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639Y1 -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639Y1
KR200307639Y1 KR20-2002-0039125U KR20020039125U KR200307639Y1 KR 200307639 Y1 KR200307639 Y1 KR 200307639Y1 KR 20020039125 U KR20020039125 U KR 20020039125U KR 200307639 Y1 KR200307639 Y1 KR 200307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jet
oil
actuator
opening pressure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원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원정공
Priority to KR20-2002-0039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639Y1/ko

Links

Landscapes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제트를 검사할 때 개변 상태에서의 압력을 적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자동 공급하는 제품 공급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이송 및 안착시키는 안착수단(300)과, 상기 안착수단(300)에 대응되게 프레임(110)에 설치됨과 아울러 펌프(120)의 유체가 자동적으로 공급되어 판정되게 하는 시험수단(400)과, 상기 시험수단(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픽업 및 이송하는 배출수단(500)과, 상기 각각의 수단(200,300,400,500)을 자동/반자동/수동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어기(60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A TESTING DEVICE FOR OIL JET VALVE OPENING PRESSURE}
본 고안은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오일제트(OIL JET)는 실린더 블록 내의 실린더 보어 하단부에 형성된 오일 통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일제트는 피스톤의 상하 왕복 운동시 피스톤 핀 주위의 오일을 분사시킴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 냉각과 윤활 효과를 가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오일제트는 오일 통로에 설치된 상태에서 적정 압력에 따라 개폐되면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 제작시에 개변 상태를 시험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를 제작할 때 종래에는 시험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인 확인 방법인 오일제트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켜서 유체가 분사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일제트를 제작할 때 오일제트 내부를 통해서 유체가 분사되는지만을 검사하기 때문에 적정 압력 상태에서의 유체 분사 유무를 판단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적정 압력에서의 밸브 개방 상태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오일제트를 검사할 때 개변 상태에서의 압력을 적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품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오일제트를 이송 및 안착시키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에 대응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펌프의 유체가 공급되게 하는 시험수단과, 상기 시험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일제트를 픽업 및 이송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각각의 수단을 자동/반자동/수동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공급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시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배출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라인압 조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오일제트 100: 본체
200: 제품 공급수단 300: 안착수단
400: 시험수단 420: 오일제트 위치부
430: 가압체 450: 라인압 조정기
452: 오일 지지체 453: 스프링
500: 배출수단 600: 제어기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자동 공급하는 제품 공급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이송 및 안착시키는 안착수단(300)과, 상기 안착수단(300)에 대응되게 프레임(110)에 설치됨과 아울러 펌프(120)의 유체가 자동적으로 공급되어 판정되게 하는 시험수단(400)과, 상기 시험수단(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픽업 및 이송하는 배출수단(500)과, 상기 각각의 수단(200,300,400,500)을 자동/반자동/수동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어기(6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품 공급수단(200)은 제어기(600)의 제어패널(610) 작동에 의해서 작동됨과 아울러 오일제트(1)가 수용되어 자동적으로 정렬되는 진동체(210)와, 상기진동체(210)의 공급부(220)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 1 액추에이터(240) 작동으로 주기적으로 전후진되는 공급부재(230)와, 상기 공급부재(2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가 위치됨과 아울러 제어기(600)의 신호에 의해서 상승운동하는 승강체(25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승강체(250)는 공급부(220)로부터 오일제트(1)가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승강체(250)의 측부에 감지센서(260)를 설치하여 승강체(250)상의 오일제트(1)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며, 상기 감지센서(26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기(600)가 제 1 액추에이터(240) 및 승강체(25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안착수단(300)은 프레임(110)에 수평되게 고정된 가이더(310)에 설치되어 제 2 액추에이터(330) 작동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작동부재(320)와, 상기 좌우 작동부재(3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 3 액추에이터(350) 작동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재(340)와, 상기 회전 작동부재(3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픽업하는 한쌍의 픽업체(3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픽업체(360)는 제어기(600)의 조정 및 승강체(250)의 오일제트(1) 공급에 따라 오일제트(1)를 픽업하여 시험수단(400)으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체(360)가 오일제트(1)를 픽업받을때는 순서적으로 승강체(250)를 통해서 공급받는 것이고, 상기 시험수단(400)으로 오일제트(1)를 이동할 때는 동시에 이동하여 시험수단(400)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시험수단(400)은 프레임(110)에 고정된 하우징(4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오일제트(1)가 주기적으로 수용되어 테스트됨과 아울러 라인(130)을 통해펌프(120)의 유체가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한쌍의 오일제트 위치부(420)와,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위치된 오일제트(1)를 자동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오일제트 위치부(4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430)와, 상기 펌프(120)와 하우징(410) 사이의 라인(130)상에 형성되어 이동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각각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440) 및 라인압 조정기(45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의 상측에는 감지센서(46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안착수단(300)의 픽업체(360)를 통해 오일제트(1)가 오일제트 위치부(420)로 위치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제어기(600)를 통한 오일제트(1) 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는 라인(130)상에 연결됨과 아울러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451)와, 상기 바디(451)의 내측에 설치되어 라인(130)상의 유체가 점차적으로 가압되게 되는 오일 지지체(452)와, 상기 오일 지지체(452) 전방에 설치되어 가압되는 오일 지지체(452)를 적정 압력으로 반발되게 하는 스프링(453)과, 상기 바디(451)의 바닥부분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및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홀(45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는 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점차적으로 미세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가 오일제트(1)로 공급되는 오일 압력을 조정하게 됨으로써 오일제트(1) 내부의 밸브 개방 상태 압력을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순간적인 압력 감지는 압력센서(47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470)는 오일제트(1)의 개변압을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센서(470)를 통한 오일제트(1)의 개변압을 확인하여 설정 압에서의밸브 개방이 이루어지면 합격으로 판정하고, 설정 압력을 벗어난 상태에서의 밸브 개방 및 밸브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합격으로 판정하여 제어기(600)로 해당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500)은 프레임(110)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더(510)에 설치되어 제 4 액추에이터(530) 작동으로 좌우 이동하는 좌우 작동부재(520)와, 상기 좌우 작동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 5 액추에이터(550) 작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 작동부재(540)와, 상기 승강 작동부재(5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 6 액추에이터(570)로 작동되어 오일제트(1)를 픽업하는 픽업체(560)와, 상기 픽업체(560)로 부터 낙하되는 오일제트(1)에 대응되게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배출가이더(58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배출가이더(580)는 중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전환편(581)과, 상기 방향전환편(58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배출가이더(580)에 설치되는 제 7 액추에이터(582)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7 액추에이터(582)는 시험수단(400)을 통한 오일제트(1)가 불합격으로 판정되면 제어기(60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게 됨으로써 방향전환편(58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고, 상기 방향전환편(581)의 회전에 의해서 불합격 제품이 합격 제품과 분리 저장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40은 라인 릴리프 밸브로서 수동 조정시에 조정하는 것이고, 150은 펌프(120) 압력을 조정하는 펌프 압력 조절기이며, 160은 급속 드레인 밸브이고, 170은 라인압 세팅 밸브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오일제트를 검사할 때 개변 상태에서의 압력을 적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100)에 제품 공급수단(200)과 안착수단(300), 시험수단(400), 배출수단(500)을 순차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수단(200,300,400,500)을 자동/반자동/수동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제어기(6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오일제트(1)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기(600)의 제어패널(610)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패널(610)의 신호에 따라 진동체(210)가 작동되어 공급부(220)측으로 오일제트(1)가 정렬되고, 상기 공급부(220)에 정렬되는 오일제트(1)는 공급부재(230)의 승강체(250)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승강체(250)는 오일제트(1)를 탑재한 후 상승이동하여 회전 작동부재(340)의 픽업체(360)에 오일제트(1)를 픽업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픽업체(360)는 승강체(250)를 통한 오일제트(1)를 순서적으로 픽업한 후 시험수단(400)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체(360)가 오일제트(1)를 픽업한 후 회전 작동부재(340)는 진행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 작동부재(340)의 회전이 이루어진 후 좌우 작동부재(32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상기 좌우 작동부재(320)의 이동이 완료된 후 픽업체(360)상의 오일제트(1)를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끼워넣는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오일제트(1)를 안착시킨 후 좌우 작동부재(32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고, 상기 좌우 작동부재(320)가 복귀한 후 회전 작동부재(340)가 원래의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작동부재(340)의 회전이 이루어져 픽업체(360)가 승강체(250)와 마주보게 하는 것이다.
한편,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오일제트(1)를 위치시킨 후 가압체(430)를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가압체(430)를 하우징(410) 내측으로 당기므로써 가압체(430)가 오일제트(1)를 압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가압체(430)의 가압이 완료된 후 펌프(120)를 작동시켜 라인(130)을 통해 오일제트 위치부(420)로 오일이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120)를 통해 오일이 공급될 때 유량 조정 밸브(440)와 라인압 조정기(450)를 경유하여 유체가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 조정 밸브(440)는 초기 상태와 밸브 개변시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는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서서히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센서(470)를 통한 개변압시의 상태를 적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는 오일 지지체(452) 및 스프링(453)의 유체 반발력에 의해서 유체 이동 압력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유체의 이동 압력을 스프링(453)을 통해서 조정할 수 있음에 따라 유체 이동이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로 오일을 공급하여 오일제트(1)의 밸브가 개방되게 되면 오일 공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개변시의 압력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고, 상기 파악이 이루어지면 제어기(600)는 오일제트(1)의 합격/불합격을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결정 후 가압체(43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고, 상기 가압체(430)를 복귀시킴과 아울러 좌우 작동부재(520)와 승강 작동부재(540) 및 픽업체(560)를 작동시켜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존재하는 오일제트(1)를 픽업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존재하던 오일제트(1)를 픽업한 픽업체(560)는 상승 이동 및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픽업체(560)가 우측으로 이동한 후 배출가이더(580) 상측의 대향 지점에 위치함과 동시에 오일제트(1)의 픽업을 해제하는 것이며, 상기 픽업 해제시에 오일제트(1)가 불량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해당 방향전환편(581)이 제어기(600)의 조정에 따라 회전되어 불량 함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픽업 해제시에 오일제트(1)가 합격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해당 방향전환편(581)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합격 함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제트(1)를 배출가이더(580)로 배출시킨 후 좌우 작동부재(520)와 승강 작동부재(540) 및 픽업체(56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함과 아울러 가압체(430)는 신규 오일제트(1)를 오일제트 위치부(420)로 가압시켜 자동(반복) 시험이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오일제트(1)의 시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출하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측부에 제품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오일제트가 자동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본체에 안착수단을 설치하여 오일제트가 이동되게 하며, 상기 안착수단 측부에 시험수단을 설치하여 오일제트의 개변압 시험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시험수단의 측부에 배출수단을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불량품과 정상품을 선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제트의 개변압 시험이 간편하게이루어짐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제품 공급수단에 진동체와 공급부재, 승강체 등을 설치함으로써 오일제트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체 측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제트의 자동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안착수단에 좌우 작동부재와 회전 작동부재 및 픽업체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제트를 픽업하여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이고, 상기 시험수단에 가압체와 오일제트 위치부, 유량 조정 밸브 및 라인압 조정기 등을 설치함으로써 오일제트의 개변압 시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라인압 조정기의 바디 내측에 오일 지지체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라인상의 유체 이동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수단에 좌우 작동부재와 승강 작동부재 및 픽업체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제트를 픽업하여 배출가이더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배출가이더에 방향전환편을 설치함으로써 배출가이더를 통해서 제품이 배출될 때 합격/불합격으로 분리되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품 공급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이송 및 안착시키는 안착수단(300)과, 상기 안착수단(300)에 대응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펌프(120)의 유체가 공급되게 하는 시험수단(400)과, 상기 시험수단(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를 픽업 및 이송하는 배출수단(500)과, 상기 각각의 수단(200,300,400,500)을 자동/반자동/수동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어기(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수단(200)은 오일제트(1)가 수용되는 진동체(210)와, 상기 진동체(210)의 공급부(220)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 1 액추에이터(240) 작동으로 전후진되는 공급부재(230)와, 상기 공급부재(2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제트(1)가 위치되는 승강체(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300)은 프레임(110)에 고정된 가이더(310)에 설치되어 제 2 액추에이터(330) 작동으로 이동하는 좌우 작동부재(320)와, 상기 좌우 작동부재(3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 3 액추에이터(350)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작동부재(340)와, 상기 회전 작동부재(3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픽업체(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수단(400)은 하우징(4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오일제트(1)가 주기적으로 수용됨과 아울러 라인(130)을 통해 펌프(120)의 유체가 공급되는 한쌍의 오일제트 위치부(420)와, 상기 오일제트 위치부(420)에 위치된 오일제트(1)를 가압할 수 있게 오일제트 위치부(4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체(430)와, 상기 펌프(120)와 하우징(410) 사이의 라인(130)에 형성되는 유량 조정 밸브(440) 및 라인압 조정기(4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 조정기(45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451)와, 상기 바디(451)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일 지지체(452)와, 상기 오일 지지체(452) 전방에 설치되는 스프링(453)과, 상기 바디(451)의 바닥부분에 형성되는 드레인홀(4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0)은 프레임(110)에 고정된 가이더(510)에 설치되어 제 4 액추에이터(530) 작동으로 이동하는 좌우 작동부재(520)와, 상기 좌우작동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 5 액추에이터(550) 작동으로 승강되는 승강 작동부재(540)와, 상기 승강 작동부재(5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 6 액추에이터(570)로 작동되는 픽업체(560)와, 상기 픽업체(560)로 부터 낙하되는 오일제트(1)에 대응되게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되는 배출가이더(5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더(580)는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편(581)과, 상기 방향전환편(58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배출가이더(580)에 설치되는 제 7 액추에이터(5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KR20-2002-0039125U 2002-12-31 2002-12-31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KR200307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25U KR200307639Y1 (ko) 2002-12-31 2002-12-31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25U KR200307639Y1 (ko) 2002-12-31 2002-12-31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731A Division KR100478154B1 (ko) 2002-12-31 2002-12-31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639Y1 true KR200307639Y1 (ko) 2003-03-17

Family

ID=4940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125U KR200307639Y1 (ko) 2002-12-31 2002-12-31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874B1 (ko) * 2019-05-02 2019-10-17 곽임곤 쿨링젯 어셈블리의 노즐분사 방향과 압력의 자동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874B1 (ko) * 2019-05-02 2019-10-17 곽임곤 쿨링젯 어셈블리의 노즐분사 방향과 압력의 자동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24603A1 (fr) Procede de controle du fonctionnement d&#39;une soupape et banc d&#39;essai mecaniqu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CA2572237C (en) Engine oil leak test system and method
KR101977406B1 (ko) 비드폭의 조절이 가능한 타이어 테스팅 장치
KR20110038411A (ko)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
KR101046825B1 (ko) 연료 측정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78154B1 (ko)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KR200307639Y1 (ko)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KR101008743B1 (ko) 선박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를 용이하게 반복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CA2226594C (en) Method for testing functions of paint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488789B1 (ko) 오일제트 조립검사장치
KR20210057912A (ko)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KR102174073B1 (ko) 자동차 부품 조립 및 검사장치
JP3907079B2 (ja) ポンプ装置のリーク検出方法及び装置
JP3721961B2 (ja) 異常点検方法及び異常点検装置
KR200434946Y1 (ko)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유량 압력셋팅장치
GB2366620A (en) Apparatus for obtaining a defective portion replica
KR102291337B1 (ko)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KR200306375Y1 (ko) 씨씨피씨브이용 시험장치
KR200307437Y1 (ko) 에어 이그조스트용 시험장치
KR100757502B1 (ko) 밸브 스템 시일을 장착하는 압입지그
KR100515243B1 (ko) 씨씨피씨브이용 시험장치
JPS5922483Y2 (ja) 高さ検査装置
KR20020046564A (ko) 차량의 플랩 도어 시험장치
KR102464541B1 (ko) 공기베어링 검사 장치
KR100515244B1 (ko) 에어 브리더용 개변압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