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067Y1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4067Y1 KR200314067Y1 KR20-2003-0006273U KR20030006273U KR200314067Y1 KR 200314067 Y1 KR200314067 Y1 KR 200314067Y1 KR 20030006273 U KR20030006273 U KR 20030006273U KR 200314067 Y1 KR200314067 Y1 KR 2003140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unit
- door
- emergency door
- fire
- sid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방화셔터(100)의 비상문(110)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111)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측면결합부(20)를 포함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은 몸체부(10)의 면적이 측면결합부(20)의 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단부와 겹쳐지는 중복겹침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하부돌기부(15')와 연접하여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상부돌기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복겹침부(11)의 일측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부돌기부(13")와 연접하여 또 다른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하부돌기부(1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에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으로 연기 또는 화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상기 틈을 기밀적으로 밀폐시키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비상문(110)을 구비하는 통상의 방화셔터(100)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빌딩, 백화점, 지하철역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에 연기 또는 화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구간별로 차단시키는 방화셔터(1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방화셔터(1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셔터유닛(101)들이 횡으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화셔터(100)에는 일반적으로 방화셔터(100)에 의한 구간별 차단시에 그 내부에 남아있는 사람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11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비상문(110)도 방화셔터(10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비상문유닛(111)들이 횡으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비상문(110)의 일측단부에는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된 구간 내부에 있는 사람의 미는 힘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비상문(110)을 선회시키고 힘의 해제시에는 급격히 원래의 폐쇄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경첩부(120)가 설치되며, 상기 비상문(110)의 타측단부에는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기밀적으로 밀폐하는 측면덮개부(130)가 결합되고,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비상문(110)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는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기밀적으로 밀폐하는 상부덮개부(140) 및/또는 하부덮개부(15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덮개부(130)는 각각의 비상문유닛(111)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측면덮개유닛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측면덮개유닛은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비상문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측면결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현재까지 다양한 측면덮개유닛이 개발되어 왔다.
그 예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995-0012360 호에는 측면결합부가 몸체부보다 현저히 더 크며, 비상문유닛 사이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돌기부가 전혀 없는 형태의 측면덮개유닛이 공지되는데, 이러한 측면덮개유닛의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을 기밀적으로 밀폐하는 몸체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로 상기 밀폐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면으로부터 서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가 측면에서 지지 고정되지 않는 관계로 사용 상태에 따라 비상문유닛들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995-0021915 호에는 비상문유닛 사이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돌기부가 하부에만 설치되는 측면덮개유닛이 기재되는데,이러한 측면덮개유닛의 경우에도 측면으로부터 서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가 측면에서 제대로 지지 고정되지 않는 관계로 사용 상태에 따라 비상문유닛들이 분리될 위험이 전혀 배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단순하다고 치부될 수 있을지도 모르나, 인간의 생명에 관계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는 작은 문제점이라 하더라도 사고발생시 엄청난 재산상 피해 뿐만 아니라 인적 상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을 더욱 효과적으로 기밀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가 측면에서 완벽히 지지 고정될 수 있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몸체부의 면적은 측면결합부의 면적보다 훨씬 더 크며,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는 중복겹침부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상단에는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상부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복겹침부의 일측에는 또 다른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하부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비상문을 구비하는 통상의 방화셔터의 부분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1"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10 : 몸체부
11 : 중복겹침부
13, 13" : 상부돌기부
15, 15' : 하부돌기부
20 : 측면결합부
100 : 방화셔터
101 : 셔터유닛
110 : 비상문
111 : 비상문유닛
120 : 경첩부
130 : 측면덮개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를 도시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측면덮개유닛(1) 이외의 방화셔터 부품은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은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방화셔터(100)의 비상문(110)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111)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측면결합부(2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의 면적은 측면결합부(20)의 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단부와 겹쳐지는 중복겹침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하부돌기부(15')와 연접하여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상부돌기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복 겹침부(11)의 일측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부돌기부(13")와 연접하여 또 다른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하부돌기부(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은 방화셔터(100)의 비상문(110)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111)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시에 방화셔터(100)에 의해 폐쇄된 구간 내의 연기 및 화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힘은 방화셔터용비상문의 경첩부(120)에 의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0)와 측면결합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는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측면결합부(20)는 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방화셔터(100)의 비상문(110)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111)의 일측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측면결합부(20)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을 상응하는 비상문유닛(11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측면결합부(20)는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비상문유닛(111)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면적은 측면결합부(2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비상문(110)의 측면덮개유닛(1)의 몸체부(10)와 방화셔터유닛(101)의 밀착면적이 훨씬 더 증대되므로, 비상문(110)의 폐쇄시에 방화셔터(100)와 비상문(110) 사이의 틈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는 중복겹침부(1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중복겹침부(1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단부와 겹쳐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중복겹침부(11)는 상기 몸체부(10)와 동일한 두께로 전면측에서 볼 때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중복겹침부(11)는 대부분의 면적이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단부와 겹쳐짐으로써, 화재 발생기에 방화셔터(100)에 의해 폐쇄된 구간 내의 연기 및 화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측면덮개유닛들(1, 1") 사이의 틈을 기밀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상부돌기부(13)가 상기 몸체부(10)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후면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부돌기부(13)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하부돌기부(15')와 연접하여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복 겹침부(11)의 일측에는 하부돌기부(15)가 상기 중복겹칩부(11)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후면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돌기부(15)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부돌기부(13")와 연접하여 또 다른 비상문유닛들(111)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1)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부(13) 및 하부돌기부(15)는 몸체부(10)와 측면결합부(20)의 경계선 상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돌기부(13)는 몸체부(10)와 측면결합부(20)의 경계선 상에서 측면결합부(20)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기부(15)는 몸체부(10)와 측면결합부(20)의 경계선 상에서 측면결합부(20) 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돌기부(13) 및 하부돌기부(15)의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돌기부(13)와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하부돌기부(15')와의 연접, 그리고 상기 하부돌기부(15) 및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부돌기부(13")와의 연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은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몸체부 및 중복겹침부 구성을 통하여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을 더욱 효과적으로 기밀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상, 하부돌기부의 구성을 통하여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가 측면에서 완벽히 지지 고정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방화셔터의 비상문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상문유닛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측면결합부(20)를 포함하는 통상의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에 있어서,상기 몸체부(10)의 면적은 측면결합부(20)의 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단부와 겹쳐지는 중복겹침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하부돌기부(15')와 연접하여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상부돌기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복 겹침부(11)의 일측에는 또 다른 측면덮개유닛(1")의 상부돌기부(13")와 연접하여 또 다른 비상문유닛들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지지 고정하는 하부돌기부(1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273U KR200314067Y1 (ko) | 2003-03-04 | 2003-03-04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273U KR200314067Y1 (ko) | 2003-03-04 | 2003-03-04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4067Y1 true KR200314067Y1 (ko) | 2003-05-22 |
Family
ID=4933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6273U KR200314067Y1 (ko) | 2003-03-04 | 2003-03-04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406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211B1 (ko) * | 2005-05-19 | 2007-10-26 | 박갑일 |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 |
-
2003
- 2003-03-04 KR KR20-2003-0006273U patent/KR2003140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211B1 (ko) * | 2005-05-19 | 2007-10-26 | 박갑일 |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0271Y1 (ko) | 방화문 | |
KR200314067Y1 (ko)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 |
JP6707246B1 (ja) | 止水ユニット | |
KR102074524B1 (ko) |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 |
KR200305989Y1 (ko) | 철제방화문의 결합구조 | |
KR100774489B1 (ko) | 일체형 다기능 창호 | |
JP2738377B2 (ja) | 防水機能付き屋外設置筐体 | |
KR100800172B1 (ko) | 방화문 | |
KR20190020955A (ko) |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도어 | |
CN211144251U (zh) | 一种防火防烟子母门 | |
CN210396548U (zh) | 一种防火门 | |
KR20160000197U (ko) | 방화문 결합 구조물 | |
KR200242280Y1 (ko) | 방화문 | |
JP2012031590A (ja) | サッシ | |
KR100717137B1 (ko) |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 |
JP2004019186A (ja) | 防火扉 | |
CN211851523U (zh) | 一种可防烟尘的钢质防火门联窗 | |
KR200149744Y1 (ko) |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 |
KR200305990Y1 (ko) |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 |
KR20020078692A (ko) | 방화문 | |
CN210681923U (zh) | 用于集装箱的防火门 | |
KR200300442Y1 (ko) | 방화용 셔터 개폐장치 | |
ES2353571T3 (es) | Abertura con un bastidor de tipo italiano o análogo, con batiente oculto. | |
JP3243992B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 | |
JP3451520B2 (ja) | 防災用ド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