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836Y1 - 가구용 도어 마감재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836Y1
KR200315836Y1 KR20-2003-0006985U KR20030006985U KR200315836Y1 KR 200315836 Y1 KR200315836 Y1 KR 200315836Y1 KR 20030006985 U KR20030006985 U KR 20030006985U KR 200315836 Y1 KR200315836 Y1 KR 200315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nishing material
furniture
metal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진
Original Assignee
(주)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대흥시스템
Priority to KR20-2003-0006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도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보다 견실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손잡이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 마감재에 의하면, 밑면(31)이 도어(20)의 모서리를 따라 접하며 스크루(40)를 통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33)이 천공된 금속 바로 이루어지며, 마감재(30)의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손끝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32)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 바로 이루어진 마감재(30)가 다수개의 스크루(40)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됨으로써 이의 이탈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재(30)의 걸림부(32)를 통해 도어(20)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어서, 도어(20)의 전면에는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마감재{DOOR END PLATE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도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모서리부위를 마감처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구용 도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가구는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장치가 배치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싱크대와, 이 싱크대의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식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주방에서 요리는 물론이며 식기 세척 및보관을 한 장소에서 모두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싱크대와 수납장에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어서, 주방가구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수납공간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주방가구용 도어의 상하단 모서리는 직각으로 이루어져, 이의 개방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종래 도어의 상하단 모서리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마감부재를 접착제(본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왔다. 또한, 주방가구용 도어의 전면에는 손으로 잡고서 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별도로 부설된다.
이에 따라 종래 가구용 도어에서는 상하단 모서리부위에 접착제를 통해 마감부재를 부착하고, 아울러 손잡이를 별도로 부착해야 하는 등 다수의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며 부품수 추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를 장기간 사용하면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이것에 의해 마감부재가 떨어져 주방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모서리부위에 마감재를 보다 견실하게 부착하여 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감재에 손잡이 기능을 추가하여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가구용 도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이 적용된 주방가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의 도어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도어
30..마감재
32..걸림부
40..스크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납가구의 개방부측에 힌지 결합되어 이를 개폐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갖춘 가구에 있어서,
마감재는 밑면이 도어의 모서리를 따라 접하며 스크루를 통해 고정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홀이 천공된 금속 바로 이루어지고, 이 마감재의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손끝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부는 마감재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되, 걸림부의 전면이 도어의 전면과 대체로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감재가 도어의 모서리부위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됨은 물론이며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주방가구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장(10)과, 이 수납장(10)의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를 갖추고 있다.
수납장(10)의 상부에는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수통(11)과, 도마 받침대(12)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20)는 목재를 통한 직사각 판상으로 제작되며, 수납장(10)의 개방부위에 힌지(미도시)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도어(20)의 상단 모서리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주방가구를 보다 수려하게 하기 위한 마감재(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마감재(30)는 밑면(31)이 도어(20)의 상단 모서리(21)를 따라 접하면서 스크루(40)를 통해 고정되는 금속 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감재(30)는 사출 가공된 알루미늄 바로 제작되며, 여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홀(33)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감재(30)의 밑면(31)을 도어(20)의 상단 모서리(21)에 일치시킨 후 각각의 고정홀(33)에 스크루(40)를 조이면, 마감재(30)가 견실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감재(30)의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손끝을 걸 수 있도록 걸림부(32)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걸림부(32)는 마감재(3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걸림부(32)의 전면(前面)은 도어(20)의 전면(前面;22)과 대체로 동일면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32)를 통해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어서, 별도의 손잡이가 필요 없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감재(30)의 사용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마감재(30)에 의해 도어(20)의 모서리부분이 덮여져 있기 때문에 도어(20) 개방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주방가구의 미관이 수려해진다.
그리고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마감재(30)의 걸림부(32)에 손끝을걸고 이를 전방측으로 당긴다. 따라서 도어(20)는 힌지를 통해 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열린다. 반면에 도어(20)의 전면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면, 도어(20)가 자연스럽게 닫힌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어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금속 바 타입의 마감재를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벽면에 매달려 설치된 경우 도어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마감재를 설치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 마감재에 의하면, 밑면이 도어의 모서리를 따라 접하며 스크루를 통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이 천공된 금속 바로 이루어지며, 마감재의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손끝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 바로 이루어진 마감재가 다수개의 스크루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됨으로써 이의 이탈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재의 걸림부를 통해 도어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어서, 도어의 전면에는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납가구의 개방부측에 힌지 결합되어 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갖춘 가구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30)는 밑면(31)이 상기 도어(20)의 모서리(21)를 따라 접하며 스크루(40)를 통해 고정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홀(33)이 천공된 금속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30)의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손끝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32)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2)는 상기 마감재(3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32)의 전면이 상기 도어(20)의 전면(22)과 대체로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마감재.
KR20-2003-0006985U 2003-03-10 2003-03-10 가구용 도어 마감재 KR200315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85U KR200315836Y1 (ko) 2003-03-10 2003-03-10 가구용 도어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85U KR200315836Y1 (ko) 2003-03-10 2003-03-10 가구용 도어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836Y1 true KR200315836Y1 (ko) 2003-06-12

Family

ID=4933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985U KR200315836Y1 (ko) 2003-03-10 2003-03-10 가구용 도어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8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563A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US3529881A (en) Stabilizing panel for an appliance
US9084527B2 (en) Door for an appliance
KR200315836Y1 (ko) 가구용 도어 마감재
US20040227043A1 (en)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a domestic appliance
JP4871050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用把手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200397758Y1 (ko) 가구용 문짝
JP3511845B2 (ja) カウンター取付構造
KR102512185B1 (ko) 가구 시스템
JP4879422B2 (ja) 収納棚
JPH054931U (ja) 水切り棚
KR200347117Y1 (ko) 주방가구용 수납장
KR200297198Y1 (ko)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 장식편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JP2004143859A (ja) ミラー扉
EP0392522A1 (en) Door for household appliance
JP2003164340A (ja) 厨房,洗面家具の蹴込み
JP2709687B2 (ja) 厨房用壁面パネル
KR200243343Y1 (ko) 조립식 방화문
JPS6026698Y2 (ja) 洗面台
KR20130083759A (ko) 문틀 손잡이
JPS5818755Y2 (ja) 化粧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棚部の構成
JPS6216925Y2 (ko)
JP4429869B2 (ja) 扉付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