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88Y1 -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88Y1
KR200316288Y1 KR20-2003-0003464U KR20030003464U KR200316288Y1 KR 200316288 Y1 KR200316288 Y1 KR 200316288Y1 KR 20030003464 U KR20030003464 U KR 20030003464U KR 200316288 Y1 KR200316288 Y1 KR 200316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lling valve
coupled
head assembly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정밀
Priority to KR20-2003-0003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헤드 조립체의 구성을 이루는 헤드 본체를 공구 없이 간편하게 설치, 분해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액체 충전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도되는 액체 충전물을 용기(도시 안됨)에 정량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실린더(32)와 그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34)을 갖춘 충전밸브 본체(30)와; 상기 충전밸브 본체(30)에 커플링(20)으로 결합된 헤드 조립체(10)로 이루어진 액체 충전밸브(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 조립체(10)는 일측이 상기 충전밸브 본체(30)의 커플링(20)에 클램프(22)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12)와,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12)의 타측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도시 안됨)로부터 충전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갖는 체결부(14a)가 마련된 헤드 본체(14)와, 후단이 상기 헤드 본체(14)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선단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토출 노즐(16)과, 상기 충전밸브 본체(10)와 후단이 결합되고 선단의 헤드가 상기 토출 노즐(16)의 내측 선단면에 접촉하는 밸브 슈트(18)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 본체(14)에는 소정 갯수의 플랜지(14-1)(14-2)(14-3)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플랜지(14-1)(14-2)(14-3)의 외부에는 상기 각 플랜지(14-1)(14-2)(14-3)를 압박하는 결합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헤드 본체가 각 결합부품과 간편하게 조립, 분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 혼자 힘으로도 헤드 조립체를 분해하여 이의 교체나 청소를 할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액체 충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A HEAD ASSEMBLY OF LIQUID FILLING VALVE}
본 고안은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설명하면, 헤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헤드 본체의 결합을 위한 수단을 개선하여 결합 및 분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공약품 및 각종 액상의 충전물 등을 캔, 드럼통 등의 용기에 정량적으로 충전시키기 위해 그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 충전기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체 충전기는 충전물을 정량적으로 토출시키는 역활을 하는 충전밸브(100)와 이 충전밸브(100)가 장착되는 장착대(도시 안됨)를 갖추고 있다. 상기 충전밸브(100)는 선단부를 구성하는 헤드 조립체(10)가 커플링(20)으로 충전 본체(30)의 2단 실린더(32)와 결합되어 실린더측 피스톤(34)이 2단계로 전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토출되는 충전물의 유량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착대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도시 안됨)에서 유도되어 헤드 조립체(10) 내로 유입되는 충전물을 하방으로 토출시키면 충전물은 장착대 하부의 베드(도시 안됨) 위에 놓여지는 용기(도시 안됨)에 정량적으로 충전된다.
계속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충전밸브(100)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헤드 조립체(10)는 슬라이드 유니트(12), 헤드 본체(14), 토출 노즐(16), 밸브 슈트(18)로 이루어진다. 또한 헤드 본체(14)에는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12), 토출 노즐(16)과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도시 안됨)로부터 충전물을 헤드 본체(14)로 유도하는 파이프(도시 안됨)가 결합된다. 그리고 헤드 본체와 슬라이드유니트, 토출 노즐, 파이프 등의 각 결합을 위해 종래에는 헤드 본체(14)와 그 헤드 본체(14)에 결합하는 상기 각 결합물의 결합부(11)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각 나사 방식으로 체결 하였으며 충전물의 누액 방지를 위해 나사산에 방수테이프를 감은 다음 공구 등을 이용하여 밀폐결합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체결되는 헤드 본체(14)는 그 헤드 본체(14) 또는 헤드 조립체(10)의 설치, 해체 또는 청소가 필요할 때 그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하여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구 등이 사용되어야 했다. 그리고 각 결합되는 원형의 플랜지 양측에는 공구로 회동될 수 있도록 평면부(13)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충전밸브(100)는 그 헤드 조립체(10)의 분해가 어려워 이의 청소나 교체가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 조립체의 결합장치을 개선함으로써 액체 충전밸브의 설치나 해체를 보다 간단히 하고, 특히 별도의 공구 없이 헤드 조립체의 청소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충전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헤드 조립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장착된 액체 충전밸브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와 5b는 본 고안의 헤드조립체와 토출 노즐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c는 도 5b를 C - C′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드 조립체 11 :나사산
12 :슬라이드 유니트 13 :평면부
14 :헤드 본체 15 :밀폐링
16 :토출 노즐 17 :유동방지 홈
18 :밸브 슈트 40 :클램핑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도되는 액체 충전물을 충전용기에 정량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실린더와 그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을 갖춘 충전밸브 본체와; 상기 충전밸브 본체에 커플링으로 결합된 헤드 조립체로 이루어진 액체 충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헤드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충전밸브 본체의 커플링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와,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로부터 충전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갖는 체결부가 마련된 헤드 본체와, 후단이 상기 헤드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선단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토출 노즐과, 상기 충전밸브 본체와 후단이 결합되고 선단의 헤드가 상기 토출 노즐의 내측 선단면에 접촉하는 밸브 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 본체에는 소정 갯수의 플랜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플랜지의 외부에는 상기 각 플랜지를 압박하는 결합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용기(도시 안됨)에 정량적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기능을 하는 액체 충전기를 구성하는 장착대(도시 안됨)와 액체 충전밸브(100)에서, 이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액체충전 밸브(100)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액체 충전밸브(100)는 크게 충전밸브 본체(30)와 헤드 조립체(10)로 이루어지며, 이 헤드 조립체(10)는 상기 충전밸브 본체(30)에 볼트 체결된 커플링(20)과 클램프(22)로 체결된다. 상기의 커플링(20)은 충전밸브 본체(30)의 선단에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하며, 헤드 조립체(10)의 후단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유니트(12)의 후단과 클램프(22) 체결하여 헤드 조립체(10)와 충전밸브 본체(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밸브 본체(30)는 2단 실린더(32)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일직선상의 2개의 피스톤(34)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하나의 피스톤이 헤드 조립체(10)내의 후술하는 밸브 슈트(18)와 연결되어 각 실린더(32) 내의 피스톤(34)이 각 실린더(32)에 마련된 포트(36)로 공급되는 순차적인 공압에 의해 2 단계로 연동될 때, 상기 밸브 슈트(18)가 토출되는 충전물의 유량을 2단으로 조절하여 상기 장착대 하부의 베드(도시 안됨)에 놓여지는 충전용기(도시 안됨)에 정량적으로 토출시키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기 헤드 조립체(10)는 그 후단부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유니트(12)와, 이 슬라이드 유니트(12)의 선단과 결합하며 측면에는 충전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갖는 체결부(14a)가 마련된 헤드 본체(14)와, 이 헤드 본체(14) 선단과 결합하며 조립체(10) 선단부를 구성하는 토출 노즐(16)과, 이 토출 노즐(16)에 상응하여 토출되는 충전물의 스토퍼 역활을 하며 헤드 본체(14)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 슈트(18)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12)는 선,후단에 원형의 플랜지(12-1)(12-2)를 마련한다. 후단의 플랜지(12-2)는 상측에 장착되는 커플링(20)의 플랜지(20-1)에 대향하여 클램프(22)로 체결되며, 그 선단의 플랜지(12-1)는 상기 헤드 본체(14)의 후단에 마련된 원형의 플랜지(14-2)와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12) 선단의 플랜지(12-1)와 대향하는 상기 헤드 본체(14)의 플랜지(14-2)의 각 결합 테두리면에는 상호 결합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오링인 밀폐링(15)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방지 홈(17)이 소정깊이로 테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 본체(14)의 체결부(14a)와 선단에는 원형의 플랜지(14-3)(14-1)를 각각 마련하여, 상기 체결부(14a)에 마련된 플랜지(14-3)는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도시 안됨)로부터 충전물을 유도하는 파이프(도시 안됨)에 마련된 플랜지(도시 안됨)와 상기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결합되고, 선단에 마련된 플랜지(14-1)는 상기 토출 노즐(16) 후단에 마련된 플랜지(16-1)와 또한 상기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결합된다. 또한 결합 테두리면에 상기 밀폐링(15)의 요동방지 홈(17)을 각각 마련한다.
상기 밀폐링(15)은 일정 폭을 갖으며 양면의 각 중앙에 상기 요동방지 홈(17)에 상응하는 요부(19)가 링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그 재질은 열, 마모 등에 강한 에틸렌 수지계의 테플론이 적합하며, 합성 수지계 고무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장치로는 상기 각 플랜지(12-1)(14-1)(14-2)(14-3)(16-1)를 외부에서 압박하여 각 결합을 견고히 하는 클램핑 수단(40)이 바람직하며, 그의 풀림과 잠금이 용이하여 탈,장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상기 클램핑 수단(40)은 상기 플랜지(12-1)(14-1)(14-2)(14-3)(16-1)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홈(45)이 각각 형성된 반쪽의 튜브형태인 제 1클램프(44)와 제 2클램프(46)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나사(52) 결합하며, 상기 제 1클램프(44)와 제 2클램프(46)의 타측에는 대향되는 각 소정부위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브라켓(41)(42)이 각각 형성된다.
제 1클램프(44)의 브라켓(41)에는 힌지나사(54)가 구비되어 이 힌지나사(54)에 볼트(43) 머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클램프(46)의 브라켓(42)에는 회동된 볼트(43)가 삽입되는 결합홈(47)이 마련되며 이 결합홈(47)의 상부에는 이 결합홈(47)에 삽입된 상기 볼트(43)에 너트(48)가 결합하면서 대향하는 상기 각 브라켓(41)(42)이 안정되게 조여지도록 상기 너트(48)의 하단부가 안착하는 안착부(49)가 구비된다.
상기 너트(48)는 적은 힘으로도 그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나비형태를 갖는 나비 너트가 적합하며, 나비형태의 상부 중앙의 소정부위에는 결합되는 볼트(43)의 하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이 작업 수행능률상 또는 미관상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인 헤드 조립체(10)의 헤드 본체(14)가 결합 또는 분해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헤드 본체(14)와 각 슬라이드 유니트(12), 토출 노즐(16), 파이프 등의 각 결합은 그 과정이 동일하므로 그 중 상기 헤드 본체(14)와 토출 노줄(16)과의 결합 과정을 택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밸브 슈트(18)와 상응하여 충전물을 정량적으로 조절하여 토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상기 토출 노즐(16)의 후단에 마련된 플랜지(16-1)를 상기 헤드 본체(14)의 선단에 마련된 플랜지(14-1)에 대향시킨 후, 그 사이에 밀폐링(15)을 배치시키고, 각 플랜지(14-1)(16-1)에 마련된 밀폐링 유동방지 홈(17)에 밀페링(15) 양면 중앙에 마련된 요부(19)가 안착되게 한다.
그런 다음 제 1클램프(44)와 제 2클램프(46)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나사(52) 결합된 클램핑 수단(40)을 각 대향하는 플랜지(14-1)(16-1) 외측에 마련하고 그 클램핑 수단(40)을 개방한다. 그리고 각 제 1, 제 2클램프(44)(46)에 마련된 홈(42)에 플랜지(14-1)(16-1)를 안착시킨 후 클램핑 수단(40)을 회동하여 각 브라켓(41)(42)이 대향되게 한다. 계속하여 제 1클램프(44)에 구비된 볼트(43)를 회동시켜 제 2클램프 브라켓(42)의 결합홈(47)에 삽입시킨다. 마지막으로 너트(48)를 회동시켜 상기 제 2클램프 브라켓(42)의 결합홈(47)의 상부에 구비된 안착부(49)에 안착시킨 후 적당한 힘으로 압박함으로써 클램프에 의한 헤드 본체(14)와 토출 노즐(16)과의 결합을 완성시킨다.
한편, 상기 헤드 본체(14)와 토출 노즐(16)의 분해과정은 상기 조립과정의 역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 결합되는 본 고안의 헤드 조립체(10)는 공구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도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는 그 구성을 이루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에 연결되는 각 결합부품과의 결합이 클램핑 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됨으로써 헤드 본체의 조립, 분해시 별도의 공구 없이 혼자 힘으로 간단하게 조립, 분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조립체의 수리 또는 부품 교체시나 충전물의 교체를 위해 헤드 조립체를 청소하려 할 때, 이의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여 충전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된다.

Claims (6)

  1. 유도되는 액체 충전물을 충전용기에 정량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실린더와 그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을 갖춘 충전밸브 본체와; 상기 충전밸브 본체에 커플링으로 결합된 헤드 조립체로 이루어진 액체 충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헤드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충전밸브 본체의 커플링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와,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외부의 충전용 액체 저장탱크로부터 충전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갖는 체결부가 마련된 헤드 본체와, 후단이 상기 헤드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선단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토출 노즐과, 상기 충전밸브 본체와 후단이 결합되고 선단의 헤드가 상기 토출 노즐의 내측 선단면에 접촉하는 밸브 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 본체에는 소정 갯수의 플랜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플랜지의 외부에는 상기 각 플랜지를 압박하는 결합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의 각 플랜지에는 밀폐링이 장착되며, 상기 밀폐링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방지 홈이 상기 헤드 본체와 결합하는 상기 토출 노즐,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의 각 플랜지와 동일하게 소정깊이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의 양면에는 상기 요동방지 홈에 상응하는 요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은 에틸렌 수지계의 테플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토출 노즐,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 그리고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시 회동 개폐하며 상기 각 플랜지를 결합되도록 하는 클램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홈이 각각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힌지나사 결합하는 제 1클램프 그리고 제 2클램프와, 상기 제 1클램프와 상기 제 2클램프를 결합시키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클램프와 제 2클램프에는 각 대향되는 소정부위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브라켓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 1클램프의 브라켓에는 볼트용 힌지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볼트용 힌지나사에 상기 볼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클램프의 브라켓에는 회동된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볼트에 결합하는 상기 너트의 하단부가 안착하도록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KR20-2003-0003464U 2003-02-06 2003-02-06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KR200316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64U KR200316288Y1 (ko) 2003-02-06 2003-02-06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64U KR200316288Y1 (ko) 2003-02-06 2003-02-06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88Y1 true KR200316288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64U KR200316288Y1 (ko) 2003-02-06 2003-02-06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155A (ko) * 2018-08-03 2020-02-12 광흥에스피 주식회사 화장액 정량 공급장치
KR20210131109A (ko) * 2020-04-23 2021-11-02 (주)진성파마텍 포장설비의 액체 정량 주입장치
KR20220112585A (ko) * 2021-02-04 2022-08-11 정래승 끼임방지구조의 액상충전용 노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155A (ko) * 2018-08-03 2020-02-12 광흥에스피 주식회사 화장액 정량 공급장치
KR102210869B1 (ko) * 2018-08-03 2021-02-02 광흥에스피 주식회사 화장액 정량 공급장치
KR20210131109A (ko) * 2020-04-23 2021-11-02 (주)진성파마텍 포장설비의 액체 정량 주입장치
KR102403550B1 (ko) * 2020-04-23 2022-05-31 (주)진성파마텍 포장설비의 액체 정량 주입장치
KR20220112585A (ko) * 2021-02-04 2022-08-11 정래승 끼임방지구조의 액상충전용 노즐장치
KR102594034B1 (ko) * 2021-02-04 2023-10-24 정래승 끼임방지구조의 액상충전용 노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9366C (zh) 饮料容器及其制造方法
KR200316288Y1 (ko) 액체 충전밸브의 헤드 조립체
US4614481A (en) Pump with replaceable cartridge
FR2645237A1 (fr) Clapet de retenue pour pompe a diaphragme
KR200434645Y1 (ko) 주머니 필터
CN219152623U (zh) 一种用于阀门检测的试验台夹持机构
TW487791B (en) Opening/closing valve
US9671272B1 (en) Dipstick adapter assembly
CN2284336Y (zh) 带压更换气瓶瓶阀、螺塞装置
EP1842583B1 (fr) Malaxeur à cuve fixe, notamment destiné au mélange de composants humides ou secs, pour l'obtention de béton
KR20080086011A (ko) 대용량 필터 하우징
CN2292958Y (zh) 快装卸管嘴接头
TWM605259U (zh) 一種高壓針閥快速安裝結構
CN206860798U (zh) 张紧装置以及压缩机
CN211756499U (zh) 一种点胶旋转阀机构
JPH0810383Y2 (ja) 塗料圧送ポンプ装置
CN214649174U (zh) 一种用于灌装机的单向灌装架构
CN219606052U (zh) 一种复合式阀座结构的蝶阀
CN212338238U (zh) 一种快卸带清洗球阀
KR100727832B1 (ko) 피스톤충진기용 훼럴티체크밸브.
KR200346859Y1 (ko) 결합식 장구통
JP2004216334A (ja) 浄化槽の配管継手
CN2180846Y (zh) 转动水龙头
CN209781925U (zh) 一种天然气用安全阀
JPH10184954A (ja) 切換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