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59Y1 - 결합식 장구통 - Google Patents

결합식 장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59Y1
KR200346859Y1 KR20-2004-0001471U KR20040001471U KR200346859Y1 KR 200346859 Y1 KR200346859 Y1 KR 200346859Y1 KR 20040001471 U KR20040001471 U KR 20040001471U KR 200346859 Y1 KR200346859 Y1 KR 200346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mature
neck
concave portion
barre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20-2004-000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식 장구통에 관한 것으로, 공명을 발생시키기 위한 좌,우 울림통과, 좌,우 울림통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인 조루목을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고, 상기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의 외주면에는 상하측 선단에 철부(凸部)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조루목의 내주면에 형성된 분리턱의 양측에는 좌,우 울림통의 철부와 대응되는 상하측 부위에 각각 요부(凹部)를 형성하여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을 끼워맞추는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아울러 조립후에는 조루목에 대하여 좌,우 울림통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이 분리되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식 장구통{combination type changgu barrel}
본 고안은 결합식 장구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된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조립이 간편해지고, 조립후에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결합식 장구통에 관한 것이다.
장구(杖鼓)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구의 타격 소리를 공명(共鳴)시켜주는 좌,우 울림통(1)(2) 및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1a)(2a)를 보강하기 위한 조루목(3)으로 구성되는 장구통과, 좌,우 울림통(1)(2)의 일측 개구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좌,우 타격면(4)(5)과, 좌,우 타격면(4)(5)을 연결하여 좌,우 타격면(4)(5)을 좌,우 울림통(1)(2)에 고정시키는 수개의 연결줄(6)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장구통은 전체가 하나의 통체로 형성되는데, 나무를 소재로 하여 가공하게 되므로 원가가 높아지고 가공공정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생산 및 유통상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을 별개로 사출성형한 장구통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장구통은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의 결합부위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하는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조립후 체결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의 체결상태가 느슨하게 됨으로써 시간이 경과되면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좌,우 울림통에 조루목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나사부가 모두 체결되는 상태까지 작업자가 좌,우 울림통이나 조루목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로와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루목에 대하여 좌,우 울림통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울림통과 조루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결합식 장구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우 울림통에 조루목을 끼워맞추는 결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게 조립작업을 실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결합식 장구통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장구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식 장구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식 장구통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좌,우 울림통 11,21 ; 오목부
12,22 ; 철부(凸部) 30 ; 조루목
31 ; 분리턱 32 ; 요부(凹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목부의 외주면에 요부 또는 철부를 형성한 좌,우 울림통과; 상기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에 형성된 요부 또는 철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철부 또는 요부를 내주면에 형성한 조루목;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부 및 철부가 상기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의 외주면과, 상기 조루목의 내주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울림통 및 조루목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식 장구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식 장구통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장구통은 공명을 발생시키기 위한 좌,우 울림통(10)(20)과, 좌,우 울림통(10)(20)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인 조루목(30)이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울림통(10)(20)의 오목부(11)(21)의 외주면에는 상하측 선단에 철부(凸部)(12)(2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조루목(30)에는내주면에 형성된 분리턱(31)의 양측에 좌,우 울림통(10)(20)의 철부(12)(22)와 대응되는 상하측 부위에 각각 요부(凹部)(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장구통에 의해 장구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조루목(30)을 사이에 두고 좌,우 울림통(10)(20)의 오목부(11)(21)를 조루목(30)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맞춘다. 이때, 좌,우 울림통(10)(20)의 오목부(11)(21)의 외주면 선단 상하측에 형성된 철부(12)(22)가 조루목(30)의 내주면 상하측에 형성된 요부(32)에 삽입되도록 끼워맞추면 된다.
도 3은 요부(32)와 철부(12)(13)가 결합된 상태의 좌,우 울림통(10)(20)과 조루목(3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구통은 작업자가 일일이 요부(32)와 철부(12)(22)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립하지 않더라도 좌,우 울림통(10)(20)과 조루목(30)의 결합부위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천천히 좌,우 울림통(10)(20)이나 조루목(30) 중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 보면 좌,우 울림통(10)(20)의 철부(12)(22)와 조루목(30)의 요부(32)가 일치되는 지점에서 철부(12)(22)가 요부(32)에 삽입됨으로써 내경이 상대적으로 큰 조루목(30)의 내주면으로 좌,우 울림통(10)(20)의 오목부(11)(21)가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좌,우 울림통(10)(20)을 조루목(30)과 결합한 다음에는 좌,우 울림통의 개구부를 타격면(미도시)으로 감싼 상태에서 연결줄(미도시)을 사용하여 타격면을 고정시키면 장구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결합식 장구통은 합성수지재로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을 사출성형한 후에 조루목을 사이에 두고 좌,우 울림통을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좌,우 울림통이 조루목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이 분리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 울림통과 조루목을 요철구조에 의해 한번에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도 단축되어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목부의 외주면에 요부 또는 철부를 형성한 좌,우 울림통과;
    상기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에 형성된 요부 또는 철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철부 또는 요부를 내주면에 형성한 조루목;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장구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 및 철부가 상기 좌,우 울림통의 오목부의 외주면과, 상기 조루목의 내주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장구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울림통 및 조루목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장구통.
KR20-2004-0001471U 2004-01-19 2004-01-19 결합식 장구통 KR200346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1U KR200346859Y1 (ko) 2004-01-19 2004-01-19 결합식 장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1U KR200346859Y1 (ko) 2004-01-19 2004-01-19 결합식 장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59Y1 true KR200346859Y1 (ko) 2004-04-08

Family

ID=4934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71U KR200346859Y1 (ko) 2004-01-19 2004-01-19 결합식 장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79Y1 (ko) 2010-05-26 2012-06-04 이용주 조립식 장구
KR20200001874U (ko) 2019-02-15 2020-08-25 이성제 플라스틱 장구통 장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79Y1 (ko) 2010-05-26 2012-06-04 이용주 조립식 장구
KR20200001874U (ko) 2019-02-15 2020-08-25 이성제 플라스틱 장구통 장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8314B1 (en) Blow-molded shaker
CN105378404A (zh) 净水线的管接头结构
KR200346859Y1 (ko) 결합식 장구통
KR200306364Y1 (ko) 조립식 장구통
EP1567775B1 (en) Connecting piece comprising a gripping element on the outer surface for rotating the connecting piece
DE60304131D1 (de) Deformierbarer Topf
KR20200137463A (ko) 2중 조립구조를 갖는 섹소폰 마우스피스용 리드 조임블록
KR200321511Y1 (ko) 원 터치 배관 연결구
JP2004035066A (ja) 径歪み矯正リブ付キャップ
JPH08237849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2569650Y2 (ja) 管継手
JPS5813310B2 (ja) ダゲキヨウコウグ
US1064643A (en) Plug for tires.
JP2007024302A (ja) 管継手
NO820973L (no) Klemboeyle.
CN211663787U (zh) 一种瓶塞
KR200167673Y1 (ko) 유니언을 겸한 볼 밸브
CN220325216U (zh) 一种防拧偏拧紧的管接头
JP2004315051A (ja) 合成樹脂製タンクの配管接続構造
JP3033646U (ja) 自転車のクランク
KR0127695Y1 (ko) 낚시용 양축수릴의 핸들결합구조
CN211821208U (zh) 一种免安装卡箍的离合器主缸进油接头
KR200210909Y1 (ko) 호스 연결구
KR900007473Y1 (ko) 조립식 도어 손잡이
KR900004577Y1 (ko) 연사기의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