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591B1 - 케이블 타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591B1
KR100559591B1 KR1020030044452A KR20030044452A KR100559591B1 KR 100559591 B1 KR100559591 B1 KR 100559591B1 KR 1020030044452 A KR1020030044452 A KR 1020030044452A KR 20030044452 A KR20030044452 A KR 20030044452A KR 100559591 B1 KR100559591 B1 KR 10055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able tie
wires
cab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622A (ko
Inventor
우상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5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양방향 방식으로 형성하고, 각 스트랩을 또 다시 두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타이로 여러 개의 전선이나 파이프 다발을 일체로 묶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케이블 타이, 동시 체결, 분리, 스트랩, 몸체부

Description

케이블 타이{Cable ti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블 타이 3 : 스트랩
4 : 제 1 스트랩 5 : 제 2 스트랩
6 : 몸체부 7 : 삽입공
8 : 탄성턱 9 : 절개선
10 : 톱니 11 : 고정부
12 : 받침판 20 : 전선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양방향 방식으로 형성하고, 각 스트랩을 또 다시 두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타이로 여러 개의 전선이나 파이프 다발을 일체로 묶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많은 전기장치들은 다량의 전선에 의해 도통 가능하도록 전원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선들은 때때로 다발을 형성하는 상태로 플로워 패널의 터널등과 차체의 소정부를 지나게 된다.
케이블 타이(30)는 상기와 같은 각종 전선(20) 다발이나 파이프 다발을 일체로 묶어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 6,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 다발을 감싸안는 스트랩(31)과, 스트랩(31)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스트랩(31)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몸체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랩(31)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3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톱니(3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부(33)의 삽입공(34)에는 탄성턱(35)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턱(35)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3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톱니(3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타이(30)는 스트랩(31)의 타단부가 전선을 감은 상태 하에서 몸체부(33)의 삽입공(34)으로 끼워지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32)에 탄성턱(35)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톱니(32)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전선(20)을 안정되게 묶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타이(30)는 스트랩(31)이 하나만 구성되어 있는 바, 여러 개의 전선(20)이나 파이프 다발을 묶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케이블 타이(30)를 이용하여 각각 묶어주어야 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케이블 타이(30)를 사용하여 전선(20) 다발 등을 묶을 시에는 케이블 타이(30)의 난립으로 미관을 불량하게 하는 현상을 발생시켰고, 케이블 타이(30)의 사용수량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여러 개의 전선(20)이나 파이프 다발을 묶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케이블 타이(30)를 하나씩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양방향 방식으로 형성하고, 각 스트랩을 또 다시 두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타이로 여러 개의 전선이나 파이프 다발을 일체로 묶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랩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기준하여 양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스트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두고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선 안쪽 영역은 제 1 스트랩으로, 바깥쪽 영역은 제 2 스트랩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공을 통해 일정위치에 탄성적으로 몸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와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삽입공은 적어도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2)는 다수의 전선(20) 다발을 묶기 위한 스트랩(3)과, 스트랩(3)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스트랩(3)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몸체부(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랩(3)은 몸체부(6)를 기준으로 양방향 방식으로 두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스트랩(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두고 절개선(9)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선(9)을 기준으로 제 1 스트랩(4)과 제 2 스트랩(5)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는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스트랩(3) 일측에는 각각 절개선(9)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절개선(9) 안쪽 부위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각 절개선(9)의 안쪽 영역은 제 1 스트랩(4)으로, 바깥쪽 영역은 제 2 스트랩(5)으로 분리되어 지고, 이는 사용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또는 일체형의 상태로 각 스트랩(3)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랩(3)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10)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톱니(10)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부(6)에는 다수개의 삽입공(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7) 내부에는 탄성턱(8)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6)의 삽입공(7)은 적어도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턱(8)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10)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톱니(10)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타이(2)는 스트랩(3)의 타단부가 전선(20)을 감은 상태 하에서 몸체부(6)의 삽입공(7)으로 끼워지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10)에 탄성턱(8)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톱니(10)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전선(20)을 안정되게 묶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2)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2)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전선(20) 다발을 묶기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2)의 각 스트랩(3) 단부를 통해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감은 상태 하에서 몸체부(6)의 삽입공(7)에 끼움으로써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묶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의 수에 따라 상기 각 스트랩(3)을 제 1 스트랩(4)과 제 2 스트랩(5)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하나의 케이블 타이(2)로 최대 4개의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묶을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스트랩(4)을 이용하여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감싼 상태로 몸체부(6)에 고정시키고, 또 다른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상기와 같이 몸체부(6)에 고정된 제 1 스트랩(4) 외표면에 위치시키고, 제 2 스트랩(5)을 이용하여 제 1 스트랩(4)과 함께 감싸는 동시에 몸체부(6)의 다른 삽입공(7)을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내용에서는 제 1 스트랩(4)을 먼저 고정시키는 것으로 기술되고 있지만, 이는 제 2 스트랩(5)을 먼저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케이블 타이(2)는 스트랩(3)이 몸체부(6)를 중심으로 양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바, 일측 스트랩(3)을 사용하여 전선(20) 또는 전선(20) 다발을 묶은 후 다른 일측의 스트랩(3)을 사용하기 위해서, 처음 몸체부(6)의 삽입공(7)을 통해 고정되는 동시에 그 외부로 돌출되는 스트랩(3) 일단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2)는, 첨부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구조물 등의 내부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케이블 타이(2)를 통해 다수개의 전선(20) 다발 및 파이프 다발을 묶는 동시에 이를 일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는 이 고정부(11)가 삽입 장착되는 관통공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부(11)를 통해 일정위치에 장착되는 케이블 타이(2)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더라 하더라도 이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며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받침판(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타이(2)는 다수개의 전선(20) 및 전선(20) 다발을 소수개의 케이블 타이(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묶을 수 있으며, 이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 의하면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양방향 방식으로 형성하고, 각 스트랩을 또 다시 두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타이로 여러 개의 전선이나 파이프 다발을 일체로 묶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전선 다발 등을 묶을 시에는 종래 케이블 타이의 난립으로 미관을 불량하게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케 이블 타이의 사용수량 절감으로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전선이나 파이프 다발을 하나의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묶을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전선을 감싸 수용하여 협지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을 고정하는 몸체부로 구성되되, 스트랩(3)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7)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6)와, 상기 몸체부(6)를 기준하여 양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3)으로 구성된 케이블 타이에 있어서,
    상기 각 스트랩(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두고 절개선(9)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선(9) 안쪽 영역은 제 1 스트랩(4)으로, 바깥쪽 영역은 제 2 스트랩(5)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3. 삭제
  4. 삭제
KR1020030044452A 2003-07-02 2003-07-02 케이블 타이 KR10055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52A KR100559591B1 (ko) 2003-07-02 2003-07-02 케이블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52A KR100559591B1 (ko) 2003-07-02 2003-07-02 케이블 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622A KR20050003622A (ko) 2005-01-12
KR100559591B1 true KR100559591B1 (ko) 2006-03-15

Family

ID=3721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452A KR100559591B1 (ko) 2003-07-02 2003-07-02 케이블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66B1 (ko) 2007-08-07 2008-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E202007015787U1 (de) 2007-11-13 2009-03-26 H. & M. Gutberlet Gmbh Haltevorrichtung
KR101117457B1 (ko) * 2010-02-25 2012-02-29 홍준표 버려지는 부분이 없는 길이 조절 케이블 타이
KR101399742B1 (ko) * 2012-03-06 2014-06-12 최윤성 케이블 타이
KR102073595B1 (ko) * 2012-09-26 2020-02-06 김호식 재사용 및 재활용성이 강화된 용도확장형 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622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168B2 (en) Cinch strap
KR20030019163A (ko) 케이블정리용 결속구
ID28533A (id) Kabel dengan pengisi pilin (jalinan kawat)
ATE390745T1 (de) Kabelkanal mit geteilter abdeckung
JP200401595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分岐部用結束バンド
KR100559591B1 (ko) 케이블 타이
KR20080034511A (ko) 기다란 집합체를 홀딩하는 장치
KR200247909Y1 (ko) 결착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US6938305B2 (en)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al tie
KR101399742B1 (ko) 케이블 타이
US4896852A (en) Bundling band
KR20130049846A (ko) 케이블 타이
KR200303065Y1 (ko) 케이블타이
JP5896622B2 (ja) 電線固定構造
KR200410932Y1 (ko) 케이블타이
KR102003545B1 (ko) 케이블 타이
KR100588749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200460979Y1 (ko) 케이블 고정기구
JP4057546B2 (ja) ワイヤハーネス組立用冶具
KR20010096751A (ko) 다중 결속구를 갖는 케이블 밴드
KR19980050627U (ko) 케이블타이
JP2007181307A (ja) 電線結束具および電線結束方法
KR20090006551U (ko) 와이어링 고정클립
KR20034744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US6007051A (en) Wire duct wir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