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39Y1 -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39Y1
KR200312439Y1 KR20-2003-0002894U KR20030002894U KR200312439Y1 KR 200312439 Y1 KR200312439 Y1 KR 200312439Y1 KR 20030002894 U KR20030002894 U KR 20030002894U KR 200312439 Y1 KR200312439 Y1 KR 200312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belt
head
conveyor assembly
load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정기
Original Assignee
길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정기 filed Critical 길정기
Priority to KR20-2003-0002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B65H5/22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by 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 B65H2406/322Suction distributing means
    • B65H2406/3221Suction distributing means for variable distribution in the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 B65H2406/36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producing vacuum
    • B65H2406/366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40Fluid power drive; Fluid supply elements
    • B65H2406/4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급지장치는 로딩된 판지더미를 이송시키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와, 최하단의 판지를 제외한 상측의 판지들의 이동을 제지하는 수직스토퍼를 구비하며, 로딩컨베이어조립체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고정되는 다수의 헤드풀리와, 헤드풀리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테일풀리와, 각 테일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과, 쌍을 이루는 헤드풀리와 테일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와, 헤드풀리가 회전되도록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로딩컨베이어조립체에 로딩된 판지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를 로딩컨베이어조립체의 각 벨트에 밀착시켜주는 밀착수단을 더 구비하며, 밀착수단은 각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들과, 각 벨트의 상부주행부 밑면에 배치되도록 각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다수의 석션헤드 및 각 석션헤드가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의 판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 진공펌프와 각 석션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지장치{PAPER FEEDER}
본 고안은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지기 또는 인쇄기에 판지를 하나씩 낱장으로 공급해주기 위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단된 판지를 합지기(Laminator)에 공급하거나 또는 절단된 인쇄지를 인쇄기(Printer)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판지 또는 인쇄지를 하나씩 낱장으로 하여 상기 합지기 또는 인쇄기에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여러 장의 판지가 한꺼번에 겹쳐진 상태로 합지기 또는 인쇄기에 공급되면, 합지불량이 발생되거나 또는 인쇄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합지기 또는 인쇄기에 절단된 판지 또는 인쇄지(이하에서는, "판지"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를 하나씩 낱장으로 공급하는 급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10)을 가지며, 이 프레임(10)에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가 설치된다.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는 판지(P)를 로딩하고, 로딩된 판지(P)를 전방의 합지기(L)로 이송시키기 위한 멀티형(multi-type) 컨베이어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1)과, 이 회전축(21)과 나란하도록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축(22)과, 상기 회전축(21)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풀리(23)와, 헤드풀리(23)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테일풀리(24)와, 상기 각 테일풀리(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22)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25)과, 쌍을 이루는 헤드풀리(23)와 테일풀리(24)를 감아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26)와, 헤드풀리(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7)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상부에 로딩된 판지(P)를 전방의 합지기(L)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에 로딩된 판지(P)가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를 따라 하나씩 낱장으로만 이송될 수 있게 하는 낱장이송수단(30)을 갖추고 있다. 이 낱장이송수단(30)은 로딩된 판지 (P)더미의 이동을 제지하는 수직스토퍼(3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 수직스토퍼(32)는 판지(P)의 이동을 제지하도록 상기 판지(P)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있되, 로딩된 판지(P)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P1)만이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 (26)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낱장이송수단(30)의 수직스토퍼(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한쌍으로 구성되며, 이들 한쌍의 수직스토퍼(32)는 로딩되는 판지(P)의 사이즈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2)을 따라 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된 판지(P)와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로딩된 판지(P)더미의 후단부를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로부터 들어주는 받침축(40)을 갖는다. 이 받침축(40)은 판지(P)와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와의 마찰접촉력을 최소화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벨트(26)에 의해 여러 장의 판지(P)가 한꺼번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된 판지(P)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P1)만을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 (50)을 갖는다. 이 밀착수단(50)은 벨트(26)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멍(52)들과, 이들 관통구멍(52)을 통해 판지(P)의 선단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벨트(26)의 상부주행부(26a) 밑면에 설치되는 석션헤드(54) 및 석션헤드(54)가 작동되도록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56)로 구성된다. 특히, 석션헤드(54)는 다수의 석션구멍(55a)을 갖는 헤드몸체(55)를 갖추고 있는데, 이 헤드몸체(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헤드몸체(55)는 판지(P)의 선단 중앙부를 주로 흡착할 수 있도록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선단 중앙에 설치된다.
이러한 밀착수단(50)은 석션헤드(54)를 통해 최하단의 판지(P)만을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에 밀착시켜줌으로써 상기 벨트(26)로 하여금 최하단의 판지(P1)만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의 급지장치는 판지(P)더미를 로딩한 후,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와 낱장이송수단(30)과 밀착수단(50)을 통해 로딩된 판지(P) 중, 최하단의 판지(P1)만을 하나씩 차례로 이송시킴으로써 일측에 배치된 합지기(L)에 낱장의 판지(P)를 하나씩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급지장치는 밀착수단(50)의 석션헤드(54)가 판지(P)의 중앙부만을 흡착하도록 구성되는 바, 사이즈가 큰 판지(P)가 로딩되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흡착효율을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물론, 석션헤드(54)의 길이를 길게 하여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흡착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같은 경우, 석션구멍(55a)의 수가 증가되므로 오히려 전체적인 흡착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이를 보상하기 위해 진공펌프(56)를 대용량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한편, 진공펌프(56)를 대용량으로 교체하여 흡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사이즈가 작은 판지(P)가 로딩되었을 경우, 오히려 증가된 흡착력 때문에 여러 장의 판지가 동시에 흡착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지의 사이즈에 따라 흡착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흡착효율을 증대시켜주기 위한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흡착 폭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작은 용량의 진공펌프로도 판지의 흡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20: 이송컨베이어조립체
21: 회전축 22; 지지축
23: 헤드풀리 24: 테일풀리
25: 지지브라켓 26: 벨트
27: 구동모터 30: 낱장이송수단
32: 수직스토퍼 40: 받침축
100: 밀착수단 110: 관통구멍
120: 석션헤드 122: 헤드몸체
124: 돌출벽 126: 석션구멍
128: 석션실 130: 진공펌프
140: 연결관조립체 142: 메인연결관
144: 브렌치연결관 146: 차단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로딩된 판지더미를 이송시키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와, 최하단의 판지를 제외한 상측의 판지들의 이동을 제지하는 수직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간격을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헤드풀리와, 헤드풀리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테일풀리와, 상기 각 테일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과, 쌍을 이루는 헤드풀리와 테일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와, 상기 헤드풀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에 로딩된 판지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를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의 각 벨트에 밀착시켜주는 밀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각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들과, 상기 각 벨트의 상부주행부 밑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각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다수의 석션헤드 및 상기 각 석션헤드가 상기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의 판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와 각 석션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급지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급지장치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가지며, 이 프레임(10)에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가 설치된다.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1)과, 이 회전축(21)과 나란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지지축(22)과, 회전축(21)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풀리(23)와, 헤드풀리(23)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테일풀리(24)와, 상기 각 테일풀리(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22)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25)과, 쌍을 이루는 헤드풀리(23)와 테일풀리(24)를 감아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26)와, 헤드풀리(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7)로 구성된다.
그리고 급지장치는 로딩된 판지(P)가 하나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낱장이송수단(30)을 갖는다. 낱장이송수단(30)은 로딩된 판지(P)더미의 이동을 제지하는 수직스토퍼(32)로서, 이 수직스토퍼(32)는 판지(P)의 선단부를 지지하되, 로딩된 판지(P)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P1)만이 벨트(26)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물론, 낱장이송수단(30)의 수직스토퍼(32)는 양쪽에 한쌍으로 구성되며, 그 간격이 조절되도록 프레임(10)의 가이드봉(12)을 따라 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급지장치는 로딩된 판지(P)더미의 후단부를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로부터 들어주는 받침축(40)을 갖는다. 이 받침축(40)은 로딩된 판지(P)더미의 후단부를 들어줌으로써 판지(P)와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준다.
한편, 본 고안의 급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된 판지(P)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P1)만을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벨트(26) 상면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100)을 갖추고 있다. 이 밀착수단(100)은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각 벨트(2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10)들과, 이들 관통구멍(110)을 통해 판지 (P)의 선단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각 벨트(26)의 상부주행부(26a) 밑면에 설치되는다수의 석션헤드(120) 및 각 석션헤드(12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130)와, 진공펌프(130)와 각 석션헤드(120)를 연결하는 연결관조립체 (140)로 구성된다.
석션헤드(120)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테일풀리(2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25)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5)에 용접 고정되는 헤드몸체(122)를 갖는다. 헤드몸체(122)는 벨트(26)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 상면에는 지지브라켓(25)과 마주보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벽(124)을 갖추고 있다. 이 돌출벽(124)은 마주보는 지지브라켓 (25)과 함께 벨트(26)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주행하는 벨트(2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헤드몸체(122)에는 석션구멍(126)과 석션실(128)이 형성되어 있다. 석션구멍(126)은 벨트(26)에 형성된 관통구멍(110)과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벨트(26) 상측의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석션실(128)은 석션구멍(126)이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진공을 형성한다. 석션실(128)은 연결관조립체(140)를 통해 진공펌프(130)와 연결된다.
이러한 헤드몸체(122)는 석션구멍(126)을 통해 벨트(26) 상측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벨트(26)를 따라 이동하는 최하단의 판지(P1)만을 흡착하여 상기 벨트 (26)에 밀착시킨다.
한편, 석션헤드(120)와 진공펌프(13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조립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130)의 흡입단(132)과 직접 연결되는 메인연결관(142)과, 메인연결관(142)과 각 석션헤드(120)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렌치연결관(144)으로 구성된다. 특히, 브렌치연결관(1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헤드(120)의 석션실(128)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석션실(128)의 공기를 빨이들여 진공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각 브렌치연결관(144)에는 차단밸브(146)가 설치되는데, 이 차단밸브 (146)는 브렌치연결관(144)을 차단하여 석션헤드(120)가 작동되지 않게 한다. 이같은 차단밸브(146)는 필요에 따라 각 석션헤드(12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로딩되는 판지(P)의 사이즈에 따라 흡착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각 차단밸브(146)를 통해 각 석션헤드(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판지(P)의 흡착부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판지(P)의 흡착효율을 최대한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 뿐만 아니라 각 차단밸브(146)를 통해 석션헤드(120)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용량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판지(P)의 흡착효율을 최대한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의 밀착수단(100)은 로딩컨베이어조립체(20)의 각 벨트(26)마다 설치되는 석션헤드(120) 및 이를 제어하는 각 차단밸브(146)를 통해 판지(P)의 사이즈에 따라 흡착폭과 흡착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판지(P)의 흡착효율을 증대시켜 준다. 특히, 각 차단밸브(146)를 통해 각 석션헤드(120)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용량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판지(P)를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의 각 벨트마다 설치되는 석션헤드와 이를 제어하는 각 차단밸브를 통해 흡착폭과 흡착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판지의 사이즈에 따라 판지의 흡착효율을 증대시켜 준다. 특히, 각 차단밸브를 통해 각 석션헤드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용량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판지를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Claims (3)

  1. 로딩된 판지더미를 이송시키는 로딩컨베이어조립체와, 최하단의 판지를 제외한 상측의 판지들의 이동을 제지하는 수직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헤드풀리와, 헤드풀리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테일풀리와, 상기 각 테일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과, 쌍을 이루는 헤드풀리와 테일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와, 상기 헤드풀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에 로딩된 판지더미 중, 최하단의 판지를 상기 로딩컨베이어조립체의 각 벨트에 밀착시켜주는 밀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각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들과, 상기 각 벨트의 상부주행부 밑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각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다수의 석션헤드 및 상기 각 석션헤드가 상기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의 판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와 각 석션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조립체는 상기 진공펌프과 연결되는 메인연결관과, 상기 메인연결관과 각 석션헤드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렌치연결관 및 상기 각 브렌치연결관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브렌치연결관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들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헤드는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벨트의 일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돌출벽과 함께 벨트의 양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KR20-2003-0002894U 2003-01-29 2003-01-29 급지장치 KR200312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94U KR200312439Y1 (ko) 2003-01-29 2003-01-29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94U KR200312439Y1 (ko) 2003-01-29 2003-01-29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39Y1 true KR200312439Y1 (ko) 2003-05-12

Family

ID=4933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94U KR200312439Y1 (ko) 2003-01-29 2003-01-29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03B1 (ko) * 2008-11-26 2009-07-09 (주) 진코퍼레이션 시트의 인쇄면 전환장치
KR101010304B1 (ko) 2009-08-25 2011-01-25 태성산업주식회사 판지 공급장치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KR101981472B1 (ko) 2017-12-19 2019-05-24 김영이 합지 장치
KR20200126176A (ko) * 2019-04-29 2020-11-06 방금필 자동급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03B1 (ko) * 2008-11-26 2009-07-09 (주) 진코퍼레이션 시트의 인쇄면 전환장치
KR101010304B1 (ko) 2009-08-25 2011-01-25 태성산업주식회사 판지 공급장치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KR101981472B1 (ko) 2017-12-19 2019-05-24 김영이 합지 장치
KR20200126176A (ko) * 2019-04-29 2020-11-06 방금필 자동급지기
KR102187392B1 (ko) * 2019-04-29 2020-12-04 방금필 자동급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55172B2 (ko)
KR200312439Y1 (ko) 급지장치
CN1931694A (zh) 纸张类输送路径切换装置
CN111252586A (zh) 一种单张吸附的纸张传送装置
JP5457113B2 (ja) ウエハ搬送方法およびウエハ搬送装置
KR101639049B1 (ko) 성질과 평량이 다른 지류의 고속 합지장치
KR101724317B1 (ko)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JPH1045309A (ja) 紙葉のずれ重なった流れを紙葉処理機械へ搬送する装置
CN214448896U (zh) 一种用于分批上料的印刷开槽机
JP6161275B2 (ja) 2つのサクションホイールを備えるシートフィーダ
JP2015044682A (ja) 板紙類供給装置
CN216004552U (zh) 一种输纸结构及其输纸器
KR102187392B1 (ko) 자동급지기
JP4392535B2 (ja) ブランクシートの供給装置
CN216155058U (zh) 大型宽距纸板的打印输送装置
CN219040441U (zh) 一种传输装置
KR102517315B1 (ko) 포대 이송장치
JP3216292U (ja) 給紙装置用ポンプ装置
JPH0596662A (ja) 製函用段ボールシートの整列供給装置
JPS6175752A (ja) シ−ト状物の供給装置
JP3652884B2 (ja) 枚葉機の給紙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98379B1 (ko) 인쇄기의 자동급지장치
JP3614562B2 (ja) 印刷機の給紙装置における枚葉紙案内装置
CN117023211A (zh) 一种差速分离送纸机构
JP4595928B2 (ja) 印刷用記録プレート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