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990Y1 -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990Y1
KR200305990Y1 KR20-2002-0034584U KR20020034584U KR200305990Y1 KR 200305990 Y1 KR200305990 Y1 KR 200305990Y1 KR 20020034584 U KR20020034584 U KR 20020034584U KR 200305990 Y1 KR200305990 Y1 KR 200305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ire door
frame
ed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복
Original Assignee
(주)삼선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선강건 filed Critical (주)삼선강건
Priority to KR20-2002-0034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철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방화문의 날개부와 밀착되는 프레임의 접촉부에 탄성을 갖는 밀폐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날개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틈새를 밀폐하여 차음 및 방화기능이 강화되는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전면(14a)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측 모서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그외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2)가 형성되는 방화문(10)과,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상기 날개부(12)와 밀착되는 날개안착부(21)가 형성된 프레임(20)을 포함하는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안착부(21)에 삽입고정되어 날개부(12)와 날개안착부(21)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날개부밀폐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door for prevention of fire formed a extened edge}
본 고안은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철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방화문의 날개부와 밀착되는 프레임의 접촉부에 탄성을 갖는 밀폐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날개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틈새를 밀폐하여 차음 및 방화기능이 강화되는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 또는 비상문에 설비되는 방화문는 외부 소음차단 및 화재가 이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구조물로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방화 및 차음기능을 갖는 철제방화문 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철제방화문, 11은 방화문손잡이, 12는 날개부, 13은 힌지부, 20은 프레임이다.
이는 먼저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문틀인 프레임(20)과, 이러한 프레임(20)의 사각구조에서 일측이 상기 프레임(20)에 고정삽입된 하나 이상의 힌지등의 결합수단(13)으로 프레임(20)과 결합되는 방화문(10)을 포함하며, 상기 방화문(10)의 전, 후면(14a)(14b)에는 돌출된 손잡이(11)가 각각 설치되고, 전면 (14a), 또는 후면(14b)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프레임(20)과 결합되는 상기 힌지 (13)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상기 방화문(10)을 밀거나 당기면, 상기 힌지(13)가 결합되지 않은 타측 가장자리가 원거리로 회전되는 부채꼴형상으로 상기 방화문(1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또한, 방화문(10)의 전면(14a) 가장자리에는 전면(14a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과 밀착되는 날개부(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날개부(12)는 상기 방화문(10)를 닫을 경우, 프레임(20)과의 사이공간을 가릴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연장형성되어, 상기 힌지부(13)와 함께 상기 방화문(10)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을 저지하고, 일방향으로만 젖혀 질 수 있도록 하며, 외부소음의 차단 및 화재시 실외로부터 연기나 열등이 내측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화문(10)과 프레임(20)간의 틈새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의 방화문(10)과 프레임(20)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철 또는 기타금속재질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도 1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방화문(1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2는 날개부, 14a는 방화문의 전면, 14b는 방화문의 후면, 20은 프레임, 20a는 제 1 프레임, 20b는 제 2 프레임, 21은 날개안착부, 22a는 제 1 패킹, 22b는 제 2 패킹, 23a는 제 1 돌출부 , 23b는 제 2 돌출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0)은 전면(14a)과 후면(14b)을 포함하여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중 전면(14a)의 가장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2)는 상기 프레임(2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날개안착부(21)에 안착되고, 후면(14b)의 양측 가장자리에 프레임(20a)(20b)의 제 1 및 제 2 패킹 (22a)(22b)과 밀착되어 상기 방화문(10)과 제 1 및 제 2 프레임(20a)(20b)간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0a)(20b)에는 각각 방화문(10)의 후면 (14b)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후면(14b)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23a)(2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23a) (23b)는 돌출된 영역에 일정공간의 삽입홈을 형성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패킹(22a)(22b)을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22a)(22b)은 상기 후면(14b)의 양측 가장자리와 밀착되고,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므로 방화문(10)의 개폐시, 상기 방화문(10)과 제 1 및 제 2 프레임(20a)(20b)과의 충격을 완화하고, 방화문(10)과 프레임(20a)(20b)과의 간격을 메꾸어 방음 및 방화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돌출부(23a)(23b)는 전면(14a) 일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프레임(20a)(20b)상에 오버랩되는 날개부(12)와 함께 방화문 (10)이 일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22a)(22b)이 후면 (14b)과 밀착되어 프레임(20a)(20b)과 후면(14b)과의 틈새를 밀폐하여 주변의 소음 및 화재의 발생시 타측으로 연기 및 열등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과 프레임은 주로 금속재로 구성되고, 이중 날개부와 날개안착부는 별도의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방화문이 닫힐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그 형상이 쉽게 변형되므로 날개부의 구성목적인 방화문과 프레임간의 틈새를 밀폐시켜 외부의 소음 또는 화재시에 발생되는 열과 연기가 차단하는 기능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방화문이 닫힐경우에 날개부와 날개안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통상의 경우에서 상기 날개부와 날개안착부의 밀착부위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착시켜 차음 및 방화기능이 강화된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화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 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화문 12 : 날개부
14a : 전면 14b : 후면
20 : 프레임 21 : 날개안착부
22a : 제 1 패킹 22b : 제 2 패킹
22c : 제 3 패킹 22d : 제 4 패킹
23a : 제 1 돌출부 23b : 제 2 돌출부
23c : 제 3 돌출부 23d : 제 4 돌출부
24a : 제 1 날개부밀폐수단 24b : 제 2 날개부밀폐수단
24c : 제 3 날개부밀폐수단 24d : 제 4 날개부밀폐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14a)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측 모서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그외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2)가 형성되는 방화문(10)과,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상기 날개부(12)와 밀착되는 날개안착부(21)가 형성된 프레임(20)을 포함하는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안착부(21)에 삽입고정되어 날개부(12) 와 날개안착부(21)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날개부밀폐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프레임의 날개안착부에 탄성력을 갖는 날개부밀폐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방화문이 닫힐 경우 날개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날개부에서 상기 날개부밀폐수단을 가압하여 밀착되므로 상기 날개부와 날개안착부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주요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상기 도 1의 Ⅰ-Ⅰ의 단면에 본 고안이 적용된 바를 도시하였다.
도면부호 10은 방화문, 12는 날개부, 14a는 전면, 14b는 후면, 20a는 제 1 프레임, 20b는 제 2 프레임, 21은 날개안착부, 22a는 제 1 패킹, 22b는 제 2 패킹, 23a는 제 1 돌출부, 23b는 제 2 돌출부, 24a는 제 1 날개부밀폐수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0)은 전면(14a)과 후면(14b)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14a)과 후면(14b)을 연결시키는 양측면을 포함하여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화문(10)은 전술한 후면(14b)과 일부가 밀착되도록 각각 대향되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20a)(20b)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전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부(13)와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3)와 결합되지 않은 타측 , 상 , 하 가장자리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날개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프레임(20a)과 제 2 프레임(20b)의 일 끝단에는 각각 방화문(10)의 후면(14b)으로 돌출된 제 1 및 제 2 돌출부(23a)(23b)가 설치되어 방화문(10)의 전면(14a)에서 일 가장자리를 따라 프레임(20)상에 오버랩되도록 돌출된 날개부(12)와 함께 방화문(10)이 일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의 발생시 이면으로 연기나 열등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23a)(23b)는 상기 후면(14b)과 밀착되는일정부위에 각각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패킹(22a)(22b)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방화문(10)이 닫힐 경우에 상기 방화문(10)로부터 프레임 (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전술한 방화문(10)의 전면(14a)에 설치된 날개부(12)에 대응되는 제 1 프레임(20a)의 외측가장자리 부분에는 날개안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안착부(21)에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날개부밀폐수단(24a)이 삽입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 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면부호 20c는 제 3 프레임, 20d는 제 4 프레임, 22c는 제 3 패킹, 22d는 제 4 패킹 , 23c 제 3 돌출부, 23d는 제 4 돌출부, 24b는 제 2 날개부밀폐수단, 24c는 제 3 날개부밀폐수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0)의 상, 하로는 제 3 및 제 4 프레임(20c)(20d)이 설치되고, 여기서 제 3 프레임(20c)은 제 4 프레임(20d)을 향해 돌출된 제 3 돌출부(23c)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돌출부(23c)는 절곡홈에 삽입된 제 3 패킹(22c)과 제 3 프레임(20c)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면(14a)의 날개부(12)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 3 프레임(20c)의 일측 모서리에서 절곡형성된 날개안착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안착부(21)는 상기 날개부(12)와 날개안착부(21)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제 2 날개부밀폐수단(24b)이 삽입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화문(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4 프레임(20d)은 상기 후면(14b)의 하측가장자리와 밀착되는 제 4 패킹(22d)을 포함하여 상기 제 3 돌출부 (23c)와 대향되도록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 4 돌출부(23d)가 구성된다. 또한 제 4 프레임(20d)은 상기 방화문(10)의 전면(14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12)가 밀착되는 날개안착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안착부(21)는 상기 날개부(12)와 날개안착부(21)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제 3 날개부밀폐수단(24c)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본 고안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방화문(10)을 닫게 되면 전면에서 힌지부(13)와 결합된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타측과 상, 하측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상기 날개부(12)는 프레임(20)의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상기 날개부(12)와 대응되는 날개안착부(21)에 삽입고정되는 날개부밀폐수단(24)을 가압하게 되어 날개부(12)와 날개안착부(21)사이가 틈새없이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연기 또는 열등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밀폐수단 (24)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방화문(10)을 격하게 닫을 경우, 상기 날개부(12)가 날개부안착부(21)에 안착시에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날개부밀폐수단(24)에 의해 흡수되어 충격에 의한 날개부(12)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날개부가 구비된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는, 금속성재질로 형성된 방화문의 날개부와 프레임의 날개안착부간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날개부밀폐수단을 구성함에 따라서 방화문이 닫힐 경우, 즉, 날개부가 상기 날개안착부에 안착될시에 양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날개부밀폐수단에 의해 흡수되므로 금속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날개부와 날개안착부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원인이되는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날개부밀폐수단을 가압하면서 프레임에 밀착되므로 날개부와 프레임간이 완전히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소음 및 화재시 연기나 열등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1)

  1. 전면(14a)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측 모서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그외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2)가 형성되는 방화문(10)과,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부(13)가 결합되고, 타측, 상, 하 가장자리에서 상기 날개부(12)와 밀착되는 날개안착부(21)가 형성된 프레임(20)을 포함하는 방화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안착부(21)에 삽입고정되어 날개부(12)와 날개안착부(21)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날개부밀폐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가 형성된 방화문의 결합구조.
KR20-2002-0034584U 2002-11-19 2002-11-19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KR200305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584U KR200305990Y1 (ko) 2002-11-19 2002-11-19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584U KR200305990Y1 (ko) 2002-11-19 2002-11-19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990Y1 true KR200305990Y1 (ko) 2003-03-04

Family

ID=4940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584U KR200305990Y1 (ko) 2002-11-19 2002-11-19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23B1 (ko) * 2013-07-09 2014-08-13 백송종합건설 (주) 2중 밀폐형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23B1 (ko) * 2013-07-09 2014-08-13 백송종합건설 (주) 2중 밀폐형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4160A1 (en) Fire rated door or fire rated window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200390271Y1 (ko) 방화문
KR101676712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200305989Y1 (ko) 철제방화문의 결합구조
KR20100011143U (ko) 열전달 차단부재가 마련된 방화문
KR200305990Y1 (ko) 날개부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구조
US3475863A (en) Shutter window with an elastic element for holding and retaining the plate
KR101576524B1 (ko) 방화문
CN210067884U (zh) 一种木质隔热防火双扇门
KR200430961Y1 (ko)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
KR200228920Y1 (ko) 도어 및 문틀구조
JP3995080B2 (ja) フレーム枠及び被覆エレメント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KR200305818Y1 (ko) 도어의 밀폐구조
CN209011721U (zh) 一种防火门与门套连接处的构造结构
CN211851523U (zh) 一种可防烟尘的钢质防火门联窗
KR200263712Y1 (ko) 방화문 결합구조물
CN211549464U (zh) 一种加强钢质防火门耐火性能的门扇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CN212832298U (zh) 一种平开门密封结构、平开门
KR200149744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KR102298520B1 (ko) 방화문
JP6726507B2 (ja) 建具
KR20020092322A (ko) 방화문 결합구조물
KR200314067Y1 (ko)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측면덮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