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176A - 자동급지기 - Google Patents

자동급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176A
KR20200126176A KR1020190049824A KR20190049824A KR20200126176A KR 20200126176 A KR20200126176 A KR 20200126176A KR 1020190049824 A KR1020190049824 A KR 1020190049824A KR 20190049824 A KR20190049824 A KR 20190049824A KR 20200126176 A KR20200126176 A KR 2020012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ction box
roller
roller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392B1 (ko
Inventor
방금필
Original Assignee
방금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금필 filed Critical 방금필
Priority to KR102019004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4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 B31B50/96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in an overlapping arrangement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원단적재대(10);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는 석션박스부(20); 상기 석션박스부(2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2 서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이송롤러부(30); 상기 이송롤러부(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3 서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타발기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본체급지부(50)로 자동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원단 가이드 롤러부(40); 및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발기가 구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급지기{Automatic Paper Supplier}
본 발명은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원단적재대(10);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는 석션박스부(20); 상기 석션박스부(2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2 서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이송롤러부(30); 상기 이송롤러부(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3 서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타발기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본체급지부(50)로 자동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원단 가이드 롤러부(40); 및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발기가 구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에 관한 것이다.
타발기는 골판지와 마분지 등의 시트를 다양한 형태의 박스로 제작하기 위하여 전개도 형태로 커팅을 하며, 접히는 부분을 가압하여 박스를 제작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타발기는 일반적으로 시트 삽입구를 통하여 시트를 공급 받고, 공급받은 시트를 구동부의 구동을 통하여 이송하고, 타발부에서 이송된 시트를 커팅 및 가압을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시트 삽입구로 시트를 공급할 때에, 작업자가 적재된 시트에서 한 장씩 분리하여 상기 시트 삽입구에 수동으로 공급해주어야 했다.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시트를 공급해야 함에 따라 작업 속도가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작업자의 장갑 혹은 옷 등이 타발기에 끌려 들어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자동으로 시트를 공급해주는 장치가 공개특허 제2010-0137207호(2010.12.31 공개)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기 타발기와 자동급지기가 자동으로 동조되지 않아 상기 타발기의 구동부 속도와 상기 자동급지기의 시트 공급속도를 수동으로 동조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1505447호(2015.03.18.)를 들 수 있는데, 이 등록특허 제10-1505447호는 "공급장치에서 타발기로 시트를 공급하는 급지기에 있어서, 상기 급지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시트가 적재되고, 적재된 상기 시트들 중 최하단의 시트만 통과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 적재부; 상기 급지기의 상단에 복수개의 롤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이송컨베이어가 상기 급지기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고, 적재된 상기 시트들 중 최하단의 시트만 상기 타발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타발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는 상기 급지기의 상부 양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급지기의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적재부를 상기 급지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 각각의 상기 프레임 상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급지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이동 가능하여, 적재된 상기 시트들 중 최하단의 시트만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두께조절부; 및 상기 시트의 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두께조절부의 상기 시트가 적재되는 방향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폭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 폭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급지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시트가 급지기와 밀착되도록 흡입하는 역할을 하는 진공장치'에 관한 내용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등록특허 제10-1505447호는 타발기의 구동상태와 연계하여 이송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개시하고 있으나 타발기의 구동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시트를 흡입하는 구조여서 진공장치를 구동하는 동력의 낭비가 있을 뿐 아니라 시트 이송에 더 많은 힘이 필요하므로 시트의 두께에 따른 진공장치의 흡입력 조절이 필요한 외에도 적절한 시트의 이송을 위해서도 진공장치의 흡입력 조절이 필요하여 진공장치의 흡입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렵고 진공장치가 급지기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어서 시트를 여러 장 흡입할 수 없고 또 흡입 시 시트에 대한 흡입력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등록특허 제10-1505447호에 있어서는, 골판지나 시트를 포함하는 종이 원단(이하, '원단'이라 합니다.)을 적재하는 원단적재대의 길이와 폭의 조절은 가능하였으나 원단적재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원단적대로부터 진공장치로 원단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진공장치 위 또는 아래에 적재되는 원단 높이가 원단적재대의 적재판의 높이보다 낮아야 해서 원단의 적재 매수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등록특허 제10-1505447호에 있어서는, 이송부를 롤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이송컨베이어로 구성함으로써 원단을 확실하게 파지하거나 안내하여 이송할 수 없어 빠른 속도로 이송 시 원단의 이탈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송속도를 낮추어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7004호(22013.02.19.)
본 발명에 의한 자동급지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발기의 구동상태와 연계하여 원단을 흡입 및 흡입 해제하게 함으로써 석션박스부를 구동하는 동력의 낭비를 저감하고 석션박스부의 흡입력을 조절하기 용이한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이 적재된 석션박스부로 원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원단적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단을 확실하게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이송 시에도 원단의 이탈 우려가 방지되는 한 쌍의 상하 롤러부를 포함하되 이송되는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하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급지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원단적재대(10);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는 석션박스부(20); 상기 석션박스부(2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2 서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이송롤러부(30); 상기 이송롤러부(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3 서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타발기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본체급지부(50)로 자동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원단 가이드 롤러부(40); 및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발기가 구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적재대(10)는, 원단을 적재하는 적재 플레이트(12);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의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는 원단적재 가이드 한 쌍의 롤러(11); 상기 한 쌍의 롤러(11)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는 회전이송 안내판(15);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상하 및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적재플레이트 조정핸들(14),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13)를 구비한 적재 플레이트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재대(10)의 적재 플레이트(12) 또는 한 쌍의 롤러(11)의 상측부는 상기 석션박스부(20)의 상측부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박스부(20)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양측단을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정렬판(26, 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정렬판(26, 26') 중 하나 이상은 신축가능한 실린더(27)의 로드(27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박스부(20)는, 원단(1)을 상면에 적치하여 에어 흡입으로 흡착할 수 있는 석션박스(21); 상기 석션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된 원단(1)을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급지롤러(22);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의 아래에서 복수의 급지롤러(22)에 대해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아이들 롤러의 좌측 하방 및 상기 제1 서보모터(25)의 측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4); 및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 아이들러(24), 및 제1 서보모터(25)의 회전축의 사이에 연결된 벨트(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롤러부(30)는,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2 서보모터(31); 상기 제2 서보모터(31)의 회전축에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 기어(32a)를 구비하는 이송급지 하부롤러(32); 상기 기어(32a)와 맞물리는 기어(34a)를 구비하고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을 가지는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상기 기어(34a)와 맞물리는 기어(38a)를 일단부 부근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에는 기어(37a)를 구비하며,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롤러 조정축(38); 상기 기어(37a)와 맞물리는 기어(36a)를 자유단부에 구비한 중심축의 타단부에 설치된 급지롤러 조정핸들(36); 및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손잡이(3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34a)가 편심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급지 하부롤러(32)와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 가이드 롤러부(40)는,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3 서보모터(46);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전방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풀리(P1);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풀리(P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상기 제3 서보모터(46),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및 풀리(P1) 사이에 설치된 원단 이송 벨트(47); 상기 원단 이송 벨트(47)의 위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축(49)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브라켓(41a)을 구비한 지지대(41);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후방 고무롤러(42), 전방 고무롤러(43), 및 상기 고무롤러(43)와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 설치된 브러쉬 롤러(44)를 포함하는 롤러부; 및 상기 지지대(41)를 상기 회전축(4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브라켓(41a)에 연결된 신축형 로드(45b)를 구비하고 하단부측이 힌지(45a)에 연결된 실린더(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정렬판(26, 26')은 상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홀을 구비한 측면 플랜지(26a)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홀 중 하나와 볼트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석션박스(21)의 상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박스(21)는, 에어 흡입에 의한 원단(1)의 흡착을 위해 상기 석션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관(29); 상기 흡입관(29)의 에어 유로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28a); 상기 디스크(28a)에 연결된 연결봉(28b); 상기 연결봉(28b)의 단부에 연결된 레버(28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급지기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타발기의 구동상태와 연계하여 원단을 흡입 및 흡입 해제하게 함으로써 석션박스부를 구동하는 동력의 낭비를 저감하고 석션박스부의 흡입력을 조절하기 용이한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원단이 적재된 석션박스부로 원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원단적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원단을 확실하게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이송 시에도 원단의 이탈 우려가 방지되는 한 쌍의 상하 롤러부를 포함하되 이송되는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하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자동급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체급지부에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지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원단적재대로부터 석션박스부로 원단이 적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적재대 및 석션박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원단이 적재 완료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적재대 및 석션박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석션박스부와 원단정렬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석션박스부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석션박스를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석션박스의 흡입관, 흡입관의 에어 유로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 및 디스크에 연결된 연결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이송롤러부의 정면도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측면에 설치된 급지롤러 조정핸들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실린더의 로드가 신장하여 지지대를 위로 회전시킨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자동급지기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1은 본체급지부에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지기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원단적재대로부터 석션박스부로 원단이 적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적재대 및 석션박스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원단이 적재 완료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적재대 및 석션박스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석션박스부와 원단정렬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석션박스부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석션박스를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석션박스의 흡입관, 흡입관의 에어 유로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 및 디스크에 연결된 연결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이송롤러부의 정면도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측면에 설치된 급지롤러 조정핸들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자동급지기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원단 가이드 롤러부의 실린더의 로드가 신장하여 지지대를 위로 회전시킨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급지기는, 원단적재대(10), 석션박스부(20), 이송롤러부(30), 원단 가이드 롤러부(40),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적재대(10)는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것으로, 원단을 적재하는 적재 플레이트(12);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의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는 원단적재 가이드 한 쌍의 롤러(11); 상기 한 쌍의 롤러(11)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는 회전이송 안내판(15);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상하 및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적재플레이트 조정핸들(14),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13)를 구비한 적재 플레이트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재대(10)의 적재 플레이트(12) 또는 한 쌍의 롤러(11)의 상측부는 상기 석션박스부(20)의 상측부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석션박스부(20)는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원단(1)을 상면에 적치하여 에어 흡입으로 흡착할 수 있는 석션박스(21); 상기 석션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된 원단(1)을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급지롤러(22);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의 아래에서 복수의 급지롤러(22)에 대해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아이들 롤러의 좌측 하방 및 상기 제1 서보모터(25)의 측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4); 및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 아이들러(24), 및 제1 서보모터(25)의 회전축의 사이에 연결된 벨트(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여 자동이송 전 후술하는 이송급지 하부롤러(32)와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사이의 간격에 맞춰 정렬되는 이송 위치에서 대기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이처럼 자동이송되는 원단(1)위에 다른 원단(10을 여러 매 적치할 수 있어 원단(1)의 자동이송이 끊이지 않고 연속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부(30)는 상기 석션박스부(2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2 서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것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2 서보모터(31); 상기 제2 서보모터(31)의 회전축에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 기어(32a)를 구비하는 이송급지 하부롤러(32); 상기 기어(32a)와 맞물리는 기어(34a)를 구비하고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을 가지는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상기 기어(34a)와 맞물리는 기어(38a)를 일단부 부근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에는 기어(37a)를 구비하며,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롤러 조정축(38); 상기 기어(37a)와 맞물리는 기어(36a)를 자유단부에 구비한 중심축의 타단부에 설치된 급지롤러 조정핸들(36); 및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손잡이(3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34a)가 편심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급지 하부롤러(32)와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상하 롤러부에 의해 원단을 확실하게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이송 시에도 원단의 이탈 우려가 방지되는 한편 이송되는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하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원단 가이드 롤러부(40)는 상기 이송롤러부(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3 서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타발기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본체급지부(50)로 자동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3 서보모터(46);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전방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풀리(P1);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풀리(P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상기 제3 서보모터(46),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및 풀리(P1) 사이에 설치된 원단 이송 벨트(47); 상기 원단 이송 벨트(47)의 위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축(49)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브라켓(41a)을 구비한 지지대(41);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후방 고무롤러(42), 전방 고무롤러(43), 및 상기 고무롤러(43)와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 설치된 브러쉬 롤러(44)를 포함하는 롤러부; 및 상기 지지대(41)를 상기 회전축(4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브라켓(41a)에 연결된 신축형 로드(45b)를 구비하고 하단부측이 힌지(45a)에 연결된 실린더(45)를 포함한다. 이런 구성에 따르면, 이송되는 원단(1)을 상기 후방 고무롤러(42), 전방 고무롤러(43), 및 브러쉬 롤러(44)로 눌러주면서 가이드하기 때문에 이송되는 원단(1)의 이송 속도가 빠를 경우 원단(1)이 위로 들려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브러쉬 롤러(44)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어 원단(1)을 눌러주며 가이드하기 때문에 원단(1)이 본체 급지부(50)로 공급되기 전에 일시 정지하면서 대기할 때 원단(1)에 기스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45)의 로드(45b)가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원단 가이드 롤러부(40)에 대한 수리 사유 또는 다른 사유 발생 시에 실린더(45)의 로드(45b)의 신장으로 지지대(41)를 회전축(49)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시켜 수지 등의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발기, 석션박스부(20), 및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타발기의 구동에 연계하여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지기가 상기 석션박스부(20)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양측단을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정렬판(26, 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정렬판(26, 26') 중 하나 이상은 신축가능한 실린더(27)의 로드(27a)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원단정렬판(26, 26') 중 하나 이상을 실린더(27)의 로드(27a)의 신축으로 이동시켜서 적치되는 복수의 원단(1)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원단정렬판(26, 26')은 상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홀을 구비한 측면 플랜지(26a)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홀 중 하나와 볼트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석션박스(21)의 상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단(1)의 두께에 따라 원단정렬판(26, 26')과 석션박스(21)의 상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단정렬판(26, 26')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석션박스(21)로 부터 위로 일부 돌출된 복수의 급지롤러(22)에 의해 원단(1)이 상기 간격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석션박스(21)는, 에어 흡입에 의한 원단(1)의 흡착을 위해 상기 석션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관(29); 상기 흡입관(29)의 에어 유로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28a); 상기 디스크(28a)에 연결된 연결봉(28b); 상기 연결봉(28b)의 단부에 연결된 레버(28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레버(28c)를 돌려 연결봉(28b) 및 디스크(28a)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9)의 에어 유로를 열림, 중간 (열림), 및 닫힘 중 하나로 조절하여 원단(1)의 두께나 무게 등에 맞추어 원단(1)에 대한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28c)의 회전에 의한 연결봉(28b) 및 디스크(28a)의 회전으로 원단(1)에 대한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은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원단
10 : 원단적재대
11 : 롤러
12 : 적재 플레이트
13 : 고정 클램프
14 : 적재플레이트 조정핸들
15 : 회전이송 안내판
20 : 석션박스부
21 : 석션박스
22 : 급지롤러
23 : 벨트
24 : 아이들러
25 : 제1 서보모터
26, 26' : 원단정렬판
27 : 실린더
27a : 로드
28a : 디스크
28b : 연결봉
28c : 레버
29 : 흡입관
30 : 이송롤러부
31 : 제2 서보모터
32 : 이송급지 하부롤러
32a, 34a, 37a, 38a : 기어
34 : 이송급지 상부롤러
36 : 급지롤러 조정핸들
37 : 고정 손잡이
38 : 조정축
40 : 원단 가이드 롤러부
41 : 지지대
41a : 브라켓
42 : 후방 고무롤러
43 : 전방 고무롤러
44 : 브러쉬 롤러
45 : 실린더
45b : 신축형 로드
46 : 제3 서보모터
47 : 원단 이송 벨트
48 : 아이들 롤러
49 : 회전축
50 : 본체급지부
F : 프레임
P1 : 풀리

Claims (7)

  1. 원단(1)을 적재하고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원단적재대(10);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흡입하여 일시 고정하고 이후 원단(1)에 대한 흡입의 중지로 원단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제1 서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이송할 수 있는 석션박스부(20);
    상기 석션박스부(2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2 서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자동이송하는 이송롤러부(30);
    상기 이송롤러부(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1)을 제3 서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타발기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본체급지부(50)로 자동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원단 가이드 롤러부(40); 및
    상기 타발기, 석션박스부(20), 및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발기가 구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발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내지 3 서보모터(25, 31, 46)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석션박스부(20)에 의해 원단(1)이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적재대(10)는,
    원단을 적재하는 적재 플레이트(12);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의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는 원단적재 가이드 한 쌍의 롤러(11);
    상기 한 쌍의 롤러(11)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는 회전이송 안내판(15);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상하 및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적재플레이트 조정핸들(14),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2)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13)를 구비한 적재 플레이트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재대(10)의 적재 플레이트(12) 또는 한 쌍의 롤러(11)의 상측부는 상기 석션박스부(20)의 상측부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박스부(20)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양측단을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정렬판(26, 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정렬판(26, 26') 중 하나 이상은 신축가능한 실린더(27)의 로드(27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박스부(20)는,
    원단(1)을 상면에 적치하여 에어 흡입으로 흡착할 수 있는 석션박스(21);
    상기 석션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상기 원단적재대(10)로부터 이송된 원단(1)을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급지롤러(22);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의 아래에서 복수의 급지롤러(22)에 대해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아이들 롤러의 좌측 하방 및 상기 제1 서보모터(25)의 측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4); 및
    상기 복수의 급지롤러(22), 아이들러(24), 및 제1 서보모터(25)의 회전축의 사이에 연결된 벨트(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30)는,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2 서보모터(31);
    상기 제2 서보모터(31)의 회전축에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 기어(32a)를 구비하는 이송급지 하부롤러(32);
    상기 기어(32a)와 맞물리는 기어(34a)를 구비하고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을 가지는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상기 기어(34a)와 맞물리는 기어(38a)를 일단부 부근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에는 기어(37a)를 구비하며, 프레임(F)을 관통하여 설치된 롤러 조정축(38);
    상기 기어(37a)와 맞물리는 기어(36a)를 자유단부에 구비한 중심축의 타단부에 설치된 급지롤러 조정핸들(36); 및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손잡이(3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34a)가 편심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급지롤러 조정핸들(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급지 하부롤러(32)와 이송급지 상부롤러(3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가이드 롤러부(40)는,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제3 서보모터(46);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전방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풀리(P1);
    상기 제3 서보모터(46)와 풀리(P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상기 제3 서보모터(46), 복수의 아이들 롤러(48), 및 풀리(P1) 사이에 설치된 원단 이송 벨트(47);
    상기 원단 이송 벨트(47)의 위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축(49)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브라켓(41a)을 구비한 지지대(41);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후방 고무롤러(42), 전방 고무롤러(43), 및 상기 고무롤러(43)와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대(41)의 하측에 설치된 브러쉬 롤러(44)를 포함하는 롤러부; 및
    상기 지지대(41)를 상기 회전축(4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브라켓(41a)에 연결된 신축형 로드(45b)를 구비하고 하단부측이 힌지(45a)에 연결된 실린더(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박스(21)는,
    에어 흡입에 의한 원단(1)의 흡착을 위해 상기 석션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관(29);
    상기 흡입관(29)의 에어 유로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28a);
    상기 디스크(28a)에 연결된 연결봉(28b);
    상기 연결봉(28b)의 단부에 연결된 레버(28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기.
KR1020190049824A 2019-04-29 2019-04-29 자동급지기 KR10218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24A KR102187392B1 (ko) 2019-04-29 2019-04-29 자동급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24A KR102187392B1 (ko) 2019-04-29 2019-04-29 자동급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176A true KR20200126176A (ko) 2020-11-06
KR102187392B1 KR102187392B1 (ko) 2020-12-04

Family

ID=7357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24A KR102187392B1 (ko) 2019-04-29 2019-04-29 자동급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39Y1 (ko) * 2003-01-29 2003-05-12 길정기 급지장치
KR20100137207A (ko) * 2009-06-22 2010-12-30 영신기계(주)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KR101237004B1 (ko) 2012-04-16 2013-02-25 신풍기계 주식회사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39Y1 (ko) * 2003-01-29 2003-05-12 길정기 급지장치
KR20100137207A (ko) * 2009-06-22 2010-12-30 영신기계(주)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KR101237004B1 (ko) 2012-04-16 2013-02-25 신풍기계 주식회사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92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98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ccurate-register sheet transport in a printing machine
KR20160027069A (ko) 급지 장치 및 급지 방법
CN206915404U (zh) 送料装置
KR101395368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150544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US20020047235A1 (en) Device for separating an uppermost sheet from a supply stack by means of air blowers
KR102187392B1 (ko) 자동급지기
JPH06166124A (ja) 製函装置
KR100414407B1 (ko)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US6957521B2 (en) Envelope-filling station for mail processing systems
JP4584475B2 (ja) エアブロワ手段によって積みパイルから最上位の枚葉紙を分離させるための装置
KR101880096B1 (ko) 티엠알 로봇 자동 포장기
CN214733252U (zh) 一种压光机进料装置
CN211920505U (zh) 一种印刷机的辅助进料装置
US4444383A (en) Rotary slotter sheet feeder
KR200312439Y1 (ko) 급지장치
CN217476687U (zh) 一种纸板输送设备
JPH07102632B2 (ja) 製函用段ボールシートの整列供給装置
JP2023072369A (ja) 作業機
JP6527700B2 (ja) ワーク搬入装置
JPH0214251B2 (ko)
JP2019119565A (ja) 給紙装置および紙葉体の重送防止方法
JP2023072365A (ja) 作業機
JP4392535B2 (ja) ブランクシート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