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172Y1 -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172Y1
KR200314172Y1 KR20-2003-0002171U KR20030002171U KR200314172Y1 KR 200314172 Y1 KR200314172 Y1 KR 200314172Y1 KR 20030002171 U KR20030002171 U KR 20030002171U KR 200314172 Y1 KR200314172 Y1 KR 200314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module
fixing
cab
railway vehic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순
윤교열
윤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20-2003-0002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을 제어차에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20) 전면부에 일측으로 절개된 안착부(22)가 형성되고, 안착부(22)의 테두리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42)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 상에 일체로 얹혀져 고정되도록 운전실 모듈(3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운전실 모듈(30)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42) 및 운전실 모듈(30)의 고정부(32)에 사각머리형 볼트(50)가 고정되게 끼워지며, 사각머리형 볼트(50)에 너트(5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 MODULE OF RAILWAY CAR}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실 모듈을 제어차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조립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은 구체를 용접구조로 형성한후에 전면부 등에 F.R.P 등의 재질로 구성된 마스크를 씌워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 1 의 철도차량(10)의 운전실(2) 공간을 일체로 형성한 후에 실내의 각종 취부품을 단품 단품으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철도차량(10)의 외부측에 승객실 부분과 운전실부분의 외장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용접방식에 의해 구체와, 별도의 각종 취부품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접에 의해 고정된 부분으로 인해 보수시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운전실에 관련된 모듈등을 장착할시에 많은 어려움과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운전실을 구성하면서 용접하는 것으로, 언더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루프 프레임, 파티션 프레임, 인사이드 프레임에 제각각에 전두부 마스크를 취부하여야 하며, 실내에는 콘트롤 데스크 및 각종 전장품과 설비품을 개별적으로 볼팅 및 리벳팅 작업을 해서 고정시키고 조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실 모듈을 제어차에 설치될시 쉽게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을 빠르게진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의 연결부위의 부분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 22: 안착부
30: 운전실 모듈 32: 고정부
42: 고정부 50: 사각머리형 볼트
51: 끼움홀 52: 너트
54: 슬라이딩 잠김홀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는,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의 전면부에 일측으로 절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테두리에 끼움홀 및 슬라이딩 잠김홀을 갖는 고정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상에 일체로 얹혀져 고정되도록 운전실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고정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운전실 모듈에 끼움홀 및 슬라이딩 잠김홀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안착부의 고정부 및 운전실 모듈의 고정부에 사각머리형 볼트가 고정되게 끼워지며, 사각머리형 볼트에 너트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20)의 전면부에 일측으로 절개된 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의 테두리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42)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 상에 일체로 얹혀져 고정되도록, 콘트롤 데스크 및 각종 전장품과 설비품 등과 같이 운전실에서 필요한 장치 등이 일체로 설치되어 규격화된 제품의 운전실 모듈(30)을 안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42)에 대향되는 위치의 운전실 모듈(30)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42) 및 운전실 모듈(30)의 고정부(32)에 사각머리형 볼트(50)가 회전고정되게 끼워져 고정되며, 사각머리형 볼트(50)에 너트(52)가 끼워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의 연결부위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내측부에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콘트롤 데스크 및 각종 전장품과 설비품 등이 장착된 운전실 모듈(30)이 규격화되어 납품되면, 상기와 같이 운전실 모듈(30)을 철도차량 제어차 본체(20)의 안착부(22)에 올려 놓고 고정시킨다.
즉, 철도차량 제어차 본체(20)의 안착부(22)에 운전실 모듈(30)을 통째로 올려 놓고 고정만 시키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철도차량 제어차 본체(20)의 안착부(22)에 운전실 모듈(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철도차량(20)의 안착부(22)상에는 테두리 부분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이 형성된 고정부(4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고정부(42)의 위치에 대향되는 부분의 운전실 모듈(30) 부분에도 동일한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32)에 맞닿음되게 위치시켜 놓은 후에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철도차량의 안착부(22)상에 형성된 고정부(42) 및 운전실 모듈(30)상에 형성된 고정부(32)를 서로 맞닿시킨 상태로 놓여지면 상기의 고정부(42),(32)에 사각머리형 볼트(50)를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에 사각머리형 볼트(50)의 머리부분은 고정부(42),(32)의 끼움홀(51)로 끼워진 상태로 측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된 슬라이딩 잠김홀(54)로 밀치면서 이동된다.
상기 끼움홀(51)의 부분은 사각머리형 볼트(50)가 끼워지기 때문에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된 슬라이딩 잠김홀(54)은 사각머리형 볼트(50)가 상부측으로 빠지지 않게 두부가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각머리형 볼트(50)가 끼움홀(51)에 끼워진 후, 슬라이딩 잠김홀(54)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면, 상기 사각머리형 볼트(50)의 머리는 상부측으로 빠지지 않을 뿐만아니라, 너트(52)가 끼워질시 나사산의 회전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사각머리형 볼트(50)가 고정되면, 너트(52)를 이용해 조여지면 운전실 모듈(30)은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20)에 쉽게 고정된다.
상기 운전실 모듈(30)의 부분과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20)의 안착부(22)의 테두리부분에는 다수개의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키면 쉽게 조립된다.
상기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에 의해 운전실 모듈을 제어차에 설치할시 쉽게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제어차 본체(20)의 전면부에 일측으로 절개된 안착부(22)가 형성되고, 안착부(22)의 테두리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42)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 상에 일체로 얹혀져 고정되도록 운전실 모듈(3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42)에 대향되는 위치의 운전실 모듈(30)에 끼움홀(51) 및 슬라이딩 잠김홀(54)을 갖는 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고정부(42) 및 운전실 모듈(30)의 고정부(32)에 사각머리형 볼트(50)가 고정되게 끼워지며, 사각머리형 볼트(50)에 너트(52)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KR20-2003-0002171U 2003-01-23 2003-01-23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KR200314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71U KR200314172Y1 (ko) 2003-01-23 2003-01-23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71U KR200314172Y1 (ko) 2003-01-23 2003-01-23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172Y1 true KR200314172Y1 (ko) 2003-05-23

Family

ID=4933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71U KR200314172Y1 (ko) 2003-01-23 2003-01-23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1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3B1 (ko) 2009-07-13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운전실 모듈 및 전동차용 운전실 모듈 조립방법
KR101844295B1 (ko) * 2016-04-08 2018-04-02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3B1 (ko) 2009-07-13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운전실 모듈 및 전동차용 운전실 모듈 조립방법
KR101844295B1 (ko) * 2016-04-08 2018-04-02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0298B2 (e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US8052184B2 (en) Crashbox and damping arrangement with crashbox
US9676424B2 (en) Service hole cover and uni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9452713B2 (en) Universal linkage mounting bar
US4874200A (en) Modular vehicle body
DE102016224465B4 (de) Elektronische Steuereinheit, die über eine Nietenbefestigung verfügt
US7152295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 center console module of a motor vehicle
US20180126940A1 (en) Glove box rail with integrated airbag support
DE102009043363A1 (de) Frontendmodul
US4934736A (en) Knee restraining device
US20170057425A1 (en) Truck bed rail cap assembly
JP4105033B2 (ja) 高圧電装部品の車載構造
US20130299257A1 (en) Battery housing
KR200314172Y1 (ko) 철도차량의 운전실 모듈 고정장치
EP3617040B1 (de) Fahrerhausfront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erhauses
JP6119728B2 (ja) 車載機器の配設構造
JP3658900B2 (ja) 鉄道車両の天井部内装装置
SE470208B (sv) Modulbyggt rälsfordon
CN211223623U (zh) 一种汽车前端框架结构
CN209833783U (zh) 一种汽车锁钩
CN212289601U (zh) 拉手总成及车辆
JP6119729B2 (ja) 車載機器の配設構造
JPH0867150A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ールーム内部品搭載構造
KR100692158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지지유닛
KR10127336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