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888Y1 -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 Google Patents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888Y1
KR200303888Y1 KR20-2002-0031092U KR20020031092U KR200303888Y1 KR 200303888 Y1 KR200303888 Y1 KR 200303888Y1 KR 20020031092 U KR20020031092 U KR 20020031092U KR 200303888 Y1 KR200303888 Y1 KR 200303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unit
accompaniment
sig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숙
강금태
Original Assignee
(주)파티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티헛 filed Critical (주)파티헛
Priority to KR20-2002-0031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5Chrom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래반주 설비에 관한 것으로, 반주곡이 기록된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반주음저장부와; 해당 가사를 저장하는 가사저장부와; 반주음에 대한 내용이 입력되면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 관리장치(10)와; 음성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로 전송하는 마이크와; 반주음저장부로부터 전송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믹스하는 음향합성수단과; 믹스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될 하나이상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배경영상저장부와;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하나의 영상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데에 따른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2 입력부와, 이 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물 관리장치(20)와; 가사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자막신호와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을 합성하는 자막합성수단; 및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로 이루어진 노래반주 설비에 있어서, 크로마키 배경과; 상기 크로마키 배경 상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과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촬영파일을 합성하는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크로마키 영상합성과 관련된 입력내용에 대한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3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3 제어부가 포함된 영상합성 관리장치(30);가 더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Accompanying Facilities having The Producibility for Background}
본 고안은 노래반주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흥시설(노래방, 유흥업소 등)에는 흥을 돋우기 위한 노래반주 설비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노래반주 설비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주곡이 기록된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반주음저장부와; 해당 가사를 저장하는 가사저장부와; 반주음에대한 내용이 입력되면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 관리장치와; 음성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로 전송하는 마이크와; 반주음저장부로부터 전송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믹스하는 음향합성수단과; 믹스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될 하나이상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배경영상저장부와;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하나의 영상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데에 따른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입력부와, 이 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물 관리장치와; 가사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자막신호와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을 합성하는 자막합성수단; 및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는 외부에서 별도의 관리자 및 영상물 관리장치(2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가창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부를 곡, 빠르기, 톤 등 반주음과 관련된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부는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켜서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수단에서는 당해 반주음 및 가사를 상기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에서 각각 검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검색된 당해 반주음 및 가사는 각각 음향합성수단 및 자막합성수단으로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음향합성수단에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반주음 신호가 믹스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한편, 상기 자막합성수단에서는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와 가사, 즉 자막신호가 합성되어 상기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된다.
이로인해, 가창자는 자막처리된 가사를 보면서 마이크를 매개로 가창할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 이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는 앞서언급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별도의 관리자(여기서는 노래방 또는 유흥업소 등의 주인일 것이다.)가 하나의 영상물 관리장치(10)를 통해 다수의 노래반주 설비를 일괄적으로 통합관리하게 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노래반주 설비의 영상출력기에는 자막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영상이 출력될 수 밖에 없고, 선곡 또는 선곡된 곡의 재생여부 등, 가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능을 제외한 영상부분에 대해서는 가창자의 제어가 불가능할 수 밖에 없었다.
이상 상기와 같은 종래 노래반주 설비는, 영상출력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배경영상에 대한 선택권이 가창자에게는 없으므로 동일한 영상물에 대한 지루함을 감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출력기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영상을 가창자가 임의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창자 자신이 영상물에 직접 출현함으로서 흥미유발은 물론, 배경영상의 내용 및 가창자의 개성에 따른 다양한 연출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보다 향상된 노래반주 설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노래반주 설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자기기록매체 기록장치가 더 추가된 본 고안의 구성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노래반주 관리장치 20 ; 영상물 관리장치
30 ; 영상합성 관리장치 40 ; 음영상기록 관리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주곡이 기록된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반주음저장부와; 해당 가사를 저장하는 가사저장부와; 반주음에 대한 내용이 입력되면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 관리장치와; 음성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로 전송하는 마이크와; 반주음저장부로부터 전송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믹스하는 음향합성수단과; 믹스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될 하나이상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배경영상저장부와;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하나의 영상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데에 따른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2 입력부와, 이 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물 관리장치와; 가사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자막신호와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을 합성하는 자막합성수단; 및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로 이루어진 노래반주 설비에 있어서,
크로마키 배경과;
상기 크로마키 배경 상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과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촬영파일을 합성하는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크로마키 영상합성과 관련된 입력내용에 대한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제 3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3 제어부가 포함된 영상합성 관리장치;
가 더 구비되며, 특히,
자기기록매체에 합성영상 및/또는 음향에 대한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장치; 및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음향합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합성영상 및/또는 음향을 별도의 자기기록매체에 저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입력내용에 대한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4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기록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4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영상기록 관리장치;
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래반주 관리장치, 영상물 관리장치, 영상합성 관리장치 또는, 음영상기록 관리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둘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져 각각의 기능들을 한곳에서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의 구성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크로마키(Chroma Key) 방식을 통한 영상합성 방식이 이용된 것으로서 배경 스크린으로는 크로마키 배경(미도시됨)이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크로마키 배경에는 청색이 많은데, 이는 카메라를 통해 받아들이는 영상신호 중 감도가 가장 좋고 재생이 잘되며 키잉(Keying)과정을 통해 삭제된 색(배경색 ; 청색)에 대한 보정이 편하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녹색이 활용되기도 하며, 본 고안에서는 청색 또는 녹색에 관계없이 크로마키 방식을 통한 영상합성에 무난한 색이라면 무엇이든지 활용가능하다.
카메라는 상기 크로마키 배경을 향해 설치되고, 피사체(미도시됨)는 카메라와 크로마키 배경 사이에서 촬영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촬영된 내용(촬영파일)을 후술될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한편, 가창자는 종래 노래반주 설비를 이용하듯이 노래반주 관리장치(10)에 구비된 제 1 입력부를 통해 기저장된 다수의 곡들 중 자신이 부를 곡을 선택하고 이를 실행시킴으로서 반주음을 재생시킬 수 있고, 이 반주음에 맞춰 마이크를 매개로 가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는 가창으로 인해 발생되는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향합성수단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 1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는 제 1 제어부는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를 검색하면서 당해 반주음 신호는 상기 음향합성수단으로, 해당 가사에 대한 자막신호는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각각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영상물 관리장치(20)에 구비된 제 2 입력부를 통해서 가창자는 영상합성을 위한 배경영상을 선택하게 되는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의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면서 배경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다수의 영상파일을 검색하고, 당해 영상파일을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전송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노래반주 장치의 구성요소인 영상물 관리장치(20)의 경우에는 외부에 설치되어져 별도의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가창자가 직접 배경영상을 선택하고 지정할 수 있어야하므로 상기 노래반주 관리장치(10)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거나, 노래반주 관리장치(10)와 통합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 노래반주 설비와는 달리 외부와는 차단되어진다.
또한, 상기 카메라 및 크로마키 합성수단은 영상합성 관치장치(30)에 의해 제어되는데, 종래 방식대로 영상합성 없이 상기 배경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배경영상만을 출력하면서 가창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상기 영상합성 관리장치(30)와 같은 크로마키 합성수단의 작동여부 및 세부 메뉴얼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영상합성 관리장치(30)도 노래반주 관치장치(10) 및 영상물 관리장치(20)와 함께 통합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창자가 상기 영상합성 관리장치(30)에 구비된 제 3 입력부를 통해 카메라 및 크로마키 합성수단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면, 제 3 입력부는 조작신호를 생성시켜 제 3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 3 제어부는 이를 연계처리하여 크로마키 합성수단 및 카메라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경영상 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는 크로마키 합성수단을 지나 곧바로 자막합성수단으로 전송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에서는 주지의 크로마키 영상합성 방식이 활용되어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내용(촬영파일)과 배경영상 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크로마키 방식을 통해 합성하게 된다.
상기 자막합성수단에서는,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을 거친 영상신호(크로마키 합성수단의 작동상태가 OFF인 경우) 또는 합성영상신호(크로마키 합성수단의 작동상태가 ON인 경우)가 가사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자막신호에 따라 해당 가사와 합성됨으로서 자막처리된 후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되어지며, 아울러 상기 음향합성수단에서는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반주음 저장부로부터 전송된 반주음 신호가 믹스된 후 스피커를 매개로 출력되어지면서 가창자가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자기기록매체 기록 설비가 더 추가된 본 고안의 구성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 설비는 종래의 그것과는 달리 영상출력기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영상을 가창자 스스로가 제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희소가치가 크기 때문에 기념 또는 재미을 배가하기 위해 영구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
여기서는 별도의 기록장치를 수단으로 앞서 제작된 영상물을 자기기록매체에 기록ㆍ저장할 수 있는데, CD와 시디 라이터(CD WRITER)가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기록매체로의 저장대상은 상기 음향합성수단에서 믹서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반주음신호와 상기 합성영상신호가 있으며, 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자막처리된 영상은 영상출력기를 통해서만 가시할 수 있으며 자기기록매체에 직접 저장되지는 않으나, 이또한 선택사항이므로 상기한 내용들 중 어떤 것이 실시되어도 본 고안의 실시범위에 해당됨을 명시한다.
한편, 상기 기록장치의 작동여부 및 메뉴얼 기능을 실행ㆍ제어하기 위해서 별도의 음영상기록 관리장치(40)가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록장치의 활용여부는 가창자의 선택사항이므로, 음영상기록 관리장치(40)에 구비된 제 4 입력부에서는 기록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내용(기록장치의 ON/OFF, 합성영상 및/또는 음향 선택 등)이 입력되면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켜 제 4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 4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통해 기록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음영상기록 관리장치(40)는 상기 노래반주 관리장치(10), 영상물 관리장치(20) 또는 영상합성 관리장치(30)와 더불어 통합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각 관리장치(10, 20, 30, 40)들 중 둘 이상은 통합 운용되어 한곳에서 일괄적으로 각자의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영상출력기 상에 출력되던 획일적인 영상물 대신 가창자가 직접 주인공이 되는 영상물을 제작ㆍ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흥미유발과 함께 지루함을 줄이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흥을 즐길 수 있으며, 아울러 제작된 영상물을 별도의 자기기록매체에 실시간으로 기록ㆍ저장할 수 있어서 유일무이한 당해 영상물을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반주곡이 기록된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반주음저장부와; 해당 가사를 저장하는 가사저장부와; 반주음에 대한 내용이 입력되면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반주음저장부 및 가사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 관리장치와; 음성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로 전송하는 마이크와; 반주음저장부로부터 전송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믹스하는 음향합성수단과; 믹스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출력기를 매개로 출력될 하나이상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배경영상저장부와;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하나의 영상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데에 따른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2 입력부와, 이 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물 관리장치와; 가사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자막신호와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을 합성하는 자막합성수단; 및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로 이루어진 노래반주 설비에 있어서,
    크로마키 배경과;
    상기 크로마키 배경 상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배경영상저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파일과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촬영파일을 합성하는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크로마키 영상합성과 관련된 입력내용에 대한 해당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제 3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3 제어부가 포함된 영상합성 관리장치;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에 합성영상 및/또는 음향에 대한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장치; 및
    상기 크로마키 합성수단과 음향합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합성영상 및/또는 음향을 별도의 자기기록매체에 저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입력내용에 대한 조작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4 입력부와, 이 조작신호를 연계처리하여 상기 기록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4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영상기록 관리장치;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 관리장치, 영상물 관리장치, 영상합성 관리장치 또는, 음영상기록 관리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둘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져 각각의 기능들을 한곳에서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KR20-2002-0031092U 2002-10-18 2002-10-18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KR200303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92U KR200303888Y1 (ko) 2002-10-18 2002-10-18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92U KR200303888Y1 (ko) 2002-10-18 2002-10-18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888Y1 true KR200303888Y1 (ko) 2003-02-11

Family

ID=4933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092U KR200303888Y1 (ko) 2002-10-18 2002-10-18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8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777B1 (ko) * 2014-01-15 2016-04-19 (주)디스트릭트홀딩스 라이브 댄스 클래스 및 라이브 뮤직 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777B1 (ko) * 2014-01-15 2016-04-19 (주)디스트릭트홀딩스 라이브 댄스 클래스 및 라이브 뮤직 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057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uscial medley function in a karaoke television
CA2537108C (en) Karaoke system which displays musical notes and lyrical content
US5956459A (en) Karaoke apparatus having video mixer of main and insert pictures
JP2001086371A (ja) ビデオ画像の製作方法及び装置
KR20130123820A (ko) 실시간 영상합성 장치 및 그 방법
US5506690A (en) Video accompaniment apparatus
JP2000156049A (ja) オーディオメディアおよびメディア再生装置
KR200303888Y1 (ko) 배경화면 제작기능을 갖춘 노래반주 설비
JPH06110480A (ja) カラオケ装置
KR19980087624A (ko) 노래방 연주기기
KR20000067376A (ko) 노래 반주기 시스템을 이용한 라이브 영상제작시스템
KR101405091B1 (ko) 개인영상 제작시스템
KR20000066726A (ko) 동영상 음반 자동판매기
JPH1169228A (ja) 楽音再生装置
JP4171687B2 (ja) 音楽再生装置
JP3331344B2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20010038639A (ko) 개인의 동영상 제작 및 운용시스템
JPH10222184A (ja) 楽音再生装置
JPH1115486A (ja) 楽音再生装置
KR20050075082A (ko) 노래방용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JP3948685B2 (ja) カラオケ装置
JPH091675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347187Y1 (ko) 노래방용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JPH0676545A (ja) 背景音楽演奏装置
JPH07281687A (ja) 映像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