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36Y1 -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36Y1
KR200307736Y1 KR20-2002-0036909U KR20020036909U KR200307736Y1 KR 200307736 Y1 KR200307736 Y1 KR 200307736Y1 KR 20020036909 U KR20020036909 U KR 20020036909U KR 200307736 Y1 KR200307736 Y1 KR 200307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packing box
fitting
box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식 허
오상수
Original Assignee
(주)아그로-텍
오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그로-텍, 오상수 filed Critical (주)아그로-텍
Priority to KR20-2002-003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박스의 끼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박스의 확장면부의 저면부분에 내부와 연통되는 끼움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확장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끼움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측부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의 끼움공에 저면에 위치하는 포장박스의 끼움돌기부가 삽입 되어져 적층된 포장박스가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장박스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 A Stucture For Inserting Of Packing Box }
본 고안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박스의 확장면부의 저면부분에 내부와 연통되는 끼움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확장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끼움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측부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의 끼움공에 저면에 위치하는 포장박스의 끼움돌기부가 삽입 되어져 적층된 포장박스가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장박스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포장박스의 끼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소정의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이 혹은 프라스틱재질의 평면체를 일정한 부분은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어 주어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 상자 형태로 만들어 주는 포장부재이다.
특히, 포장박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박스의 재질은 종이이고, 포장하는 대상물은 주로 사과 배등과 같은 과일등이다.
그리고, 상기 포장박스는, 크기와 형상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져서 사용되고 있으며, 모든 부분이 완전하게 차단되어져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는 밀폐형 포장박스와, 상측부분이 개방되어져서 내부에 보관된 과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오픈트레이형 포장박스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포장박스의 전개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일폐형 포장박스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종래의 밀폐형 포장박스(A)의 구조를 살펴 보면, 면적이 넓고 상자의 넓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확장면부(2)와, 면적이 좁고 상자의 좁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협소면부(4)를 수직접이부(6)로 구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면부(2)와 협소면부(4)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커버면부(10)와 하측커커면부(12)를 수평걸이부(10)로 구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협소면부(4)중에서 가장 외측부분의 협소면부(4)의 끝단부분에는 고정부(14)를 형성하여 반대측에 있는 확장면부(2)에 겹쳐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4)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접이부(6)를 접어서 2개의 협소면부(4)와 2개의 확장면부(2)로 측면부분을 구성하고, 수평접이부(8)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커버면부(10)와 하측커버면부(12)를 접어주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정부(14)를 반대측의 확장면부(2)에 접착제 혹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철하여서 직육면체 형태의 포장박스(2)를 만들어주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포장박스(A)를 만들어 준 후에 상측커버면부(10)를 서로 열어서 과일등을 내장하도록 하고, 상측커버면부(10)를 서로 접착하거나 테이프등으로 접착하고, 포장하여 판매 장소로 출하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박스를 사용하여 과일을 포장한 후에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다단계로 적층하여 이송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때, 포장박스 사이에 서로 지지하여 주는 구조가 없으므로 상측부분에 적층된 포장박스가 진동에 의하여 미끄러져서 낙하하거나 배열이 삐뚤어지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포장박스의 확장면부의 저면부분에 내부와 연통되는 끼움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확장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끼움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측부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의 끼움공에 저면에 위치하는 포장박스의 끼움돌기부가 삽입 되어져 적층된 포장박스가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장박스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포장박스의 전개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밀폐형 포장박스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가 적층되기 전 요부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가 적층된 요부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포장박스 20 : 확장면부
22 : 협소면부 24 : 수직접이부
26 : 수평접이부 28 : 상측커버부
30 : 하측커버부 32 : 고정부
34 : 끼움돌기부 36 : 끼움공
이러한 목적은 상자의 넓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확장면부와; 상기 확장면부에 연하여서 상자의 좁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협소면부와; 상기 확장면부와 협소면부에 상,하측으로 연하여 상,하부를 각각 차단하여 주는 상,하측커버면부로 구성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상,하측부분에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확장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로 구성된 포장박스의 끼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가 적층되기 전 요부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포장박스가 적층된 요부 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자의 넓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확장면부(20)와; 상기 확장면부(20)에 연하여서 상자의 좁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협소면부(22)와; 상기 확장면부(20)와 협소면부(22)에 상,하측으로 연하여 상,하부를 각각 차단하여 주는 상,하측커버면부(28)(30)로 구성된 포장박스(B)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부(20)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공(36)과; 상기 끼움공(36)에 삽입되어 상,하측부분에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B)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확장면부(20)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부(34)는 상기 상측커버부(28) 방향으로 절개한 후, 접어주어 돌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36)은, 수평접이부(26)에 대하여 확장면부(20)와 하측커버부(30)에 동일한 면적이 위치하도록 절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박스(B)의 표면에는 다양한 과일 그림등이 그려진 상태로 사용되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부(32)는, 반대측의 확장면부(20)에 서로 겹쳐져서 접착되어지거나 철되어져서 포장박스(B)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끼움구조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포장박스(B)의 확장면부(20)와 하측커버면부(30)의 경계부분에 프레스를 가압하여 사각형상의 끼움공(36)을 다수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면부(20)와 상측커버면부(28)의 경계부분에 상측커버면부(28)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절개되도록 끼움돌기부(34)를 프레스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포장박스(B)의 전개상태에서 수직접이부(24)를 서로 접어 주어 확장면부(20)와 협소면부(22)를 사각형상으로 접어준 후에 고정부(32)를 반대측의 확장면부(20)에 접착제 혹은 스테이플을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커버면부(30)를 확장면부(20)에 대하여 접어주어 서로 겹치는 부분에 대하여 접착하거나 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커버면부(28)를 수평접이부(26)에 대하여 접어주도록 하고, 수평접이부(26)를 절개된 부분을 확장면부(20)에 대하여 상측으로 세워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B)가 완전하게 조립되어지면, 도 4와 같은 상태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상기 포장박스(B)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이송하고자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B)내에 과일을 실장시킨 후에, 하측부분의 포장박스(B)의 끼움돌기부(34)를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B)의 저면부분에 형성된 끼움공(36)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도 6의 상태에서 상측에 다른 포장박스(B)를 적층하게 되면, 하측 포장박스(B)의 끼움돌기부(34)가 상측 포장박스(B)의 끼움공(36)에 삽입되어지면서 유동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끼움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포장박스의 확장면부의 저면부분에 내부와 연통되는 끼움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확장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끼움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측부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의 끼움공에 저면에 위치하는 포장박스의 끼움돌기부가 삽입 되어져 적층된 포장박스가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장박스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상자의 넓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확장면부(20)와; 상기 확장면부(20)에 연하여서 상자의 좁은 측면부분을 이루는 협소면부(22)와; 상기 확장면부(20)와 협소면부(22)에 상,하측으로 연하여 상,하부를 각각 차단하여 주는 상,하측커버면부(28)(30)로 구성된 포장박스(B)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부(20)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공(36)과;
    상기 끼움공(36)에 삽입되어 상,하측부분에 적층되는 다른 포장박스(B)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확장면부(20)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부(34)는 상기 상측커버부(28) 방향으로 절개한 후, 접어주어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끼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36)은, 수평접이부(26)에 대하여 확장면부(20)와 하측커버부(30)에 동일한 면적이 위치하도록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끼움구조.
KR20-2002-0036909U 2002-12-10 2002-12-10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KR200307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09U KR200307736Y1 (ko) 2002-12-10 2002-12-10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09U KR200307736Y1 (ko) 2002-12-10 2002-12-10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36Y1 true KR200307736Y1 (ko) 2003-03-20

Family

ID=4933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09U KR200307736Y1 (ko) 2002-12-10 2002-12-10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7736Y1 (ko)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KR102366485B1 (ko) 조립식 배송용 박스
JP2006240643A (ja) 容量可変紙箱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JP6442212B2 (ja) 包装箱
JP6110149B2 (ja) 包装箱
JP3123142U (ja) 包装箱
KR20130002501U (ko) 과일 포장박스
KR20070032859A (ko) 포장용 상자
KR200310895Y1 (ko) 개방형 포장박스의 이탈방지 및 하중지지구조
JP7246350B2 (ja) 上蓋及び下蓋を有する箱
JP3223951B2 (ja) 電子機器の包装容器
KR200476650Y1 (ko) 포장상자용 베이스
CN217624648U (zh) 一种凸台一体式包装盒
JP5174410B2 (ja) 緩衝包装材
KR101167525B1 (ko) 포장용 박스
KR200382456Y1 (ko) 포장박스
KR20230089525A (ko) 포장용 박스
KR200273113Y1 (ko) 종이 포장박스
KR20230087357A (ko) 포장용 박스
KR200308944Y1 (ko) 음식물 포장 상자
JP2022162904A (ja) 包装箱
KR200192356Y1 (ko) 포장용 상자의 절첩구조
KR200334611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2015168455A (ja) 段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