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028Y1 -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 Google Patents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028Y1
KR200310028Y1 KR20-2003-0001860U KR20030001860U KR200310028Y1 KR 200310028 Y1 KR200310028 Y1 KR 200310028Y1 KR 20030001860 U KR20030001860 U KR 20030001860U KR 200310028 Y1 KR200310028 Y1 KR 200310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unit
sides
main body
gar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공식
Original Assignee
장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공식 filed Critical 장공식
Priority to KR20-2003-0001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지에 적용되어 경사지의 보강을 이루는 부가적 효과를 보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로 활용하거나, 또는 작물이 재배되지 못하는 척박한 토양에 설치되어 작물 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로 인한 그늘 공간을 형성하므로 써 버섯 등의 재배를 할 수 있게 하는 등 재배 단위 면적 활용을 양호하게 한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를 일정간격으로 횡설하는 보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는 그 설치 및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측의 H빔; 상기 양측 H빔의 상하를 막는 마구리용 빔;
상기 양측 H빔의 하부 플랜지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소폭 받침목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양측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안쪽으로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 단관이 고정되어서 상기 보에 구멍을 형성해서 단관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A kitchen garden unit and a simple frame building using the unit as a wall against inclined planes}
본 고안은 경사지에 적용되어 경사지의 보강을 이루는 부가적 효과를 보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로 활용하거나, 또는 작물이 재배되지 못하는 척박한 토양에 설치되어 작물 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로 인한 그늘 공간을 형성하므로 써버섯 등의 재배를 할 수 있게 하는 등 재배 단위 면적 활용을 양호하게 한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화 됨에 따라 지방자치제와 더불어 각각의 도시가 발전을 꾀하면서, 농지가 택지로 전용되어서 전국적으로 상당한 면적의 농지가 침식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절대 농지의 감소를 강제적으로 제한하기에도 한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농사를 짓지 못하는 땅의 비율이 상당히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소요 식량의 약 2/3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야산 등으로 70% 정도가 산지인 지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경사지가 매우 많다. 또한 도로와 철도 및 제방 등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 따라 발생되는 경사지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변의 활용하지 못하는 경사지나 땅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한 텃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본 고안의 텃밭 유니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경사 벽체를 형성하게 하여 창고나 학생들의 자연학습을 할 수 있는 터전을 제공할 수 있는 농장 주택 등 기타 용도의 건축물로써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를 일정간격으로 횡설하는 보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는 그 설치 및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측의 H 빔;
상기 양측 H빔의 상하를 막는 마구리용 빔;
상기 양측 H빔의 하부 플랜지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소폭 받침목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양측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안쪽으로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 단관이 고정되어서 상기 보에 구멍을 형성해서 단관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본체 마구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배수공을 형성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는 양측의 ㅗ형 빔;
그 상하 또는 어느 일측을 막는 마구리용 빔;
양측의 ㅗ형 빔의 하부 플랜지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복수의 소폭 받침목;
일정 간격을 상기 빔 사이에서 배열되게 한, 상부에는 재배용 구멍을 갖는 상판의 하부로 지지판을 가지고, 이 지지판의 일측면 상부에 상기 상판과 평행한 리브를 형성하여 결합홈을 형성한 블럭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H빔 등을 이용하여 기둥과 상기 기둥 사이를 잇는 보를 가지고, 상부로층 축조하여 계단형으로 형성된 골조 구조물의 모서리를 지지부로 하여, 적어도 1 이상의 텃밭 유니트를 상하 좌우로 커버 설치하여서 농가의 창고나 주택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부분 절취된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부분 절취된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유니트 사용 상태의 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도 3a는 경사지에 사용 예를 보인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유니트를 상호 기대어 설치한 예의 측면도.
도 3c는 별도의 골조 구조물에 의해 벽체로 사용되는 예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부분 절취된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부분 절취된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유니트 사용 상태의 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도 3a는 경사지에 사용 예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유니트를 상호 기대어 설치한 예의 측면도이며, 도 3c는 별도의 골조 구조물에 의해 벽체로 사용되는 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 개구를 일정 간격으로 횡설 하는 보(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10)는 그 설치 및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측의 H빔(11,12);
상기 양측 H빔(11,12)의 상하 또는 어느 일측을 막는 마구리용 빔(13);
상기 양측 H빔(11,12)의 하부 플랜지(11a,12a)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소폭 받침목(14)으로 이루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양측 H 빔(11,12)의 상부 플랜지(11b,12b)의 안쪽으로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 단관(15)이 고정되고, 상기 보(20)에 양측에 구멍(25)을 형성해서 이 구멍이 상기 단관(15)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단관(15)은 추후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삽입 지지시키는 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본체(10) 마구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배수공(H)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는 양측의 ㅗ형 빔(31,32);
그 상하 또는 어느 일측을 막는 마구리용 빔(33);
양측의 ㅗ형 빔의 하부 플랜지(31a,31b)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복수의 소폭 받침목(34);
일정 간격을 상기 빔 사이에서 배열되게 한, 상부에는 재배용 구멍(41)을 갖는 상판(42)의 하부로 지지판(43)을 가지고, 이 지지판(43)의 일측면 상부에 상기 상판(42)과 평행한 리브(44)를 형성하여 결합홈(45)을 형성한 블럭(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H빔 등을 이용하여 기둥(100)과 상기 기둥 사이를 잇는 보(200)를 가지고, 상부로 층 축조하여 계단형으로 형성된 골조 구조물의 모서리를 지지부로 하여, 적어도 1 이상의 텃밭 유니트를 상하 좌우로 커버 설치하여서 농가의 창고나 주택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홍수와 같이 많은 물량이 있을 때에는 도 2b에서와 같이 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흐를 때 블럭이 마치 기왓장을 얹은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많은 물량을 텃밭으로 흡수시키지 않고 흘려 보내기 때문에 블럭에 의해 내부에 토양이 잘 보존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 보다 더 안전한 텃밭으로 텃밭 유니트 내의 토양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소기의 목적 달성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우기나 비가 많이 오는 곳의 경사지에 적용하기에 적당하다할 것이다. 이러한 텃밭 유니트는 경사지의 토사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질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치상태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경사 구배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하여 하부에 콘크리트 받침대(B)를 설치하여 괴어 주어서 완성한다.
이때 각 구성품은 별도로 운반되어서 현장 조립할 수도 있고, 완성품이 크레인 등으로 운반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 H빔(11,12)과 마구리 빔(13) 등은 고정쇠나 볼트 너트에 의한 조립 결합체를 이룰 수가 있다. 이때 소폭 받침목(34)은 복수로 준비되어서 경사지에 틀체를 재치하여 놓은 후에, H빔(11,12)의 하부 플랜지(11a, 12a)에 걸림되게 횡설함으로써 바닥을 형성한다. 이때 이 받침목(14)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목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작물을 재배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의 하중과 함께 경사지를 압박하는 기능으로 경사지의 토사 흘러내림을 예방할 수 있는 부가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측 H빔(11,12)의 상부 플랜지(11b,12b) 안쪽으로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파이프 단관(15)에 상기 보(20)의 구멍(25)을 끼워 맞춤으로써, 내부 토양이 보(20)의 높이에 해당하는 정도의 토양을 받치는 작용을 가짐으로써, 내부 토양이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토양 보지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이는 본체(10)의 전체 골격을 지탱하는 구조적인 가로대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가뭄 등에 토양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및 다른 예에서 본체의 마구리 또는 마구리용 빔에 형성된 배수공으로는 텃밭 유니트 내에 고인 잉여수가 배출되는 구멍으로 작용될 것이다.
한편 도 3c에서와 같이 유니트가 적어도 상하로 1개 이상으로 연결될 때에는 상기 상부와 하부 배수공을 연결관 등으로 연통 시킴으로써 상부 유니트에서 하부 유니트로의 배수가 잘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본 고안의 유니트가 토양이 노출 개구측이 밖을 향하게 하여 서로 기대어서 설치한 구성으로써, 역시 양측 하부에는 콘크리트 받침대(B)를 형성하여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유니트가 맞닿은 곳은 앵글, 체결부재 또는 용접 형성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본 고안으로 하여서 천장을 갖는 토양 위에는 버섯을 재배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등으로 일석이조의 농작물 재배 면적 증가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c는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양호한 설치 예의 하나로써, H빔 등을 이용하여 기둥(100)과 상기 기둥 사이를 잇는 보(200)를 형성하여, 상부로 층구조를 계단형으로 축조하여서 농장의 창고나 간이 주택을 시공 계획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최상 부에는 환기와 채광이 가능한 솟을지붕의 모니터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건축 구조물의 훌륭한 벽체로써의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골조로 인한 간이주택을 지어서 학생의 주말농장으로써의 자연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거나, 농작물 재배 또는 축사나 창고로 활용할 수 있는 등으로 다양한 변형실시 예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산지인 지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경사지, 또 도로와 철도 및 제방 등 토목 공사 및 건축 공사에 따라 발생되는 경사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날로 그 면적이 축소되어 가는 농지의 효율적인 사용은 물론 척박한 토양에서도 텃밭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계획에 따라 주택을 지으므로 써, 도시 가정의 가족을 위한 또는 학생들을 위한 자연학습을 할 수 있는 터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서, 자연 학습의 장을 만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
    본체의 상부 개구를 일정간격으로 횡설 하는 토양 보지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의 H빔(11,12);
    상기 양측 H빔(11,12) 의 상하 또는 어느 일 측을 막는 마구리용 빔(13);
    상기 양측 H빔(11,12)의 하부 플랜지(11a,12a)에 걸림 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소폭 받침목(14); 및 양측 단턱이 양측 빔의 상부 플랜지(11b, 12b)에 걸림 되는 소폭 받침목과 같은 구조를 갖는 토양 보지구(20)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의 ㅗ형 빔(31,32);
    그 상하 또는 어느 일 측을 막는 마구리용 빔(33);
    양측의 ㅗ형 빔의 하부 플랜지(31a,31b)에 걸림되어 횡설되므로써 바닥을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복수의 소폭 받침목(34);
    일정 간격을 상기 빔 사이에서 배열되게 한, 상부에는 재배용 구멍(41)을 갖는 상판(42)의 하부로 지지판(43)을 가지고, 이 지지판(43)의 일측면 상부에 상기 상판(42)과 평행한 리브(44)를 형성하여 결합홈(45)을 형성한 블럭(40)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H형 빔(11,12)의 상부 플랜지(11b,12b)의 안쪽으로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 단관(15)이 고정되고, 상기 보(20)에 양측에 구멍(25)을 형성해서 이 구멍이 상기 단관(15)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마구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
  6. 제 1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텃밭 유니트를 적어도 상하 및 좌우로 1 이상으로 커버되게,
    H빔을 이용하여 기둥(100)과 상기 기둥 사이를 잇는 보(200)를 가지고, 상부로 층 축조하여 계단형으로 형성된 골조 구조물의 모서리를 지지부로 하여,
    상기 텃밭 유니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텃밭 유니트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KR20-2003-0001860U 2003-01-21 2003-01-21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KR200310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60U KR200310028Y1 (ko) 2003-01-21 2003-01-21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60U KR200310028Y1 (ko) 2003-01-21 2003-01-21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028Y1 true KR200310028Y1 (ko) 2003-04-08

Family

ID=4940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60U KR200310028Y1 (ko) 2003-01-21 2003-01-21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0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78B1 (ko) * 2011-08-03 2013-08-20 황주연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78B1 (ko) * 2011-08-03 2013-08-20 황주연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601B2 (en) Vertical ecosystem structure
US4190384A (en)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 system for erecting plant accommodating walls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JP6719792B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JP3147134U (ja) プランター
JP4597594B2 (ja) 緑化屋根
KR200310028Y1 (ko)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AU2016208325B1 (en) Modular vertical gardens
JPH08205683A (ja) 樹木等の植栽構造及びその植栽方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4783132B2 (ja) 緑化ユニット
KR100507743B1 (ko)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JP2008142044A (ja) 緑化パネル
KR100883826B1 (ko) 논두렁 구조체
JP2007327170A (ja) Alc自立塀
JP3774459B2 (ja) 組立柵工
JPS5934610Y2 (ja) 法面保護材
CN220571091U (zh) 一种用于隧道口坡体绿化结构
KR102660558B1 (ko) 저영향개발 세그먼트 구조박스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KR20170043283A (ko) 인삼 재배용 해가림 시설
JP6660237B2 (ja) H形鋼を用いた緑化システム
JP2988924B1 (ja) 人工庭園の支柱固定用地中埋込フレ−ム
KR20030074050A (ko) 제재목(방부목)또는 원목을 이용한 조경옹벽 시공 공법
TW202411500A (zh) 高低位差的混凝土基樁結合鋼構的組合式結構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