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730B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730B1
KR102620730B1 KR1020210132305A KR20210132305A KR102620730B1 KR 102620730 B1 KR102620730 B1 KR 102620730B1 KR 1020210132305 A KR1020210132305 A KR 1020210132305A KR 20210132305 A KR20210132305 A KR 20210132305A KR 102620730 B1 KR102620730 B1 KR 10262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rip
area
folde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321A (ko
Inventor
황기찬
Original Assignee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황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황기찬 filed Critical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7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는 하부 박스; 및 하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어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그립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박스는, 상기 하부 박스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 상의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를 통해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상품을 판매·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재 또는 플라스틱재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한다.
포장용 상자는 종이재 등의 판지를 미리 형성된 접음 라인을 따라 접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게 되며, 제조된 포장용 상자 내부에 제품 또는 상품을 위치시키고, 끈 또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폐쇄를 위해 사용되는 끈 또는 접착테이프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끈 또는 접착테이프 없이도 제품의 포장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끈 또는 접착테이프 없이도 제품의 포장이 가능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상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고정수단 및 절개홀 등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 공정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장된 제품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유통 중에 상자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포장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이 복잡하여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용 상자의 조립이 가능한 동시에 포장 상태의 해제 작업이 용이하고,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포장용 상자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조립 및 해제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여 조립 및 해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통 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는 하부 박스; 및 하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어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그립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박스는, 상기 하부 박스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 상의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를 통해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그립구를 통해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폭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접음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그립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구비하여, 양측단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그립구를 통과하면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되,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진 이후에는 상기 양측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측단이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되는 일면, 및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각각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상부 박스는, 상기 하부 박스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측면 상의 제2 영역이 절취선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절개영역부를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절취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그립구를 통해 접혀지기 위한 접힘 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의 상기 절취영역부의 분리에 의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의 상기 절개영역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외부측면은, 상기 절취영역부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를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하부 박스는, 하부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하부 박스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하부 함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하부 함입부는, 상기 하부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박스는, 상부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상부 함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상기 상부 함입부는, 상기 상부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후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통 중의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 포장용 상자를 개방하는 작업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상부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상부 판지로부터 상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하부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따른 하부 판지로부터 하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의 절개영역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결합된 후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박스로, 상부 박스(100) 및 하부 박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박스(100)는 상부 판지(UP, 도 2 참조)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하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박스(200)는 하부 판지(BP, 도 5 참조)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박스(100)는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는 절개영역부(110)가 그립구(210)를 통해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박스(200)는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포장용 박스(10)를 그립할 수 있도록,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기 그립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립구(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박스(2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박스(100)는 상기 하부 박스(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 상의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상기 절개영역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210)를 통해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는 상기와 같이 절개영역부(110)의 접히는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결합된 후, 사용자에 의한 절취영역부(120)의 분리 과정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상부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상부 판지로부터 상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100)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상부 판지(UP)를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판지(UP)는 절개영역부(110), 절취영역부(120), 및 상기 절취영역부(120)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삽입구(130)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그립구(210)를 통해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된 일면의 폭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접음선(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판지(UP)는 상부 돌출부(140) 및 상부 함입부(1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돌출부(140) 및 상기 상부 함입부(150)는 상기 상부 판지(UP)를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는 과정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상부 박스(100)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박스(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1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립된 상태의 유지는 상기 상부 돌출부(140)가 상기 상부 함입부(1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날개부(1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170)은 상기 상부 날개부(1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172)에 형성된 상부 함입부(1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140)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돌출부(140)가 상기 상부 함입부(1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함입부(150)는 상기 상부 판지(UP)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장용 박스(10)의 내부공간의 외부로의 노출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하부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따른 하부 판지로부터 하부 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에 제공되는 하부 박스(200)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하부 판지(BP)를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판지(BP)는 상기 하부 박스(200)의 그립구(210)로 작용하는 부분이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부 돌출부(240) 및 하부 함입부(250)를 구비하여 하부 박스(200)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돌출부(240) 및 상기 하부 함입부(250)는 상기 하부 판지(BP)를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는 과정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박스(2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립된 상태의 유지는 상기 하부 돌출부(240)가 상기 하부 함입부(2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270)은 상기 하부 날개부(260)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272)에 형성된 하부 함입부(2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24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돌출부(240)가 상기 하부 함입부(250)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함입부(250)는 상기 하부 판지(BP)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장용 박스(10)의 내부공간의 외부로의 노출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날개부(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되는 측면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그립구(210)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그립구(21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부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날개부(260)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가로폭 부분, 및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되는 측면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그립구(210)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제2 가로폭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의 절개영역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측이 개구된 하부 박스(200)의 내부공간에 포장 대상물을 넣은 후, 상부 박스(100)로 덮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하부 박스(200)에 형성된 그립구(210)는 상기 상부 박스(100)에 의해 커버되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하부 박스(200)가 상기 상부 박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박스(200)의 측면 중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되는 일면을 내부측면(IS)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상부 박스(100)의 측면 중 상기 그립구(210)가 형성되는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을 외부측면(ES)이라고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박스(100)가 상기 하부 박스(200)를 수용하면,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그립구(210)를 통해 상기 내부측면(IS)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는 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가이드 접음선(112)에 의해 상기 그립구(210)를 통해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측면(IS)의 내측면을 향해 안정적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결합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폭(A)은 상기 그립구(210)의 폭(B)보다 넓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결합력은 더더욱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상기 그립구(210)보다 넓은 폭을 구비하여 양측단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그립구(210)를 통과하면서 상기 내부측면(IS)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게 되며, 상기 내부측면(IS)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진 이후에는 상기 양측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측단이 상기 내부측면(IS)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결합력이 더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개영역부(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결합된 후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제공되는 상부 박스 및 하부 박스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박스(100)는 하부 박스(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측면(SE) 상의 제2 영역이 절취선(122)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취영역부(120)는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절개영역부(110)의 접힘 공정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취선(122)에 의해 외부측면(ES)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절개영역부(110)를 상기 외부측면(ES)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취선(12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개영역부(110)가 상기 그립구(210)를 통해 접혀지기 위한 접힘 라인(123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면(ES)으로부터의 상기 절취영역부(120)의 분리에 의해 상기 외부측면(ES)으로부터의 상기 절개영역부(11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측면(ES)은 상기 절취영역부(120)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삽입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122)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120)를 상기 외부측면(ES)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절개영역부(110)의 접힘 과정에 의해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가 결합되고, 절취영역부(120)의 분리 과정에 의해 상기 상부 박스(100)와 상기 하부 박스(200)가 분리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의 결합 원리는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동시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토록 하여 유통 중의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부 박스(100)와 하부 박스(200)의 분리 원리는 사용자가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10)를 개방하는 작업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포장용 박스
100: 상부 박스
110: 절개영역부
120: 절취영역부
200: 하부 박스
210: 그립구

Claims (12)

  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는 하부 박스; 및
    하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조되어 상기 하부 박스를 수용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박스는,
    하부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내부공간에 포장 대상물이 수용된 후,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하는 그립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박스는,
    상기 하부 박스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 상의 제1 영역이 절개되어 제공되는 절개영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를 통해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 박스의 측면 중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측면은,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하부 날개부는,
    상기 그립구가 형성되는 측면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그립구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그립구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부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그립구를 통해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폭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접음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부는,
    상기 그립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구비하여, 양측단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그립구를 통과하면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되,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진 이후에는 상기 양측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측단이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박스가 상기 상부 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구가 형성되는 일면, 및 상기 그립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각각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상부 박스는,
    상기 하부 박스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측면 상의 제2 영역이 절취선에 의해 제공되는 절취영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취영역부는,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절개영역부를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개영역부가 상기 그립구를 통해 접혀지기 위한 접힘 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의 상기 절취영역부의 분리에 의해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의 상기 절개영역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면은,
    상기 절취영역부와 인접한 영역이 제거되어 제공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절취선에 따라 상기 절취영역부를 상기 외부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부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가로폭 부분, 및 상기 그립구가 형성되는 측면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그립구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제2 가로폭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하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하부 함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입부는,
    상기 하부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박스는,
    상부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웃하는 측면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은,
    상기 상부 날개부를 사이에 두고 접혀진 후, 기립의 기준이 되는 기립선에 형성된 상부 함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함입부는,
    상기 상부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210132305A 2021-10-06 2021-10-06 포장용 박스 KR10262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05A KR102620730B1 (ko) 2021-10-06 2021-10-06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05A KR102620730B1 (ko) 2021-10-06 2021-10-06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21A KR20230049321A (ko) 2023-04-13
KR102620730B1 true KR102620730B1 (ko) 2024-01-05

Family

ID=8597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05A KR102620730B1 (ko) 2021-10-06 2021-10-06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7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792Y2 (ko) * 1976-06-29 1980-09-17
JPH0747300Y2 (ja) * 1990-04-20 1995-11-01 本州製紙株式会社 立体倉庫用収納ケース
JPH11139426A (ja) * 1997-11-11 1999-05-25 Toppan Printing Co Ltd 封止機能付き箱状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21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089B1 (ja) 梱包箱
KR102404415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AU2012231785A1 (en) A box for packaging
KR102620730B1 (ko) 포장용 박스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US4863035A (en) Packaging box that can easily be opened
US7478744B2 (en) Box shaped container made of cardboard or similar material with associated cursor
JP5420053B1 (ja) 梱包箱
KR102366485B1 (ko) 조립식 배송용 박스
US10023351B2 (en) Box and package
US20030234284A1 (en) Carton with reducibility feature
KR102429709B1 (ko) 포장용 박스
KR20230071270A (ko) 포장용 박스
KR20230093627A (ko) 포장용 박스
KR20230087357A (ko) 포장용 박스
JP7115527B2 (ja) 包装箱
KR200496652Y1 (ko) 우유팩형 상자
KR20230117822A (ko) 포장용 박스
JP6482795B2 (ja) 包装用箱
KR20230143295A (ko) 포장용 박스
KR20230143294A (ko) 포장용 박스
JP3235358U (ja) 再封機能付き包装箱
JP3235368U (ja) 包装箱
JP7203634B2 (ja) 包装箱
JP7317546B2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