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468Y1 - 비닐팩 열 융착기 - Google Patents

비닐팩 열 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468Y1
KR200302468Y1 KR20-2002-0028304U KR20020028304U KR200302468Y1 KR 200302468 Y1 KR200302468 Y1 KR 200302468Y1 KR 20020028304 U KR20020028304 U KR 20020028304U KR 200302468 Y1 KR200302468 Y1 KR 200302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plastic pack
sensor
fix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한림
Original Assignee
성우프린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프린텍(주) filed Critical 성우프린텍(주)
Priority to KR20-2002-0028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팩 열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센서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실린더를 이용하여 기동형열선의 구동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작동방향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실현하여 작업성향상과, 정확한 융착점 설정에 따른 밀봉성향상을 이루어 불량감소에 따른 고객신뢰도 증대를 이루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열 융착기(3)는,
실린더블럭(40)상방에 개재되며 일측선단으로 가이드플레이트(33)를 형성하여 실린더블럭(40)선단에 개재되는 고정형열선(32), 상기 고정형열선(32)과 지지바(35)에 의해 개재되며, 작동실린더(41)의 로드(42)와 완충장치(36)를 통해 연결되어 상, 하운동으로 융착을 실시하는 기동형열선(31), 상기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 일측으로 비닐팩(100)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37)로 구성된 히터어셈블리(30)와,
전체 형상이 개략 '凹'형으로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44)내방으로, 센서(37)에 의해 작동하며 기동형열선(31)의 상, 하 운동을 도모하는 작동실린더(41)를 안치하고, 일측에는 히터어셈블리(30)를 비롯하여 작동실린더(41)등 전반적인 열 융착기(3)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2)가 장착된 실린더블럭(40) 및,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실린더블럭(40)과 히터어셈블리(30)를 안치하여 베이스(50)에 고정되는 서포트(51)로 구성되어,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의 이격공간으로 비닐팩(100)이 삽입됨과 동시에 센서(37)를 통해 비닐팩(100)의 투입을 판단하게되고, 이러한 센서(37)로부터 비닐팩(100) 유입신호가 감지되면 컨트롤러(42)는 제1타이머(T1)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타이머(T1)가 통전됨과 아울러 t초 후 T1a 접점이 연결되어 제2타이머(T2)가 통전되고, 다시 t초 후 T2a접점이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S/V)가 작동함으로서 작동실린더(41)를 구동시켜 기동형열선(31)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팩 열 융착기{Heat seal machine for vinyl pack}
본 고안은 비닐팩 열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는 비닐팩의 개구부를 마찰열에 의해 밀봉하는 비닐팩 열 융착기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기의 작동간 구동을 작동실린더에 의한 자동화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개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팩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투명 내지는 불투명의 수납수단으로, 물품을 수납한 후 개구부를 밀봉하여 외부와의 공기차단에 따른 내용물의 보호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비닐팩은 밀봉을 위해 개구부에 자체적으로 지퍼(zipper)와 같은 시건수단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밀봉장치를 통해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밀봉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밀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열과 압력에 의해 개구부를 손쉽게 밀봉하는 열 융착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열 융착을 수행하는 열 융착기는 다양한 종류와 구성을 통하여 실시되고,
그 가운데 도 1에 도시된 열 융착기는 가장 보편적 구성으로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페달의 담력으로 열선상간에 유입된 비닐팩을 가압 융착하는 풋 방식의 열 융착기이다.
상기 열 융착기(1)는,
평판형 부재를 가공하여된 베이스(10)와 그 개략 중앙 상방에는 열 융착기(1)의 전반적인 기능제어를 위한 컨트롤러(11)가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는 거치대(12)를 통해 개재된다.
상기 컨트롤러(11) 전방 일측에는 소정의 온도를 통해 비닐팩을 융착하는 열선을 내장한 히터어셈블리(20)가 개재되고, 이러한 히터어셈블리(20)는 베이스(10) 일측에 스프링(13)을 통해 탄지된 페달(14)과 힌지고정된 가이드바(15)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20)는 컨트롤러(11) 일측 저면에 개재되는 고정형플레이트(21)를 통해 융착시 지지점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형열선(22)과, 상기 고정형열선(22) 직상방에 개재되며, 컨트롤러(11)와 힌지고정을 통해 일정구간 각운동을 수행하며 가압으로 융착을 실시하는 기동형열선(23)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형열선(22) 선단에는 열 융착을 실시하는 비닐팩의 안정된 거치를 위해 평판형의 가이드플레이트(24)를 더 구비하여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히터어셈블리(20)의 기동형열선(23)은 베이스(10) 일측에 탄지된 페달(14)에 힌지고정된 가이드바(15)가 관통구비되며, 기동형열선(23)과 가이드바(15) 연결부위에는 가압시 충격을 흡수하여 비닐팩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장치(25)가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닐팩 열 융착기(1)는 베이스(10)에 스프링(13)의 이완작용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선단에 개재된 가이드바(15)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서 완충장치(25)를 통해 연결된 기동형열선(23)이 고정형열선(22)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작업자가 밀봉을 요구하는 비닐팩을가이드플레이트(24)에 안치하여 밀봉부위의 선단을 이격된 고정형열선(22)과 기동형열선(23)상간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형열선(22)과 기동형열선(23)상간으로 비닐팩의 밀봉부위의 위치설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베이스 일측에 탄지된 페달(14)을 일정한 담력으로 밟아, 이에 고정된 가이드바(15)를 통해 기동형열선(23)이 컨트롤러(11)의 힌지점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고정형열선(22)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기동형열선(23)을 이동시켜 고정형열선(22)과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속적으로 페달(14)에 담력을 작용시켜 일정시간동안 기동형열선(23)과 고정형열선(22) 접점에 일정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열과 압력이 가해진 기동형열선(23)과 고정형열선(22) 상간에 삽입된 비닐팩은 반용융상태에서 개구부가 융착되며, 이어 작업자는 페달(14)에 가해지는 담력을 제거함과 아울러 페달(14)이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 원복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바(15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기동형열선(23)과 고정형열선(22)의 연접상태가 해지되면서 융착된 비닐팩의 개구부는 서냉을 통해 밀봉된다.
상기와 같이 비닐팩 열 융착기(1)는 융착작업시 작업자로 하여금 페달(14)에 일정수준 이상의 담력을 작용시키고, 가해진 담력을 일정시간동안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융착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증가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동형열선(23)이 컨트롤러(11)의 힌지점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고정형열선(22)과 연접하므로, 정확한 접점설정이 불가능하여 융착효율이 저하되어 밀봉성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불량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실린더를 이용하여 기동형열선의 구동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작동방향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실현하여 작업성향상과, 정확한 융착점 설정에 따른 밀봉성향상을 이루어 불량감소에 따른 고객신뢰도 증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의 작동에 요구되는 제어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간략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열 융착기 30;히터어셈블리
31;기동형열선 32;고정형열선
37;센서 40;실린더블럭
41;작동실린더 42;컨트롤러
50;베이스 51;서포트
100;비닐팩 101;개구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팩 열 융착기의 작동에 요구되는 제어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간략 회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비닐팩 열 융착기(3)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비닐팩(100)의 개구부(101)를 가압하여 열에 의한 융착을 수행하는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으로 구성된 히터어셈블리(30)와,
상기 히터어셈블리(30) 직하방에 개재되며 기동형열선(31)의 상,하 운동을 도모하는 작동실린더(41)와 히터어셈블리(30) 및 작동실린더(41)의 작동제어에 요구되는 컨트롤러(42)를 개재한 실린더블럭(40) 및, 그 단면이 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이루고 히터어셈블리(30)와 실린더블럭(40)을 지지하며 베이스(50)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 서포트(51)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30)는,
실린더블럭(40)상방에 개재되며 일측선단으로 가이드플레이트(33)를 형성하여 융착시 지지점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형열선(32)과, 상기 고정형열선(32) 직상방에는 고정플레이트(34) 평면에 장착되는 지지바(35)에 의해 개재되며, 작동실린더(41)와 연결되어 상, 하운동에 의한 가압으로 융착을 실시하는 기동형열선(31)으로 구성되며,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에는 비닐팩(100)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37)가 각각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기동형열선(31)은 작동실린더(41)의 로드(43)가 관통된 연결지점으로 가압시 충격 흡수를 위해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장치(36)가 더 개재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히터어셈블리(30)를 안치한 실린더블럭(40)은,
전체 형상이 개략 '凹'형으로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44)내방으로, 센서(37)에 의해 작동하며 기동형열선(31)의 상, 하 운동을 도모하는 작동실린더(41)를 안치하고, 일측에는 히터어셈블리(30)를 비롯하여 작동실린더(41)등 전반적인 열 융착기(3)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2)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히터어셈블리(30)와 실린더블럭(40)을 안치한 서포트(51)가 장착되는 베이스(50)는, 열 융착작업시 각 부품의 진동에도 전반적인 열 융착기(3)의 작동안정성유지를 위해 무게중심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중량(重量)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비닐팩 열 융착기(3)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형열선(32)에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33)를 이용하여 안정된 형태로 비닐팩(100)의 개구부(101)를 고정형열선(32)과 기동형열선(31)의 이격공간으로 삽입하여 융착지점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이격공간으로 비닐팩(100)이 삽입됨과 동시에 센서(37)에서는 비닐팩(100)의 유무를 판단하게되고, 이러한 센서(37)로부터 비닐팩(100) 유입신호가 감지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컨트롤러(42)는 제1타이머(T1)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T1)가 통전됨과 아울러 t초 후 T1a 접점이 연결되어 제2타이머(T2)가 통전되고, 다시 t초 후 T2a접점이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S/V)가 작동하여 작동실린더(41)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실린더(41)는 로드(43)를 수축하여 이와 연결된 기동형열선(31)을 직하방으로 하강시켜 고정형열선(32)과 연접함으로서 비닐팩(100)의 개구부(101)가 융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동안 로드(43)를 수축하여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을 연접하도록 한 컨트롤러(42)는, 다시 각 타이머(T1, T2)와 접점(T1a, T2a)을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S/V)를 통한 작동실린더(41)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S/V)에 의한 작동실린더(41)는 로드(43)를 이완시켜 기동형열선(310이 직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이 이격되어 융착된 비닐팩(100)이 열 융착기(3) 외방으로 배출되어 융착부위가 냉각되면서 밀봉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비닐팩 열 융착기는 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실린더를 이용하여 히터어셈블리를 제어함으로써 융착작업의 자동화를 통한 진보된 작업성을 이루어 생산성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열선과 연접하여 융착이 이루어지는 기동형열선의 이동이 상, 하 수직방향으로 제어되어 정확한 융착지점 설정에 따른 융착성향상과 이로 인한 밀봉불량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켜 고객신뢰도향상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비닐팩(100)의 개구부(101)를 가압하여 열에 의한 융착을 통해 밀봉하는 비닐팩 열 융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기(3)는,
    실린더블럭(40)상방에 개재되며 일측선단으로 가이드플레이트(33)를 형성하여 실린더블럭(40)선단에 개재되는 고정형열선(32),
    상기 고정형열선(32)과 지지바(35)에 의해 개재되며, 작동실린더(41)의 로드(42)와 완충장치(36)를 통해 연결되어 상, 하운동으로 융착을 실시하는 기동형열선(31),
    상기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 일측으로 비닐팩(100)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37)로 구성된 히터어셈블리(30)와,
    전체 형상이 개략 '凹'형으로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44)내방으로, 센서(37)에 의해 작동하며 기동형열선(31)의 상, 하 운동을 도모하는 작동실린더(41)를 안치하고, 일측에는 히터어셈블리(30)를 비롯하여 작동실린더(41)등 전반적인 열 융착기(3)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2)가 장착된 실린더블럭(40) 및,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실린더블럭(40)과 히터어셈블리(30)를 안치하여 베이스(50)에 고정되는 서포트(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팩 열 융착기.
  2. 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 열 융착기(3)는,
    기동형열선(31)과 고정형열선(32)의 이격공간으로 비닐팩(100)이 삽입됨과 동시에 센서(37)를 통해 비닐팩(100)의 투입을 판단하게되고,
    이러한 센서(37)로부터 비닐팩(100) 유입신호가 감지되면 컨트롤러(42)는 제1타이머(T1)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타이머(T1)가 통전됨과 아울러 t초 후 T1a 접점이 연결되어 제2타이머(T2)가 통전되고,
    다시 t초 후 T2a접점이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S/V)가 작동함으로서 작동실린더(41)를 구동시켜 기동형열선(31)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팩 열 융착기.
KR20-2002-0028304U 2002-09-19 2002-09-19 비닐팩 열 융착기 KR200302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04U KR200302468Y1 (ko) 2002-09-19 2002-09-19 비닐팩 열 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04U KR200302468Y1 (ko) 2002-09-19 2002-09-19 비닐팩 열 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468Y1 true KR200302468Y1 (ko) 2003-01-30

Family

ID=4939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04U KR200302468Y1 (ko) 2002-09-19 2002-09-19 비닐팩 열 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4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71B1 (ko) * 2020-05-28 2021-03-03 정옥임 마스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71B1 (ko) * 2020-05-28 2021-03-03 정옥임 마스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185B1 (ko) 열융착기
KR200414503Y1 (ko) 핸드폰 케이스용 열융착기
KR102194383B1 (ko) 합성수지 박스 열융착장치
KR200302468Y1 (ko) 비닐팩 열 융착기
US6749703B2 (en) Ultrasonic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reinforcing tape piece to fastener tape
KR20090014553A (ko) 진공 포장기
KR101794197B1 (ko)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US5598964A (en) Apparatus for ultrasonic welding of battery assemblies
KR100815454B1 (ko) 열융착기
CN216760849U (zh) 热熔组装设备
JP3497356B2 (ja) ワークの熱圧着装置および熱圧着方法
KR200416164Y1 (ko) 로우터리형 열 융착기
CN210284845U (zh) 一种恒温气动式半自动封口机
CN219007085U (zh) 一种热熔治具
KR200222681Y1 (ko) 자동차 전장용 코일케이스 융착장치
KR870002397Y1 (ko) 합성수지 포장대의 절단 및 융착장치
JP2005112374A (ja) 加熱封止包装機、及び加熱封止包装方法
CN220577662U (zh) 一种塑料袋封口机
CN212889006U (zh) 热熔保压机
CN218987139U (zh) 一种用于纸杯的自动包装封口机
KR20090124508A (ko) 임펄스 접착기의 온도제어방법
KR102533692B1 (ko) 성형물 절단 장치
CN214188512U (zh) 用于生产数码产品壳体的热熔装置
KR101624082B1 (ko) 차량용 시트백 포켓의 제조장치
KR102157146B1 (ko) 양방향 열융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합성수지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