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525A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525A
KR20230089525A KR1020220092362A KR20220092362A KR20230089525A KR 20230089525 A KR20230089525 A KR 20230089525A KR 1020220092362 A KR1020220092362 A KR 1020220092362A KR 20220092362 A KR20220092362 A KR 20220092362A KR 20230089525 A KR20230089525 A KR 20230089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area
insertion hole
line
upp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찬
Original Assignee
황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찬 filed Critical 황기찬
Priority to KR102022009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525A/ko
Publication of KR2023008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8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incisions defining foldable flaps hinged to it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9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separating interconnect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의 일측면은, 상기 상부 박스가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 박스와 공유하는 단일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박스는,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 및 제2 영역이 절취선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상품을 판매·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재 또는 플라스틱재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한다.
포장용 상자는 종이재 등의 판지를 미리 형성된 접음 라인을 따라 접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게 되며, 제조된 포장용 상자 내부에 제품 또는 상품을 위치시키고, 끈 또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폐쇄를 위해 사용되는 끈 또는 접착테이프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끈 또는 접착테이프 없이도 제품의 포장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끈 또는 접착테이프 없이도 제품의 포장이 가능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상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고정수단 및 절개홀 등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 공정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장된 제품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유통 중에 상자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포장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이 복잡하여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용 상자의 조립이 가능한 동시에 포장 상태의 해제 작업이 용이하고,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포장용 상자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조립 및 해제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여 조립 및 해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통 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의 일측면은, 상기 상부 박스가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 박스와 공유하는 단일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박스는,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 및 제2 영역이 절취선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절개영역부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상부 박스의 높이를 규정하는 모서리, 상기 모서리를 정의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는 경계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에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지기 위한 기준 라인이 되는 가이드 접음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접음 라인은, 상기 경계 라인과 상기 경계 라인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로부터 분리되면, 절취가 상기 상측 라인과 상기 하측 라인으로 이어지게 되어 상기 절개영역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절취영역부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박스는, 제3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추가 절개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제4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삽입영역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가 내측으로 접혀지는 경우,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가 삽입되기 위한 추가 삽입구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추가 삽입구는, 장변구와 단변구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는, 상기 추가 삽입구에 삽입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변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는, 장변부 및 단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변부는, 상기 장변부가 상기 장변구를 통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단변구에 걸리게 되어, 상기 장변구를 통한 상기 장변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장변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변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변구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변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는, 각각 상기 판지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영역 및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영역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일측 영역과 상기 타측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영역은,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공유하는 단일면이고, 상기 상부 박스를 구성하는 측면 중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상부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는, 각각 상기 판지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영역 및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영역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일측 영역과 상기 타측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영역은,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공유하는 단일면이고, 상기 하부 박스를 구성하는 측면 중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하부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상기 하부 날개부 사이, 및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의 모서리에는 상기 하부 박스가 제조된 후 제공되는 상기 삽입구가 제공되도록 하는 삽입구 형성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후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통 중의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 포장용 상자를 개방하는 작업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부 박스가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지에 의해 하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판지에 의해 상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결합된 후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부 박스가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는 판지(P, 도 2 참조)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상부 박스(100) 및 하부 박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박스(100) 및 상기 하부 박스(200)는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판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하기 전 상태에서는 모두 상측이 개구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박스(200)의 일측면(SF0)은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 박스(100)와 공유하는 단일면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박스(100)는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110), 및 제2 영역이 절취선(DI)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상기 상부 박스(100)의 높이(H), 즉,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용 박스(10)의 높이(H)를 규정하는 모서리(E), 상기 모서리(E)를 정의하는 제1 측면(SF1) 및 제2 측면(SF2)에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상기 제1 측면(SF1) 및 상기 제2 측면(SF2)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 라인(L1)과 하측 라인(L2)이 절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취영역부(120)는 상기 제1 측면(SF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영역부(110)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박스(100)는 제3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추가 절개영역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박스(200)는 제4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삽입영역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전술한 제1 측면(SF1) 및 상기 제1 측면(SF1)과 마주보는 제3 측면(SF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영역부(230)는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면(SF1)의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삽입영역부(230)는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에 의해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가 삽입되기 위한 추가 삽입구(HO2, 도 11 참조)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 간의 결합은 절개영역부(110) 및 추가 절개영역부(130)의 상태를 변화시켜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상기 모서리(E)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하부 박스(200)의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구(HO1)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1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절개영역부(130)가 상기 추가 삽입구(HO2)를 통해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는 과정을 통해 2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 간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는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결합된 후, 사용자에 의한 절취영역부(120)의 분리 과정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지에 의해 하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판지에 의해 상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박스(100) 및 하부 박스(200)는 각각 판지(P)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영역(R1), 및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영역(R2)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지(P)의 상기 일측 영역(R1)과 상기 타측 영역(R2)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영역(R0)은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서로 공유하는 단일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영역(R2)에는 삽입영역부(230)가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부 돌출부(240) 및 하부 끼움부(250)를 구비하여 하부 박스(200)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돌출부(240) 및 상기 하부 끼움부(250)는 상기 타측 영역(R2)을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는 과정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박스(2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제2 측면(SF2)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는 이웃하는 측면(제1 측면(SF1) 또는 제3 측면(SF3)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제1 측면(SF1) 또는 제3 측면(SF3)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립된 상태의 유지는 상기 하부 돌출부(240)가 상기 하부 끼움부(2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제2 측면(SF1)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은 상기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270)에 형성된 하부 끼움부(2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24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돌출부(240)가 상기 하부 끼움부(2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끼움부(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지(P)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웃하는 측면(제1 측면(SF1) 또는 제3 측면(SF3)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과 상기 하부 날개부(260) 사이, 및 상기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제2 측면(SF1)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일 수 있음)의 모서리에는 하부 박스(200)가 제조된 후 제공되는 상기 삽입구(HO1)가 제공되도록 하는 삽입구 형성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영역(R1)에는 절개영역부(110), 절취영역부(120) 및 추가 절개영역부(130)가 미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영역부(110)와 상기 절취영역부(120)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영역부(110)에는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영역부(110)가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지기 위한 기준 라인이 되는 가이드 접음 라인(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접음 라인(140)은 경계 라인(141, 142)과 상기 경계 라인(141, 142) 사이에 적어도 하나(143)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 접음 라인(140)은 상기 경계 라인(141, 142)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접힘 동작 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절취영역부(12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은 모서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는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일부 영역이 평면이 되도록, 상기 일부 영역에는 비형성되어,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한 외력 인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 라인(141, 142)은 제1 경계 라인(141) 및 제2 경계 라인(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경계 라인(141) 및 상기 제2 경계 라인(142)은 각각 상부 박스(100)가 제조된 후 절개영역부(110)가 제1 측면(SF1, 도 1 참조) 및 제2 측면(SF2 , 도 1 참조)과 연결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경계 라인(141)은 상기 절개영역부(110)와 상기 절취영역부(120)의 경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일측 영역(R1)에는 상부 돌출부(150) 및 상부 끼움부(1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돌출부(150) 및 상기 상부 끼움부(160)는 상기 일측 영역(R1)을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는 과정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상부 박스(100)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박스(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제2 측면(SF2)을 의미할 수 있음)는 이웃하는 측면(제1 측면(SF1) 또는 제3 측면(SF3)을 의미할 수 있음)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제1 측면(SF1) 또는 제3 측면(SF3)을 의미할 수 있음)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립된 상태의 유지는 상기 상부 돌출부(150)가 상기 상부 끼움부(16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제2 측면(SF2)을 의미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180)에 형성된 상부 끼움부(16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150)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돌출부(150)가 상기 상부 끼움부(16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끼움부(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지(P)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제2 측면(SF2)을 의미할 수 있음) 중 하나(SF2-1)의 모서리는 상부 박스(100)의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절개영역부(110)가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제2 측면(SF2)을 의미할 수 있음) 중 다른 하나(SF2-2)의 모서리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영역부(110)가 형성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각각 상기 이웃하는 측면(SF1) 및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 중 상기 상부 박스(100)의 제조가 완료된 후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은,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가로 폭보다 작은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가로 폭 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날개부(170)를 사이에 두고 접히는 과정에서 상기 이웃하는 측면(SF1)의 내면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제2 가로 폭 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절개영역부(110) 중 상기 상부 날개부(170)에 제공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부 박스(200)의 내부 공간에 포장 대상물을 넣은 후, 상부 박스(100)를 회전 시켜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절개영역부(110) 및 추가 절개영역부(130)의 상태를 변화를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상태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의 상태 변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되면, 상기 하부 박스(200)에 형성된 삽입구(HO1)는 상기 상부 박스(100)에 의해 커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하면,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상측 라인(L1)과 하측 라인(L2)이 절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삽입구(HO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는 1차적으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가이드 접음 라인(140)에 의해 안정적인 내측으로의 접힘 동작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접음 라인(140)에 의해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접힘 동작 시 발생될 수 있는 절취영역부(120)의 파손 등이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측면(SF1) 및 제2 측면(SF2)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박스(100)의 높이(H)를 규정하는 모서리(E)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모서리(E)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면, 가이드 접음 라인(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SF1) 및 상기 제2 측면(SF2)과 연결되는 경계 라인(131, 132)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구(HO1)의 내측을 향해 접혀지게 되며, 접혀진 부분이 하부 박스(200)에 형성된 삽입구(HO1)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상호 간의 결합이 구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판지(P)의 일측 영역(R1)에 대한 모서리의 폭에 대한 구성으로 인해 삽입 시의 간섭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는 2차적으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접음 보조 라인(133)에 의해 안정적인 내측으로의 접힘 동작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가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면,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에 의해 삽입영역부(230)도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어 추가 삽입구(HO2)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상기 추가 삽입구(HO2)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추가적인 결합이 구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영역부(230)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 삽입구(HO2)는 장변구(HO2-1, 도 7 참조)와 단변구(HO2-2,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추가 삽입구(HO2)는 장변구(HO2-1)가 단변구(HO2-2)의 하측에 위치하는 대략 "┻" 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추가 삽입구(HO2)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삽입영역부(230)는 상기 장변구(HO2-1) 및 상기 단변구(HO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변구(HO2-1)를 규정하는 일측 모서리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상기 추가 삽입구(HO2)에 삽입되는 경우 소재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변구(HO2-2)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내측으로 접혀진 이후 상기 추가 삽입구(HO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는 장변부(131) 및 단변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장변부(131)는 상기 단변부(132)의 상측에 위치하는 대략 "┳"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변부(132)는 상기 장변부(131)가 상기 장변구(HO2-1)를 통해 상기 추가 삽입구(HO1)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단변구(HO2-2)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장변구(HO2-1)를 통한 상기 장변부(13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변부(132)가 상기 단변구(HO2-2)에 걸리게 되면, 상기 삽입영역부(230)는 소재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추가 절개영역부(130)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 간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진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130) 및 상기 삽입영역부(230)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 삽입구(HO2)의 형성 위치와 관련하여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변구(HO2-2)를 규정하는 상측 모서리의 높이가 접음 보조 라인(133)의 높이와 대략 비슷한 경우,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 간의 결합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결합된 후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장 대상물을 확인하기 위해 상부 박스(100)를 하부 박스(200)와 분리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절취영역부(120)가 사용될 수 있다.
절취영역부(120)는 절개영역부(110)가 삽입구(HO1)에 삽입된 후, 절취선(DI)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삽입구(HO1)에 삽입된 상기 절개영역부(110)가 상기 삽입구(HO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영역부(110)에 의한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 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취영역부(120)는 상기 절취선(DI)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100)의 제1 측면(SF1)으로부터 분리되면, 절취의 결과가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형성을 위한 상측 라인(L1)과 하측 라인(L2)으로 이어지게 되어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상기 제1 측면(SF1)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측면(SF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상기 제1 측면(SF1)에 연결된 부분은 상기 절개영역부(110)와 상기 절취영역부(120)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박스(100)의 제1 측면(SF1)은 절취영역부(120)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관통구(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지(P)에 이미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구(12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DI)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120)를 상기 제1 측면(SF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절개영역부(110)가 상기 삽입구(HO1)로부터 이탈되고 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력을 인가하여 추가 절개영역부(130)가 추가 삽입구(HO2)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 간은 결합은 완전히 해제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절개영역부(110)의 접힘 과정 및 추가 절개영역부(130)의 접힙 과정에 의해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가 결합되고, 절취영역부(120)의 분리 과정 등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분리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의 결합 원리는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동시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토록 하여 유통 중의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의 분리 원리는 사용자가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10)를 개방하는 작업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포장용 박스
100: 상부 박스
110: 절개영역부
120: 절취영역부
130: 추가 절개영역부
132: 접음 보조 라인
140: 가이드 접음 라인
200: 하부 박스
230: 삽입영역부
HO1: 삽입구
HO2: 추가 삽입구

Claims (17)

  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의 일측면은,
    상기 상부 박스가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 박스와 공유하는 단일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박스는,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 및 제2 영역이 절취선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절개영역부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상부 박스의 높이를 규정하는 모서리, 상기 모서리를 정의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는 경계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에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삽입구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지기 위한 기준 라인이 되는 가이드 접음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접음 라인은,
    상기 경계 라인과 상기 경계 라인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로부터 분리되면, 절취가 상기 상측 라인과 상기 하측 라인으로 이어지게 되어 상기 절개영역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절취영역부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박스는,
    제3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추가 절개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제4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삽입영역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가 내측으로 접혀지는 경우,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가 삽입되기 위한 추가 삽입구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삽입구는,
    장변구와 단변구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는,
    상기 추가 삽입구에 삽입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변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절개영역부는,
    장변부 및 단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변부는,
    상기 장변부가 상기 장변구를 통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단변구에 걸리게 되어, 상기 장변구를 통한 상기 장변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변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변구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변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는,
    각각 상기 판지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영역 및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영역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일측 영역과 상기 타측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영역은,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공유하는 단일면이고,
    상기 상부 박스를 구성하는 측면 중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상부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는,
    각각 상기 판지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영역 및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영역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일측 영역과 상기 타측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영역은,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공유하는 단일면이고,
    상기 하부 박스를 구성하는 측면 중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하부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상기 하부 날개부 사이, 및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의 모서리에는 상기 하부 박스가 제조된 후 제공되는 상기 삽입구가 제공되도록 하는 삽입구 형성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220092362A 2021-12-13 2022-07-26 포장용 박스 KR20230089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62A KR20230089525A (ko) 2021-12-13 2022-07-26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85A KR102429709B1 (ko) 2021-12-13 2021-12-13 포장용 박스
KR1020220092362A KR20230089525A (ko) 2021-12-13 2022-07-26 포장용 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85A Division KR102429709B1 (ko) 2021-12-13 2021-12-13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525A true KR20230089525A (ko) 2023-06-20

Family

ID=828267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85A KR102429709B1 (ko) 2021-12-13 2021-12-13 포장용 박스
KR1020220092362A KR20230089525A (ko) 2021-12-13 2022-07-26 포장용 박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85A KR102429709B1 (ko) 2021-12-13 2021-12-13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97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9874A1 (en) * 1991-12-13 1993-07-0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rton
JPH1059348A (ja) * 1996-08-19 1998-03-03 Daizen Kk 収納ケース
JP3115135U (ja) * 2005-07-27 2005-11-04 株式会社第一パック 梱包用収納箱
KR102148923B1 (ko) * 2020-06-12 2020-08-27 권재학 화훼용 포장 상자
KR102305422B1 (ko) * 2020-11-30 2021-09-27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709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194B (zh) 配置於具有彎曲表面之香煙盒上的彎曲盒蓋
US9481486B2 (en) Container with secure audible closure
KR102404415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20230089525A (ko) 포장용 박스
JP5928889B2 (ja) 包装用箱
KR20230087357A (ko) 포장용 박스
KR20230093627A (ko) 포장용 박스
KR102366485B1 (ko) 조립식 배송용 박스
KR20230071270A (ko) 포장용 박스
US4569475A (en) Flip top carton
JP5420053B1 (ja) 梱包箱
KR102620730B1 (ko) 포장용 박스
US20030234284A1 (en) Carton with reducibility feature
KR20230117822A (ko) 포장용 박스
JP2008056262A (ja) 包装用箱
JP6442212B2 (ja) 包装箱
KR20230119431A (ko) 포장용 박스의 측면 기립을 위한 구조체 및 포장용 박스
KR200496652Y1 (ko) 우유팩형 상자
KR20230119432A (ko) 포장용 박스의 측면 기립을 위한 구조체 및 포장용 박스
EP0171275A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of polymeric material
KR102553602B1 (ko) 친환경 포장박스
JP3235358U (ja) 再封機能付き包装箱
JP5235167B2 (ja) 紙製品の罫線構造および該罫線構造を用いた紙製品
JP4893713B2 (ja) 包装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