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029Y1 -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029Y1
KR200316029Y1 KR20-2002-0026517U KR20020026517U KR200316029Y1 KR 200316029 Y1 KR200316029 Y1 KR 200316029Y1 KR 20020026517 U KR20020026517 U KR 20020026517U KR 200316029 Y1 KR200316029 Y1 KR 200316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lifting
jack
strand
lift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렬
Original Assignee
최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렬 filed Critical 최병렬
Priority to KR20-2002-0026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상부의 전면 교체 및 신설시 공기절감 및 원가절약, 그리고 교통의 원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립식 교량상부를 공장에서 제작 후 운송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해상 설치교량과 육상 설치교량으로 구분되며, 교량상부를 한 경 간씩 일체화하도록 한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육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스트랜드잭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지반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과, 상기 스트랜드잭과 스트랜드잭 받침판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리프팅시스템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를 수평이동을 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팅포스트 하부에 위치되며 교량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리프팅 포스트기초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기초상에 설치되며, 리프팅 포스트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와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간에 개재되며, 리프팅 포스트의 접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과, 상기 교량상부의 리프팅 후 상기 리프팅 포스트를 교각의 교좌장치에 셋팅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받침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의 가압에 의하여 리프팅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포스트에 용접 연결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포스트 이동장치와; 교량상부세그먼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장치와;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와, 상기 교좌장치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installation system in one united body for prefabrication upper part of bridge using lifting system with push pull mechanism}
본 고안은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상부의 전면 교체 및 신설시 공기절감 및 원가절약, 그리고 교통의 원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립식 교량상부를 공장에서 제작 후 운송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해상 설치교량과 육상 설치교량으로 구분되며, 교량상부를 한 경간씩 일체화하도록 한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부구조의 설치 방법으로는 세그먼트 설치방법 또는 FCM 설치방법 적용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즉, 세그먼트 설치방법 및 FCM 설치방법은 공기 지연, 교통 개통의 지연, 원가 증대 및 캠버 조정이 매우 어려움으로 대형교량이나 해상교량에는 부적절하다.그리고 런칭 설치방법은 일체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나 이는 교량상부를 일체화하여 스키딩 시킴으로 설치를 완료하는 방법이며 이와 같은 런칭 방법은 별도 교량 배면에 광대한 작업장이 필요로 하며 대형 교량이나 곡선 교량 설치 시공 및 직선 소형 교량일 경우에도 교량 배면 작업장 확보가 어려울 시 런칭 방법 적용이 불가능하다.또한 해상 교량인 경우 상기의 기존방법 사용시 육상설치공사 때 보다 더욱 어렵고 공기지연, 각 세그먼트 운송 등 항차 수가 늘어 원가증가 및 캠버 등의 치수 조정의 어려움 등을 가지고 온다.기존 공법중 본 고안과 유사한 해상교량 및 고정식 해양구조물 설치공법이 있으나 이는 3경간에만 가능할뿐 2경간, 4경간 이상 및 육상교량은 설치가 블가능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교량상부의 전면 교체 및 신설시 공기절감 및 원가절약, 그리고 교통의 원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립식 교량상부를 공장에서 제작 후 운송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해상 설치교량과 육상 설치교량으로 구분되며, 교량상부를 한 경간씩 일체화하도록 한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리프팅 - 포스트 상세도,
도 2는 받침 프레임 상세도,
도 3은 스트랜드잭 고정판 - 교량상부 연결빔 및 교량상부 가이드빔 상세도,
도 4는 리프팅 - 포스트기초 및 유압잭과 받침판 상세도,
도 5는 모래잭 상세도,
도 6은 바지선 계류 상세도,
도 7은 교량상부세그먼트 설치 상세도,
도 8은 상부 및 하부 리프팅거더 상세도,
도 9는 교량상부 위치 조정 체인블록 상세도,도 10은 2경간, 4경간 이상 및 양단부 교량상부 설치시 상세도,도 11은 2경간, 4경간, 양단부 교량상부 설치 리프팅 프레임 상세도,도 12는 육상교량 상부구조 일체화 설치장치도1,도 13은 육상에서의 교량상부 일체화 설치장치도2,도 14는 해상교량 상부구조 일체화 설치장치도1,도 15는 해상교량 상부구조 일체화 설치장치도2,도 16은 해상교량 상부구조 일체화 설치장치도3,도 17은 해상교량 상부구조 일체화 설치장치도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랜드잭
2 : 스트랜드잭 와이어
3 : 스트랜드잭 받침판
4 : 리프팅 포스트
5 : 리프팅 프레임
6 :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
7 : 교량상부 가이드빔
8 :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
9 :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
10 :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 받침
11 :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
12 :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
13 : 리프팅 포스트기초
14 : 모래잭 상부장치
15 : 모래잭 하부장치
16 : 노즐
17 : 모래
18 : 바지선
19 : 바지선 계류라인
19-1 : 바지선 위치조정 윈치
20 : 바지선 앵커
21 : 교량상부세그먼트
22 : 모래잭
23 : 교좌장치
24 :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
25 :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
26 :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
27 : 스트랜드잭
28 : 상부 리프팅거더
29 : 하부 리프팅거더
30 : 위치조정 체인블록
31 : 리프팅 프레임
32 : 스트랜드잭 서포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육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스트랜드잭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지반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과, 상기 스트랜드잭과 스트랜드잭 받침판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리프팅시스템과;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를 수평이동을 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팅 포스트 하부에 위치되며 교량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리프팅 포스트기초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기초상에 설치되며, 리프팅 포스트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와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간에 개재되며, 리프팅 포스트의 접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과, 상기 교량상부의 리프팅 후 상기 리프팅 포스트를 교각의 교좌장치에 셋팅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리프팅포스트 유압잭받침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의 가압에 의하여 리프팅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포스트에 용접 연결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포스트 이동장치와;교량상부세그먼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유압잭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장치와;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 시키는 교좌장치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와, 상기 교좌장치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에서 교각에 설치하는 교량상부 설치장치와 해상에서 교각에 설치하는 교량상부 설치장치로 나누어진다.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부의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육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지반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4)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4)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받침판(3)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로 이루어지는 리프팅시스템과;상기 스트랜드잭(1)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1)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를 수평이동을 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팅 포스트(4) 하부에 위치되며 교량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리프팅 포스트기초(13)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기초(13)상에 설치되며, 리프팅 포스트(4)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12)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4)와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12)간에 개재되며, 리프팅 포스트(4)의 접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8)과, 상기 교량상부의 리프팅 후 상기 리프팅 포스트(4)를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받침(10)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의 가압에 의하여 리프팅 포스트(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포스트(4)에 용접 연결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11)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포스트 이동장치와;교량상부세그먼트(21)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21)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21)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26)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장치와;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23)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24)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22)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모래잭(22)은 교량상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모래잭 상부장치(14)와,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에 전달된 하중을 하부로 전달시키는 원통형 모래잭 하부장치(15)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내에 충전된 모래(17)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에 충전된 모래(17)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모래잭 하부장치(15)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노즐(16)로 구성된다.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부의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해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바지선(18)상에 설치되는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바지선(18) 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4)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4)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받침판(3)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하중을 바지선(18) 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상기 스트랜드잭(1)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1)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를 교각 사이로 바지선(18)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지선(18)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로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 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19)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18)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18)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교량상부세그먼트(21)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21)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21)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26)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장치와;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23)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24)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22)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모래잭(22)은 교량상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모래잭 상부장치(14)와,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에 전달된 하중을 하부로 전달시키는 원통형 모래잭 하부장치(15)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내에 충전된 모래(17)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에 충전된 모래(17)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모래잭 하부장치(15)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노즐(16)로 구성된다.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부의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육상에서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간에 새로운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기 설치된 양쪽 교량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상기 스트랜드잭(27)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27)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된다.한편, 해상에서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간에 새로운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인 교량상부의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해상에서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간에 새로운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교량상부를 운송하기 위한 바지선(18)과, 기 설치된 양쪽 교량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상기 스트랜드잭(27)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27)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를 교각 사이로 바지선(18)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지선(18)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로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 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19)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18)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18)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된다.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부의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해상에서 양단 경간, 2경간 4경간 이상의 교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일측 교량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교각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타측 교량상부에 설치되는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고정 지지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 받침판(3)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랜드잭 서포트(32), 상기 스트랜드잭 서포트(3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교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의 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교량상부 운송 및 바지선(18) 고정을 위한 교랑상부를 운송시키는 바지선(18)과, 상기 바지선(18)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로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19)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18)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18)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은 육상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2 및 도 13의 설치장치의 일부로, 스트랜드잭(1)은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유압식 푸시풀 시스템으로 작동되며, 스트랜드 와이어(2)는 스트랜드잭(1)에 설치되어,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해 사용되며 인장하중을 주된 것으로 하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고정판(3)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중간자 장치이다.
스트랜드잭 받침판(3)은 리프팅 포스트(4) 또는 리프팅 프레임(5)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시키는 장치로, 교량상부를 리프팅할 경우 스트랜드잭(1)에 작용하중을 리프팅 포스트(4)나 리프팅 프레임(5)에 전달시키는 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4)는 교량상부를 육상에서 리프팅할 경우 교량상부 무게를 지반기초에 전달시키고 스트랜드잭(1)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도 2는 해상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4, 도 15의 설치장치의 일부로, 푸시풀 시스템인 스트랜드잭(1)은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유압식 푸시풀 시스템으로 작동되며, 스트랜드 와이어(2)는 스트랜드잭(1)에 설치되어, 교량상부를 리프팅하기 위해 사용되며 인장하중을 주된 것으로 하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고정판(6)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중간자 장치이다.
스트랜드잭 받침판(3)은 리프팅 포스트(4) 또는 리프팅 프레임(5)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하는 장치로, 교량상부를 리프팅할 경우 스트랜드잭(1)에 작용하중을 리프팅 포스트(4)나 리프팅 프레임(5)에 전달하는 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4)는 교량상부를 육상에서 리프팅할 경우 교량상부 무게를 지반 기초에 전달하고 스트랜드잭(1)을 지지하는 장치이다.리프팅 프레임(5)은 교량상부를 해상에서 리프팅할 경우 교량상부 무게를 운송 바지선(18)의 기초에 전달하고 스트랜드잭(1)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도 3은 스트랜드잭 고정판 - 교량상부 연결 및 교량상부 가이드빔 상세도이며, 도 12 및 도 13의 설치장치의 일부로서,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 연결빔(6)으로서, 교량상부에 정착되어 교량상부와 리프팅 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으로 스트랜드잭(1)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는 장치이다.교량상부 가이드빔(7)은 육상 교량 시공시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하여 교량상부 리프팅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장치이다.
도 4는 리프팅 - 포스트기초 및 유압잭과 받침판 상세도이며, 도 14, 도 15의 설치장치의 일부로서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8)은 육상에서 교량상부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한 다음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한 유압잭(9)으로 리프팅 포스트(4)를 이동시킬 경우 리프팅 포스트(4)와 스키드레일(12)의 마찰을 최소화 및 이동을 원활히 하고 리프팅 포스트(4)의 접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은 육상에서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한 다음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한 리프팅 포스트(4)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하중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 유압잭받침(10)은 육상에서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한 다음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한 리프팅 포스트(4)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잭(9)을 지지하는 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11)은 육상에서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 한 다음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한 리프팅 포스트(4)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유압잭(9)의 가압에 의하여 리프팅 포스트(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로, 리프팅 포스트(4)에 용접 연결한다.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12)은 육상에서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 한 다음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한 유압잭(9)으로 리프팅 포스트(4)를 이동시킬 경우 마찰을 최소화,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기초(13) 위에 설치하는 장치이다.리프팅 포스트기초(13)는 육상 교량 리프팅시 교량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도 5는 모래잭 상세도이며, 도 14, 도 15의 설치장치의 일부로, 이는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셋팅시키기 위하여 높이를 낮추는 장치로, 모래잭 상부장치(14)는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최종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를 낮추는 모래잭(22)의 부속품으로서 교량상부 하중을 직접 받는 장치이다.모래잭 하부장치(15)는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최종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를 낮추는 모래잭(22)의 부속품으로, 교량상부 하중을 모래잭 상부장치(14)를 통하여 모래(17)로 전달되며 이로 인한 모래(17)가 옆으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진 원통형 장치이다.노즐(16)은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최종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를 낮추는 모래잭(22)의 부속품으로, 높이를 낮출 때 모래(17)를 제거함으로 자동적으로 높이가 낮춰지는 모래(17)를 제거하는 장치이다.모래(17)는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최종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를 낮추는 모래잭(22)의 부속품으로, 높이를 낮출 때 유압의 역할을 한다.
도 6은 교량상부를 해상으로 운송 설치시 이용하는 바지선 상세도이며,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일부로, 교량 운송용 바지선(18)은 해상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운송하는 운송선이며, 교량상부 설치시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폰툰형 운반선이며, 바지선 계류라인(19)은 해상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시 바지선(18)의 이동, 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고정 와이어 장치이다.위치조정 윈치(19-1)를 이용하여 바지선(18)이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과 교각 사이로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바지선 앵커(20)는 해상 교량 설치시 교량상부를 리프팅시 바지선(18)의 이동, 각도등을 조절하기 위한 고정 와이어를 지중에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도 7은 교량상부의 세그먼트 설치 상세도이며, 도 12, 도13의 일부로, 교량 상부세그먼트(21)는 해상 및 육상 교량 설치시 교각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제작할 경우 리프팅시 교각과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일부분 단위 세그먼트화하여 교량상부위에 잠시 거치 하도록 한다.모래잭(22)은 교량상부를 교좌장치(23)에 최종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를 낮추는 장치이며, 교좌장치(23)는 차량하중을 교각에 전달하는 장치이며, 교량 상부세그먼트 서포트(24)는 해상 및 육상 교량 설치시 교각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제작할 경우 리프팅시 교각과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일부분 단위 세그먼트화하여 교량상부위에 잠시 거치하여 놓고 이를 리프팅후 교각에 밀어 올려놓을 때 교좌장치(23)를 보호하고, 높이 조절 및 슬라이딩이 쉽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장치이다.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은 해상 및 육상 교량 설치시 교각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제작할 경우 리프팅시 교각과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일부분 단위 세그먼트화하여 교량상부위에 잠시 올려놓고 이를 리프팅후 교각에 밀어 올려놓기 위한 하중장치이다.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26)은 해상 및 육상 교량설치시 교각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제작할 경우 리프팅시 교각과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일부분 단위 세그먼트화하여 교량상부위에 잠시 거치하여 놓고 이를 리프팅후 교각에 밀어 올려놓기 위한 유압잭(25)의 지지장치이다.
도 8은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 사이로 새로운 교량상부 설치 상세도이며, 도 16, 도 17의 일부로, 교량상부 리프팅용 스트랜드잭(27)이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하기 위한 기 설치된 교량상부에 설치된 상부 리프팅 거더(28)로서 스트랜드잭(27)을 올려놓는다.하부 리프팅거더(29)는 설치될 교량상부 하부에 설치하고, 스트랜드잭 고정판(6)이 설치된다.
도 9는 도 14, 도 15의 일부로, 해상 교량의 양 경간의 교량상부 설치시 바지선(18)의 운동으로 인한 정확한 치수 조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위치조정 체인블록(30)을 교각상에 설치하여 최종 전후좌우의 치수를 조정한다.
도 10은 도 17의 일부로, 2경간, 양단 경간 및 4경간 이상의 해상 교량 설치시 사용하는 것으로, 리프팅 프레임(31)과 스트랜드잭 서포트(32)위에 스트랜드를 설치하고, 반대편에는 상하부 리프팅 거더(28, 29)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1은 도 10 및 도 17의 일부로, 2경간, 양단 경간 및 4경간 이상의 해상 교량설치시 사용하는 것으로, 리프팅 프레임(31) 및 스트랜드잭 서포트(32)위에 스트랜드를 설치하는 상세도이다.도 12는 육상 교량의 교량상부에 대한 리프팅시 전체 리프팅 시스템의 조립도이고, 도 13은 육상 교량의 교량상부를 리프팅후 최종 셋팅하기 위해 측방으로 이동시 이동 시스템에 대한 전체 조립도이며, 도 14는 해상 교량의 양 경간 교량상부 설치시 바지선을 이용, 리프팅에 대한 리프팅 시스템에 대한 전체 조립도이다.도 15는 해상 교량 양 경간 교량상부 설치시 바지선을 이용, 교량상부를 교각에 셋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조립도이며, 도 16은 해상 교량 중간 경간 교량상부 설치시 바지선을 이용, 리프팅에 대한 리프팅 시스템의 전체 조립도이며, 도 17은 해상 교량 양단 경간 교량상부 설치시 바지선을 이용, 리프팅에 대한 전체 시스템 조립도이다.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상부의 일체화 시공이 가능함으로 공기단축, 한 경간씩 일체화하여 설치가 가능함으로 원가절감, 교통의 신속화 및 각 단위 세그먼트 조립이 사전에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캠버조정 등이 매우 쉬운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첫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전체 교량상부의 전면 교체 및 신설 교량 시공시 공기단축으로 인하여 교통을 원활하게 하고, 운전자의 고통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둘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여러 가지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짐으로 공기 단축, 원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셋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교량상부를 사전에 조립하므로 볼트체결이 거의 없으므로 작업의 용이성 및 개통시 교통의 흐름이 향상되고 현장 작업의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넷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사전에 한 경간식 조립하므로 캠버 등의 치수확인 및 조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고가도로 전면상부 교체 공사에도 적합하므로 이용률이 극대화할 수 있다.여섯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교통체증이 심한 도로구간의 교량 신설 또는 전면 교체 공사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일곱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는 교량상부콘크리트를 한 경간씩 타설후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단축, 교통의 신속개통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육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지반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4)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4)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받침판(3)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로 이루어지는 리프팅시스템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1)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연결빔(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를 수평이동을 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팅 포스트 하부에 위치되며 교량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리프팅 포스트기초(13)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기초(13)상에 설치되며, 리프팅 포스트(4)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12)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와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레일간에 개재되며, 리프팅 포스트(4)의 접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스키드판(8)과, 상기 교량상부의 리프팅 후 상기 리프팅 포스트를 교각의 교좌장치(23)에 셋팅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받침(10)과, 상기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9)의 가압에 의하여 리프팅 포스트(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포스트(4)에 용접 연결되는 리프팅 포스트 유압잭새들(11)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포스트 이동장치와;
    교량상부세그먼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26)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 장치와;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23)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24)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22)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잭(22)은 교량상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모래잭 상부장치(14)와,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에 전달된 하중을 하부로 전달시키는 원통형 모래잭 하부장치(15)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내에 충전된 모래(17)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에 충전된 모래(17)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모래잭 하부장치(15)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노즐(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3. 해상에서 교각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무게를 바지선 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포스트(4)와, 상기 리프팅 포스트(4) 상부에 고정되어 스트랜드잭(1)을 고정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1)과 스트랜드잭 받침판(3)간에 서로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교량상부의 하중을 바지선 기초에 전달시키는 리프팅 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1)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 및 교량상부연결빔(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를 교각 사이로 바지선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지선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로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 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
    교량상부세그먼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상부를 수평이동후 교량상부의 상면에 거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를 밀어서 교각에 올려놓기 위하여 교량상부와 교량상부세그먼트간에 설치된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과, 상기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25)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유압잭받침(26)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장치와;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교량상부를 교각상에 설치시 교좌장치(23)를 보호하기 위해 교각 상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상부세그먼트 서포트(24)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높이를 낮추도록 설치되는 모래잭(22)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잭(22)은 교량상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모래잭 상부장치(14)와,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래잭 상부장치(14)에 전달된 하중을 하부로 전달시키는 원통형 모래잭 하부장치(15)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내에 충전된 모래(17)와, 상기 모래잭 하부장치(15)에 충전된 모래(17)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모래잭 하부장치(15)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노즐(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5. 육상에서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간에 새로운 교랑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기 설치된 양쪽 교량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27)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6. 해상에서 기 시공된 양쪽 교량상부간에 새로운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교량상부를 운송하기 위한 바지선과, 기 설치된 양쪽 교량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
    상기 스트랜드잭을 고정하기 위한
    교량상부와 리프팅시스템에 연결되며, 스트랜드잭(27)의 하중을 교량상부에 들어올림 하중으로 바꾸도록 교량상부에 장착되는 스트랜드잭 고정판(6)과, 교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리프팅 포스트(4)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스트(4)를 중앙으로 관통시키고 리프팅시 안내하는 교량상부 가이드빔(7)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를 교각 사이로 바지선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지선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로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 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
    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7. 해상에서 양단 경간, 2경간 4경간 이상의 교각에 교량상부를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량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일측 교량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리프팅거더(28)와, 상기 상부 리프팅거더(28)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리프팅 시키는 스트랜드잭(27)과, 상기 스트랜드잭(27)에 연결되어 교량상부를 들어올리는 스트랜드 와이어(2)와, 상기 스트랜드 와이어(2)에 연결되며, 교량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리프팅거더(29)로 이루어지는 리프팅 시스템과;
    상기 리프팅 시스템이 설치된 반대편에 교각상부를 교각상으로 리프팅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타측 교량상부에 설치되는 스트랜드잭(1)과, 상기 스트랜드잭(1)을 하부에서 고정 지지시키는 스트랜드잭 받침판(3)과, 상기 스트랜드잭 받침판(3)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랜드잭 서포트(32), 상기 스트랜드잭 서포트(3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교각에 설치되며, 교량상부의 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리프팅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랜드잭 고정장치와;
    교량상부 운송 및 바지선 고정을 위한
    교량상부를 운송시키는 바지선(18)과, 상기 바지선(18)의 이동 및 각도를 와이어윈 조절하기 위한 바지선 계류라인(19)과, 상기 바지선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지선 앵커(20)와, 바지선 이동시 정확한 위치 및 교각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위치조정 윈치(19-1)로 이루어지는 바지선 고정장치와;
    교량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교각상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교각에 전달시키는 교좌장치(23)와, 상기 교좌장치(23)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며, 교량상부를 최종적으로 교각상에 셋팅하기 위해 교량상부의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체인블록(30)으로 이루어지는 교각지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KR20-2002-0026517U 2002-09-04 2002-09-04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KR200316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517U KR200316029Y1 (ko) 2002-09-04 2002-09-04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517U KR200316029Y1 (ko) 2002-09-04 2002-09-04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028A Division KR100465628B1 (ko) 2002-09-03 2002-09-03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029Y1 true KR200316029Y1 (ko) 2003-06-12

Family

ID=4933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517U KR200316029Y1 (ko) 2002-09-04 2002-09-04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0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8886A (zh) * 2018-10-11 2019-02-15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箱梁节段的对位匹配装置及其对位匹配方法
CN114737488A (zh) * 2022-03-29 2022-07-12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框架桥位移调整设备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8886A (zh) * 2018-10-11 2019-02-15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箱梁节段的对位匹配装置及其对位匹配方法
CN109338886B (zh) * 2018-10-11 2023-09-29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箱梁节段的对位匹配装置及其对位匹配方法
CN114737488A (zh) * 2022-03-29 2022-07-12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框架桥位移调整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42769B (zh) 一种组合梁斜拉桥辅助跨全悬臂拼装施工方法
CN111945580B (zh) 一种大弧度曲线型钢箱梁桥面架设方法
CN102337736A (zh) 海洋石油平台上部模块的安装工艺
KR20150108625A (ko)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465628B1 (ko) 푸시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및 방법
KR200316029Y1 (ko) 푸쉬풀 및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상부의 일체화 설치장치
CN112160246B (zh) 组合梁安装方法
CN112900404A (zh) 一种自升式平台系统和升压站组块滑移安装的方法
CN111042004A (zh) 一种挂篮轨道梁走行方法
CN110904861A (zh) 一种斜拉桥架梁吊机及其施工方法
CN216892057U (zh) 一种大跨度钢混混合梁桥钢箱梁段浮托顶推施工系统
CN101892634B (zh) 宽桥面单一纵隔板钢箱梁顶推机构及顶推方法
CN111827124A (zh) 一种t梁横向预应力张拉辅助装置、安装方法与使用方法
KR100465882B1 (ko) 잭 시스템에 의한 리그선의 육상 데크메이팅 공법
CN112695642A (zh) 桥面吊机
JP2006182296A (ja) スキッドランチ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陸上船舶建造及び進水方法
CN112227214B (zh) 一种钢构件的拼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216474531U (zh) 一种下穿既有桥梁的水上钢箱梁提升滑移安装系统
JP4884082B2 (ja) 橋梁の架け替え工法
CN219508390U (zh) 一种大吨位自适应双吊点横梁球铰节点连接结构
CN114016422B (zh) 一种钢梁架设方法
CN217536681U (zh) 斜拉桥索塔大吨位钢混组合横梁的拼装支架
CN214695517U (zh) 一种自升式平台系统
CN216551532U (zh) 一种轨道交通高架桥预制疏散平台
CN214459671U (zh) 桥面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