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811Y1 -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811Y1
KR200303811Y1 KR20-2002-0034660U KR20020034660U KR200303811Y1 KR 200303811 Y1 KR200303811 Y1 KR 200303811Y1 KR 20020034660 U KR20020034660 U KR 20020034660U KR 200303811 Y1 KR200303811 Y1 KR 20030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oling air
water purifier
small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우
Original Assignee
이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욱우 filed Critical 이욱우
Priority to KR20-2002-0034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 냉장고와 정수기를 하나의 본체상에 일체식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부피나 설치시의 공간 점유율을 줄임으로써, 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수기의 냉각장치 주변에 별도의 냉각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냉각챔버를 조성하여 이곳과 소형 냉장고측 사이에 냉각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냉장고의 온도제어를 별도의 냉각장치없이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사용과 관련한 경제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수기의 냉각장치만으로도 소형 냉장고까지 함께 가동시킬 수 있어 그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제작과 관련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형 냉장고에 쌀 이외에 물수건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냉장고의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Freezer including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냉장고와 정수기를 일체식으로 구성하여 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수기의 냉각장치에서 만들어진 냉각공기를 직접 이용하여 소형 냉장고의 온도제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사용과 관련한 경제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소형 냉장고의 활용범위를 쌀 냉장고, 물수건 냉장고 등 다양하게 넓힐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간의 활용성, 사용의 편의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기능성 제품을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시킨 복합형 제품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정수기의 경우에도 공기청정기, 쌀 냉장고 등을 함께 조합시켜 2가지 기능을하나의 제품에 집약시킨 것들이 많이 나와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2가지 기능의 제품들은 설치와 관련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또 사용시의 편의성 때문에 가정이나 업소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제품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 단순히 조립한 것에 불과하여 제품의 운전이나 제작성 측면에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83312호에서는 쌀 냉장고와 정수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부피 측면이나 공간 점유율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각각의 냉각장치를 별도로 가동해야 하므로, 관로를 제어하는 포트변, 압력제어를 위한 프레셔 스위치, 각각의 증발관 등 부품수가 많고, 쌀 냉장고와 정수기 2개를 각각 가동함으로 인해 전력소모 등의 운전비용을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 공간부로 이등분되어 있는 본체(100)의 상단 공간부에는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와 그 위의 정수저장탱크(130)를 배치하는 동시에 하단 공간부에는 쌀 보관실(140)을 배치하고, 하부의 기계실에는 압축기(150), 응축기(160) 및 블로어(170)를 배치하며, 냉수탱크(110)와 쌀 보관실(140)에는 각각의 압축기(150)와 연결되는 증발기(180a),(180b)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일체식의 쌀 냉장고 및 정수기가 제공되어 있다.
위와 같은 기존의 일체식 쌀 냉장고 및 정수기는 냉수탱크측 증발기와 쌀 보관실측 증발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온도제어시 냉수탱크측 증발기와 쌀 보관실측 증발기가 동시에 때로는 각각 구동되어야 하므로, 관로를 제어하는 포트변(전자밸브) 및 압력을 제어하는 프레셔 스위치 등을 각각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운전비용이나 제작비용이 압축기 2대를 쓰는 만큼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형 냉장고와 정수기를 하나의 본체상에 일체식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부피나 설치시의 공간 점유율을 줄임으로써, 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의 냉각장치 주변에 별도의 냉각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냉각챔버를 조성하여 이곳과 소형 냉장고측 사이에 냉각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냉장고의 온도제어를 별도의 냉각장치없이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사용과 관련한 경제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수기의 냉각장치만으로도 소형 냉장고까지 함께 가동시킬 수 있어 그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제작과 관련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 냉장고에 쌀 이외에 물수건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냉장고의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의 저수통, 중간1부의 냉수통, 중간2부의 온수통 및 컴프레서, 하부의 냉장고 및 그 전면의 도어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1부는 증발관을 갖는 냉수통을 포함하면서 단열벽으로 둘러쌓인 단열/밀폐형의 냉각챔버로 조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는 한쪽의 냉각공기 유입구 및 반대쪽의 냉각공기 유출구를 가지면서 도어를 포함하여 단열벽으로 둘러쌓인 냉장고로 조성되며, 상기 냉각챔버와 냉장고는 냉각공기 순환팬이 설치되는 냉각공기 토출관과 냉각공기 유입관으로 각각 연결되어 냉각챔버와 냉장고 사이에 냉각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1부는 냉수통의 저부에 밀착 위치되면서 다수의 핀 구조를 이용하여 냉각공기의 열교환작용을 유도하는 방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기는 일정한 면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세워진 띠형태의 다수의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순환팬은 냉장고의 온도센서에 의한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토출관과 냉각공기 유입관은 단열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도어의 개폐를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분리형 쌀 냉장고 또는 분리형 물수건 냉장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냉장고는 중앙에 배치되는 쌀 냉장고 또는 물수건 냉장고의 둘레와 바닥을 경유하는 냉각공기의 순환경로를 포함함으로써 온도편차에 따른 대류 및 쌀 냉장고 또는 물수건 냉장고 내부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에서 쌀 냉장고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에서 물수건 냉장고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정수기에 쌀 냉장고에 일체식으로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수통 11 : 냉수통
12 : 온수통 13 : 컴프레서
14 : 증발관 15 : 쌀 냉장고
16a,16b : 단열벽 17 : 냉각챔버
18 : 냉장고 19 : 냉각공기 순환팬
20 : 냉각공기 토출관 21 : 냉각공기 유입관
22 : 온수관 23 : 냉수관
24 : 습기 배출구 25 : 방열기
25a : 플레이트 25b : 방열핀
26 : 도어 27 : 냉각공기 유입구
28 : 냉각공기 유출구 29 : 물수건 냉장고
30 : 냉각공기 순환홀 31 : 철망 바스켓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는 냉수통이 갖는 증발관 주위를 단열 및 밀폐구조의 냉각챔버로 구성하여 냉수 제어와 냉장고 온도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증발관, 컨덴서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의 본체는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10)이 배치되고, 중간1부와 중간2부에는 각각 냉수 제공을 위한 냉수통(11)과 온수 제공을 위한 온수통(12)이 각각 배치되며, 하단부에는 쌀이나 물수건 등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냉장고를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18)가 배치된다.
상기 저수통(10)에는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가 저장되며, 이곳의 정수는 냉수통(11)과 온수통(12)으로 각각 보내진다.
상기 온수통(12)의 물은 히터(발열체)와 온도제어(설정)에 의해 적정한 온도로 제어되어 항상 따뜻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냉수통(11)의 물은 기존 냉수기 관련 증발관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여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수통(10)과 냉수통(11) 및 온수통(12)은 저수통(10)으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냉수관(23) 및 온수관(22)으로 연결되어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온수관(22)의 일부 구간은 열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체로 감싸이게 된다.
즉, 저수통(10)으로부터 연장되는 온수관(22)은 아래쪽에 배치되는 온수통(12)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구조상 후술하는 냉각챔버(17)를 지나가게 되므로, 이때의 냉각챔버 경유구간을 단열체로 보호하여 열손실을 최대한 막을 필요가 있다.
상기 냉수통(11)의 둘레에는 코일구조의 증발관(14)이 설치되어 있어서, 컴프레서(13)의 가동과 동시에 증발기(미도시) 및 컨덴서(미도시) 등의 냉각작용을 이용하여 냉수통(11) 내의 물을 차갑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냉각공기, 즉 냉수통(11)을 포함하는 그 주위에 형성되는 냉각공기를 수용하고, 또 이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별도의 냉각챔버(17)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냉수통(11)이 배치되는 중간1부의 전체 공간을 단열벽(16a)으로 둘러싼 단열/밀폐형 구조의 냉각챔버(17)를 조성하여 일정량의 냉각공기를 포함할 수 있게 하고, 냉각챔버(17)의 바닥 일측에는 냉각공기 토출관(20)과 냉각공기 유입관(21)을 연결하여 후술하는 냉장고(18)측과 냉각공기의 연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냉각챔버(17) 내의 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냉장고(18)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시스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냉수통 증발관은 물에 냉열을 전도시켜 찬물을 공급하는데, 물에 공급되는 냉열 이외에 외부로 손실되는 냉열이 상당하므로,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냉수통 구조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냉열을 모으는 구조인 밀폐 단열된 박스(공간), 즉 냉각챔버를 조성하여 냉열을 효과적으로 축적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상기 냉각공기 토출관(20)과 냉각공기 유입관(21)은 서로 대각선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냉각챔버(17)로부터 공급되고 회수되는 냉각공기의 이용을 냉각챔버 전체 공간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관은 단열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기 순환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냉각챔버(17) 내에서 수행되는 열교환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방열기(25)가 제공된다.
상기 방열기(25)는 냉수통(11)을 받쳐줄 수 있는 대략 사각형 구조의 플레이트(25a)와, 이 플레이트(25a)의 저면에 일체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핀(25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방열핀(25b)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냉각공기의 흐름방향을 한쪽으로 유도하면서 전열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방열기(25)는 냉수통(11) 및 증발관(14)과의 직접적인 열전도작용을 수행하여 그 저부의 방열핀(25b)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때의 상기 방열핀(25b)은 냉각공기 순환팬(19)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냉각공기의 흐름방향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흐름방향과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공기 토출관(20)의 입구측에는 냉각공기 순환팬(1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가동함에 따라 냉각챔버(17) 내의 냉각공기가 강제 토출되면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냉각공기 순환팬(19)은 별도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가동시키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냉장고(18)의 사용조건에 따라 그 온도조건을 자동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냉장고(18)의 내부 벽면에 별도의 온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때의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냉각공기 순환팬(19)의 가동을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냉장고(18)측의 내부온도가 적정온도를 넘어서게 되면, 이를 온도센서가 감지하고 이때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미도시)가 입력받아 냉각공기 순환팬(19)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서, 냉각공기 순환팬(19)의 가동과 함께 냉각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냉장고(18)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물론, 냉장고(18)의 내부온도가 적정온도에 도달되면 냉각공기 순환팬(19)의가동이 중지되면서 이때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냉장고(18)는 단열벽(16b)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또한 냉장고(18)의 내부는 천정 일측에 있는 냉각공기 유입구(27)와 냉각공기 유출구(28)를 통해 냉각챔버(17)로부터 연장되는 냉각공기 토출관(20)과 냉기 유입관(21)이 각각 연결되므로서, 냉각챔버(17)로부터 토출되는 냉강공기를 공급받아 그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2b와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의 냉장고를 쌀 냉장고 또는 물수건 냉장고로 이용할 수 있는 구현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냉장고(18)의 전면에 도어(26)를 설치하여 냉장고(18)의 내부를 개폐식으로 구성하면, 그 내부로 별도의 쌀 냉장고(15)를 보관하거나, 물수건 냉장고(29)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8)를 쌀 냉장고(15)로 사용하는 경우 냉각챔버(17)로부터 냉장고(18)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쌀 냉장고(15)의 주위를 통해 흐르면서 순환되고, 또한 쌀 냉장고(15)가 갖는 냉각공기 순환홀(30)을 통해 내부에 들어있는 쌀이 냉각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쌀 냉장고(15)에 들어있는 쌀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쌀 냉장고(15)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온도조절을 위하여 냉장고(18) 내에 위치되는 쌀 냉장고(15)의 둘레 주변과 하부를 통하게 하는 유로를 조성함으로써, 냉장고(18)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공기가 쌀 냉장고(15)의 전체적인 둘레면을 경유한 후 빠져나가게 되고, 따라서 냉각공기의 충분한 활용을 통해 쌀 냉장고(15)의 온도조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18)를 물수건 냉장고(29)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망 바스켓(31)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냉장고(18)의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공기가 철망 사이사이를 통해 그 안쪽의 물수건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므로, 많은 수의 물수건을 차갑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중간1부와 중간2부 사이에는 습기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을 통해 냉각챔버(17) 내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물기 등은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중간2부에 배치되어 있는 컴프레서(13), 온수통(12) 등의 열기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습기 배출구(24)는 냉각챔버(17)의 바닥 구석진 곳에 위치되며, 이곳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 아래쪽 중간2부의 공간으로 곧바로 연결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사용에 따른 냉각장치의 가동시 냉각챔버 내에는 증발관을 갖는 냉수통 및 방열기를 통해 냉각공기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이때 냉장고의 온도가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냉각공기 순환팬이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냉기의 순환은 없게 된다.
한편, 냉장고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하, 예를 들면 10∼15℃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를 온도센서가 감지하여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른 냉각공기 순환팬의 작동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냉각챔버 내의 냉기는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냉각챔버 →냉각공기 토출관 →냉장고 →냉각공기 유입관 →냉각챔버의 순서로 이어지는 순환을 하면서 냉장고 내의 쌀 냉장고 또는 물수건 냉장고 온도를 낮춰주게 되므로, 쌀 냉장고 내의 쌀이나 물수건 내의 물수건을 적합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냉각챔버측 냉각공기 순환팬의 작동과 동시에 냉각공기는 냉각공기 토출관을 통하여 쌀 냉장고 또는 물수건 냉장고와 외부 단열 케이스(냉장고) 사이의 순환공간을 거쳐 순환되며, 순환된 냉각공기는 냉각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다시 냉각챔버로 리턴한다.
냉장고 내의 적정온도가 유지되어 냉각공기 순환팬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발생하는 습기로 인한 물은 습기 배출구를 통하여 컴프레서, 온수통 등이 배치되어 있는 기계실 내로 보내지고, 컴프레서의 열과 온수통의 열을 이용하여 증발시킨다.
또한, 냉각챔버측과 냉장고측 사이를 통하는 모든 관로는 단열을 시켜 기계실과의 열손실을 차단한다.
냉장고의 전면부는 도어로 구성하고, 그 내부는 벽면과 마찬가지로 단열(성형된 EPS나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존 냉수통 구조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냉열을 모으는 구조인 밀폐 단열된 박스(공간) 내부에 냉수통 증발관+냉각챔버 일체형을 만들어 냉수통 물과 냉장고를 하나의 증발기, 즉 냉수통의 증발관과 배관되어 있는 증발기와 하나의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정수기와 소형 냉장고를 같이 구동할 수 있으며, 냉각공기 순환팬과 냉장고의 적정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센서만 추가되므로, 기존의 제품에 비해 운전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종전과 같이 쌀냉장고와 정수기를 하나로 구성하고 1대의 압축기와 각각 냉수쪽 쌀냉장고쪽 증발관과, 여러 부속부품 등을 이용한 제품에 비해 원가와 성능면에서 만족할 성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소형 냉장고와 정수기를 하나의 본체상에 일체식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부피나 설치시의 공간 점유율을 줄임으로써, 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정수기의 냉각장치 주변에 별도의 냉각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냉각챔버를 조성하여 이곳과 소형 냉장고측 사이에 냉각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냉장고의 온도제어를 별도의 냉각장치없이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사용과 관련한 경제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정수기의 냉각장치만으로도 소형 냉장고까지 함께 가동시킬 수 있어 그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정수기 및 소형 냉장고의 제작과 관련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소형 냉장고에 쌀 이외에 물수건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냉장고의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의 저수통(10), 중간1부의 냉수통(11), 중간2부의 온수통(12) 및 컴프레서(13), 하부의 냉장고(18) 및 그 전면의 도어(26)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1부는 증발관(14)을 갖는 냉수통(11)을 포함하면서 단열벽(16a)으로 둘러쌓인 단열/밀폐형의 냉각챔버(17)로 조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는 한쪽의 냉각공기 유입구(27) 및 반대쪽의 냉각공기 유출구(28)를 가지면서 도어(26)를 포함하여 단열벽(16b)으로 둘러쌓인 냉장고(18)로 조성되며, 상기 냉각챔버(17)와 냉장고(18)는 냉각공기 순환팬(19)이 설치되는 냉각공기 토출관(20)과 냉각공기 유입관(21)으로 각각 연결되어 냉각챔버(17)와 냉장고(18) 사이에 냉각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1부는 냉수통(11)의 저부에 밀착 위치되면서 다수의 핀 구조를 이용하여 냉각공기의 열교환작용을 유도하는 방열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25)는 일정한 면적의 플레이트(25a)와, 상기 플레이트(25a)의 저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한쪽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세워진 띠형태의 다수의 방열핀(25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순환팬(19)은 냉장고(18)의 온도센서에 의한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토출관(20)과 냉각공기 유입관(21)은 단열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18)는 도어(26)의 개폐를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분리형 쌀 냉장고(15) 또는 분리형 물수건 냉장고(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18)는 중앙에 배치되는 쌀 냉장고(15) 또는 물수건 냉장고(29)의 둘레와 바닥을 경유하는 냉각공기의 순환경로를 포함함으로써 온도편차에 따른 대류 및 쌀 냉장고(15) 또는 물수건 냉장고(29)내부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KR20-2002-0034660U 2002-11-20 2002-11-20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KR20030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660U KR200303811Y1 (ko) 2002-11-20 2002-11-20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660U KR200303811Y1 (ko) 2002-11-20 2002-11-20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680A Division KR20030028782A (ko) 2003-02-07 2003-02-07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811Y1 true KR200303811Y1 (ko) 2003-02-11

Family

ID=4940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660U KR200303811Y1 (ko) 2002-11-20 2002-11-20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109A (en) Energy efficient domestic refrigeration system
KR20110021128A (ko) 냉장고
JPH0424481A (ja) 組合せ冷蔵庫
EP1384963B1 (en) Built-in refrigerator
JPH09506695A (ja) エネルギ効率の良い家庭用冷蔵装置
KR200303811Y1 (ko)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JP2008517247A (ja) ヒートポンプのシャーシ内に統合されたガス冷却器の形状
KR20030028782A (ko) 정수기 겸용 소형 냉장고
JPH0387582A (ja) 冷蔵庫の排水蒸発装置
CN102022828A (zh) 设置有饮水机的热泵热水器
KR200298038Y1 (ko) 쌀냉장고를 포함한 냉온 정수기
CN2333977Y (zh) 带冷藏箱的多功能除湿机
JP2017053589A (ja) 冷蔵庫
KR101218287B1 (ko)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KR20020073118A (ko) 쌀냉장고를 포함한 냉온 정수기
KR200283312Y1 (ko) 정수기를 겸비한 쌀냉장고
KR101081382B1 (ko) 석션파이프와 모세관 어셈블리
KR200337744Y1 (ko) 정수기 겸용 쌀 냉장고
CN214665457U (zh) 一种控温控湿设备
JPH10332248A (ja) 冷蔵庫
KR102360422B1 (ko) 냉수 정수기
CN220494997U (zh) 一种清洗机
KR011376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JPS6146371Y2 (ko)
JP2001082846A (ja) 保冷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