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47Y1 - 창호용 호차 - Google Patents

창호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47Y1
KR200305347Y1 KR20-2002-0034995U KR20020034995U KR200305347Y1 KR 200305347 Y1 KR200305347 Y1 KR 200305347Y1 KR 20020034995 U KR20020034995 U KR 20020034995U KR 200305347 Y1 KR200305347 Y1 KR 200305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door
height
hou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2-0034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도 조절 불능 및 조절부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호차는 중심축(52)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다른 다단면(55)이 형성된 높이조절구(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지되 중앙에는 구동롤러(30)가 착설되고 일측은 고정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안착되는 높이조절 케이스(20)와, 하우징(1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해 창호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창호의 하중을 받는 높이조절구(50)는 구조가 견고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형이 생기지 않으며,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도 조절 불능 및 조절부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호차 {Roll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창이나 문에 설치되어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를 갖는 호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다른 다단면이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갖게 함으로써 큰 하중을 인가해도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변형이 생기지 않는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window)이나 문(door)과 같은 창호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주행이 원활하도록 구동롤러가 구비된 호차(戶車)가 착설되는 데, 이러한 호차는 창짝이나 문짝의 수평 프레임(frame)에 형성된 호차홈에 삽입 설치된다. 그런데, 창호의 설치시나 설치 후에는 창짝이나 문짝 또는 창문틀이 뒤틀려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변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창호용 호차에는 일반적으로 창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마련된다.
종래, 위와 같은 창호용 호차의 높이조절은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에 의해 시도되었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창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호차의 높이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의 내부에 내설되고 경사조정공(2a)이 형성된 높이조절 케이스(2)와 이러한 높이조절 케이스(2)의 측벽에 체결되고 하우징(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볼트(5)로 구성하였다. 이때, 조절볼트(5)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절볼트(5)를 하우징(1)을 관통하여 높이조절 케이스(2)의 측벽에 형성된 체결공(2b)에 결합시켜 조절볼트(5)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3)가 상하로 움직이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0238557호에 제시된 창호용 호차를 도시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높이조절 케이스(2)에는 구동롤러(3)의 롤러축(3')이 끼워지는 경사조정공(2a)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에는 수직조정공(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1)의 일측벽에는 조절볼트(5)가 관통되도록 하면서 조절볼트(5)와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 나사구(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2)는 하우징(1)의 내부에 내설되며, 이때 롤러축(3')은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수직조정공(1a)과 경사조정공(2a)에 끼워진다.
따라서, 롤러축(3')은 수직조정공(1a)과 경사조정공(2a)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지지된다. 또한,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5)는 하우징(1)의 높이조절 나사구(1b)를 관통하여 높이조절 케이스(2)의 체결공(2b)에 체결된다. 높이조절 나사구(1b) 및 체결공(2b)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볼트(5)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절볼트(5)의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 케이스(2)는 하우징(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수직조정공(1a)과 경사조정공(2a)에 지지되고 있는 롤러축(3')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서 조절볼트(5)의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 케이스(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수직조정공(1a)과 경사조정공(2a)의 교차점이 상승하여 구동롤러(3)는 위로 올라간다. 반면, 높이조절 케이스(2)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수직조정공(1a)과 경사조정공(2a)의 교차점이 하강하여 구동롤러(3)는 아래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에는 조절볼트(5)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3)가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창호의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의 창호의 하중은 높이조절 케이스(2) 및/또는 하우징(1)에 전달되어지고, 여기에 전달된 하중은 조절볼트(5)가 지지하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거나 창호의 하중이 큰 경우 조절볼트(5)가 창호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이 생겼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호차는 창호의 하중이 조절볼트(5)와 높이조절 나사구(1b)와의 나사 연결된 부분 및/또는 조절볼트(5)와 체결공(2b)과의 나사 연결된 부분에 전달되어 장기간 사용 시에는 높이조절 케이스(2)의 측벽이 변형되거나, 높이조절 나사구(1b), 체결공(2b) 그리고 조절볼트(5)에 형성된 나사산이 붕괴되어 높이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는 극히 심하였으며, 이는 결국 조절볼트(5)가 이탈되어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호차의 높이조절부의 구조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형이 생기지 않아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도 조절 불능 및 조절부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한 창호용 호차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도 2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도 2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 및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로서, 도 5a는 조절 전의 모습이고 도 5b는 조절 후의 모습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도 6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호차의 구성도 및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호차의 높이조절부를 보인 것으로, 상기 도 8의 호차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창호용 호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창호용 호차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 10에 보인 호차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나사공
14 : 핀홀 15 : 끼움공
16 : 수직조정공 18, 28 : 측벽
20, 20' : 높이조절 케이스 20A, 20B : 높이조절판
23 : 축공 24 : 핀결합공
26 : 경사조정공 30 : 구동롤러
32 : 롤로축 35 : 롤러바퀴
40 : 고정핀 45 : 탄성부재
50 : 높이조절구 52 : 중심축
52a : 조절홈 55 : 다단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심축(52)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다른 다단면(55)이 형성된 높이조절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본체(51)의 외주연에 중심축(52)과의 거리가 각각 다른 여러 개의 면(55-1 ~ 55-10)이 형성된 높이조절구(50)를 호차에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높이조절구(50)의 중심축(52)은 본체(51)로부터 전후 양측(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방과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 도 2 참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중심축(52)의 회전에 의해 다단면(55)이 형성된 본체(51)는 중심축(52)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중심축(52)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중심축(52)의 단부에는 렌치(wrench), 드라이버(screwdriver) 등의 공구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52)의 단부에는 외부에서 다단면(55)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표시부(5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렌치를 끼울 수 있는 다각형상의 조절홈(52a)과 돌기 형태의 표시부(52b)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가 견고하여 장시간 사용되거나,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도 외력에 의한 변형이 생기지않아 안정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다단면(55)이 10개(55-1 ~ 55-10)가 형성되고, 중심축(52)과 다단면(55)과의 거리가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늘어나는 높이조절구(50)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구(5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창호용 호차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높이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지되 중앙에는 구동롤러(30)가 착설되고 일측은 고정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안착되는 높이조절 케이스(20)와, 하우징(1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핀(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끼움공(15)과 핀홀(14)을 형성시켜 끼움공(15)에는 높이조절구(50)의 중심축(52)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시키고, 핀홀(14)에는 고정핀(40)의 양단부가 결합되게 한다. 또한, 하우징(10)의 양측에는 호차를 창호의 프레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나사공(12)이 천공되어 있다.
높이조절 케이스(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내장되는 데, 그 일측에는 고정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핀결합공(2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동롤러(30)의 롤러축(32)이 결합되는 축공(23)이 마련된다. 그리고, 타측의 상부 면에는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안착된다.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높이조절판(20A, 20B)을 절곡하여 가운데에 구동롤러(30)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분할 성형하여 합판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구동롤러(30)는 롤러축(32)과 롤러바퀴(35)로 이루어져 높이조절 케이스(20)에 착설되는 데, 높이조절 케이스(20)에 마련된 축공(23)에 롤러축(32)이 리벳(rivet) 등의 방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40)은 높이조절 케이스(20)의 핀결합공(24)에 끼워지며 그 양단부는 하우징(10)의 핀홀(14)에 결합된다. 따라서,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일측은 회동 가능하면서 움직이지는 않으며, 타측은 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높이조절구(5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다단면(55)이 형성되어 그 회전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높이조절구(50)는 하우징(10)의 끼움공(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중심축(52)의 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중심축(52)의 단부는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거나 스패너 등의 집게 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렌치(wrench), 드라이버(screwdriver) 등의 회전 공구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홈(52a)을 형성시킨다. 이때, 조절홈(52a)은 "-" 또는 "+" 자형의 홈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렌치를 끼울 수 있는 다각형의 조절홈(52a)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심축(52)의 단부에는 외부에서 다단면(55)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5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방향에 따라서 높여지거나 낮추어짐을 알 수 있도록 화살표나 돌기 형태 등의 표시부(52b)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기 형태의 표시부(52b)를 보여주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가 조립된 모습의 정면 구성도 및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절 시에 높이조절 케이스(20)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부재(45)를 설치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5)는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과 높이조절 케이스(20)를 상호 밀착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탄성부재(45)로서 하우징(10)과 높이조절 케이스(20)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예시하였으며, 이때의 스프링은 높이조절 케이스(20)를 밀어내는 탄력을 가지는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롤러바퀴(35)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성이 좋도록 외륜 내에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삽입된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호차는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해 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높이조절 케이스(20)가 상하로 움직이고, 이와 동시에 높이조절 케이스(20)에 착설된 구동롤러(3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창호의 높낮이가 다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이때,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의 창호의 하중은 높이조절구(50)가 받게 되나, 본 고안에따른 높이조절구(50)는 종래와 같은 나사산 구조가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구조를 가지므로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부착하여도 변형이 생기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다단면(55)이 10개(55-1 ~ 55-10)인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때 다단면(55)의 수를 더 늘리면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높이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롤러축(32)이 끼워지는 수직조정공(16)이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지며 롤러축(32)이 끼워지는 경사조정공(26)과 높이조절구(50)와 맞닿는 측벽(28)이 형성된 높이조절 케이스(20')와, 높이조절 케이스(20')를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탄성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에는 높이조절구(50)의 중심축(52)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15, 도 6 및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롤러축(32)이 끼워져 구동롤러(30)가 착설될 수 있는 수직조정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 케이스(20')는 롤러축(32)이 끼워지는 경사조정공(26)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맞닿는 측벽(28)이 마련된다.
높이조절구(50)는 제1실시예서와 같이 하우징(10)의 끼움공(15)을 관통하여 중심축(52)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때 다단면(55)이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측벽(28)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높이조절 시에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측벽(28)과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항상 밀착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 케이스(20')를 좌우로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탄성부재(45, 도 3 참조, 도 6 및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45)는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오른쪽(도면에서 보았을 때)에 설치되거나, 왼쪽에 설치될 수 있다. 오른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 케이스(20')를 오른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일례로 스프링을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측벽(28)과 하우징(10)의 측벽(18)에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왼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 케이스(20')를 오른쪽으로 밀수 있는 스프링을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왼쪽 단부와 하우징(10)의 측벽(18)에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호차는 롤러축(32)이 수직조정공(16)과 경사조정공(26)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지지되며,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 케이스(20')가 좌우로 움직이고, 이와 동시에 수직조정공(16)과 경사조정공(26)의 교차점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구동롤러(30)가 상하로 움직인다. 즉,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 케이스(2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수직조정공(16)과 경사조정공(26)의 교차점이 상승하여 구동롤러(30)는 위로 올라가고, 높이조절 케이스(2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수직조정공(16)과 경사조정공(26)의 교차점이 하강하여 구동롤러(30)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창호의 높낮이가 다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종래와 같은 높이조절 케이스(20')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여기에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구(50)가 적용되는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이나 높이조절 케이스(20)(20') 등과 같은 구성요소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심축(52)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다른 다단면(55)이 형성된 높이조절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높이조절구(50)의 회전에 의해 창호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창호의 하중을 받는 높이조절구(50)는 구조가 견고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형이 생기지 않으며, 특히 큰 하중을 갖는 창호에 적용 시에도 조절 불능 및 조절부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창호의 교체 또는 호차를 교체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호차에 있어서,
    중심축(52)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다른 다단면(55)이 형성된 높이조절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지되 중앙에는 구동롤러(30)가 착설되고 일측은 고정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높이조절구(50)의 다단면(55)이 안착되는 높이조절 케이스(20)와, 하우징(1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높이조절 케이스(2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롤러축(2)이 끼워지는 수직조정공(16)이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지며 롤러축(32)이 끼워지는 경사조정공(26)과 높이조절구(50)와 맞닿는 측벽(28)이 형성된 높이조절 케이스(20')와, 높이조절 케이스(20')를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탄성부재(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50)의 중심축(52)에 조절홈(5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20)는 두 개의 높이조절판(20A, 20B)을 절곡하여 구동롤러(30)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분할 성형하여 합판된 것이고, 그 일측에는 고정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핀결합공(2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동롤러(30)의 롤러축(32)이 결합되는 축공(23)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20)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탄성부재(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KR20-2002-0034995U 2002-11-22 2002-11-22 창호용 호차 KR200305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95U KR200305347Y1 (ko) 2002-11-22 2002-11-22 창호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95U KR200305347Y1 (ko) 2002-11-22 2002-11-22 창호용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47Y1 true KR200305347Y1 (ko) 2003-02-25

Family

ID=4940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95U KR200305347Y1 (ko) 2002-11-22 2002-11-22 창호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39B1 (ko) * 2014-02-26 2015-05-04 (주)부영뉴텍 미닫이도어 가이드 행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39B1 (ko) * 2014-02-26 2015-05-04 (주)부영뉴텍 미닫이도어 가이드 행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5685B2 (en) Angular adjustment arrangement of pivot hinge
EP1061222B1 (en) Hinge for an openable door or window frame
US6397432B1 (en) Hinge for an opening door or window frame
US5096240A (en) Lock assembly for a pivotable window
US7574944B2 (en) High-durability cam wheel assembly
HU222755B1 (hu) Támasztószerkezet árnyékolószerkezetekhez, tetőablak, valamint árnyékolószerkezet ilyen tetőablakhoz
CN1367857A (zh) 门闩
US6568032B1 (en) Screw-on hinge with blocked position
EP0300292A1 (en) Hinge with three-axis adjustment particularly for window and door frames
KR200305347Y1 (ko) 창호용 호차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CN114382341A (zh) 无装饰盖门窗把手
US3597790A (en) Folding door hardware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EP1061219A1 (en) Hinge for casements
KR100348046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CN212656670U (zh) 一种锁点装置
CN208329881U (zh) 一种执手座、执手及门窗
US7526836B2 (en) Hinge with an improved box-fastening arrangement
KR100452229B1 (ko) 글라스 도어의 고정장치
JPH1150724A (ja) 窓用ヒンジ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EP3575529A1 (en) Pulley device
KR102560909B1 (ko)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CN220353651U (zh) 天地液压缓冲铰链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