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197B1 -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 Google Patents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197B1 KR101794197B1 KR1020150109705A KR20150109705A KR101794197B1 KR 101794197 B1 KR101794197 B1 KR 101794197B1 KR 1020150109705 A KR1020150109705 A KR 1020150109705A KR 20150109705 A KR20150109705 A KR 20150109705A KR 101794197 B1 KR101794197 B1 KR 101794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ing
- base material
- fusion
- fused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부재가 접합된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을 신속하고 정교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열융착 장치는, 서로 다른 융착부재가 접합된 융착모재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와; 거치부에 거치된 융착모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를 통해 고정된 융착모재의 측면부 모서리 부분을 히팅 및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모서리 융착부와; 모서리 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이 완료된 후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전체 측면부를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측면 융착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종 부재 간의 열융착을 위한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부재가 접합된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을 신속하고 정교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은 유선통신을 대체할 만큼 기술적 진보와 시장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의 수단이 되는 단말기 역시 통신기술의 진보와 함께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이 부가된 최첨단 전자제품으로 발전하였다.
상기 단말기 중 핸드폰, 셀룰러폰, 모바일폰 등으로 불리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대부분의 시간을 휴대하는 장치로써, 최근에는 점차 소형화되고 정밀화되고 있으며, 내구성, 내충격성 및 방수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고, 미려한 외관의 창출과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악세사리 역할을 하는 보호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화면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휴대폰이 대세를 이루면서 보호 케이스의 사용이 더욱 늘고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일 재질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미려한 외관을 위해 플라스틱과 인조가죽을 접합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의 사출물이 접합된 보호케이스의 제조를 위해서는 고온의 가열판이 구비된 열융착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열융착 장치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서로 다른 2개의 부재를 접착시키는 장치로서, 융착 대상 부재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구성으로 적용되어 전자, 통신 분야뿐 아니라 여러 산업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융착 장치는 하부에 융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융착모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는 융착 대상이 되는 모재의 융착을 수행하기 위하여 융착모재를 가열하는 가열판이 구비되며, 이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종(異種)의 사출물이 가접합된 융착모재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 가열판을 이동시켜 융착모재를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게 되면 일정시간 경과 후 사출물의 융착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융착된 사출물을 거치대로부터 취출하면 완성된 사출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융착 장치는 사출물의 테두리 부분에 대한 정교한 열융착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휴대폰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기 보호케이스를 평면 또는 곡면 타입으로 형성하고, 보호케이스의 테두리 부분도 휴대폰 몸체를 직선 또는 곡면 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열융착 장치의 구조로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같은 사출물의 테두리 부분에 대한 열융착 품질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융착된 사출물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대로 융착되지 못하여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되어 완성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종 부재가 접합된 상태의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을 신속하고 정교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는, 서로 다른 융착부재가 접합된 융착모재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와; 거치부에 거치된 융착모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를 통해 고정된 융착모재의 측면부 모서리 부분을 히팅 및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모서리 융착부와; 모서리 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이 완료된 후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전체 측면부를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측면 융착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장치는, 측면 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융착모재를 전체적으로 압착시켜 주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에는 열융착 완료 후 융착모재를 취출시키기 위한 취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융착모재에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판이 구비된 고정블록과; 고정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융착부는, 내부에 히터 및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일측에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된 모서리 융착편과; 상기 모서리 융착편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과; 상기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융착부는, 내부에 히터 및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일측에 융착모재의 측면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된 측면 융착편과; 상기 측면 융착편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기 위한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과; 상기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 융착편 및 측면 융착편의 각 가압부에는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는, 일단에 융착모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이 구비된 압착블록과; 상기 압착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판은 압착블록의 일단에 탄성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블록에는 융착모재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하며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와 압착부는 하나의 수평이송유닛을 통해 동시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열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은, (a)서로 다른 융착부재가 접합된 융착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b)상기 융착모재를 거치부에 거치하는 단계와: (c)상기 융착모재를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d)상기 융착모재의 측면부 모서리 부분을 모서리 융착부를 이용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e)상기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융착모재의 측면부를 측면 융착부를 이용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의 열융착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융착모재를 전체적으로 압착시키는 단계(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모서리 융착편을 수평방향으로 전진시켜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히팅 및 가압하는 단계(d-1)와; 상기 가압 상태의 모서리 융착편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열융착을 완료하는 단계(d-2)와; 상기 모서리 융착편을 다시 수평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융착모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d-3)를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측면 융착편을 수평방향으로 전진시켜 융착모재의 측면부를 일정시간 동한 히팅 및 가압하는 단계(e-1)와; 상기 가압 상태의 측면 융착편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에 대한 열융착을 완료하는 단계(e-2)와; 상기 측면 융착편을 다시 수평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융착모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e-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융착모재로부터 분리된 측면 융착편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e-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 단계가 완료된 후, 융착모재를 취출부를 이용하여 취출하는 단계(g)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부재가 접합된 상태의 융착모재의 측면 테두리 부분을 빠르고 정교하게 융착시켜 접합시킴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융착모재의 측면 테두리 부분이 평면 형태의 몸체로부터 직각 또는 만곡면 형태로 휘어져 형성된 경우라도 이종 부재 간의 측면 테두리 부분을 효과적으로 열융착시켜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완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융착모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와 융착모재의 열융착을 위한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2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융착편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상세도.
도 8은 모서리 융착편의 가압부를 통해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이 열융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융착면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상세도.
도 10은 측면 융착편의 가압부를 통해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이 열융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압착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 부분의 상세 구조 및 작동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고정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고정작업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압착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압착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5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열융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2는 융착모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와 융착모재의 열융착을 위한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2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융착편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상세도.
도 8은 모서리 융착편의 가압부를 통해 융착모재의 모서리 부분이 열융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융착면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상세도.
도 10은 측면 융착편의 가압부를 통해 융착모재의 측면 부분이 열융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압착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 부분의 상세 구조 및 작동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고정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고정작업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압착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압착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5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에 의한 융착모재의 열융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와 관련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융착모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와 융착모재의 열융착을 위한 모서리 융착부 및 측면 융착부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300)는, 크게 거치부(210)와, 고정부(220)와, 모서리 융착부(230)와, 측면 융착부(240)와, 압착부(260)와, 제어부(250)로 구분되며 이들 각 구성부는 작업 테이블(102) 위에 적절한 구조로 배열 설치된다.
거치부(210)는 융착모재(110)의 거치를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거치부(210)는 대략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이루며 작업 테이블(102)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거치블록(212)을 포함한다.
거치블록(212)의 상면에는 융착모재(11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214)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면(214)의 형상은 융착모재(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융착모재(110)는 서로 다른 2개의 융착부재(융착 대상 부재)가 소정의 접착수단을 통해 가접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인조가죽이 상호 접합된 형태의 터치형 휴대폰의 보호 케이스를 제작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물과 인조가죽이 가접된 구조물이 본 발명의 융착모재(11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300)는 이러한 이종(異種)의 융착부재가 가접된 융착모재(110)에 있어서, 특히, 융착모재(110)의 측면 상단 부분을 빠르고 정교하게 열융착시켜 접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고정부(220)는 거치부(210)의 안착면(214)에 안착되어 거치된 상태의 융착모재(11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고정부(220)는 하단부에 고정판(226)을 구비한 고정블록(222)과, 고정블록(222)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을 포함한다.
고정판(226)은 융착모재(1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블록(222)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판(226)은 고정블록(222)의 제작시 상기 고정블록(222)과 일체가 되는 형태로 가공된다.
이에 따라, 융착모재(110)의 사양 변경시, 상기 융착모재(110)의 형상과 대응하는 고정판(226)이 형성된 고정블록(222)을 고정부(220) 내에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은 고정판(226)이 구비된 고정블록(222)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은 작업 테이블(10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측 테이블(106) 부분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은 후술되는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264)과 함께 수평이동판(120) 부분에 고정되어, 수평이동판 이송유닛(122)을 통해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부(220)는 융착모재(110)의 열융착 작업 개시 전에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의 구동을 통해 고정블록(222)을 하강시켜 고정판(226)이 융착모재(110)의 상면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융착모재(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20)와 압착부(260)가 지지되는 지지 구조물인 상측 테이블(106)은 작업 테이블(102)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부 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지지대(108)를 통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테이블(106)의 상면에는 수평이동판(120)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07)이 구비되어, 수평이동판 이송유닛(122)의 구동에 의해 수평이동판(120)이 가이드레일(107)을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07) 사이에 위치한 상측 테이블(106) 부분에는 수평이동판(120)에 고정된 고정부(220)와 압착부(26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고정 및 압착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220) 및 압착부(260)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105)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작업 테이블(102) 위에는 거치부(210), 고정부(220), 모서리 융착부(230), 측면 융착부(240), 압착부(260)를 비롯하여 후술되는 취출부(270)의 각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220)를 통해 고정된 융착모재(110)의 측면부 모서리 융착부(230)와 측면 융착부(240)에 의한 연속적인 열융착 과정을 통해 융착되어 상호 정교하게 접합될 수 있다.
모서리 융착부(230)는 거치부(210) 주변에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되어, 융착모재(110) 측면의 4개의 모서리 부분을 히팅 및 가압하여 열융착한다.
이러한 모서리 융착부(230)는, 모서리 융착편(231)과,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32)과, 제1베이스플레이트(233)와,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서리 융착편(231)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융착모재(110)의 가열을 위한 히터(미도시)와 가열온도의 실시간 검출을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 융착편(231)의 일측에는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을 히팅 및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3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31a)에는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열융착 시 상기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과 최초로 맞닿으며 가압하여 변형을 유도하는 경사진 형태의 면취부(23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면취부(231b)와 연결된 하단에는 상기 면취부(231b)의 후속으로 상기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과 이차적으로 맞닿아 가압하여 변형을 유도하는 수평면 형태의 가압면(231c)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면(231c)의 후방 측에는 상기 면취부(231b) 및 가압면(231c)에 의해 가압 성형되어 접합된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상단이 직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90도 각도를 이루며 단차진 단차부(231d)가 형성된다.
도 8은 모서리 융착편(231)의 가압부(231a)에 의해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측면 상단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열융착 대상이 되는 융착모재(110)는 플라스틱로 이루어진 융착부재(110a)와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진 융착부재(110b)가 상호 가접된 형태가 마련된다.
이때,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모재(110)는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진 융착부재(110b)의 상단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융착부재(110a)의 상단보다 일정 폭 높게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상부 돌출 폭이 상기 플라스틱 융착부재(110a)의 두께에 해당되는 돌출 폭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를 모서리 융착편(231)을 이용하여 열융착하게 될 경우,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서리 융착편(231)의 가압부(231a)가 융착모재(110)의 안쪽방향으로 수평이동됨에 따라, 가압부(231a) 하단의 경사진 면취부(231b)가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돌출된 상단과 최초로 접촉되어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상단 부분을 안쪽방향으로 밀어 소정각도(약 45도 각도)로 꺾여지도록 변형을 유도하고, 이어서 상기 면취부(231b)의 하단과 연결된 수평면 형태의 가압면(231c)에 의해 상기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상단이 90도 각도로 꺾여지도록 변형을 유도하여, 상기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꺾여진 상단이 플라스틱 융착부재(110a)의 상단에 접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된 두 융착부재(110a)(110b)의 상면을 비롯한 측면은 90도 각도로 단차진 단차부(231d) 부분와 맞물려 최종 가압되어 상기 두 융착부재(110a)(110b) 간의 접합부위가 직각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서리 융착편(231)의 가압부(231a)를 통해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측면 상단 부분을 가압 및 히팅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두 융착부재(110a)(110b)의 접합된 상단을 들뜨지 않도록 정교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32)은 모서리 융착편(231)이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융착편(231)을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32)은 실린더 블록(232a)과, 실린더 블록(232a)에 대해 수평방향의 진퇴운동을 수행하는 슬라이딩 블록(232b)을 포함한다.
실린더 블록(232b)은 제1베이스플레이트(233)의 상면에 고정되며,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슬라이딩 블록(232b)을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32b)의 일측에는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융착을 위한 모서리 융착편(231)이 고정된다.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34)은 작업 테이블(102) 부분에 고정되어 제1베이스플레이트(233)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34)은 고정프레임(234a)과, 구동실린더(234b), 승강체(234c)를 구비한다.
고정프레임(234a)은 'U' 자형 구조를 이루며 작업 테이블(102)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234b)는 상기 고정프레임(234a)의 내측에 고정되어 제1베이스플레이트(233)와 연결된 승강체(234c)를 상하로 승강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제1베이스플레이트(233)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42)이 배치되어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측면 융착부(240)는 전술된 모서리 융착부(23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열융착 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측면부 전체를 가압하여 열융착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 융착부(240)는 융착모재(110)의 4개의 측면부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4개의 모서리 융착부(230) 사이 사이에 배치되어 거치부(210) 주변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측면 융착부(240)는, 측면 융착편(241)과,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42)과,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와,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 융착편(241)은 모서리 융착편(231)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융착모재(110)의 가열을 위한 히터(미도시)와 가열온도의 실시간 검출을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융착편(241)의 일측에는 융착모재(110)의 측면 부분을 히팅 및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4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41a)에는 융착모재(110)의 측면부 열융착 시 융착모재(110)의 측면 상단 부분과 맞닿아 변형을 유도하게 되는 경사진 형태의 면취부(241b)가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241b)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측면 융착편(241)의 가압부(241a) 하단부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형태로 경사지게 가공된 부분으로서,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융착모재(110)의 측면 열융착 시 측면 융착편(241)의 가압부(241a)가 융착모재(110)의 안쪽방향으로 수평이동됨에 따라,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진 융착부재(110b)의 돌출된 상단이 경사진 형태의 면취부(241b)에 의해 융착모재(110)의 안쪽방향으로 소정각도(약 45도 각도)로 꺾여지도록 변형되고, 이어서, 상기 면취부(241b) 하단과 연결된 수평면 형태의 가압면(241c)에 의해 상기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상단이 직각으로 꺾여져 변형되도록 유도되어 상기 인조가죽 융착부재(110b)의 90도 각도로 꺾여진 상단이 플라스틱 융착부재(110a)의 상단과 접합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측면 융착편(241)의 가압부(241a)로 융착모재(110)의 측면부 상단 부분을 가압 및 히팅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두 융착부재(110a)(110b)의 접합된 상단이 들뜨지 않고 정교하게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42)은 측면 융착편(241)이 융착모재(110)의 측면부와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융착편(241)을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42)은 실린더 블록(242a)과, 실린더 블록(242a)에 대해 수평방향의 진퇴운동을 수행하는 슬라이딩 블록(24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 블록(242a)은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의 상면에 고정되며,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슬라이딩 블록(242b)을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42b)의 일측에는 융착모재(110)의 측면부 융착을 위한 측면 융착편(241)이 고정된다.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44)은 작업 테이블(102)의 양측 측면부 부분에 설치되어 제2베이스플레이트(243)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44)은 작업 테이블(102)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244a)와, 제1베이스플레이트(233)를 상향으로 관통하도록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에 고정되는 지지체(245)와, 상기 지지체(245)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실린더(244a)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 구동되는 승강체(24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244a)는 제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233)(243)의 양쪽 측면에 있는 작업 테이블(102)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44a)는 제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233)(243)의 양쪽 측면부를 상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244a)의 직상방에 위치에는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233)를 상향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형성된 지지체(24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245)의 내측 저면부에는 승강체(244b)가 상기 지지체(245)를 하부에서 받치는 구조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44a)가 구동되어 승강체(244b)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승강체(244b)가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와 연결된 지지체(245)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압착부(260)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모서리 융착부(230) 및 측면 융착부(240)에 의한 열융착 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열융착된 융착모재(110) 전체를 최종적으로 압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압착부(2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모재(110)를 압착하는 압착판(266)이 구비된 압착블록(262)과, 압착블록(262)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2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판(266)은 그 하부면이 전술된 고정판(226)과 마찬가지로 융착모재(1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전술된 고정판(226)은 고정블록(222)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반면, 상기 압착판(266)은 압착블록(262)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압착블록(262)의 내부에는 상기 압착판(266)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267)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부(260)는, 융착모재(110)의 압착 시 압착판(266)이 압착블록(262)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267)를 탄성 압축시키며 융착모재(110)의 상면부를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어 압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압착판(266)을 이용한 융착모재(110)의 압착과정에서는 압착판(266)이 압착블록(262) 내부로 탄성 인입되면서 압착블록(262)의 하단부가 융착모재(110)의 테두리부 상단과 충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블록(262)의 하단과 융착모재(110)의 테두리부 상단과의 직접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블록(262)의 하단부 둘레에는 융착모재(110)의 테두리 부분과의 접촉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완충부재(26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68)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압착부(260)는 전술된 고정부(220)와 함께 수평이동판(120)의 내측에 병렬로 설치되어 하나의 수평이송유닛(122)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264)을 통해 압착판(266)을 하강시켜 융착모재(110)의 압착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판(266)이 융착모재(110)를 눌러 압착할 경우, 압착블록(262) 내부의 탄성부재가 탄성 수축되면서 압착판(266)이 열융착된 융착모재(11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눌러 압착시켜 줌으로써 열융착된 두 부재 사이를 견고하고 정교하게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융착모재(110)의 압착과정에서 압착블록(262)의 하단부와 융착모재(110)의 테두리 상단부의 충격을 완충부재(268)를 통해 상쇄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융착모재(110)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착부(26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압착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취출부(270)를 통해 융착모재(110)의 취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융착모재(110)를 취출하는 취출부(270)는, 작업 테이블(102)에 고정되는 고정체(215)와, 고정체(215) 내측에 고정되는 취출용 실린더(216)와, 취출용 실린더(216)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어 융착모재(110)를 취출하는 취출용 승강체(21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215)는 'U'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작업 테이블(10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체(215)의 내측 중앙에는 취출용 승강체(217)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취출용 실린더(216)가 고정된다.
또한, 취출용 승강체(217)의 상부에는 거치블록(212)을 관통하며 압착작업이 완료된 융착모재(110)를 상부로 들어올려 주는 복수의 취출봉(2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압착부(26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압착이 완료된 직후, 취출용 실린더(216)가 구동되면 취출용 승강체(217)가 상승되어 복수의 취출봉(218)이 안착면(214) 위에 놓인 융착모재(110)를 상부로 들어올림에 따라 작업자가 융착모재(110)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측면 열융착 장치(300)를 이용한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을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열융착하고자 하는 융착모재(11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융착모재(110)는 이종의 융착부재가 가접합된 형태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열융착 작업을 위해 이종 부재인 플라스틱 사출물과 인조가죽이 가접합된 융착모재(11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열융착 대상물인 융착모재(110)의 준비가 완료된 이후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모재(110)를 거치블록(212)의 안착면 위에 안착하여 거치시킨다.
이때, 상기 융착모재(110)는 절곡된 형태의 테두리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거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융착모재(110)의 거치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열융착 장치(300)를 작동시켜 제어부(250) 내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통해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열융착 작업과, 측면부 열융착 작업, 압착작업 및 취출작업을 순차적으로 자동 실행시키도록 한다.
즉, 도 15와 같은 융착모재(110)의 거치작업이 완료된 후, 고정부(220)에 구비된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이 구동되어 융착모재(110)의 직상방에 위치한 고정블록(2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판(226)을 통해 융착모재(110)의 상면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해 줌으로써 융착모재(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도 13 참조)
이와 같이, 고정부(22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고정이 완료된 후, 도 16에서와 같이 융착모재(110)의 주변에 배치된 4개의 모서리 융착부(230)가 동시에 작동하여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을 열융착 시킨다.
즉, 융착모재(110)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 모서리 융착부(230)의 각 실린더 블록(232a)이 동시에 구동하여 모서리 융착편(231)이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232b)을 융착모재(110) 측으로 전진시켜 모서리 융착편(231)의 가압부(231a)를 융착모재(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밀착하여 가압시킨 후, 모서리 융착편(231)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작동시켜 밀착된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히팅 및 가압한다.
이와 같은 모서리 융착편(231)에 의한 히팅 및 가압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후, 상기와 같이 모서리 융착편(231)과 융착모재(110) 모서리 부분의 히팅 및 가압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34)을 구동시켜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32)이 고정된 제1베이스플레이트(233)를 도 17과 같이 상부로 일정높이 들어올린다.
이어서, 모서리 융착편(231)이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232b)을 도 18과 같이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모서리 융착편(231)을 융착모재(110)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로써,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열융착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열융착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융착모재(110) 주변에 위치한 4개의 측면 융착부(240)가 동시에 작동하여 융착모재(110)의 측면 열융착 작업이 실시된다.
즉, 도 19에서와 같이, 융착모재(110)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 측면 융착부(240)의 각 실린더 블록(242a)이 동시에 구동하여 측면 융착편(241)이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242b)을 융착모재(110) 측으로 전진시켜 측면 융착편(241)의 가압부(241a)를 융착모재(110)의 각 측면 부분에 밀착하여 가압시킨 후, 측면 융착편(241)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작동시켜 밀착된 융착모재(110)의 측면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히팅 및 가압한다.
이렇게 측면 융착편(241)에 의한 히팅 및 가압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후에는, 상기와 같은 측면 융착편(241)과 융착모재(110) 측면 부분의 히팅 및 가압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244)을 구동시켜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242)이 고정된 제2베이스플레이트(243)를 도 20과 같이 상부로 일정높이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측면 융착편(241)이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242b)을 도 21과 같이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측면 융착편(241)을 융착모재(110)의 각 측면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졌던 제2베이스플레이트(243)와 제1베이스플레이트(233)를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융착모재(110)의 모서리부 및 측면부에 대한 열융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및 측면 부분에 대한 열융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을 통해 고정블록(222)을 상승시켜 융착모재(110)를 고정판(226)을 융착모재(1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압착부(26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압착작업이 수행된다.
즉, 도 14와 같이, 수평이송유닛(122)을 구동하여 압착판(266)이 융착모재(110)의 직상방 위치에 위치하도록 수평이동판(120)을 수평이동시킨 후,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264)을 구동하여 압착블록(262)을 하강시키고 압착판(266)을 통해 융착모재(110)를 전체적으로 압착하여 준다.
이 과정에서, 압착판(266)이 융착모재(110)를 눌러 압착할 경우 압착블록(262) 내부의 탄성부재(267)가 탄성 수축되면서 열융착이 완료된 상태의 융착모재(110)를 전체적으로 압착시켜 주기 때문에 융착모재(110)를 구성하는 2개의 융착부재 사이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압착판(266)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압착 시 융착모재(110)의 테두리부 상단이 압착블록(262) 하단의 완충부재(268)에 접촉하여 충격이 완충되기 때문에, 압착블록(262)의 하단이 융착모재(110)의 테두리 상단과 직접 충격하여 발생하는 충격소음 및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부(260)에 의한 융착모재(110)의 압착작업이 모두 완료된 다음에는. 도 12에 도시된 취출부(270)에 의한 완성품의 취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취출부(270)에 구비된 취출용 실린더(216)가 구동되면 취출용 승강체(217)가 상승되어 복수의 취출봉(218)이 안착면(214) 위에 놓인 융착모재(110)를 상부로 들어올려 줌으로써 작업자가 완성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융착모재(110)의 취출작업까지 모두 완료된 후에는 수평이동판(120)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열융착 장치에 의한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융착모재의 측면부를 열융착하게 될 경우, 특히, 이종의 융착대상 부재가 가접된 상태의 융착모재의 측면 테두리 부분을 신속하고 정교하게 융착시켜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융착모재의 측면 테두리 부분이 평면 형태의 몸체로부터 직각 또는 만곡면 형태로 휘어져 형성된 경우라도 이종 부재 간의 측면 테두리 부분을 효과적으로 열융착시켜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완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2 : 작업 테이블 105 : 개구부
106 : 상측 테이블 107 : 가이드레일
108 : 지지대 110 : 융착모재
120 : 수평이동판 210 : 거치부
212 : 거치블록 215 : 고정체
216 : 취출용 실린더 217 : 취출용 승강체
220 : 고정부 222 :고정블록
224 :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 226 : 고정판
230 : 모서리 융착부 231 : 모서리 융착편
231a,241a : 가압부 231b,241b : 면취부
232 :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
233 : 제1베이스플레이트
234 :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
234a : 고정프레임 234b, 244a : 구동실린더
234c, 244b : 승강체 240 : 측면 융착부
242 :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
243 : 제2베이스플레이트
244 :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
245 : 지지체 250 : 제어부
260 : 압착부 262 : 압착블록
264 :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 266 : 압착판
267 : 탄성부재 268 : 완충부재
300 : 측면부 열융착 장치
106 : 상측 테이블 107 : 가이드레일
108 : 지지대 110 : 융착모재
120 : 수평이동판 210 : 거치부
212 : 거치블록 215 : 고정체
216 : 취출용 실린더 217 : 취출용 승강체
220 : 고정부 222 :고정블록
224 :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 226 : 고정판
230 : 모서리 융착부 231 : 모서리 융착편
231a,241a : 가압부 231b,241b : 면취부
232 : 모서리 융착편 수평이송유닛
233 : 제1베이스플레이트
234 : 제1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
234a : 고정프레임 234b, 244a : 구동실린더
234c, 244b : 승강체 240 : 측면 융착부
242 : 측면 융착편 수평이송유닛
243 : 제2베이스플레이트
244 : 제2베이스플레이트 수직이송유닛
245 : 지지체 250 : 제어부
260 : 압착부 262 : 압착블록
264 :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 266 : 압착판
267 : 탄성부재 268 : 완충부재
300 : 측면부 열융착 장치
Claims (18)
- 다수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이종(異種)의 두 융착부재(110a)(110b)가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외측에 접합되는 외측 융착부재(110b)의 측면부 상단 높이가 내측에 접합되는 내측 융착부재(110a)의 측면부 상단 높이보다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두께 폭만큼 높게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융착모재(110);
상기 융착모재(110)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210);
상기 거치부(210)에 거치된 융착모재(1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20);
상기 융착모재(110)의 서로 이웃하는 각 측면부가 만나는 복수의 모서리부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압부(231a)가 구비된 모서리 융착편(231)의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각 모서리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단 부분을 동시 다발적으로 히팅 및 가압하여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각 모서리부의 상단 면에 각각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복수의 모서리 융착부(230);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측면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모서리 융착부(23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서리부에 대한 열융착 접합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측면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압부(241a)가 구비된 측면 융착편(241)의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각 측면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단 부분을 동시 다발적으로 히팅 및 가압하여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각 측면부 상단 면에 각각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복수의 측면 융착부(240);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서리 융착편(231)과 측면 융착편(241)의 순차적인 단 한번의 수평이동 동작을 통해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상부로 돌출된 전체 상단 부분을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전체 상단 면에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융착부(240)에 의한 열융착 완료 후, 상기 융착모재(110)를 전체적으로 압착시켜 주는 압착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10)에는 열융착 완료 후 상기 융착모재(110)를 취출시키기 위한 취출부(2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융착모재(110)에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판(226)이 구비된 고정블록(222)과;
상기 고정블록(222)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고정블록 수직이송유닛(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융착편(231)의 가압부(231a)에는 면취부(23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융착편(241)의 가압부(241a)에는 면취부(24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260)는,
일단에 상기 융착모재(110)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266)이 구비된 압착블록(262)과;
상기 압착블록(262)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압착블록 수직이송유닛(2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66)은 상기 압착블록(262)의 일단에 탄성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블록(262)에는 상기 융착모재(110)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하며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26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0)와 압착부(260)는 하나의 수평이송유닛(122)을 통해 동시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 (a) 다수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이종(異種)의 두 융착부재(110a)(110b)를 서로 접합하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측 융착부재(110b)의 측면부 상단 높이가 내측에 접합되는 내측 융착부재(110a)의 측면부 상단 높이보다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두께 폭만큼 높게 상부로 돌출되도록 접합시킨 융착모재(11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융착모재(110)를 거치부(210)에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융착모재(110)를 고정부(2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모서리부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모서리 융착부(230)에 구비된 모서리 융착편(231)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각 모서리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단 부분을 동시 다발적으로 히팅 및 가압하여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각 모서리부의 상단 면에 각각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의 모서리 융착부(230)를 통해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모서리부에 대한 열융착 접합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융착모재(110)의 각 측면부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측면 융착부(240)에 구비된 측면 융착편(241)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각 측면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단 부분을 동시 다발적으로 히팅 및 가압하여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각 측면부 상단 면에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서리 융착편(231)과 측면 융착편(241)의 순차적인 단 한번의 수평이동 동작을 통해 상기 외측 융착부재(110b)의 상부로 돌출된 전체 상단 부분을 상기 내측 융착부재(110a)의 전체 상단 면에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열융착 완료 후 상기 융착모재(110)를 전체적으로 압착시키는 단계(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모서리 융착편(231)을 수평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히팅 및 가압하는 단계와;
(d-2) 상기 가압 상태의 모서리 융착편(23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융착모재(1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열융착을 완료하는 단계와;
(d-3) 상기 모서리 융착편(231)을 다시 수평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융착모재(110)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측면 융착편(241)을 수평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융착모재(110)의 측면부를 일정시간 동한 히팅 및 가압하는 단계와;
(e-2) 상기 가압 상태의 측면 융착편(24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융착모재(110)의 측면 부분에 대한 열융착을 완료하는 단계와;
(e-3) 상기 측면 융착편(241)을 다시 수평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융착모재(110)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모재(110)로부터 분리된 상기 측면 융착편(24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e-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융착모재(110)를 취출부(270)를 이용하여 취출하는 단계(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705A KR101794197B1 (ko) | 2015-08-03 | 2015-08-03 |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705A KR101794197B1 (ko) | 2015-08-03 | 2015-08-03 |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228A KR20170016228A (ko) | 2017-02-13 |
KR101794197B1 true KR101794197B1 (ko) | 2017-11-20 |
Family
ID=5815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705A KR101794197B1 (ko) | 2015-08-03 | 2015-08-03 |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41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99207B (zh) * | 2017-12-22 | 2024-08-13 | 宁波敏实汽车零部件技术研发有限公司 | 一种多层材料的熔融连接装置 |
CN109263054A (zh) * | 2018-10-12 | 2019-01-25 | 高精精密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 热熔熔接装置 |
KR102034802B1 (ko) * | 2019-05-09 | 2019-11-08 | 김진호 | 측면 열융착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538Y1 (ko) * | 2004-03-22 | 2004-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창호골재의 용접버어 압착장치 |
KR100815849B1 (ko) * | 2007-03-09 | 2008-03-21 | 주식회사 은성아이 | 열융착기 |
-
2015
- 2015-08-03 KR KR1020150109705A patent/KR1017941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538Y1 (ko) * | 2004-03-22 | 2004-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창호골재의 용접버어 압착장치 |
KR100815849B1 (ko) * | 2007-03-09 | 2008-03-21 | 주식회사 은성아이 | 열융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228A (ko) | 2017-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4197B1 (ko) |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 |
KR101999990B1 (ko) |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 |
KR101440218B1 (ko) | 수지봉지 성형장치 | |
TWI750941B (zh) | 熱成形裝置 | |
KR100768921B1 (ko) | 로우터리형 열 융착기 | |
KR101898014B1 (ko) |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 | |
KR200414503Y1 (ko) | 핸드폰 케이스용 열융착기 | |
US6749703B2 (en) | Ultrasonic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reinforcing tape piece to fastener tape | |
KR200299852Y1 (ko) |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 |
CN112208186A (zh) | 成型车辆内装材料的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 |
KR101631131B1 (ko) | 자동차용 내장재 성형 방법 및 성형장치 | |
KR100815454B1 (ko) | 열융착기 | |
JP2021030457A (ja) | 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
JP5495176B2 (ja) | 中空樹脂パッケージ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 |
KR102083370B1 (ko) | 플로트의 상하부캡 접합용 열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트 제조방법 | |
KR102253813B1 (ko) | 시트 백커버용 멀티융착 제조장치 | |
KR200424109Y1 (ko) | 핸드폰 케이스용 융착 및 압착기 | |
KR20080081885A (ko) | 핸드폰 케이스용 열융착기 | |
KR102169158B1 (ko) | 필름 성형 장비 | |
KR101834182B1 (ko) | 입체 글라스 열전사 장치 | |
JP4756187B1 (ja) | 熱溶着機 | |
KR20160116754A (ko) |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95835B1 (ko) | 인서트 사출장치, 인서트 사출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자제품용 하우징 | |
CN115592959B (zh) | 一种集成式双面焊接模具及其工作方法 | |
KR200302468Y1 (ko) | 비닐팩 열 융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