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79Y1 - 와이퍼 발광 윙 - Google Patents

와이퍼 발광 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79Y1
KR200307779Y1 KR20-2002-0037785U KR20020037785U KR200307779Y1 KR 200307779 Y1 KR200307779 Y1 KR 200307779Y1 KR 20020037785 U KR20020037785 U KR 20020037785U KR 200307779 Y1 KR200307779 Y1 KR 200307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guide plate
light
led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연춘
Original Assignee
우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연춘 filed Critical 우연춘
Priority to KR20-2002-0037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에 설치되는 부상방지용 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주행 시 자동차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주행 시 와이퍼의 떨림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발광 윙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상측으로 와이퍼에 설치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공간에는 도광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상기 도광판 홈부로 개방된 엘이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엘이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엘이디 삽입 홈에 엘이디가 삽입 고정되며 중앙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점등부와; 상기 엘이디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후면은 상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광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하도록 양측의 후면 단부에서 후면 중심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수직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과; 상기 엘이디 홈부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밀착되어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발광 윙{Emission of light wing of a windsheild wipe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에 설치되는 부상방지용 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주행 시 자동차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주행 시 와이퍼의 떨림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발광 윙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는 주간보다는 과속 운전이 심한 야간에 빈번히 발생하여 큰 인명 손실이나 재산 손실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용품, 예를 들면 차량 번호판에 장착되어 테두리가 발광되는 보조판 등과 같은 기능성 용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또 다른 기능성 용품으로는 1988. 3. 2에 일본에 특허 출원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23052호가 있다. 이 기술은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 암의 선단부 외측에설치되며 차내 전기 배선에 접속되어 작동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와이퍼에 장착되는 신호용 전구로서, 주행 시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해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구가 장착된 와이퍼에서 조사되는 광은 그 범위가 전구의 설치 위치로 매우 협소할 뿐만 아니라, 광 자체가 옆으로 퍼짐으로써 차량의 식별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의 퍼짐 현상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주행 중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천 시 와이퍼에 장착된 전구를 보호하기 위해 갓을 사용함으로써, 주행 시 공기 저항을 유발시켜 연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야간주행 시 와이퍼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는 발광을 통해 차량에 대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발광 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우천 주행 시 와이퍼의 떨림이나 부상을 방지하도록 와이퍼를 창에 밀착시킬 수 있는 와이퍼 발광 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종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와이퍼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와이퍼 발광 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전기 배선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와이퍼 발광 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발광 윙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와이퍼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는 조립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의 또 다른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퍼
11 : 와이퍼 암 12 : 와이퍼 블레이드
100 : 본체
110 : 연결부 120 : 구획판 130 : 도광판 홈부 140 : 엘이디 홈부
200 : 점등부
210 : 엘이디 220 : 전선
300 : 도광판
310 : 삽입 홈 320 : 수직 홈 330 : 결합 홈
400 : 커버
500 : 클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와이퍼 암을 포함하는 와이퍼에 있어서, 상측으로 상기 와이퍼에 설치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공간에는 도광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상기 도광판 홈부로 개방된 엘이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엘이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엘이디 삽입 홈에 엘이디가 삽입 고정되며 중앙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점등부와; 상기 엘이디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후면은 상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광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하도록 양측의 후면 단부에서 후면 중심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수직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과; 상기 엘이디 홈부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밀착되어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야간 주행 시 양측에 장착된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빛을 도광판을 통해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해 줌으로써, 운전자 자신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아 안전운행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부수적으로 차체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도광판은 전면의 중간부가 가로 방향으로 함몰된 원호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우천 주행 시 와이퍼의 떨림이나 부상을 방지하도록 와이퍼를 창에 밀착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이 장착된 와이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발광 윙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와이퍼 암을 포함하는 와이퍼에 있어서, 상측으로 상기 와이퍼에 설치되는 연결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 내부의 양측으로 엘이디(210)가 삽입 고정되며 중앙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점등부(200)와, 상기 엘이디(210)에서 발광되는 광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하는 도광판(300)과, 상기 엘이디 홈부(140)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30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330)에 밀착되어 상기 도광판(300)을 고정하는 커버(40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본체 내부의 점등부에서 발광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야간 주행 시 타 운전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도광판을 통해 와이퍼의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해줌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거나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행을 도모하며 부수적으로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공간에는 도광판 홈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상기 도광판 홈부(130)로 개방된 엘이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엘이디 홈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10)는 와이퍼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과의 체결 상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광판 홈부(130)는 후술하게 될 도광판이 안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도광판 홈부(130)의 상측에는 상기 각 점등부(200)의 엘이디(210)에 연결된 전선(220)이 인출되면서 상기 도광판(300) 후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외부 공기가 순환되는 장홀(131)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상기 장홀(131)을 통해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도광판(300) 후면의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전방으로 균일하게 광을 조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각 엘이디 홈부(140)의 하부에는 우천 시 상기 도광판 홈부(130)와 양측 엘이디 홈부(140)로 침투되는 빗물을 배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출 공(141)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상기 배출 공(141)을 통해 우천 시나 세차 시 상기 본체(100) 내부, 예를 들면 상기 도광판 홈부(130)나 양측에 구비된 엘이디 홈부(140)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점등부(200)는 상기 본체의 양측 엘이디 삽입 홈에 엘이디(210)가삽입 고정되며 중앙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차량의 미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즉 차량의 미등 스위치의 온/오프를 통해 점등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배선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미등뿐만 아니라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모터 배선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도광판 홈부(130)에 삽입되어 상기 엘이디(210)로부터 발광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210)가 삽입되는 삽입 홈(310)이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후면은 양측의 후면 단부에서 후면 중심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수직 홈(320)들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에서 조사된 광은 도광판(300) 내부에서의 난반사를 통해 직진하며 직진하는 광은 상기 도광판(300) 후면의 경사면에 형성된 수직 홈에서 반사 및 굴절되어 도광판(300)의 중심부까지 진행하여 전면으로 광을 균일하게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판(3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중간부가 가로 방향으로 함몰된 원호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따라 주행 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와이퍼 작동 시 와이퍼를 창에 밀착시켜 와이퍼의 떨림이나 와이퍼가 뜨는 현상을 방지해 줌으로써, 주행 시 운전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해 준다.
한편 상기 커버(400)는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엘이디 홈부(140)를 커버하며상기 도광판(30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330)에 밀착되어 상기 도광판(3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과 와이퍼와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와이퍼에 설치되기 전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설치된 후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C-C선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 상면에 형성된 공기 투과공(121)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 투과공(121)의 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대(111)와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1)는 상기 공기 투과공(1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탭 홀(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상기 지지대(111)를 통해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12)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또한 차종에 따라 장착되는 와이퍼의 구조,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12)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투과공(121)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대(111)에 형성된 다수의 탭 홀(112)을 통해 공기 투과공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등부의 엘이디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220)은 본체의 도광판 홈부에 형성된 장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인출된 전선(220)은 차체의 전방 후드와 전면 창 사이에 위치하며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닥트에 형성된 홀을 통해 미등 배선에 연결되어 미등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점등된다.
이 때 상기 장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전선(220)은 주행 시 바람에 의해 휘날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선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등부로부터 인출된 전선(220)을 상기 와이퍼 암(11)에 밀착시키는 클립(5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500)을 이용하여 상기 점등부(200)로부터 인출된 전선(220)을 상기 와이퍼 암(11)에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선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며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의 연결부(110)는 상기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2)에 장착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암(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끝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굴곡된 걸림턱(113)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와이퍼의 블레이드나 와이퍼 암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발광 윙은 야간 주행 시 와이퍼의 작동에 관계없이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전기 배선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됨으로써, 타 운전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거나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행을 도모하며 부수적으로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전면을 원호형판으로 제작함으로써, 와이퍼 작동 시 와이퍼를 창에 밀착시켜 와이퍼의 떨림이나 와이퍼가 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 형성된 장홀을 통해 도광판 홈부에 안착되는 도광판 후면의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전방으로 균일하게 광을 조사시킬 수 있으며, 배출 공을 통해 우천 시나 세차 시 본체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대를 통해 차량의 와이퍼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에 따른 와이퍼의 구조,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투과공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와이퍼 블레이드(12)를 지지하는 와이퍼 암(11)을 포함하는 와이퍼(10)에 있어서,
    상측으로 상기 와이퍼(10)에 설치되는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공간에는 도광판 홈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상기 도광판 홈부(130)로 개방된 엘이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엘이디 홈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 엘이디 삽입 홈에 엘이디(210)가 삽입 고정되며 중앙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점등부(200)와;
    상기 엘이디(210)가 삽입되는 삽입 홈(310)이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후면은 상기 엘이디(210)에서 발광되는 광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조사하도록 양측의 후면 단부에서 후면 중심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수직 홈(320)들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300)과;
    상기 엘이디 홈부(140)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30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330)에 밀착되어 상기 도광판(300)을 고정하는 커버(40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 상면에 형성된 공기 투과공(121)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 투과공(121)의 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대(111)와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1)는 :
    상기 공기 투과공(1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탭 홀(112)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
    상기 와이퍼 암(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끝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굴곡된 걸림턱(113)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300)은 :
    전면의 중간부가 가로 방향으로 함몰된 원호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엘이디 홈부(140)의 하부에는 우천 시 상기 도광판 홈부(130)와 양측 엘이디 홈부(140)로 침투되는 빗물을 배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출 공(141)이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홈부(130)의 상측에는 상기 각 점등부(200)의 엘이디(210)에 연결된 전선(220)이 인출되면서 상기 도광판(300) 후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외부 공기가 순환되는 장홀(131)이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부(200)는 :
    차량의 미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발광 윙은 :
    상기 점등부(200)로부터 인출된 전선(220)을 상기 와이퍼 암(11)에 밀착시키는 클립(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발광 윙.
KR20-2002-0037785U 2002-12-18 2002-12-18 와이퍼 발광 윙 KR200307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85U KR200307779Y1 (ko) 2002-12-18 2002-12-18 와이퍼 발광 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85U KR200307779Y1 (ko) 2002-12-18 2002-12-18 와이퍼 발광 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79Y1 true KR200307779Y1 (ko) 2003-03-19

Family

ID=4940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85U KR200307779Y1 (ko) 2002-12-18 2002-12-18 와이퍼 발광 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081B2 (en) Light guide for vehicle lamp assembly
US7407311B2 (en) Light with a ring structure for a vehicle lamp
US5276937A (en) Windshield wiper pressure increasing and warning aid
US20040190303A1 (en) Side mirror cover and side mirror body
US6619824B1 (en) Warning strip for automobiles
US20060285348A1 (en) Vehicular light assembly
KR100966734B1 (ko) 자동차용 도어램프
US20050013140A1 (en) Original equipment automotive elongated side marker lights
KR200307779Y1 (ko) 와이퍼 발광 윙
JP3120287U (ja) サイドミラー用発光警告装置
JPH048034Y2 (ko)
KR200305414Y1 (ko) 차량용 안전등
JPH0413170B2 (ko)
KR200381193Y1 (ko) 자동차용 표시등
JPH06156198A (ja) 発光体付きウインドワイパーとウインドワイパー用発光体と発光体付きワイパー押圧用ウインドパン
JP3113630U (ja) 補助照明装置付き乗り物
CN216113833U (zh) 车灯和全地形车
KR100221266B1 (ko) 자동차의포그램프의취부방법
JPH0228996Y2 (ko)
CN217575116U (zh) 发光格栅及车辆
CN209756919U (zh) 车辆
KR200200203Y1 (ko) 자동차용 보조 안전표시등
KR0137294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조
KR200282488Y1 (ko) 부상방지날개 위치조절식 와이퍼
KR100288110B1 (ko) 도로표시용 반사체의 램프점멸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