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414Y1 - 주물괴 집게 - Google Patents

주물괴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14Y1
KR200315414Y1 KR20-2003-0006260U KR20030006260U KR200315414Y1 KR 200315414 Y1 KR200315414 Y1 KR 200315414Y1 KR 20030006260 U KR20030006260 U KR 20030006260U KR 200315414 Y1 KR200315414 Y1 KR 200315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crane
support
support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세
Original Assignee
안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세 filed Critical 안영세
Priority to KR20-2003-0006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측집게부(1)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좌측집게부(2)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봉(3)과, 상기 연결봉(3)의 중간부에는 삽입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4)로 구성된 주물괴 집게인 것이다.

Description

주물괴 집게{Cast-iron nippers}
본 고안은 주물괴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집게를 이용하여 상부에 크레인연결부에 의해 크레인으로 이송시 두 개의 집게에 연결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정확히 이송시키는 주물괴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선 및 제련공정을 거쳐 주조공정에서 제조된 주물괴는 자동장치인 열연공장으로 이동하여 압연과정을 거쳐 강관코일을 제조하거나, 특수강처리를 하여 특수강을 제조하는 등의 공정을 거치기 위하여 2차 가열로를 거쳐 일정온도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인출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때 주물괴의 인출 또는 이동시 집게, 클램핑장치 또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된 주물괴를 일정장소로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의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와이어로프의 단락시 작업바의 부상 또는 주변 설비의 파손이 문제되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고열에 의해 설비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3463호에 손잡이부분의 전방에 단열판을 설치하여 가열장치 또는 가열된 물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단열판이 부설된 간이 주조용 집게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60914호에는 슬래브의 인출 및 장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픽업크레인의 힌지바에 슬래브로의 안착 및 잡음상태를 알려주는 리미트스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크로스빔에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픽업크레인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198002호에는 픽업크레인의 집게장치의 보조암 자동리프팅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19769호에는 더미슬라브를 작업자가 와이어로프를 연결하여 인출하는 번거로운 작업없이 전후 이동하여 클램핑 작동하는 클램핑바아로서 별도의 작업자 없이 작업하는 더미슬라브 자동인출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고온으로 가열된 주물괴를 일정장소로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의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와이어로프의 단락시 작업바의 부상 또는 주변 설비의 파손이 문제되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고열에 의해 작업이 불편하고, 설비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두 개의 집게부와 중앙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와, 집게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부에는 크레인연결부로 구성되어 뜨거운 주물괴를 양측하부의 고정부에서 고정시킨 다음 크레인연결부에 크레인에 연결시켜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주물괴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주물괴 집게 전체도
도2는 본 고안의 주물괴 집게 조립 및 분해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제 사진
<도면의 부호설명>
우측집게부(1), 좌측집게부(2), 연결봉(3), 크레인연결부(4), 우측하부(10),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 우측손잡이(12), 우측집게연결통공(14), 우측하부고정부(15), 우측하부측면부(16), 우측손잡이접합부(17), 좌측하부(20),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 좌측손잡이(22), 좌측하부수평조절부(23), 좌측집게연결통공(24), 좌측하부고정부(25), 좌측하부측면부(26), 좌측손잡이접합부(27), 크레인연결지지부(41), 크레인연결고리(42), 크레인연결고리고정부(43), 연결통공 (44), 주물괴(100)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우측집게부(1)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좌측집게부(2)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봉(3)과, 상기 연결봉(3)의 중간부에는 삽입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4)로 구성된 주물괴 집게인 것이다.
본 고안에서 좌, 우측손잡이(12,22)가 우측에 모두 모여 있어 크레인으로 주물괴집게를 상승시 상기 좌, 우측손잡이(12,22)의 무게 때문에 한쪽(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상하기 위하여), 좌측집게부(2)의 중앙좌측집게손잡이(21-2)의 하부에 두 개의 좌측하부수평조절부(23)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을 잡아 크레인으로 주물괴 집게를 상승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조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 주물괴 집게에 의해 이송되는 주물괴는 길이가 같은 주물괴가 한 개 또는 다수개를 한번에 고정시켜 이송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주물괴(100)가 고정된 좌, 우측집게(1,2)의 좌, 우측하부고정부(25,35)는 크레인연결부(4)에 연결된 크레인에 의해 상부로 상승시키면, 좌, 우측집게(1,2)는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보다 더 견고히 고정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되며, 상승 또는 하강시 작업자가 우측일측에 형성된 좌, 우손잡이(12,22)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정확히 유도하여 크레인을 하강시켜 보다 정교하게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안치시키기 위하여 장착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결봉(3)에 좌,우측집게부(1,2)와 삽입 연결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연결봉(3)에 삽입 연결된 크레인연결부(4)도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주물괴 집게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주물괴 집게 조립 및 분해 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것이며, 우측집게부(1), 좌측집게부 (2), 연결봉(3), 크레인연결부(4), 우측하부(10),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 우측손잡이(12), 우측집게연결통공(14), 우측하부고정부(15), 우측하부측면부 (16), 우측손잡이접합부(17), 좌측하부(20),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 좌측손잡이(22), 좌측하부수평조절부(23), 좌측집게연결통공(24), 좌측하부고정부 (25), 좌측하부측면부(26), 좌측손잡이접합부(27), 크레인연결지지부(41), 크레인연결고리(42), 크레인연결고리고정부(43), 연결통공(44), 주물괴(1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성을 살펴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집게부(1)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좌측집게부(2)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봉(3)과, 상기 연결봉(3)의 중간부에는 삽입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4)로 구성된 주물괴 집게인 것이다.
상기 우측집게부(1)는 세 개의 "ㄱ"자 형상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와,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하부에 형성되며3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를 고정시키는 판상의 우측하부(10)와, 상기 우측하부(1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우측하부고정부(15)와, 상기 우측하부고정부(15)의 측면에 설치된 우측하부측면부(16)와,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중 가운데 위치되는 상기 중앙 우측집게지지부(11-2)의 상부 중앙부에 상기 우측손잡이(12)가 용접되어 형성된 "ㄷ"자 형상의 우측손잡이접합부(17)와, 상기 우측손잡이접합부(17)에 일단이 우측집게지지부(11-2)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 우측집게지지부(11-2)의 상부 끝단에 연장되어 우측집게(1)의 후면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우측손잡이(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집게부(2)는 세 개의 "ㄱ"자 형상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와, 상기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 (24)과, 상기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의 하부에 형성되며 3개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을 고정시키는 판상의 좌측하부(20)와, 상기 좌측하부(2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좌측하부고정부(25)와, 상기 좌측하부고정부(25)의 측면에 설치된 좌측하부측면부(26)와, 상기 세 개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중 가운데 위치되는 상기 중앙 좌측집게지지부(21-2)의 상부 중앙부에 상기 좌측손잡이(22)가 용접되어 형성된 좌측손잡이접합부(27)와, 상기 좌측손잡이접합부 (27)에 일단이 좌측집게지지부(21-2)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 좌측집게지지부(21-1)의 상부 끝단에 연장되어 우측집게(1)의 후면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손잡이(22)와, 상기 중앙좌측집게손잡이(21-2)의 하부에는 수평을 조절하는 두 개의 좌측하부수평조절부(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3)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연결부(4)는 연결봉(3)에 삽입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3)에 삽입되는 연결통공(44)이 끝단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ㄷ"자의 개방된 부분이 하부가 되게 형성된 형상의 크레인연결지지부(41)와, 상기 크레인연결지지부(41)의 중앙상부에 크레인연결고정부(43)에 의해 연결되는 크레인연결고리(42)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우측집게부(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연결봉(3)을 삽입시키되, 상기 연결봉(3)의 중간부에 크레인연결부(4)를 삽입시켜 연결시켜 조립을 완성하며, 상기 좌,우측집게부(1,2)의 하부의 좌,우측하부(20,3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좌,우측하부고정부(25,35)의 측면에 좌,우측하부측면부(26,36)를 필요에 따라서, 양쪽 또는 한쪽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조립은 용접이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하는 통상의 방법이므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기로 하였다.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조립을 한 후에, 좌,우측집게부 (1,2))의 하부의 좌,우측하부(20,3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좌,우측하부고정부(25,35)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주물괴(100)를 고정시킨 후에, 좌,우측집게부(1,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우측집게연결통공(14,24)에 연결된 연결봉(3)의 일측에 연결통공(44)에 의해 연결된 크레인 연결부(4)의 크레인 연결고리(42)에 크레인을 연결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좌,우측집게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좌,우측하부고정부(25,35)는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견고히 고정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되며, 상승 또는 하강시 작업자가 우측일측에 형성된 좌,우손잡이(12,22)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정확히 유도하여 크레인을 하강시켜 안치시키는 작동 방법인 것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온으로 가열된 주물괴를 일정장소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안전도구로서, 작업시 작업자의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와이어로프의 단락시 작업바의 부상 또는 주변 설비의 파손이 문제되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고열에 의해 작업이 불편하고, 설비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주물괴 집게에 있어서, 우측집게부(1)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좌측집게부(2)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봉(3)과, 상기 연결봉(3)의 중간부에는 삽입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3)은 상기 우측집게부(1)의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좌측집게부(2)의 좌측집게지지부 (21-1,21-2,2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이며,
    상기 크레인 연결부(4)는 연결봉(3)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3)에 삽입되는 연결통공(44)이 끝단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ㄷ"자의 개방된 부분이 하부가 되게 형성된 형상의 크레인연결지지부(41)와, 상기 크레인연결지지부(41)의 중앙상부에 크레인연결고정부(43)에 의해 연결되는 크레인연결고리(4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괴 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집게부(1)는 세 개의 "ㄱ"자 형상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와,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우측집게연결통공(14)과,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의 하부에 형성되며 3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를 고정시키는 판상의 우측하부(10)와, 상기 우측하부(1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우측하부고정부(15)와, 상기 우측하부고정부(15)의 측면에 설치된 우측하부측면부(16)와, 상기 세 개의 우측집게지지부(11-1,11-2,11-3)중 가운데 위치되는 상기 중앙 우측집게지지부 (11-2)의 상부 중앙부에 상기 우측손잡이(12)가 용접되어 형성된 "ㄷ"자 형상의 우측손잡이접합부(17)와, 상기 우측손잡이접합부(17)에 일단이 우측집게지지부(11-2)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 우측집게지지부(11-2)의 상부 끝단에 연장되어 우측집게(1)의 후면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우측손잡이(1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괴 집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집게부(2)는 세 개의 "ㄱ"자 형상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와, 상기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좌측집게연결통공(24)과
    상기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의 하부에 형성되며 3개의 좌측집게지지부 (21-1,21-2,21-3))를 고정시키는 판상의 좌측하부(20)와, 상기 좌측하부(20)의 내측에 "ㄴ"자로 형성된 좌측하부고정부(25)와, 상기 좌측하부고정부(25)의 측면에 설치된 좌측하부측면부(26)와, 상기 세 개의 좌측집게지지부(21-1,21-2,21-3))중 가운데 위치되는 상기 중앙 좌측집게지지부(21-2)의 상부 중앙부에 상기 좌측손잡이(22)가 용접되어 형성된 좌측손잡이접합부(27)와, 상기 좌측손잡이접합부(27)에 일단이 좌측집게지지부(21-2)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 좌측집게지지부(21-1)의 상부 끝단에 연장되어 우측집게(1)의 후면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손잡이(22)와, 상기 중앙좌측집게손잡이(21-2)의 하부에는 수평을 조절하는 두 개의 좌측하부수평조절부(23)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괴 집게.
KR20-2003-0006260U 2003-03-04 2003-03-04 주물괴 집게 KR200315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260U KR200315414Y1 (ko) 2003-03-04 2003-03-04 주물괴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260U KR200315414Y1 (ko) 2003-03-04 2003-03-04 주물괴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14Y1 true KR200315414Y1 (ko) 2003-06-02

Family

ID=4940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260U KR200315414Y1 (ko) 2003-03-04 2003-03-04 주물괴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12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08010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CN112027894A (zh) * 2020-09-22 2020-12-04 恩倍力(昆山)机械有限公司 一种钢渣用夹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12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08010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CN112027894A (zh) * 2020-09-22 2020-12-04 恩倍力(昆山)机械有限公司 一种钢渣用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0956B (fi) Manipulator vid ugnar och liknande.
KR200315414Y1 (ko) 주물괴 집게
JP3559244B2 (ja) ロッド解体機
CN102060232B (zh) 炉窑施工用耐火砖的运输方法
CN114222713A (zh) 用于处理金属半成品的系统和方法
CN216990669U (zh) 铜套或钢套红套用装置
CN210480596U (zh) 一种电极打捞装置
CN102001583A (zh) 半自动吊砖夹具
CN210286475U (zh) 一种预制块吊装工具
CN107745110A (zh) 一种模壳转运车
CN214327915U (zh) 一种稀土金属及合金的出炉装置
KR100956635B1 (ko) 슬라브 운반구
JP3371772B2 (ja) ランス交換機構、ランスホース着脱機構、ランス固定機構及びランス自動交換装置
CN219598069U (zh) 一种熔模铸造用25kg及以下模壳转运装置
US3808343A (en) Electric furnace electrode clamping devices
CN86208920U (zh) 半自动开闭单根红锭夹钳
CN217948183U (zh) 一种扒渣装置
US3781935A (en) Method of operation of a convertible esr furnace installation
CN218620609U (zh) 一种接埚装置
CN210045938U (zh) 一种便捷式取料锻造设备
CN205115526U (zh) 清理电弧炉炉门钢渣的装置
CN210214553U (zh) 一种石墨坩埚底用吊装工装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CN209773365U (zh) 一种热模锻压力机的出料装置
CN211687951U (zh) 一种铝型材用的重型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