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825Y1 -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825Y1
KR200304825Y1 KR20-2002-0034033U KR20020034033U KR200304825Y1 KR 200304825 Y1 KR200304825 Y1 KR 200304825Y1 KR 20020034033 U KR20020034033 U KR 20020034033U KR 200304825 Y1 KR200304825 Y1 KR 200304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ture
fastening
ceiling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20-2002-0034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방시스템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구비되는 배관파이프를 천정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설치할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는 냉방시스템용 배관파이프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그 천정에 제공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상기 앵커볼트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그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며 일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내에 배관파이프가 안착될 때 배관파이프 하단면과 접촉되는 체결부상에 상기 배관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소정 폭을 가지는 지지편이 더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이에 따라 손쉽게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과 인력 등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파이프용 고정구{FIXING MEMBER FOR PIPE LAYING}
본 고안은 배관파이프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천정에 냉방용 배관파이프를 설치시에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그 배관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시스템의 실내기(10)와 실외기(30) 상호간에 제공되는 배관파이프(20)이 건물 천정에 설치될 때에는 천정에 앵커볼트(60)가 제공된 상태에서 그 앵커볼트(60)와 결합하는 고정구에 삽입되어 배관 설치되는데, 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파이프(20)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체결밴드(42)와, 상기 체결밴드(420)와 볼트(44) 및 너트(46)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부 중심에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트(50)와, 천정의 앵커볼트(60)와 결합되도록 내주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는 너트부재(52)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밴드(42)는 하단 중심부위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 요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체결밴드(42)에 결합된 볼트(44) 또는 너트(46)를 해제하고 체결밴드 (42)의 일단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3의 점선) 연결공에 고정된 너트부재(52)를 앵커볼트(60)와 결합시킨 후, 그 체결밴드(42)내로 배관파이프(20)를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해제된 볼트(44) 또는 너트(46)를 결합시킴으로써, 배관파이프(20)를 설치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관파이프(20)를 설치할 때에는 배관파이프(20)의 설치를 위해 체결밴드(42)의 일단을 해제/결합하는 볼트(44) 또는 너트(46)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그만큼 소요됨은 물론 배관파이프(20)를 체결밴드(42) 내에 삽입한 후 볼트(44) 또는 너트(46)를 결합할 때까지 그 배관파이프(20)를 작업자가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낭비가 발생되었다.
또한, 고정구에서 연결브라켓트(50)와 체결밴드(42)를 체결 할때에는 체결공(48;도 2))에 볼트(44) 및 너트(46)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배관파이프(20)가 설치된 후에 그 배관파이프(20)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결합력이 열화될 수 있어 고정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파이프를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구의 체결밴드부위에 설치하지 않고, 일단부에 걸림편이 제공된 상태에서 결합/분리가 가능하며 탄성이 제공되는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배관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는, 냉방시스템용 배관파이프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그 천정에 제공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상기 앵커볼트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그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며 일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내에 배관파이프가 안착될 때 배관파이프 하단면과 접촉되는 체결부상에 상기 배관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소정 폭을 가지는 지지편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파이프를 설치시에 일단이 걸림편에 의해 결합/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배관파이프 안착후 손쉽게 걸림편으로 체결부를 고정시켜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냉방시스템에 제공되는 연결배관이 천정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부분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를 보이고 있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를 보이고 있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연결부, 120 : 체결부,
122 : 걸림편, 130 : 지지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파이프용 고정구를 보이고 있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100)는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60)와 결합가능하도록 상부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110)와, 그 연결부(110)와 일체 형성되며 일단부에 걸림편(122)이 형성되는 대략 링 형상의 체결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링 형상의 체결부(120)는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구의 소정 부위(P)와 손쉽게 결합 및 이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내에 배관파이프(20)가 안착될 때 배관파이프(20) 하단면과 접촉되는 체결부(120)에 상기 배관파이프(20)를 지지하는 일정 폭을 가지는 지지편(130)이 더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가는 철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배관파이프(20)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두께 및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지지편(130)이 걸쳐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며, 동일한 링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100)를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60)와 결합시키는데, 그 앵커볼트(60)는 냉방시스템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제공되는 배관파이프의 길이 및 중량에 맞게 이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 제공되며 그에 대응되어 고정구가 설치된다.
이때 고정구(100) 설치시 체결부(120)의 걸림편(122)이 고정부위(P)와 이격된 상태 즉, 일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채 결합하는 것이 작업하기에 좋으나,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체결부(120)의 일단이 고정부위(P)와 결합된 상태로 작업을 하여도 무방하다.
그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구(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배관파이프 (20)를 그 체결부(120)내에 장착시키는데, 이는 일정한 탄성력이 제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부(120)의 일단부가 배관파이프(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곧바로 배관파이프(20)를 그 체결부내로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 체결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편(122)을 수작업으로 고정부위(P)에 결합시켜 배관파이프(20)가 그 체결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체결부(120)는 고정부위(P)와 결합 및 이격이 가능하고, 고정부위(P)에 결합되었을 때 쉽게 이격되지 않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00)의 체결부(120) 하부에는 소정 폭을 가지는 지지편(130)이 설치되는데, 이는 체결부(120)와 밀착되는 배관파이프(20)의 하부 외주면이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철사형상의 체결부(120)로 인해 배관파이프(20)의 외주면의 일부가 그 배관파이프(20)의 무게로 인해 밀착부위가 패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편(130)은 배관파이프(20)를 안착시키기 전에 장착할 수 있거나, 또는 배관파이프(20)가 안착된 후 지지편(130)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관파이프를 천정부위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용 고정구에 따르면 배관파이프를 천정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의 구조가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관파이프가 장착된 후 탄성력에 의해 그 일단을 대응되는 부위와 결합시켜 배관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비해 보다 간단하게 배관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어 그 작업시간 및 인력 등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2)

  1. 냉방시스템용 배관파이프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그 천정에 제공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상기 앵커볼트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그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며 일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내에 배관파이프가 안착될 때 배관파이프 하단면과 접촉되는 체결부상에 상기 배관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소정 폭을 가지는 지지편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체결부는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관파이프가 삽입된 후 체결부상에 구비된 고정부위(P)에 체결부 일단에 형성된 걸림편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범위이내에서 유동이 가능한 탄성력이 제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KR20-2002-0034033U 2002-11-14 2002-11-14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KR200304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33U KR200304825Y1 (ko) 2002-11-14 2002-11-14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33U KR200304825Y1 (ko) 2002-11-14 2002-11-14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825Y1 true KR200304825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33U KR200304825Y1 (ko) 2002-11-14 2002-11-14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8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4186A (en) Sprinkler head mounting system
US6502967B2 (en) Gimble ring lighting fixture support
US7410141B2 (en) Industrial hanger for metal framing
US7191794B2 (en) Mixing valve mounting assembly
US4516749A (en) Mechanical stabilizer
US5704710A (en) Lighting fixture with a safety hook
US6682036B1 (en) Ceiling fixture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200304825Y1 (ko) 배관파이프용 고정구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JP7179467B2 (ja) 電気絶縁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固定具
JPH0688596A (ja) 天井扇風機の取付装置
KR102206556B1 (ko) 다중 가스 라인용 고정 브라켓 장치
JP2881563B2 (ja) 配管具の配管バンド取付装置
JP4498621B2 (ja) 水栓蛇口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CN110578351A (zh) 水龙头组件以及水龙头组件的安装方法
JPH07147108A (ja) 照明器具の取付け構造
KR200275978Y1 (ko) 셋트앵커볼트
JP7307162B2 (ja) 配管支持具
JP3033026U (ja) 横引配管の取付装置
JPH078609Y2 (ja) 露出給水栓継手用カバー
JP2010277739A (ja) 構造物及び取付ナット及び照明器具
JP2599019Y2 (ja) 照明器具の取付け構造
WO2020240624A1 (ja) 配管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