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016Y1 - 보행기 - Google Patents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016Y1
KR200306016Y1 KR20-2002-0035234U KR20020035234U KR200306016Y1 KR 200306016 Y1 KR200306016 Y1 KR 200306016Y1 KR 20020035234 U KR20020035234 U KR 20020035234U KR 200306016 Y1 KR200306016 Y1 KR 200306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ker
lower body
body movemen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02-0035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가 약한 노약자나 하체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가 보행할 때에 사용하는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에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양 지지대는 전방에 각각 상하측에 상측횡지지대 와 하측횡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측횡지지대는 중간부를 상측방향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상측횡지지대의 양단하측에는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에는 탄발수단에 의해 탄발하는 하체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횡지지대의 상측에는 걸림쇠를 형성하여 걸림쇠에 상기 하체운동수단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여 보행도중에 발로 하체운동수단의 발판을 밟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보행기 { sup-walker }
본 고안은 하체가 약한 노약자나 하체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가 보행할 때에 사용하는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에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양 지지대는 전방에 각각 상하측에 상측횡지지대 와 하측횡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측횡지지대는 중간부를 상측방향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상측횡지지대의 양단하측에는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에는 탄발수단에 의해 탄발하는 하체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횡지지대의 상측에는 걸림쇠를 형성하여 걸림쇠에 상기 하체운동수단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여 보행도중에 발로 하체운동수단의 발판을 밟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기는 환자나 노약자가 보행할 때에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한 보행기는 단순히 스틸파이프를 절곡시켜 몸체 틀을 구성하고, 각 프레임의 하단에는 고무패킹을 삽입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보행기는 사용자가 전진할 때에 보행기를 살짝 들어서 앞쪽으로 옮겨 놓고, 이이서 보행기에 몸을 의지하면서 앞으로 걸어가는 것이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다른 보행기는 몸체 틀의 하단에 캐스터 바퀴를 장착하여 보행기를 앞으로 밀거나 끌어당길 때에 보다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한 것이고, 상단에는 쿠션(cushion)을 구비하여 몸을 의지할 때에 금속이 환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행기는 단순히 보행기를 밀거나 당기면서 보행기를 이동시키고, 이동한 보행기에 몸을 의지하면서 보행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다른 기능은 전혀 없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상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하체가 약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사용하게 되는 것인데 궁극적인 목적은 하체를 보다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재활하는데 있는 것이지만 단순히 보행의 보조기구로서만 사용될 뿐 다른 운동은 전혀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보행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대로 몸체 틀을 구성하는 보행기에 있어서, 전방의 상하측에 상측횡지지대와 하측횡지지대를 몸체 틀과 일체로 형성하되, 상측횡지지대는 중간부를 상측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양 단부 하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측횡지지대의 하측에 탄발수단에 의해 탄발하는 하체운동수단을 구비하며, 하측횡지지대의 상측에는 걸림쇠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체운동수단을 걸어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보행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보행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행기 11: 지지대
13: 하측 횡지지대 14: 상측 횡지지대
17: 고리 20: 하체운동수단
22: 탄발수단 24: 발판
25: 걸림쇠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10)는 통상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양측 지지대(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1)의 전방에는 상측과 하측을 각각 상측횡지지대(14)와 하측횡지지대(13)를 일체로 장착하되, 상측횡지지대(14)의 하측에는 탄발수단(22)에 의해 탄발되는 하체운동수단(2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11)의 상측부에는 통상의 쿠션(15)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보행기(10)에 의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측횡지지대(14)는 중간부를 상측방향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중간부에는 통상의 쿠션(16)을 장착하며, 양 단부의 하단에는 고리(17)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하측횡지지대(13)는 중간부 상측에 걸림쇠(25)를 일체로 형성하되, 걸림쇠(25)는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하체운동수단(20)은 발판(24)의 양측으로 끈(23)을 이으며, 끈(23)의 일측에는 탄발수단(22)과 고리(21)를 연달아 이은 것이다
상기 하체운동수단(20)의 고리(21)는 상기 상측횡지지대(14)의 고리(17)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탄발수단(22)은 스프링, 고무벨트, 또는 통고무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신축력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스프링 또는 고무벨트, 고무줄은 1개 또는 1개 이상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즉, 보행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하체력에 따라 장력을 달리하여 통고무줄, 스프링 또는 고무벨트, 고무줄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10)는 통상의 보행을 행할 때에는 지지대(11)의 쿠션(15)을 잡고 이동하거나 상측횡지지대(14)를 붙잡고 이동하는 것이다.
하체운동수단(20)은 보행도중에는 덜렁거리지 않도록 전방의 하측횡지지대(13)에 걸어두는 것으로, 하체운동수단(20)의 발판(24)을 걸림쇠(25)에 걸어 주는 것이다.
보행하지 않고 멈춰 서있을 때에는 하체운동수단(20)을 이용하여 하체를 단련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걸림쇠(25)에서 하체운동수단(20)을 분리시켜 상측횡지지대(14)에 느려뜨린 상태에서 발판(24)을 밟으며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발로 발판(24)을 밟았다가 발을 들어 올릴 때에는 탄발수단(22)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재차 밟아서 내리거나 전방으로 미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체운동을 실시하는 것이다.
발을 들어 올리면 무릎도 동시에 올려지는 것인데 상측횡지지대(14)의 중간부분은 상측으로 구부려져 형성된 것으로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하체 근력은 사용자마다 다르므로 사용자의 하체력에 맞도록 통고무줄이나 탄발수단(22)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여서 탄발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는 종래의 단순히 보행 보조기구로만 사용하던 것에 하체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부실한 하체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재활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보행할 때에는 하체운동수단(20)이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측횡지지대(13)에 걸어서 고정시켜 줄 수 있고, 하체운동을 실시할 때에만 하체운동수단(20)을 상측횡지지대(14)에서 느려드린 상태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라 탄발수단의 개수를 증감하여 장착함으로서 사용자의 체력에 맞는 탄발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파이프를 구부려 양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양 지지대의 전방에는 가로방향으로 다른 보조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며, 지지대의 상측부에는 쿠션을 구비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대의 전방 상측에 양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하되, 중간부분을 상측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양 단부 하측에는 고리(17)를 일체로 형성한 상측횡지지대(14)와,
    상기 양 지지대의 전방 하측에 양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하되, 중간부분의 상측에는 전방을 향해 구부려진 걸림쇠(25)를 일체로 형성한 하측횡지지대(13), 및
    상기 상측횡지지대(14)의 고리(17)에 걸치되, 발판(24)을 중심으로 발판(24)의 양쪽에 끈(23)과 탄발수단(22) 및 고리(21)를 연달아 형성한 하측운동수단(2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체운동수단(20)은 발판(24)의 양측에 통고무줄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발수단(22)은 스프링, 고무벨트, 고무줄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KR20-2002-0035234U 2002-11-26 2002-11-26 보행기 KR200306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34U KR200306016Y1 (ko) 2002-11-26 2002-11-26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34U KR200306016Y1 (ko) 2002-11-26 2002-11-26 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016Y1 true KR200306016Y1 (ko) 2003-03-03

Family

ID=4940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234U KR200306016Y1 (ko) 2002-11-26 2002-11-26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3379B2 (en) 2012-05-04 2014-05-27 Yongbeom KWON Walking supporter
KR20170003394U (ko) 2016-03-22 2017-10-1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3379B2 (en) 2012-05-04 2014-05-27 Yongbeom KWON Walking supporter
KR20170003394U (ko) 2016-03-22 2017-10-1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JP4541426B2 (ja) 歩行訓練装具
US20090107533A1 (en) Hip assist walker
US11986434B2 (en) Medical walker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CN208018051U (zh) 一种脚踝关节矫正器
JP6851732B2 (ja) 歩行補助装置
JP3155741U (ja) 片麻痺者麻痺側下肢支持振出し誘導装具
KR200306016Y1 (ko) 보행기
CN207306810U (zh) 多功能康复轮椅
JP3349687B2 (ja) 一輪歩行車
CN216021951U (zh) 一种运动、训练、康复的可穿戴外骨骼助行辅具
CN207429348U (zh) 一种固定腿安全康复医疗拐杖
CN205515087U (zh) 痉挛型脑瘫儿童动态分髋医疗牵引器
CN213252826U (zh) 一种能够用于人体多部位康复护理的装置
CN210698031U (zh) 多功能康复训练轮椅
KR102203170B1 (ko) 재활보행기
CN210785275U (zh) 足踝骨科医疗康复辅助步行器
CN107582321A (zh) 一种多功能康复训练机
JP2009066366A (ja) 足挿入バネ反発力活用足上がり楽チン伸縮自在装置
JP2000233002A (ja) 歩行器
CN206262003U (zh) 一种下肢康复机
CN211356585U (zh) 一种脑卒中患者助行器
TWM485715U (zh) 行動輔助裝置
JP4034013B2 (ja) 機能回復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