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366Y1 - 월풀욕조 - Google Patents

월풀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366Y1
KR200304366Y1 KR20-2002-0035423U KR20020035423U KR200304366Y1 KR 200304366 Y1 KR200304366 Y1 KR 200304366Y1 KR 20020035423 U KR20020035423 U KR 20020035423U KR 200304366 Y1 KR200304366 Y1 KR 200304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pipe
bathtub
main circulation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승
Original Assignee
박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승 filed Critical 박기승
Priority to KR20-2002-0035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61H33/6047With incorporated pump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A61H33/6073Intake mouths for recirculation of fluid in whirlpool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코스트가 저렴함과 더불어 대량생산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월풀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면 또는 둘레벽에 욕조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와 욕조 내로 물을 고압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구(14)가 형성된 욕조(10)와, 이 욕조(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욕조(10)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메인순환관(20)과, 이 메인순환관(2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분출구(14)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기관(30)과, 상기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순환펌프(40)와, 상기 욕조(10)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월풀욕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50)은 분기관(30)에 의해 분기되기 전단의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월풀욕조{whirlpool bathtub}
본 고안은 월풀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코스트가 저렴함과 더불어 대량생산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월풀욕조에 관한 것이다.
월풀욕조는 욕조 내의 물을 순화시키면서 욕조 내부로 고압의 물과 기포를 분출시켜 이용자의 전신을 진동시켜, 물리적인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거나 기포가 피부표면에서 터지면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욕조를 말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월풀욕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그 내벽면에 욕조(3) 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와 욕조(3) 내로 물을 고압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구(2)가 형성된 욕조(3)와, 이 욕조(3)의 배출구(1)에 연결되어 욕조(3)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메인순환관(6a,6b,6c)과, 이 메인순환관(6c)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분출구(2)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기관(7)과, 상기 메인순환관(6)에 접속된 순환펌프(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분기관(7)의 선단부에는 욕조 내로 외부공기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에어공급관(8)이 접속된다. 미설명 번호 9는 욕조(3)의 상측으로 노출된 에어공급관(8)의 단부에 연결되어 욕조(3) 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여 기포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4)의 작동에 따라 욕조(3) 내의 물을 배출구(1)를 통해 흡입하여 분출구(2)로 고압 분출시키게 된다. 이때, 에어공급관(8)이 접속된 각각의 분기관(7) 내부에는 순환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압이 발생되어 에어공급관(8)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욕조(3) 내로 물과 기포를 함께 분출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마사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월풀욕조는 상기 각각의 분출구(2)에 연결된 분기관(7)에 에어공급관(8)을 일일이 접속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제작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공급관을 메인순환관에만 접속시켜 제작공정을 줄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면서 대량생산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월풀욕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월풀욕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월풀욕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욕조 12. 배출구
14. 분출구 20. 메인순환관
30. 분기관 40. 순환펌프
50. 에어공급관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면 또는 둘레벽에 욕조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와 욕조 내로 물을 고압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구(14)가 형성된 욕조(10)와, 이 욕조(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욕조(10)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메인순환관(20)과, 이 메인순환관(2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분출구(14)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기관(30)과, 상기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순환펌프(40)와, 상기욕조(10)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월풀욕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50)은 분기관(30)에 의해 분기되기 전단의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월풀욕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월풀욕조는 둘레벽에 욕조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와 욕조 내로 물을 고압으로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구(14)가 형성된 욕조(10)와, 이 욕조(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욕조(10)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메인순환관(20)과, 이 메인순환관(2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분출구(14)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기관(30)과, 상기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순환펌프(40)와, 상기 욕조(10)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공급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순환관(20)은 욕조(10)의 배출구(12)와 분출구(14) 사이에 연결되어 욕조(10)의 순환되는 물을 각각의 분출구(14)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순환펌프(40)와 배출구(12) 사이에 연결된 배출관(22)과, 순환펌프(40)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욕조(10)의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공급관(24,2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24,26)은 순환펌프(40)의 배출단에 연결된 제1 공급관(24)과, 이 제1 공급관(24)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욕조(1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제2 공급관(2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급관(26)에는 각각의 분출구(14)와 연결되도록분기관(30)이 다수개 접속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22)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단일의 에어공급관(50)이 접속된다. 이 에어공급관(5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관(22)의 내경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유속에 의해 외부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켜 기포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관(50)은 일단부가 욕조(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에어공급관(50)에는 욕조(10) 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여 기포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52)가 구비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공급관(50)을 배출관(22)에 접속시켰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공급관(24) 또는 제2 공급관(26)의 기단부에 각각 에어공급관(50)을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순환펌프(40)의 작동에 따라 욕조(10) 내의 물을 배출구(12)와 배출관(22)을 통해 흡입하여 제1, 2 공급관(24,26)과 분기관(30)을 거쳐 분출구(14)를 통해 욕조(10) 내로 고압 분출시키게 된다. 이때, 에어공급관(50)이 접속된 배출관(22) 내부에는 순환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압이 발생되어 에어공급관(50)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욕조(10) 내로 물과 기포를 함께 분출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마사지 하거나 세정효과를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월풀욕조는 배출관(22)에만 에어공급관(50)을 접속하기만 하면 작업완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분기관마다 에어공급관을 일일이 접속시키는 것에 비해, 제작공정이 현저히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월풀욕조는 에어공급관을 상기 메인순환관에만 간편하게 접속하기만 하면 작업완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분기관마다 에어공급관을 일일이 접속시키는 것에 비해, 제작공정이 현저히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바닥면 또는 둘레벽에 욕조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와 욕조 내로 물을 고압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구(14)가 형성된 욕조(10)와, 이 욕조(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욕조(10)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메인순환관(20)과, 이 메인순환관(2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분출구(14)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기관(30)과, 상기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순환펌프(40)와, 상기 욕조(10)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월풀욕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50)은 분기관(30)에 의해 분기되기 전단의 메인순환관(20)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
KR20-2002-0035423U 2002-11-27 2002-11-27 월풀욕조 KR200304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23U KR200304366Y1 (ko) 2002-11-27 2002-11-27 월풀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23U KR200304366Y1 (ko) 2002-11-27 2002-11-27 월풀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366Y1 true KR200304366Y1 (ko) 2003-02-17

Family

ID=494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23U KR200304366Y1 (ko) 2002-11-27 2002-11-27 월풀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36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85B1 (ko) 2005-07-06 2007-09-11 주식회사 제이리빙 분류식 기포 욕조
KR100912229B1 (ko) * 2007-07-18 2009-08-14 (주)한국지에이티 월풀욕조
KR200449701Y1 (ko) 2008-08-21 2010-08-02 한복순 월풀욕조의 잔물 제거장치
KR101086241B1 (ko) * 2009-02-03 2011-11-23 화이트스파(주) 월풀욕조
KR102112532B1 (ko) * 2018-12-03 2020-05-19 최태환 절수형 월풀욕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85B1 (ko) 2005-07-06 2007-09-11 주식회사 제이리빙 분류식 기포 욕조
KR100912229B1 (ko) * 2007-07-18 2009-08-14 (주)한국지에이티 월풀욕조
KR200449701Y1 (ko) 2008-08-21 2010-08-02 한복순 월풀욕조의 잔물 제거장치
KR101086241B1 (ko) * 2009-02-03 2011-11-23 화이트스파(주) 월풀욕조
KR102112532B1 (ko) * 2018-12-03 2020-05-19 최태환 절수형 월풀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2317A1 (en) Atomization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 human cavity tissue
KR200304366Y1 (ko) 월풀욕조
KR20150118215A (ko)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비데
US6918517B2 (en) Nozzle for a sanitary cleansing device
JPS5927196Y2 (ja) シヤワ−
JPH1043641A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ジョイントおよびシャワー装置
JP4360430B2 (ja) ノズル容器
KR200241629Y1 (ko) 샤워기
KR200363506Y1 (ko) 착탈이 가능한 물분사구
CN215994817U (zh) 洗鼻喷头及洗鼻器
CN216823737U (zh) 一种组合式气液混合型水牙线喷头
CN213941416U (zh) 按摩喷头组件以及按摩装置
JPH04231528A (ja) 人体局部洗浄装置の洗浄ノズル
CN210276995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按摩浴缸
CN211329888U (zh) 花洒喷头的出水面板
JPH061143Y2 (ja) 気泡噴出装置付浴槽
KR20090008625A (ko) 월풀욕조
JP2710697B2 (ja) 気泡発生装置
JP4745842B2 (ja) 白濁泡・ジェット噴流泡噴出装置およびその白濁泡・ジェット噴流泡噴出装置を用いた白濁泡・ジェット噴流泡噴出システム
JPH0731783Y2 (ja) 気泡発生浴槽
JP2000084026A (ja) 浴槽の気泡発生装置
CN114922264A (zh) 一种马桶的喷洗装置
JPH0521862U (ja) 洗剤混入装置
KR20220001068A (ko) 구강세정 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JPH0489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