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772Y1 -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772Y1
KR200306772Y1 KR20-2002-0036867U KR20020036867U KR200306772Y1 KR 200306772 Y1 KR200306772 Y1 KR 200306772Y1 KR 20020036867 U KR20020036867 U KR 20020036867U KR 200306772 Y1 KR200306772 Y1 KR 200306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rotor
clutch assembly
riv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준
정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테크
Priority to KR20-2002-0036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7Bias of an armature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by flexing of substantially flat springs, e.g.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클러치 조립체에서 로터(Rotor)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마츄어(Armature)에 판스프링 날개부의 끼움공으로 리벳이 다수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분에는 로터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스에 고정되도록 보스고정볼트로 체결하므로 클러치조립체에 가하여지는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하여 상기 리벳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속운동성능을 향상하고, 클러치조립체의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 A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Plate Spring Eletro Clutch Assembly }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자식 클러치조립체(Electro Clutch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클러치 조립체에서 로터(Rotor)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마츄어(Armature)에 판스프링 날개부의 끼움공으로 리벳이 다수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분에는 로터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스에 고정되도록 보스고정볼트로 체결하므로 클러치조립체에 가하여지는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하여 상기 리벳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속운동성능을 향상하고, 클러치조립체의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클러치(Electro Clutch)는, 주로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를 압축하기 위하여 풀리기능을 포함하여 내부에 전기적인 온/오프장치를 내장하여 공기압축기의 운전 및 정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및 전자 제어장치이다.
특히, 자동차용(특히, 버스용)으로 사용되는 전자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의 메인풀리에서 지지풀리로 동력을 전달하여 주고, 이 지지풀리에서 재차 동력을 압축기용 클러치 조립체로 전달하여 공기 압축기를 온/오프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전자클러치 조립체(12)의 구성을 살펴 보면, 엔진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메인풀리(2)와; 상기 메인풀리(2)의 풀리홈에 감겨져 있는 메인벨트(4)로 동력을 전달 받아서 공회전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풀리(6)와; 상기 지지풀리(6)의 공회전을 압축기벨트(8)로 전달받아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공기압축기(10)를 가동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12)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클러치 조립체(12)는, 상기 압축기벨트(8)가 벨트홈(16)에 감겨져서 회전하는 로터(14)와; 상기 로터(14)의 측면 외측홈부(21)에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삽입되어지고, 공기압축기(10)의 일측면에 브라켓트(50)에 의하여 고정되는요오크(18)와; 상기 요오크(18)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배선(19)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20)과; 상기 로터(14)의 일측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30)에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의 단락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14)에 접촉되거나 분리되어져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아마츄어(22)와; 상기 아마츄어(22)의 나사공(23)에 날개부(27)의 끼움공(25)을 통하여 다수의 체결볼트(26)가 체결 고정되고, 중심부분은 압축기회전축(40)에 고정된 보스(28)의 끼움공(31)으로 끼워진 다수의 보스고정볼트(32)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상기 로터(14)에 대하여 아마츄어(22)가 항상 분리되려는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14)의 내측홈부(17)에는 상기 보스(28)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30)이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12)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엔진의 메인풀리(2)의 동력은 메인벨트(4)를 통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풀리(6)에 전달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풀리(6)에서 공회전 상태의 동력을 압축기벨트(8)를 통하여 로터(14)의 벨트홈(16)에 감겨지면서 상기 클러치조립체(1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조립체(12)의 로터(14)는 항상 회전하는 상태로 있으며, 상기 로터(14)의 외측홈부(21)에 일정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되는 요오크(18)는, 상기 공기압축기(10)에 고정된 브라켓트(50)에 지지되어져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14)의 전면부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져 있는 아마츄어(22)는, 상기 판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분리되는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24)의 중심부분은 보스고정볼트(32)에 의하여 보스(28)에 체결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기(10)를 구동하고자 한다면, 상기 배선(19)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요오크(18)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20)을 통하여 전기가 통전되면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14)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정지되어져 있는 아마츄어(22)를 당겨주면서 로터(14)로 부착시켜 같이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아마츄어(22)는 보스(28)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아마츄어(22)를 상기 로터(14)로 부터 분리하고 있는 판스프링(24)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서 상기 로터(14)에 아마츄어(22)가 접촉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마츄어(22)가 상기 로터(14)에 접촉되어지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아마츄어(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아마츄어(22)의 회전은 체결볼트(26)에 의하여 고정된 판스프링(24)을 통하여 전달되어 보스(28)를 회전시켜 압축기회전축(40)을 구동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축기(10)를 작동하다가 정지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배선(19)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코일(2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판스프링(2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로터(14)의 전면으로 당겨져 있던 아마츄어(22)가 상기 판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압축기회전축(4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공기압축기(10)의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마츄어(22)에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24)은 상기 판스프링(24)의 끼움공(25)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26)가 아마츄어(22)의 나사공(23)에 체결되면서 고정되어지지만, 고속으로 로터(14)가 회전하는 경우, 체결볼트(26)의 나사홈부분에 수직으로 충격 혹은 과부하가 가하여 지면서 결합볼트(26)가 파손되어지거나 쉽게 풀어지므로 내구성 및 작동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클러치 조립체에서 로터(Rotor)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마츄어(Armature)에 판스프링 날개부의 끼움공으로 리벳이 다수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분에는 로터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스에 고정되도록 보스고정볼트로 체결하므로 클러치조립체에 가하여지는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하여 상기 리벳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속운동성능을 향상하고, 클러치조립체의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요부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인풀리 4 : 메인벨트
6 : 지지풀리 8 : 압축기벨트
10 : 압축기 100 : 압축기조립체
102 : 요오크 104 : 코일
110 : 로터 112 : 벨트홈
120 : 아마츄어 122 : 리벳고정홀
124 : 경사면부 130 : 보스
132 : 나사공 140 : 판스프링
142 : 끼움공 150 : 리벳
152 : 와셔 154 : 리벳머리부
156 : 리벳고정부 160 : 보스고정볼트
이러한 목적은 압축기벨트가 원벨트홈에 감겨져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일측면 외측홈부에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삽입되어지고, 공기압축기의 일측면에 브라켓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요오크와; 상기 요오크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배선으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과; 상기 로터의 일측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의 단락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에 접촉되거나 분리되어져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에 고정되고, 중심부분은 압축기회전축에 고정된 보스에 끼움공으로 끼워진 다수의 보스고정볼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상기 로터에 대하여 아마츄어가 항상 분리되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전자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날개부에 형성되는 끼움공과; 상기 판스프링의 끼움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아마츄어에 형성되는 리벳고정홀과; 상기 리벳고정홀의 배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판스프링의 끼움공과 상기 아마츄어의 리벳고정홀로 삽입되어져서 판스프링과 아마츄어를 서로 결합하는 리벳으로 이루어진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요부 구성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압축기벨트(8)가 벨트홈(112)에 감겨져서 회전하는 로터(110)와; 상기 로터(110)의 일측면 외측홈부(103)에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삽입되어지고, 공기압축기(10)의 일측면에 브라켓트(180)에 의하여 고정되는 요오크(102)와; 상기 요오크(102)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배선(106)으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4)과; 상기 로터(110)의 일측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104)에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의 단락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11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어져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아마츄어(120)와; 상기 아마츄어(120)에 고정되고, 중심부분은 압축기회전축(134)에 고정된 보스(130)에 끼움공(142)으로 끼워진 다수의 보스고정볼트(16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상기 로터(110)에 대하여 아마츄어(120)가 항상 분리되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판스프링(140)으로 구성된 전자클러치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10)의 날개부(143)에 형성되는 끼움공(142)과; 상기 판스프링(110)의 끼움공(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아마츄어(120)에 형성되는 리벳고정홀(122)과; 상기 리벳고정홀(122)의 배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부(124)와; 상기 판스프링(110)의 끼움공(142)과 상기 아마츄어(120)의 리벳고정홀(122)로 삽입되어져서 판스프링(110)과 아마츄어(120)를 서로 결합하는 리벳(1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40)에 리벳머리부(154)가 위치하고, 상기아마츄어(120)의 경사면부(124)에 리벳고정부(156)가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40)과 리벳머리부(154) 사이에는 스프링와셔(152)가 설치되어져서 판스프링(140)과 리벳머리부(154) 사이에 완충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벳(150)의 리벳고정부(156)는, 아마츄어(120)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로터(110)의 벨트홈(112)은, 하나의 압축기벨트(8)가 감겨질 수 있도록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본 아마츄어(120)의 리벳고정홀(122)과 판스프링(140)의 날개부(143)에 형성된 끼움공(142)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40)의 끼움공(14)의 외측면부에 와셔(152)를 접촉시키고, 리벳(150)을 와셔(152), 판스프링(140)의 끼움공(142) 및 아마츄어(120)의 리벳고정홀(122)로 삽입하여 배면에서 압력을 가하여 아마츄어(120)의 경사면부(124)에 리벳고정부(156)를 형성하면서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4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보스고정볼트(160)를 삽입하여 보스(130)의 나사공(132)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스(130)는, 압축기회전축(134)에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로터(110)의 내측홈부(105)에는 보스(130)에서 서로 별도로 회동하도록 마찰을 줄여주는 베어링(170)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터(110)의 외측홈부(103)에는 브라켓트(180)에 의하여 공기압축기(10)에 고정되는 요오크(102)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요오크(102)의 내부에는 배선(106)을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4)이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 본 고안이 전자 클러치 조립체(100)의 작동상태를 살펴 보면, 자동차엔진의 메인풀리(2)의 동력은 압축기벨트(8)를 통하여 로터(110)의 벨트홈(112)에 감겨지면서 상기 클러치조립체(1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조립체(100)의 로터(110)는 항상 회전하는 상태로 있으며, 상기 로터(110)의 외측홈부(103)에 일정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되는 요오크(102)는, 상기 공기압축기(10)에 고정된 브라켓트(180)에 지지되어져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110)의 전면부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져 있는 아마츄어(120)는, 상기 판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분리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기(10)를 구동하고자 한다면, 상기 배선(106)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요오크(102)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104)을 통하여 전기가 통전되면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110)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정지되어져 있는 아마츄어(120)를 당겨주면서 로터(110)로 부착시켜 같이 마찰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아마츄어(110)는 보스(130)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아마츄어(120)를 상기 로터(110)로 부터 분리하고 있는 판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서 상기 로터(110)에 아마츄어(120)가 접촉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마츄어(120)가 상기 로터(110)에 접촉되어지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아마츄어(1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아마츄어(120)의 회전은 리벳(150)에 의하여 고정된 판스프링(140)을 통하여 전달되어 보스(130)를 회전시켜 압축기회전축(134)을 구동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축기(10)를 작동하다가 정지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배선(106)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코일(104)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판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로터(110)의 전면으로 당겨져 있던 아마츄어(120)가 상기 판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압축기회전축(134)의 회전을 정지시켜 공기압축기(1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로터(110)에 대하여 아마츄어(120)가 빈번하게 수평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140)을 로터(110)에 고정하는 리벳(150)에 높은 측면압력이 가하여 지지만 종래의 체결볼트에 비하여 리벳(150)에는 나사홈부가 없으므로 리벳(1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벳(150)의 리벳고정부(156)가 아마츄어(120)의 경사면부(124)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리벳(150)이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아마츄어(120) 및 판스프링(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자동차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클러치 조립체에서 로터(Rotor)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마츄어(Armature)에 판스프링 날개부의 끼움공으로 리벳이 다수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분에는 로터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스에 고정되도록 보스고정볼트로 체결하므로 클러치조립체에 가하여지는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하여 상기 리벳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속운동성능을 향상하고, 클러치조립체의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압축기벨트(8)가 벨트홈(112)에 감겨져서 회전하는 로터(110)와; 상기 로터(110)의 일측면 외측홈부(103)에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삽입되어지고, 공기압축기(10)의 일측면에 브라켓트(180)에 의하여 고정되는 요오크(102)와; 상기 요오크(102)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배선(106)으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4)과; 상기 로터(110)의 일측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104)에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의 단락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11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어져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아마츄어(120)와; 상기 아마츄어(120)에 고정되고, 중심부분은 압축기회전축(134)에 고정된 보스(130)에 끼움공(142)으로 끼워진 다수의 보스고정볼트(16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상기 로터(110)에 대하여 아마츄어(120)가 항상 분리되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판스프링(140)으로 구성된 전자클러치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10)의 날개부(143)에 형성되는 끼움공(142)과;
    상기 판스프링(110)의 끼움공(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아마츄어(120)에 형성되는 리벳고정홀(122)과;
    상기 리벳고정홀(122)의 배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부(124)와;
    상기 판스프링(110)의 끼움공(142)과 상기 아마츄어(120)의 리벳고정홀(122)로 삽입되어져서 판스프링(110)과 아마츄어(120)를 서로 결합하는 리벳(150)으로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40)에 리벳머리부(154)가 위치하고, 상기 아마츄어(120)의 경사면부(124)에 리벳고정부(156)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40)과 리벳머리부(154) 사이에는 스프링와셔(1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150)의 리벳고정부(156)는, 아마츄어(120)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10)의 벨트홈(112)은, 하나의 압축기벨트(8)가 감겨질 수 있도록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KR20-2002-0036867U 2002-12-10 2002-12-10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KR200306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67U KR200306772Y1 (ko) 2002-12-10 2002-12-10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67U KR200306772Y1 (ko) 2002-12-10 2002-12-10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772Y1 true KR200306772Y1 (ko) 2003-03-11

Family

ID=4933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867U KR200306772Y1 (ko) 2002-12-10 2002-12-10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7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47A3 (ko) * 2017-06-28 2019-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CN110691920A (zh) * 2017-06-28 2020-01-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离合器及包括此的压缩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47A3 (ko) * 2017-06-28 2019-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CN110691920A (zh) * 2017-06-28 2020-01-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离合器及包括此的压缩机
US11441619B2 (en) 2017-06-28 2022-09-13 Hanon Systems Clutch and compressor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2137B2 (ja) 電磁クラッチ
US4860867A (en) Electromagnetic clutch
US6286650B1 (en) Coil-rotation type electromagnetic clutch
CA2315961C (en) Electric clutch including resilient disk biasing means
KR200306772Y1 (ko)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판스프링 조립구조
JP3985705B2 (ja) 電磁クラッチ
KR100635117B1 (ko) 전자기 클러치
US5751202A (en)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KR100470930B1 (ko) 자동차용 전자클러치 조립체 제조방법
EP1396662B1 (en) An integrated pulley-torsional damper assembly
KR100561938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_
KR101360128B1 (ko)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및 전자클러치의제어방법
KR200168988Y1 (ko) 압축기용 클러치
WO2005010392A1 (ja) 電磁クラッチ
KR970005071B1 (ko) 금속간의 충돌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춘 전자 클러치
JP3135047B2 (ja) 電磁クラッチ
KR200147748Y1 (ko) 압축기용 클러치
JP2914604B2 (ja) 電磁連結装置
KR20090018334A (ko)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및 허브 어셈블리
KR20070024074A (ko) 차량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토션 댐퍼 분진방지막 장착구조
KR100484939B1 (ko)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요오크어셈블리 제조방법
KR200145274Y1 (ko) 압축기용 클러치
KR20040085723A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150999Y1 (ko) 압축기용 클러치
KR20030004253A (ko) 전자클러치 조립체의 아마츄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