상단에 설치되고, 삽입부(11a)와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조립구멍(H)을 가지는 조립편(11h); 그리고, 상기 조립구멍(H)을 통하여 조립 및 분리되는 볼트(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대(11)는 둥근 모서리(11R)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양측이 벤딩되어 철망(1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11R)가 둥글게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작업자의 부딪혔을 때 상처가 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립편(11h)은 삽입부(11a)의 상측에서 ㄱ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편(11h)의 일측(예를 들면, 측면부)에는 조립구멍(H)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구멍(H)을 통하여 볼트(B)가 조립 또는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조립구멍(H)의 내벽은 일반적인 너트의 내벽과 동일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B)를 조이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주대(11)의 내측 상부에 구성되는 철망(12)은 평면의 철판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로줄과 세로줄이 평면형태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상기 철망(12)은 지주대(11)의 내측을 따라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되는 철망(12)은 상측 및 양측 가장자리는 지주대(11)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철망(12)을 더욱 튼튼하게 고정된 안전휀스(10)를 제작하기 위하여 하측에 보강대(13)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철망(12)의 하측과 보강대(13)의 상측을 용접시켜 고정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보강대(13)는 장방형으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보강대(13a)를 종방향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보강대(13a)에 의하여 다수개로 구획된 보강대(13)의 내부는 광고물이나 시공회사명 등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광고표시부(14)를 형성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10)를 직립시켜 설치할 수 있는 받침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탱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상측으로 직립되며, 일정한 깊이의 삽입홀(22a)을 가지는 관형상의 고정부(22)로 구성되는 받침대(20)이다. 상기 받침대(20)의 삽입홀(22a)은 지주대의 하측에 구성되어 있는 삽입부(1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부(11a)의 길이, 두께, 형상에 대응하도록 성형되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조립편(11h)과 삽입부(11a) 사이의 간격(G)은 고정부(22)의 두께보다 크게 확보하고 있다. 이는, 삽입홀(22a)에 삽입부(11a)가 끼워질 때 조립편(11h)의 간섭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전휀스(10)와 받침대(20)의 조립 및 분리 과정을 하기와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지주대(11)의 삽입부(11a)를 삽입홀(22a)에 끼우고, 조립구멍(H)을 통하여 볼트(B)를 회전시키면서 조여준다. 이 때, 볼트(B)가 고정부(22)의 외벽에 접촉하면서, 삽입부(11a)가 삽입홀(22a)의 내벽에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부(11a)는 볼트(B)가 조여주는 방향의 삽입홀(22a)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고정부(22)를 기준으로 외측에서는 볼트(B), 내측에서는 삽입부(11a)가 완벽하게 밀착되어 안전휀스(10)와 받침대(2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많은 수의 안전휀스(10)를 이동 및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받침대(20)와 분리시키는 것이 작업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립편(11h)에서 볼트(B)를 회전시켜 풀면, 고정부(22)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어 있던 볼트(B)와 삽입부(11a)가 밀착성이 완화되면서 삽입홀(22a)에서 삽입부(11a)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3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휀스(10)를 다른 실시예의 받침수단에 조립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H빔(30)에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한쌍의 날개편(31,32)이 중심부(33)를 기준으로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성형되어 있다. 상기 날개편(31,32)의 두께(t)는 삽입부(11a)와 조립구멍(H)이 성형되어 있는 조립편(11h)의 간격(G)보다 얇다. 즉, 조립구멍(H)과 삽입부(11a)의 간격(G)은 H빔의 날개편(31,32)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H빔(30)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안전휀스(10)를 공사현장 주위에 설치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안전휀스(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주위에 양쪽 날개편(31,32)이바닥면에서 세워지도록 H빔을 배치한다. 다음에는 상기 H빔의 양쪽 날개편(31,32) 중에서 어느 한 날개편(예를 들면, 도시번호 31)에 안전휀스(10)를 조립한다. 이 때, 지주대(11)의 삽입부(11a)를 H빔(30)의 외벽(31a)에 위치시키고, 조립편(11h)의 조립구멍(H)은 내벽(31b)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볼트(B)를 조립구멍(H)으로 삽입시켜 회전시키면서 조여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볼트(B)가 날개편(31)의 내벽(31b)에 접촉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삽입부(11a)는 외벽(31a)에, 볼트(B)는 내벽(31b)에 밀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안전휀스(10)가 외부 영향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편(11h)의 하단이 중심부(33)에 접촉되도록 조립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공사장용 안전휀스(10)를 여러 형태의 받침수단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재사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휀스(10)의 표면을 도료의 밀착성이 뛰어난 분체도장을 하는 것에 의하여 외장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오랫동안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고,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것이다.
우선, 다양한 형태의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여러 공사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내측에 철망과 장방형의 보강대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안전휀스는 종래의 철판으로 구성된 안전휀스에 비하여 가벼워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에 대한 저항을 현저히 줄여 넘어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방형의 보강대에 보조보강대를 구성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수개의 광고표시부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지주대의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하여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Claims (6)
- 철망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에 해당되는 삽입부가 구성되어 받침수단에 밀착고정되는 지주대와;상기 지주대의 삽입부 상단에 설치되고, 삽입부와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조립구멍을 가지는 조립편; 그리고,상기 조립구멍을 통하여 조립 및 분리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은 세로줄 및 가로줄이 평면되게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탱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상측으로 직립되며, 일정한 깊이의 삽입홀(22a)을 가지는 관형상의 고정부(22)로 구성되는 받침대(20)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한쌍의 날개편(31,32)이 중심부(33)를 기준으로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성형되어 있는 H빔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하측을 지지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보강대로 구획되어 다수개의 광고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안전휀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866U KR200316371Y1 (ko) | 2003-03-07 | 2003-03-07 | 공사장용 안전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866U KR200316371Y1 (ko) | 2003-03-07 | 2003-03-07 | 공사장용 안전휀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6371Y1 true KR200316371Y1 (ko) | 2003-06-18 |
Family
ID=4933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6866U KR200316371Y1 (ko) | 2003-03-07 | 2003-03-07 | 공사장용 안전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637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2813Y1 (ko) | 2015-10-29 | 2017-03-22 | 김대호 | 펜스 |
KR102227214B1 (ko) * | 2020-10-22 | 2021-03-12 | 주식회사 대명우드 | 데크 안전난간시스템 |
-
2003
- 2003-03-07 KR KR20-2003-0006866U patent/KR2003163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2813Y1 (ko) | 2015-10-29 | 2017-03-22 | 김대호 | 펜스 |
KR102227214B1 (ko) * | 2020-10-22 | 2021-03-12 | 주식회사 대명우드 | 데크 안전난간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6257B1 (ko) |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 |
KR20100099683A (ko) | 방호 울타리 | |
JP5694598B2 (ja) | 既設の地覆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取替え用の橋梁用防護柵支柱 | |
KR200316371Y1 (ko) | 공사장용 안전휀스 | |
US20040089786A1 (en) | Form panel and panel holding member | |
KR200404512Y1 (ko) | 메쉬 휀스 | |
US6178651B1 (en) | Reusable batter board support | |
KR101073874B1 (ko) | 가로보의 설치구조 | |
KR101103391B1 (ko) | 차량 방호 울타리 | |
KR200176097Y1 (ko) | 기둥 지지 구조 | |
JP2564772B2 (ja) | ガードレール用張り出しブラケット | |
KR200273361Y1 (ko) | 보강구조를 갖는 용접철망 울타리 | |
WO2018187827A1 (en) | Fence post | |
KR100684390B1 (ko) | 앵커볼트 조립체 | |
KR200248389Y1 (ko) | 폐타이어와 안전덮개 고무판을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형도로 방호벽 | |
KR102673763B1 (ko) | 가드레일 조립체 | |
JP4214050B2 (ja) | 防護柵の柵体取付け用金具 | |
JP7318867B2 (ja) | 防護柵およびその設置方法 | |
KR101839694B1 (ko) | 횡방향 하중에 대한 회전 유도 수단을 구비한 도로 기둥 구조물 | |
KR200360201Y1 (ko) | 맨홀뚜껑 높이 조절기 | |
KR200208091Y1 (ko) | 조립식 휀스 | |
JP2005273350A (ja) | 保安資材と、該保安資材を使用した保安・防護工法 | |
KR200323109Y1 (ko) | 가변형 안전휀스 | |
KR200233342Y1 (ko) | 와이어 체결용 아이볼트를 구비한 방음판 | |
KR20090039590A (ko) |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주 베이스의 보강리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