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554Y1 -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554Y1
KR200315554Y1 KR20-2003-0007968U KR20030007968U KR200315554Y1 KR 200315554 Y1 KR200315554 Y1 KR 200315554Y1 KR 20030007968 U KR20030007968 U KR 20030007968U KR 200315554 Y1 KR200315554 Y1 KR 200315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upling
bolt
band structure
coup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혁
Original Assignee
유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혁 filed Critical 유재혁
Priority to KR20-2003-0007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오픈 타입의 환형으로 이루어진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결합부재와, 상기 제1,2결합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조여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재중 하나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관통공과 일체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전반적으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BAND STRUCTURE FOR JOINING PIPES}
본 고안은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밴드(band)의 구조가 개선된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관(11)과 제2내부관(12)의 플랜지부(13)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관 밴드(10)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내부관(11,12)의 외주면을 감싸며 제1,2내부관(11,12)에는 제1,2외부관(21,22)이 결합된다. 상기 제1,2외부관(21,22)도 제1,2내부관(11,12)과 마찬가지로 외부관 밴드(20)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 밴드(10)가 체결된 후에는 실런트(sealant)(1)가 충진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키거나, 기밀 및 유밀을 유지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1,2외부관(21,22)을 그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2)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관 구조는 아파트나 공장 등의 연도용 관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내부관 밴드(10)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오픈 타입(open type)으로 이루어진 환형의 밴드부재(31)와, 이 밴드부재(31)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용접되어 이 밴드부재(31)의 양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2)와, 이 결합부재(32)의 관통공(32a)에 각각 체결되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내부관(11,12)을 연결 및 결합하는 볼트(33) 및 너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있어, 상기 볼트(33) 및 너트(34)를 준비하여, 이 볼트(33)를 관통공(32a)에 끼운 후, 너트(34)를 볼트(33)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31)에 용접되는 결합부재(32)가 체결 정도에 따라 밴드부재(31)로부터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럴 경우 제1,2내부관(11,12)에 틈새가 생겨 제1,2내부관(11,12)을 유동하는 유체에 따라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2)가 밴드부재(31)에 용접될 때 지지되는 곳이 없어 별도의 용접용 지그(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 지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작업 불량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의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재가 밴드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한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밴드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밴드부재 41. 벤딩부
50. 제1결합부재 51,61. 제1관통공
52. 제2관통공 53,63. 절개부
60. 제2결합부재 70. 볼트
80.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오픈 타입의 환형으로 이루어진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결합부재와, 상기 제1,2결합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조여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에는 상기 볼트가끼워지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재중 하나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관통공과 일체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오픈 타입(open type)의 환형으로 이루어진 밴드부재(40)와, 이 밴드부재(40)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밴드부재(40)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결합부재(50,60)와, 이 제1,2결합부재 (50,60)에 체결되어 밴드부재(40)를 조여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70)와 너트(80)를 구비하여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제1,2내부관(11,12)을 연결하여 결합한다.
특히, 상기 제1,2결합부재(50,60)에는 볼트(70)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 (51,6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재(50,60)중 하나에는 예컨대 제1결합부재(50)에는 상기 볼트(70)의 헤드부(71)가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관통공 (51,61)과 일체로 제2관통공(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부재(50,60)에는 이 제1,2결합부재(50,60)가 밴드부재 (40)의 양 단부에 끼워진 후, 용접될 수 있도록 제1,2결합부재(50,60)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53,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40)에는 결합부재의 절개부(53,63)가 결합될 때, 이 절개부(53,63)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된 벤딩부 (4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53,63)가 밴드부재(40)의 내측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부재(40)의 벤딩부(41) 및 제1,2결합부재(50,60)의 절개부 (53,63)는 프레스 작업시 프레스 금형의 일부를 수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2결합부재(50,60)를 밴드부재(40)의 양 단부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1,2결합부재(50,60)에 형성된 절개부(53,63)를 밴드부재 (40)의 벤딩부(41)를 향하여 굽힌다. 이에 따라 벤딩부(41)의 홈에 절개부(53,63)가 안착됨에 따라 밴드부재(40)에 제1,2결합부재(50,60)가 결합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밴드부재(40)와 제1,2결합부재(50,60)를 예컨대, 스폿 용접 (spot welding)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70)의 나사부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51,61)만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볼트(70)를 끼우고 너트(80)를 볼트(70)에 결합한다. 이로써 하나의 밴드부재(40)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밴드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2내부관(11,12)에 결합할 때에는 볼트(70)의 헤드부(71)를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제2관통공(52)에 끼운 후, 너트(80)를 조이면 결합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상기 밴드부재(40)와 제1,2결합부재(50,60)를 용접하기 전에 벤딩부(41)에 절개부 (53,63)를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함으로 용접용 지그가 별도로 소요되지 않고, 용접이 쉬워진다.
그리고 용접 전에 이미 밴드부재(40)와 제1,2결합부재(50,60)는 결합된 상태이므로 밴드부재(40)에서 제1,2결합부재(50,60)가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볼트(70) 및 너트(80)가 항상 제2결합부재(60)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결합 작업시 별도로 볼트(70) 및 너트(80)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볼트(70)의 헤드부(71)를 제2관통공(52)에 결합하고 너트(80)를 조이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간단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밴드부재와 결합부재 용접시 이미 체결된 상태이므로 용접 작업이 쉬워지고, 용접에 따른 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밴드부재로부터 결합부재가 탈락되지 않는다. 그리고 용접 작업에 따른 용접용 지그가 소요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접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전반적으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배관의 연결부의 기밀 또는 유밀이 유지될 수 있어,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및 너트가 결합부재에 결합작업 전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고, 볼트의 헤드부만 관통공에 끼우고 너트만 조이면,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편리해지고,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오픈 타입의 환형으로 이루어진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결합부재와, 상기 제1,2결합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조여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재중 하나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관통공과 일체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밴드부재의 양 단부에 끼워진 후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가 상기 밴드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에는 상기 절개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절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된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2003-0007968U 2003-03-18 2003-03-18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315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968U KR200315554Y1 (ko) 2003-03-18 2003-03-18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968U KR200315554Y1 (ko) 2003-03-18 2003-03-18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554Y1 true KR200315554Y1 (ko) 2003-06-02

Family

ID=4933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968U KR200315554Y1 (ko) 2003-03-18 2003-03-18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5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881B1 (ko) * 2007-05-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밴드
KR101591372B1 (ko) 2015-07-23 2016-02-04 파워코리아 주식회사 디젤발전기의 밴드히터를 이용한 동체 내부 습기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881B1 (ko) * 2007-05-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밴드
KR101591372B1 (ko) 2015-07-23 2016-02-04 파워코리아 주식회사 디젤발전기의 밴드히터를 이용한 동체 내부 습기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1230A (ja) ガスケット付中心リブを備えた単一ボルトバンドク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るパイプ重ね継手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315554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382029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00006844A (ko)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JP2000230681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JPH09317961A (ja) 管継手および管状体保持金具
CN221278753U (zh) 一种金属管件连接结构
CN220706671U (zh) 一种无缝环形钛管
JP7414322B1 (ja) フランジ付流体管の接合構造
JP2556088Y2 (ja) パイプ接続構造
JP4149036B2 (ja) 管体フランジ部漏洩補修機構
JP6529055B1 (ja) 管接続構造
JPH10231969A (ja) 配管フランジ接続構造
JPH11108267A (ja) 管継手
JPH09189387A (ja) 排気管継手
KR200314311Y1 (ko) 누수방지대
KR200271299Y1 (ko) 원형덕트의 플랜지 조임용 클램프
JP2006064144A (ja) パイプの接続部構造
JPH0565984A (ja) 管継手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KR20026142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00283357A (ja) 管継手構造
JPH01203789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