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323Y1 - 방음벽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방음벽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323Y1
KR200304323Y1 KR20-2002-0034269U KR20020034269U KR200304323Y1 KR 200304323 Y1 KR200304323 Y1 KR 200304323Y1 KR 20020034269 U KR20020034269 U KR 20020034269U KR 200304323 Y1 KR200304323 Y1 KR 200304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ost member
soundproof
bolt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기
Original Assignee
장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기 filed Critical 장석기
Priority to KR20-2002-0034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벽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음판으로 이루어진 방음벽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 전면에 양단이 수직 밀착되어 고정수단으로써 체결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로 이루어진 수직마감부재; 및 상기 포스트부재 상부의 전후면에 끼워져 체결부재로써 체결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수평마감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방음벽의 주골격인 포스트부재 전면과 상부에는 수직 및 수평마감부재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방음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조형미가 우수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종래 고정브라켓과 클립스프링 대신에 고정수단(체결볼트, 제 1,2체결너트 및 지지부재)을 사용하여 방음판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교량 등에 방음판 조립시 안전한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장-볼트 및 조립너트 등을 이용하여 방음판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음벽 조립장치{ASSEMBLY APPARATUS SOUNDPROOFING WALL}
본 고안은 방음벽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음벽의 주골격인 포스트부재 전면과 상부에는 수직 및 수평마감부재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방음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조형미가 우수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고정수단(체결볼트, 제 1,2체결너트 및 지지부재)을 사용하여 방음판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교량 등에 방음판 조립시 안전한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방음벽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防音壁)은 일반지역(주거전용,병원,학교,주거,준주거지역,상업,준공업지역,공업,전용공업지역)과 도로변지역(주거,준주거지역,상업,준공업지역,공업,전용공업지역)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 방음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음벽(100)은 다수의포스트부재(200)로써 지면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포스트부재(200) 사이에는 이중으로 이루어진 방음판(300)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포스트부재(200) 내부에는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브라켓(210)이 고정 설치되고, 이 고정브라켓(210)과 방음판(300) 사이에는 스프링클립(220)으로써 방음판(300)이 탄력적으로 삽입 고정된다.
상기 방음판(300)은 스프링클립(220)의 탄성력으로써 포스트부재(200)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고, 전면에는 다수의 소음 및 진동이 유입되는 유입공(310)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음 및 진동을 흡음 및 차음하기 위한 흡음재(미도시)가 내장된다.
그리고, 포스트부재(200)의 상부에는 판형의 마감부재(400)가 체결 고정되어 포스트부재(200) 내부에 삽입된 방음판(300)을 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방음벽(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도로변 등의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포스트부재(200)를 입설한 다음, 포스트부재(200) 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210)과 스프링클립(220)으로써 이중으로 이루어진 방음판(300)을 삽입 설치하게 된다.
즉, 포스트부재(200) 내부에 동일 높이로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210)과 방음판(3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클립(220)의 탄성력에 의해 방음판(300)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소음이 방음판(300)의 유출공(310)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에는 재장된 흠음재(미도시)로써 소음 및 진동을 흡음 및 차음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포스트부재(200) 상부에는 판형의 마감부재(400)가 체결 고정되어 포스트부재(200) 내부에 삽입된 방음판(300)을 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은 포스트부재 사이에 방음판을 수평으로 조립하기 위해서 포스트부재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방음판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클립으로써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하게 됨으로써 그 공정이 복잡하게 되었으며, 교량 등에 설치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한 포스트부재가 단순히 H빔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단순한 판형의 마감부재가 체결 고정되어 외관이 단조로워 구조물의 전체적인 조형미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한편 방음판을 포스트부재에 삽입 고정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방음판을 와이어로써 들어올려 조립하게 됨으로써 조립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방음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조형미가 우수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고, 교량 등에 방음판 조립시 안전한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다수의 방음판을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방음벽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음판으로 이루어진 방음벽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 전면에 양단이 수직 밀착되어 고정수단으로써 체결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로 이루어진 수직마감부재; 및 상기 포스트부재 상부의 전후면에 끼워져 체결부재로써 체결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수평마감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방음판의 양측에는 조립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조립공에는 장-볼트를 삽입하며, 상기 장-볼트에는 조립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장-볼트의 머리부에는 상부고리볼트를 체결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방음벽 조립장치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방음벽 조립장치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부재 20 : 방음벽
24 : 조립공 30 : 수직마감부재
32 : 밀착부 34 : 만곡부
40 : 수평마감부재 42 : 끼움부
42a : 흡음공 44 : 연결부
46 : 흡음재 50 : 체결부재
60 : 체결볼트 62,63 : 제 1,2체결너트
65 : 지지부재 65a : 체결공
70 : 장-볼트 72 : 조립너트
82 : 상부고리볼트 A : 고정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방음벽 조립장치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방음벽 조립장치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 조립장치는 포스트부재(10), 방음판(20), 수직마감부재(30), 수평마감부재(40) 및 고정수단(A)으로 이루어져 조립 유지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H빔으로 이루어져 도로변 등의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방음판(20)은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미도시)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음 및 진동을 흡음 및 차음하기 위한 흡음재(미도시)가 내장되어 포스트부재(10)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마감부재(30)는 포스트부재(10) 전면에 양단이 수직 밀착되어 고정수단(A)으로써 체결되는 밀착부(32)와, 밀착부(3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마감부재(40)는 포스트부재(10) 상부의 전후면에 끼워지는 체결부재(50)로써 체결 고정되고, 저부에 등간격으로 흡음공(42a)이 형성된 끼움부(42)와, 끼움부(42) 상부에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44) 내부에는 흡음재(46)가 내장된다.
이때, 체결부재(50)는 수평마감부재(40)의 끼움부(42)와 포스트부재(10)를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52)와, 이 볼트(52)에 체결 고정되는 너트(5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A)은 수직마감부재(40)의 밀착부(32)와 포스트부재(1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60)와, 체결볼트(60)에 나사 체결되고, 밀착부(32)의 외측과 포스트부재(10) 내측에 밀착되는 제 1,2체결너트(62)(63)와, 제 2체결너트(63)와 밀착되고, 체결볼트(60)가 체결되는 체결공(65a)이 형성된 지지부재(65)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재(65)는 제 2체결너트(63)와 방음판(20) 사이에 밀착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은 포스트부재(10) 내부에 방음판(20)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서, 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방음판(20)의 양측에 조립공(24)을 각각 형성하고, 이 조립공(24)에는 장-볼트(70)를 삽입하며, 이 장-볼트(70)에는 조립너트(72)를 체결하고, 장-볼트(72)의 머리부에는 상부고리볼트(80)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장-볼트(70)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방음판(20)의 조립공(24)을 통하여 장-볼트(70)를 삽입한 다음, 이 장-볼트(70)에는 조립너트(72)를 체결하여 방음판(20)을 고정시킨 후, 장-볼트(72)의 머리부에 체결된 상부고리볼트(80)에 크레인 등의 이동수단으로써 방음판(20)을 들어올려 포스트부재(10) 사이에 방음판(20)을 조립한 다음, 상부고리볼트(80)를 장-볼트(7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먼저 도로변 등의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고, H빔으로 이루어진 포스트부재(10) 내부에 직육면체로 조립유지된 다수의 방음판(20)을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스트부재(10) 전면에 고정수단(A)으로써 수직마감부재(30)를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포스트부재(10) 전면에 수직으로 수직마감부재(30)가 체결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포스트부재(10) 내부에 삽입된 방음판(20)이 고정된다.
즉, 포스트부재(10) 전면에 수직마감부재(30)의 밀착부(32)를 밀착시킨 다음, 고정수단(A)의 체결볼트(60) 외경에 제 1체결너트(62)를 삽입시킨 후, 밀착부(32)와 포스트부재(10)를 관통하여 체결볼트(60)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체결볼트(60) 외경을 통하여 제 2체결너트(63)와 지지부재(65)의 체결공(65a)을 순차적으로 체결한 다음, 외부에서 체결볼트(60)를 조이게 된다. 그러면, 체결볼트(60)가 제 1,2체결너트(62)(63)과 지지부재(65)의 체결공(65a)에 체결되면서 지지부재(60)가 방음판(20)에 밀착됨으로써 방음판(20)이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스트부재(10) 상부의 전후면에 체결부재(50)로써 수평마감부재(40)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즉, 수평마감부재(40)의 끼움부(42)와 포스트부재(10)를 통하여 볼트(52)를 삽입시킨 다음, 이 볼트(52)에 너트(52)를 체결 고정시켜 고정시키게 되면, 상부에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44)로 이루어지고, 흡음재(46)가 내장된 수평마감부재(40)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키고, 흡음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방음벽은 차량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방음판(20)의 유입공(미도시)을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의 흡음재(미도시)로써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고, 수평마감부재(40)의 끼움부(42)에 형성된 다수의 흡음공(42a)을 통하여 내부로 유이되어 내부의 흡음재(46)에 의해서도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은 포스트부재(10) 내부에 방음판(20)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서, 이는, 방음판(20)의 조립공(24)을 통하여 장-볼트(70)를 삽입한 다음, 이 장-볼트(70)에 조립너트(72)를 체결하여 방음판(20)을 고정시킨 후, 장-볼트(72)의 머리부에 체결된 상부고리볼트(80)에 크레인 등의 이동수단으로써 방음판(20)을 들어올려 포스트부재(10) 사이에 방음판(20)을 조립한 다음, 상부고리볼트(80)를 장-볼트(7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포스트부재(10) 사이에 삽입되는 방음판(20)의 높이에 따라 장-볼트(70)의 길이를 조절하게 한번에 방음판(20)를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방음벽의 주골격인 포스트부재 전면과 상부에는 수직 및 수평마감부재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방음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조형미가 우수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종래 고정브라켓과 클립스프링 대신에 고정수단(체결볼트, 제 1,2체결너트 및 지지부재)을 사용하여 방음판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교량 등에 방음판 조립시 안전한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장-볼트 및 조립너트 등을 이용하여 방음판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지면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음판으로 이루어진 방음벽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10) 전면에 양단이 수직 밀착되어 고정수단(A)으로써 체결되는 밀착부(32)와, 상기 밀착부(3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34)로 이루어진 수직마감부재(30); 및
    상기 포스트부재(10) 상부의 전후면에 끼워져 체결부재(50)로써 체결 고정되는 끼움부(42)와, 상기 끼움부(42) 상부에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44)로 이루어진 수평마감부재(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A)는
    상기 수직마감부재(40)의 밀착부(32)와 상기 포스트부재(1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60)와;
    상기 체결볼트(60)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밀착부(32)의 외측과 상기 포스트부재(10) 내측에 밀착되는 제 1,2체결너트(62)(63)와;
    상기 제 2체결너트(63)와 밀착되고, 상기 체결볼트(60)가 체결되는 체결공(65a)이 형성된 지지부재(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조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감부재(40)의 끼움부(42)에는 등간격으로 흡음공(42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음재(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20)의 양측에는 조립공(2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조립공(24)에는 장-볼트(70)를 삽입하며,
    상기 장-볼트(70)에는 조립너트(72)를 체결하고,
    상기 장-볼트(72)의 머리부에는 상부고리볼트(80)를 체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조립장치.
KR20-2002-0034269U 2002-11-16 2002-11-16 방음벽 조립장치 KR200304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69U KR200304323Y1 (ko) 2002-11-16 2002-11-16 방음벽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69U KR200304323Y1 (ko) 2002-11-16 2002-11-16 방음벽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323Y1 true KR200304323Y1 (ko) 2003-02-15

Family

ID=4933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269U KR200304323Y1 (ko) 2002-11-16 2002-11-16 방음벽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11B1 (ko) *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11B1 (ko) *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278B1 (ko) 경량형 트러스 방음터널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396762Y1 (ko) 투명 방음판넬
KR102239265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432530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KR200304323Y1 (ko) 방음벽 조립장치
KR200396336Y1 (ko) 차음장치
KR20090011493U (ko) 스프링 구조체
KR100648377B1 (ko) 방음벽
KR20070093819A (ko) 도로용 방음벽
KR100584163B1 (ko) 건축단지 방음구조물
JP4041743B2 (ja) 制振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80001809U (ko) 투명 방음판넬을 이용한 방음벽
JP4152253B2 (ja) 防音体の取付け構造
KR200423187Y1 (ko) 방음벽의 누음차단구조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JP3868887B2 (ja) 車両通行帯における防音壁の施工方法
KR100445442B1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JP3992653B2 (ja) 吸音・透光性防音壁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283302Y1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JP2630758B2 (ja) 防音パネル及びこの防音パネルを用いた防音壁装置並びに防音壁装置の組立方法
KR200321307Y1 (ko) 방음패널
KR100417452B1 (ko) 목재 방음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