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94Y1 -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 Google Patents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94Y1
KR200306694Y1 KR20-2002-0035165U KR20020035165U KR200306694Y1 KR 200306694 Y1 KR200306694 Y1 KR 200306694Y1 KR 20020035165 U KR20020035165 U KR 20020035165U KR 200306694 Y1 KR200306694 Y1 KR 200306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hicle
transmission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식
Original Assignee
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식 filed Critical 임홍식
Priority to KR20-2002-0035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5Anti-collision systems for passive traffic, e.g. including static obstacles,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60W50/045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 B60W2050/046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involving 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e.g. via telemetry, satellit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고장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무선송수신 장치를 부착하여 고장차량에서 고장신호를 송신하면 주위의 모든차량내에서 그 신호를 수신하여 주의운전을 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내 데쉬보드의 일정장소에 무선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일체화된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를 부착함에 있어서 이 장치에는 차량 고장시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스위치와 타차량으로부터의 고장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시램프, 스피커가 있고, 고장차량 바테리의 완전방전으로 인하여 송신이 불가능할때를 대비하여 송수신장치 내에 내장바테리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차량에서 충전을 받고, 비상시에 이 내장바테리를 사용하게하는 것과, 차속신호를 받아 주행중에는 고장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로 구성되어져 고장시에 고장표시를 하기위해 차량을 이탈하지 않고도 후방또는 주위의 진행차량에 고장신호를 보낼수 있으며 또한, 주위의 차량에서는 그 신호를 즉시 시각, 창각적으로 인지할수 있으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이다.

Description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Radio Frequency Wi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Car Trouble Signal Equipment}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행중 고장이 발생하여 도로에 정차하고 있을 때 고장표시를 무선으로 송신하여 후방또는 주위의 모든차량에게 고장차량이 있음을 알리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이제 자동차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건설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자동차 등록대수가 2002년 10월현재 1,300만대를 초과하였다고 한다. 이렇듯 차량대수가 늘어남에따라 도로에 다니는 차량수도 많아지고 거기에 따라 고장등으로 도로상에 정차해있는 차량수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통사고 건수가 늘어나게 되고 특히, 교통문화운동본부 자료에 따르면 1년동안 주.정차중 충돌사고가 15,000여건이 발생하여 사망 180여명, 부상이 27,000여명에 이른다고 되어있다.
고장차량의 표시방법으로 종래의 기술은 고장차량 후방에 고장표시 안전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은 평탄하고 직선주행로에서의 고장차량(10)이 후방 100미터 이상 거리에 고장표시 안전삼각대(30)를 설치한 예로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후방차량(20)이 충분한 거리에서 고장차량을 식별하여 서행할수 있으므로 사고가 날 확률이 낮지만 도로 여건상 곧고 평탄한 도로는 많이있지 않은 편이다.
도로 교통법규를 보면 고속도로에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는 주간에 차량후방100미터 이상, 야간에는 후방 200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는 이정도의 거리를 두고 설치 해야만 후방 진행차량들로 하여금 충분한 대처시간을 줄수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차량고장시 차량을 100미터 이상 이탈하여 설치하기가 쉬운일이 아니다. 특히, 야간에 200미터를 이탈하여 설치하기란 보통문제가 아니다. 설치하러 가는 도중에 타차량에 설치자가 사고를 당할위험도 있고, 고장차량이 충돌 당할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를 고장차량 후미에 부착하거나, 가까운 거리에 설치하거나, 비상등만 켜놓는 경우가 많은데, 도 1과 같은 곧고 평탄한 도로는 별문제가 없겠으나 도 2와 같은 언덕길이나, 도 3과같은 곡선로에서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시계가 좋지못한 악천후때에는 도 1과 같은 상황에서도 별효과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차량고장시 차량내에서 송신스위치를 켬으로써 무선으로 고장신호를 발생시켜 주위의 차량에 전달하므로 위험한 차도로 나오지 않고 고장표시를 할수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주위에 고장차량이 있음을 차량내에 설치된 수신장치가 고장표시 램프, 경고음, 경고멘트로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언덕길, 곡선로, 악천후등에 상관없이 운전자로 하여금 즉시 주의 운전을 하도록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의 제 3목적은 도시한 도 2, 도 3에서 편도 1차로인 도로에서 종래 기술인 후방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한 경우,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지나치게 되는데 이때 마주오는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있으므로 고장신호를 후방만이 아닌 모든방향으로 보내어 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도 이를 수신하여 주의운전을 하게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차량 고장시에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에 의해 RF(Radio Frequency;무선 주파수)신호 발생회로가 작동되는 RF발신모듈부와;
상기 신호를 RF수신모듈부에서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하게 알리는 수단으로서, 경고등이 점멸되어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표시부와, 상기 신호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음 출력부와, 경고를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경고안내멘트부가 포함된 신호수신부와;
고장신호를 작동시키는 송신버튼과, 송신이 되고있음을 표시하는 송신동작 표시등과, 송수신의 정상작동여부를 시험하는 송수신 시험버튼과, 차량을 수리하여 출발후 주행상태에서는 고장송신 신호가 자동으로 OFF되도록 컨트롤 하는 수단으로 차속센서로부터 신호를 받는 차속신호 입력부가 포함된 신호발신부와;
상기 송수신회로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주 전원은 차량바테리를 사용하고, 차량바테리의 완전방전등 고장으로 사용불가의 경우를 대비하여 송수신 장치내에 구비된 내장바테리와, 그 바테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와, 내장바테리마져 완전방전되어 기능을 상실할것에 대비하여 휴대폰 바테리를 연결하여 사용할수있게하는 컨넥터와 차량전원 연결선이 구비된 전원부;에 의하여 무선 송수신 차량고장신호기가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의 본체 및 각종표시부, 스위치부, 전원부가 차량 출고시 차량내부에 장치 및 일체화 되어 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수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송신동작 표시등은 바테리의 저전압으로 송신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표시할수 있는 바테리 저전압 경고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차속신호 입력부에 있어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일때와 차속센서가 없는 차량을 대비하여 RPM신호도 입력받아 일정 RPM이상이면 송신기능이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의 송수신 신호는 RF신호로서, AM또는 FM의 특정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반경 약 200미터 내외에서 수신되도록 하는것과, 송수신 주파수를 별도로 사용하지않고 동일주파수를 사용하되, 송신버튼이 눌러짐과 동시에 수신회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파의 간섭을 없애고 회로를 단순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평탄도로에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 설치도.
도 2는 언덕길에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 설치도.
도 3은 곡선도로에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 설치도.
도 4는 계기판 주위에 설치된 본고안에 따른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도 5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의 내외부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장차량20 : 후방차량
30 : 고장표시 안전삼각대100 : 차량 데쉬보드
120 : 계기판121 : 계기
130 :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300 : 수신부
301 : 스피커302 : 경고 표시등
400 : 발신부401 : 송신동작 표시등
402 : 송신 버튼403 : 송수신 시험버튼
404: 차속신호 입력부500 : 전원부
501 : 비상전원 입력부502 : 차량전원 연결선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가 장치된 차량내부 설치도 이고, 도 5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내부회로의 블록도이다.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본체(130)외부에는 송신버튼(402)이 구비되어 고장차량 운전자가 필요시 이 송신버튼(402)을 누르면 본체(130)내부의 송신버튼부(402a)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신동작표시부(401a)의 신호점멸 회로(미도시)와 램프점멸회로(미도시)가 작동되어 RF발신모듈(410)에 전원이 인가되어 RF신호를 발생시키고, 램프점멸회로에 의해 송신동작표시등(401)이 점멸하게 된다. 이때,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첫째, 내장바테리(504)의 소모를 줄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둘째는 점멸되는 것이 시각적으로 더욱 잘 인지되기 때문이다.
또, 송신버튼부(402a)에는 송신버튼(402)이 눌러짐과 동시에 평상시에 ON상태에 있는 수신부(30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되어있어 송신전파가 수신회로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아 원활한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것과, 내장바테리(504)의 소모량을 줄여 사용시간을 늘리도록 되어있다.
또한, 송신버튼부(402a)에는 차속신호 입력부(404)로부터 차속신호또는 RPM신호를 받아 일정신호 이상이면 송신전원을 차단하는 차속신호입력부(404a)가 연결되어서, 일정 속도이상으로 주행중에는 송신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있으므로 고장수리 후에 송신스위치를 복귀시키지 않거나 장난삼아 눌러도 신호가 발생되지않아 주위의 차량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130)외부에는 송수신 시험버튼(403)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신호기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으로, 시험버튼(403)을 누르거나 차량시동시 자동으로 시험버튼부(403a)가 작동되어 시험을 자동수행하게 하고, 시험방법은 송신신호의 발생과 동시에 수신전원이 차단되지 않게 하여 자신의 송신 신호가 자신에게 수신되는지 안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송신버튼(402)에 의해 작동되는 RF발신모듈(410)에서는 RF신호가 발생되는데, 이 신호는 AM(Amplitude Modulation)또는 FM(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할수 있으나 통상적인 Radio주파수 범위 이외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차량에 장치된 라디오와 서로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며, 반경 200미터 내외에서 수신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있다.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130)내부에는 수신부(300)가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RF수신모듈(310)이 고장차량으로부터 보내온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증폭부(311)에 전달하고, 신호증폭부(311)에서는 운전자에게 시각, 청각적으로 인지 할수있도록 인지 수단을 제공한다. 인지수단으로서, 경고표시부(302a)에서는 점멸 신호로 증폭되어 경고표시등(302)이 무선송수신 차량고장신호기(130)외부 또는 차량내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잘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점멸된다.
또한, 경고음 출력부(301a)에서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스피커(301)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주의운전을 하게하고 경고안내멘트부(301b)에서는 미리 녹음된 음성IC(미도시)에서 음성이 스피커(301)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려준다.
RF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원부(500)에서는 차량바테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잭(503)과 이를 무선송수신 차량고장신호기(130)로 연결하는 차량전원 연결선(502)으로 구성되어지며 연결선(502)일단에는 시거잭(503)이 장치되어 있으며 타측일단은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130)내부에 있는 충전회로부(505)에 연결되어져 여기에 연결되어진 내장바테리(504)가 주행중에는 충전이되고, 차량바테리(미도시)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송신버튼(402)에 의하여 송신회로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된다.
또한, 전원부(510)내에는 바테리 저전압 체크회로(506)가 구비되어 내장바테리(504)의 전압이 일정전압 이하로 방전이 되면 송신동작표시등(401)이 특정한 색깔로 표시되게한다.
장시간 송신신호를 발생시켜 내장바테리(504)마져 저전압으로 송신이 되지않는 비상의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의 바테리(미도시)를 사용할수 있도록 휴대폰과 비상전원입력부(501)를 별도의 연결선(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전원부(510)에 포함되어진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구성은 비록, 기 출고된 차량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 되어졌지만 차량 제작시 일체로 구성되어 진다면 경고표시등(302)은 도 4에 예시한 바와같이 계기판(120)내에 장치될 수도 있고, 그 외 운전자가 쉽게보이는 곳에 장치할수 있으며, 송신동작표시등(401), 송신버튼(402), 송신시험버튼(403)은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고, 차속신호입력부(404), 스피커(301),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본체 내부에 구성되어진 상기의 회로들은 차량데쉬보드등 차체내에 장치될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130)에 의하면 고장표시 안전삼각대(30)를 차량밖에 설치하지 않고도 차량내부에 설치된 송신버튼(402)을 단지 누름으로써 후방 및 주위의 차량 내에서 경고표시등(302)이 점멸되고, 스피커(301)에서는 경고음또는 경고멘트가 출력됨으로 고장표시 안전삼각대(30)이상의 효과를 가져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차량이 고장표시 안전삼각대(30)를 소지하지 않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로 인한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무선으로 송수신 됨으로 악천후, 언덕길, 곡선주행로에 관계없이 쉽게 고장신호를 송수신 할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도로공사중, 침수, 산사태등 긴급사태가 발생한 곳에 송신기를 설치하여 주의운전을 유도할 수 있고, 무인카메라 설치지점 안내판, 이동식 카메라 설치 안내판을 대신하여 송신기를 사용할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차량바테리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회로부(505)에 의하여 주행중에는 내장바테리(504)를 충전시키고, 수신부(3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수신대기 상태가 되고, 송신버튼(402)이 눌러지면 송신부에 내장바테리 전원이 인가되어 송신신호가 발생되고, 바테리 저전압 체크부(506)가 내장바테리(504)의 전압이 일정전압이하가 되면 송신동작표시등(401)에 별도 색깔의 램프가 점등되게하고, 내장바테리(504)가 일정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 바테리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 전원부(500)와;
    상기 전원부(500)로부터 이어져 송신버튼(402)을 누르면 RF발신모듈(410)에서 RF신호가 발생되어 송신되고, 송신버튼부(402a)에 의하여 자체 수신부(300)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부(400)와;
    상기 발신부(400)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310)과 이 신호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변환하는 신호증폭부(311)가 포함된 수신부(300);로 구성되어진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RF발신모듈(410)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AM/FM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송신신호를 점멸시켜 내장바테리(504)의 소모량을 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속신호와 RPM신호가 일정신호 이상이 되면 송신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의 차속신호입력부(404a)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송수신 시험버튼(403)을 누르거나, 차량의 엔진시동시 자동으로 송수신 시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고장신호기 본체(130)를 밖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차체안쪽에 위치하고 작동스위치부(411), 경고표시등(401)을 차량에 일체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KR20-2002-0035165U 2002-11-25 2002-11-25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KR200306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65U KR200306694Y1 (ko) 2002-11-25 2002-11-25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65U KR200306694Y1 (ko) 2002-11-25 2002-11-25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94Y1 true KR200306694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65U KR200306694Y1 (ko) 2002-11-25 2002-11-25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31B1 (ko) * 2012-08-31 2013-12-11 최현진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도로 교통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31B1 (ko) * 2012-08-31 2013-12-11 최현진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도로 교통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213A (en) Train warning system
AU2006203590C1 (en) Emergency Signal Intercepting Unit
KR20070086432A (ko) 교통신호모니터 및 운전자경고장치
EP0441576A2 (en) Crash warning system
US20140104053A1 (en) Vehicle occupancy and restraint status indication and driver distraction system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US20060176190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JP2009097865A (ja) 道路交通情報の受信装置
JPH05508948A (ja) 道路事故防止用警告システム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US2017029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erts relative to airbag deployment
KR200306694Y1 (ko) 무선송수신 차량고장 신호기
GB2300996A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for use in a vehicle
US20110221610A1 (en) Smart chip radio
KR200417032Y1 (ko) 차량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KR100563258B1 (ko) 자동차 사고 통보 장치
KR20060110260A (ko) 자동차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에프엠 무선 경고 시스템
US20070247332A1 (en) Multiple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CN2611222Y (zh) 机动车环保警示器
KR100534311B1 (ko) 차량용 비상상황 경고 시스템
JP2004157773A (ja) 緊急車輌の接近通報支援システム
JPH039098Y2 (ko)
KR101746034B1 (ko) 차량용 긴급 상황 정보 무선 송수신장치
JP2006007966A (ja) 車両
CN113320472A (zh) 一种可在汽车内外灵活使用的超远避险预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