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065Y1 - 케이블타이 - Google Patents

케이블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065Y1
KR200303065Y1 KR20-2002-0031504U KR20020031504U KR200303065Y1 KR 200303065 Y1 KR200303065 Y1 KR 200303065Y1 KR 20020031504 U KR20020031504 U KR 20020031504U KR 200303065 Y1 KR200303065 Y1 KR 200303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rtion
cable tie
fastener
insertion ho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윤섭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타이의 밴드부를 고정구에서 삽입공이 형성된 일측면에서 연장되며 원형 형상을 하여 용이하게 전선을 감을 수 있는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는 전선을 감싸 수용하여 협지하는 밴드부와, 밴드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차체패널 표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베이스부재로 구성되는 케이블 타이에 있어서, 고정구는 측면으로 연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밴드부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상기 고정구의 일측면 소정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타이{cable tie}
본 고안은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되는 케이블타이로 전선 등을 용이하게 감싸기 위해 밴드부를 원형 형상으로 구비하고 고정구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한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많은 전기장치들은 다량의 전선에 의해 도통 가능하도록 전원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선들은 때때로 다발을 형성하는 상태로 플로워 패널의 터널등과 차체의 소정부를 지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전선은 보통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타이(1)에 의해 묶여지는데, 이와 같은 케이블타이(1)는 전선 다발을 감싸안는 밴드부(8)와, 밴드부(8)의 일단이 하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밴드부(8)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고정구(2)와, 고정구(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밴드부(8)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9)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톱니(9)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2)의 삽입공(4)에는 탄성턱(5)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턱(5)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9)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톱니(9)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타이는 밴드부(8)의 타단부가 전선을 감은 상태 하에서 고정구(2)의 삽입공(4)으로 끼워지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9)에 탄성턱(5)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톱니(9)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전선을 안정되게 묶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작업자가 전선을 종래의 케이블타이로 묶기 위해서 한 손으로 고정구를 잡고 다른 손으로 밴드부를 잡고 휘게 하면서 고정공의 삽입공에 삽입시켜야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는 밴드부를 전선의 형상에 따라 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케이블타이의 밴드부를 원형 형상으로 구비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전선을 묶을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케이블타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는 전선을 감싸 수용하여 협지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차체패널 표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베이스부재로 구성되는 케이블타이에 있어서, 고정구는 측면으로 연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밴드부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의 일측면 소정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타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로 전선을 감싼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케이블타이 2,12: 고정구
3,13: 베이스부재 4,14: 삽입공
5,15: 탄성턱 8,18: 밴드부
9,19: 톱니 C: 전선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의 사시도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로 전선을 감싼 상태도이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는 전선(C)을 감싸 수용하여 협지하는 밴드부(18)와, 밴드부(18)를 고정하는 고정구(12)와, 차체패널 표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베이스부재(13)로 구성되는 케이블타이(10)에 있어서, 고정구(12)는 측면으로 연통된 삽입공(14)이 형성되고, 밴드부(18)는 삽입공(14)이 형성된 고정구(12)의 일측면 소정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밴드부(18)는 원형 형상으로 라운드져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10)는 전선(C)을 감싸안는 밴드부(18)와, 밴드부(18)의 일단이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밴드부(18)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측면에 삽입공(14)을 통공 형성한 고정구(1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밴드부(18)는 원형으로 라운드(round)져 있고, 일측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19)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요성(可撓性)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18)의 일단은 후술될 고정구(12)에서 삽입공(14)이 형성된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2)는 측면에 연통 되게 삽입공(14)이 형성되어 내부 상측에 밴드부(18)의 타단부가 억지 끼움 상태로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밴드부(18)의 톱니(19)가 고정 되도록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탄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턱(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2)의 후면에는 고정구(12)를 차체에 삽설 할 수 있도록 공지된 베이스부재(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고정구(12)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밴드부(18)의 타단부가 전선(C) 다발을 감은 상태에서 고정구(12)의 타측 방향으로 삽입공(14)에 끼워지면서 톱니(19)에 탄성턱(15)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톱니(19)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전선(C) 다발을 안정되게 묶는 상태가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부(18)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부(18)의 타단은 대략 삽입공(14)을 향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밴드부(18)는 고정구(12)의 일측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타이에 의하면, 케이블타이의 밴드부가 고정구의 일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원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구의 타측면으로 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밴드부의 타단이 삽입공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한 손만으로 밴드부의 타단을 삽입공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전선을 감싸 수용하여 협지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차체패널 표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베이스부재로 구성되는 케이블타이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측면으로 연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상기 고정구의 일측면 소정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타이.
KR20-2002-0031504U 2002-10-22 2002-10-22 케이블타이 KR200303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04U KR200303065Y1 (ko) 2002-10-22 2002-10-22 케이블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04U KR200303065Y1 (ko) 2002-10-22 2002-10-22 케이블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065Y1 true KR200303065Y1 (ko) 2003-02-07

Family

ID=4933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504U KR200303065Y1 (ko) 2002-10-22 2002-10-22 케이블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0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76B1 (ko) 2008-05-20 2008-11-04 주식회사 탑이엔씨 변전소 및 배전선로의 가설용 전선 케이블 묶음장치
KR101263365B1 (ko) 2011-08-25 2013-05-21 오정섭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트 부재
KR101927094B1 (ko) 2017-06-22 2019-03-05 공종수 케이블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76B1 (ko) 2008-05-20 2008-11-04 주식회사 탑이엔씨 변전소 및 배전선로의 가설용 전선 케이블 묶음장치
KR101263365B1 (ko) 2011-08-25 2013-05-21 오정섭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트 부재
KR101927094B1 (ko) 2017-06-22 2019-03-05 공종수 케이블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7383A1 (en) Cable Tie Removal Tool
DE60214024D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kabelbaum
KR200303065Y1 (ko) 케이블타이
ES2267433T3 (es) Abrazadera para cables.
DE60335330D1 (de) Verbindungsstruktur für eine Zusatzvorrichtung, Kabelwasserdichtungsstruktur für eine Zusatzvorrichtung und eine Montagestruktur für eine Zusatzvorrichtung
KR100559591B1 (ko) 케이블 타이
EE200000443A (et) Õhuliini isoleeritud juhtme, eriti kimpõhukaabli pingutusklamber
KR200410932Y1 (ko) 케이블타이
JP4400297B2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結束用治具
KR200426092Y1 (ko) 전동공구의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 고정구
JP4057546B2 (ja) ワイヤハーネス組立用冶具
JP2001177958A (ja) 形鋼取付け用長尺物支持具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US6007051A (en) Wire duct wiring tool
JP2000350337A (ja) 線材束の結束具
BG108580A (en) Cord clamp
KR20190000538A (ko) 착탈형 밴드 케이블
JP4044580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029573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200317541Y1 (ko) 클램프장착보조공구
KR20030079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0374660Y1 (ko) 전선 정리 장치
KR100870398B1 (ko) 와이어 보호용 케이블 타이
ATE461545T1 (de) Verdrahtungskanal
KR100383986B1 (ko) 고정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