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109Y1 - 가변형 안전휀스 - Google Patents

가변형 안전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109Y1
KR200323109Y1 KR20-2003-0015206U KR20030015206U KR200323109Y1 KR 200323109 Y1 KR200323109 Y1 KR 200323109Y1 KR 20030015206 U KR20030015206 U KR 20030015206U KR 200323109 Y1 KR200323109 Y1 KR 20032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edestal
safety
fence
safety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Original Assignee
이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교 filed Critical 이용교
Priority to KR20-2003-0015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fence)를 간편하게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할 수 있고, 휀스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며,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안전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부연결봉(11)(12)으로 연결된 양측 지지봉(13)의 하부로 적정길이를 가지는 고정봉(13a)이 각각 일체로 연장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안전망(20);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봉(13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홀(31)을 구비하는 중량체인 받침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변형 안전휀스{variable shape fence of safety}
본 고안은 휀스(fenc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휀스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할 수 있고, 휀스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며,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안전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휀스는 건설현장,토목현장,건축현장,공사현장 및 사고위험 지역에 주의,경고,통제를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안전휀스들이 제시되었으나 종래의 안전휀스는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단순히 현장에서 안전띠 등을 사용하여 경계할 경우 일반인들이 경계위험장소를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공사현장 경계면의 안쪽이 보이지 않으므로 보행자 주의효과가 크게 떨어지고, 또한 현장관리의 투명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바리게이트 타입의 휀스 또는 경계용 드럼통 타입 휀스의 경우 강풍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지므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과, 공사현장의 경계구역이 불분명하므로 사고발생 시 법적인 책임소재가 확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넷째, 안전휀스의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섯째, 안전휀스의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고, 안전휀스의 수명이 짧아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휀스를 간편하게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과 시간절약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휀스가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하며, 수명이 길어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안전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양측 지지봉 하부에 적정길이를 가지는 고정봉을 각각 일체로 연장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안전망을 용접으로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의 고정봉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중량체인 받침대를 지면에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a 내지 5e는 본 고안의 다양한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11 : 상부연결봉
12 : 하부연결봉 13 : 지지봉
13a : 고정봉 20 : 안전망
30 : 받침대 31 : 고정홀
32 : 앵커고정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가변형 안전휀스는 도 1 내지 도 5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부연결봉(11)(12)으로 연결된 양측 지지봉(13)의 하부로 적정길이를 가지는 고정봉(13a)이 각각 일체로 연장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안전망(20);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봉(13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홀(31)을 구비하는 중량체인 받침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하부연결봉(11)(12)과 양측 지지봉(13)이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에 구비된 양측 지지봉(1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홀(31)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봉(13a)이 각각 일체로 연장된다. 즉, 상기 하부연결봉(12)의 양단은 양측 지지봉(13)의 하단에서 상부로 고정봉(13a)의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용접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양측 지지봉(13)의 하부에는 고정봉(1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13a)은 받침대(30)의 고정홀(31)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고, 또한 고정봉(13a)은 받침대(10)의 고정홀(31)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임(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안전망(2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20)의 내부에 바둑판모양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망(20)을 구성하는 각 강선들의 양단은 상,하부연결봉(11)(12)과 양측 지지봉(13)의 내측에 용접으로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과 안전망(20)은 철강으로 이루어져 그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는 아연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과 안전망(20)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부식되지 않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받침대(30)는 공사현장의 경계지면에 적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양측으로 각각 조립되는 다수개의 프레임(10)이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대(30)에는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홀(31)이 천공된다.
상기 받침대(30)는 도 2에서와 같이 장방형의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고정홀(31)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또한 받침대(30)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대(30)의 고정홀(31)은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완전히 끼울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받침대(30)의 상면이 만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31)이 제일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안전휀스 설치 시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받침대(30)의 중앙부에서 제일 높게 형성된 고정홀(31)에 끼우면 가장 큰 힘으로 지지되고, 한편 받침대(30)를 도 5a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면 통행에 지장이 없으며, 받침대(30)를 도 5c에서와 같이 폭방향으로 설치하면 프레임(10)이 한층 더 큰 힘으로 고정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안전휀스 설치 시 1개 또는 2개정도의 받침대(30)는 반드시 도 5c에서와 같이 폭방향으로 설치해야 전체적으로 프레임(10)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30)의 중앙 양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앵커고정구멍(32)이 수직으로 관통된다. 이때, 앵커고정구멍(32)은 앵커볼트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앵커고정구멍(32)은 필요에 따라 장기공사 시 받침대(30)를 지반에 완전히 고정시킬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공사현장의 경계지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받침대(30)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받침대(30)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홀(31)내로 양측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선택하여 끼우면 간단하게 안전휀스의 설치가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중량체인 받침대(30)가 프레임(10)을 큰 힘으로 견고하게 받쳐주므로 강풍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프레임(10)은 넘어가지 않으며, 이때 사용자는 현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고정홀(31)내로 양측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각각 선택하여 끼울 수 있으므로 도 5a 내지 도 5e에서와 같이 프레임(10)과 받침대(30)의 연결상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공사현장 경계면의 코너 모서리나 구부러진 곳에서는 양측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받침대(30)의 고정홀(31)에 각이 지도록 각각 끼우면 코너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전휀스를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대(30)의 고정홀(31)에 끼워진 프레임(10)의 고정봉(13a)을 빼내면 간단하게 해체되므로 운반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이와 같이 프레임(10)과 받침대(30)를 분리하면 안전휀스가 철거되므로 철거 시 폐골재가 남지 않으며, 또한 프레임(10)과 안전망(20)에는 부식에 잘 견디는 아연이 도금되고 받침대(30)는 강도가 강한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므로 안전휀스의 수명이 길어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가변형 안전휀스의 다양한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받침대(3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임(10)을 고정시키면 안전휀스의 통로가 차단되고, 도 5b와 같이 받침대(3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임(10)을 고정시키면 안전휀스의 통로가 확보되며, 도 5c와 같이 받침대(30)를 폭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임(10)을 고정시키면 구조적으로 한층 더 큰 힘으로 안전휀스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d 또는 5e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 고정봉(13a)만을 받침대(30)의 고정홀(31)에 끼워 지지시키면 필요 시 출입구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10)이 일측 고정봉(13a)을 통해 일측 받침대(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므로, 프레임(10)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측 고정봉(13a)을 축으로 프레임(10)이 회전하면서 출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가변형 안전휀스는 구조적으로 일반인들이 경계위험장소를 쉽게 접근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으며, 공사현장 경계면의 안쪽이 보이므로 보행자 주의효과가 매우 크고, 특히 현장관리의 투명화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변형 안전휀스는 중량체인 받침대(30)가 프레임(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강풍이나 충격에도 넘어지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공사현장의 경계구역이 분명하기 때문에 사고발생 시 법적인 책임소재를 확실하게 규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휀스의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안전휀스의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휀스의 수명이 길어 장기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 시 안전휀스를 도 5b에서와 같이 설치하면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5d와 도 5e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면 보행자 또는 차량이 다닐 수 있는 출입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휀스를 간편하게 설치,해체,취급,이동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인력과 시간절약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이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대가 큰 힘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수명이 길기 때문에 안전휀스를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초 없이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철거 시 폐골재가 발생하지 않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상,하부연결봉(11)(12)으로 연결된 양측 지지봉(13)의 하부로 적정길이를 가지는 고정봉(13a)이 각각 일체로 연장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안전망(20);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봉(13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홀(31)을 구비하는 중량체인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안전망(20)의 표면에는 아연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장방형의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고정홀(31)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받침대(30)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휀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의 중앙 양측에는 앵커고정구멍(32)이 수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휀스.
KR20-2003-0015206U 2003-05-16 2003-05-16 가변형 안전휀스 KR20032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06U KR200323109Y1 (ko) 2003-05-16 2003-05-16 가변형 안전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06U KR200323109Y1 (ko) 2003-05-16 2003-05-16 가변형 안전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109Y1 true KR200323109Y1 (ko) 2003-08-14

Family

ID=4933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06U KR200323109Y1 (ko) 2003-05-16 2003-05-16 가변형 안전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95A (ko)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하이큐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95A (ko)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하이큐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6438A (en) Modular rock catchment barrier
US20180347227A1 (en) Bollard fence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0404504Y1 (ko) 동물의 이동이 방지되는 펜스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KR200323109Y1 (ko) 가변형 안전휀스
KR20080005462U (ko) 펜스
KR100724018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57300B1 (ko)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JP2006028760A (ja) 木製フェンスおよび木製フェンス組み立て方法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1104124B1 (ko) 조립식 낙석방지책
KR101276164B1 (ko)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KR10233870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침입 방지장치
US20080073634A1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NZ336959A (en) Scaffolding
KR102209744B1 (ko) 리모델링 방음벽
KR200450826Y1 (ko) 울타리용 지주의 철선 고정구조
JP3118003U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製防護柵
KR20100056086A (ko) 날개형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