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754A -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754A
KR20160116754A KR1020150044960A KR20150044960A KR20160116754A KR 20160116754 A KR20160116754 A KR 20160116754A KR 1020150044960 A KR1020150044960 A KR 1020150044960A KR 20150044960 A KR20150044960 A KR 20150044960A KR 20160116754 A KR20160116754 A KR 2016011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s
fused portion
upper mold
shee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철
이랄라
손광오
Original Assignee
유인철
이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철, 이랄라 filed Critical 유인철
Priority to KR102015004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754A/ko
Publication of KR2016011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 2장을 열융착한 융착부에 둘러싸인 상기 시트 사이의 공간에 개폐가능한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블래더로서, 상기 융착부는, 고정된 하부 금형 상에 상기 시트 2장을 배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부 금형을 상기 시트 2장의 위에서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가압하는 열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Air Blad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의 출입에 따라 부피가 증감하는 탄성 소재로 된 공기 주머니, 즉 에어 블래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의 시트지를 열융착함으로써 제조한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럼버 서포트(lumber support)(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설치) 또는 다이 서포트(thigh support)(시트의 측면에 설치)는,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등이나 허벅지를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이러한 부품에는 예컨대, 전기로 동작하는 에어 펌프를 통해 공기를 강제로 주입시켜 펌핑 충전함으로써 부피가 증가되는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에어 블래더(air bladder)를 포함한다(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26475호 참조). 이러한 에어 블래더는 공기의 주입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므로 탄성적인 소재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두 장의 얇은 열가소성 탄성 시트를 융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에어 블래더를 열융착 방식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의 얇은 시트 2장을, 열프레스(heat press) 장치의 하부 금형 상에 배치한 후,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부 금형을 시트 위로 하강시켜 가압한 후 다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열가소성 시트의 소정 부위는 고온의 상부 금형에 의해 가열되어 서로 융착될 수 있다. 이때, 융착부의 형태는 상부 금형의 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열융착 제조되는 에어 블래더의 융착부는, 두 장의 시트가 서로 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녹은 상태에서 상부 금형의 압력에 의해 눌려져서 서로 접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융착부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치밀한 반면 탄성이 작다. 반면에 융착부 근처, 즉 공기 주머니를 형성하는 시트 부분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덜 치밀하지만 탄성력은 상대적으로 더 큰 구조를 가지게 된다. 융착부와 그 인접 부분 사이의 구조적 차이가 크면 클수록 에어 블래더의 동작시 해당 부분의 열화 발생 가능성이 커지므로, 융착부의 열에 의한 구조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 에어 블래더 제조시, 고온의 상부 금형이 2장의 시트를 가압할 때, 2장의 시트의 소정 부위가 거의 액화되어 유동하거나 녹은 상태에까지 이르도록 하였다. 예컨대, TPU 시트를 열융착하는 경우 열프레스 장치의 상부 금형은 약 100 ~ 12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된다. 통상 차량용 럼버 서포트를 위한 에어 블래더 제조에 사용되는 TPU 시트의 두께는 0.30mm 내지 1mm 정도이며 녹는점 또는 유동점은 약 110℃ 내외이다. 그리고 상부 금형이 시트를 가압하는 압력의 경우 융착부 두께가 원래의 시트 2장의 두께에서 약 15% 정도 감소되도록 하는 정도로 가압하여 융착하였다.
이에 따라 비록 융착부의 접착력은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융착부의 구조와 이 융착부에 바로 인접하는 시트 부분의 구조 사이에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융착부가 아니라, 융착부에 바로 인접하는 시트 부분에 열화가 발생하여 파열됨으로써 에어 블래더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에어 블래더에 있어서, 융착부를 특히 저온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응용시 요구되는 접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융착된 부분과 그 인접 부분 사이의 구조적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한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 블래더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 2장을 서로 열융착되도록 한 융착부에 둘러싸인 상기 시트 사이의 공간에 개폐가능한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블래더로서, 상기 융착부는, 고정된 하부 금형 상에 상기 시트 2장을 배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부 금형을 상기 시트 2장의 위에서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가압하는 열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융착부는 상기 상부 금형이 온도 50 ~ 80℃에서 3 ~ 5초간 상기 시트를 가압하여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이다. 상기 시트 각각의 두께는 0.30 ~ 0.80mm 이다. 특히 상기 융착부는 상기 2장의 시트의 두께(2D)보다 5.0 ~ 6.5%만큼 감소한 두께(S)를 가진다. 상기 융착부의 두께 감소분 중 상부 감소분은 하부 감소분 보다 1 ~ 2배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트 2장을 서로 열융착되도록 한 융착부에 둘러싸인 상기 시트 사이의 공간에 개폐가능한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블래더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탄한 상부면을 가지는 고정된 하부 금형, 상기 융착부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열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면에 상기 시트 2장을 배치하는 단계, 히터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의 패턴부를 50 ~ 80℃로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시트 2장의 위에서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3 ~ 5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에어 블래더에 있어서, 융착부를 특히 저온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응용시 요구되는 접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융착부와 그 인접 부분 사이의 구조적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융착부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에어 블래더가 차량용 럼버 서포트 등과 같은 부품에 응용되는 경우에, 럼버 서포트 등의 부품 유효 수명을 증가시키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열프레스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제조 과정 중 하부 금형 상에 시트 2장을 배치하고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제조 과정 중 고온의 상부 금형에서 시트와 하부 금형으로 열이 전달되어 융착부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융착부 및 그 인접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으로서, 공기 주머니에 공기가 없는 경우와 공기가 주입된 경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열프레스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프레스 장치(10)는 하부 및 상부 지지프레임(11, 14), 하부 금형(12), 가이드 샤프트(13), 액추에이터(15), 이동판(16), 히터(17), 및 상부 금형(18)을 포함한다.
하부 금형(12)은 평탄한 상부면을 가지는 금속 재질의 모루(anvil)이며, 하부 지지프레임(11) 상에 고정 배치된다. 하부 지지프레임(11)에서 수직으로 가이드 샤프트(13)가 고정된다. 가이드 샤프트(13)는 상부 금형(1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는 2개의 가이드 샤프트(13)가 도시되지만, 가이드 샤프트(13)를 1개만 가지는 열프레스 장치도 가능하다. 가이드 샤프트(13)에는 이동판(16)이 수직으로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판(16)의 수직 상하 이동은 가이드 샤프트(13)에 의해 안내되고 액추에이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액추에이터(15)는 상부 지지프레임(14) 상에 고정되며, 예컨대 유압 구동 실린더와 같은 구동 장치일 수 있다. 이동판(16)의 하부면에는 히터(17)와 상부 금형(18)이 고정된다. 히터(17)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인가하여 유도 가열 방식으로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부 금형(18)의 하부면에는 원하는 형태의 융착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5)가 동작하여 이동판(16)을 이동시키면, 히터(17)에 의해 가열된 상부 금형(18)이 이동판(16)과 함께 하부 금형(12)을 향해 하강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제조 과정 중 하부 금형 상에 시트 2장을 배치하고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열프레스 장치의 하부 금형(12)과 상부 금형(18)이 부분적으로 도시되며, 하부 금형(12) 상에 배치된 시트(20)가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서 도시된 상부 금형(18) 부분은 실제로는 시트에 형성될 융착부 패턴을 위한 부분을 보여준다. 하부 금형(12)의 평탄한 상부면에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트(20)가 2장 겹쳐서 배치된다. 상부 금형(18)과 가까운 쪽을 상부 시트(22), 하부 금형(12)과 가까운 쪽을 하부 시트(24) 라고 하자. 도면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금형(18)이 하부 금형(12)을 향하여 하강하면 상부 금형(18)은 상부 시트(22)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제조 과정 중 고온의 상부 금형에서 시트와 하부 금형으로 열이 전달되어 융착부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상부 금형(18)이 하강하여 상부 시트(22)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부 금형(18)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있으므로 고온 상태이다. 상부 금형(18)이 가진 열에너지는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를 통해 하부 금형(12)에까지 전달되므로, 하부 금형(12)에는 부분적으로 가열되는 부분(120)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 금형(18)의 온도가 시트(22, 24)의 녹는점까지 올라가는 경우에는, 하부 시트(24)가 녹아 하부 금형(12) 상에 눌어붙을 수 있으므로, 하부 시트(24)와 하부 금형(12)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지(미 도시됨)가 추가로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제조시, 상부 금형(18)은 시트(22, 24)의 녹는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단열지가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트(20)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일 경우, TPU의 녹는점은 약 110℃이지만, 상부 금형(18)은 약 50 ~ 80℃로 가열될 수 있다. 상부 금형(18)의 온도가 낮아서 시트(20)가 녹지 않지만, 고분자 수지 재질의 특성상 상부 금형(18)이 가하는 압력과 온도에 의해 해당 부분의 시트(20)는 유동화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부 금형(18)은 상부 시트(22)에 도착하여 가압하면서 약 3 ~ 5초간 이러한 가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시트(20)의 녹는점까지 가열된 상부 금형(18)의 가압 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다. 만약, 시트(20)의 녹는점까지 가열된 상부 금형(18)이 3 ~ 5초 동안 가압한다면, 원하는 융착부(30) 보다 더 넓은 범위의 시트가 녹아내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상부 금형(18)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온이고, 융착부(30)가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3 ~ 5초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가 서로 융착 결합한 융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융착부(30)는 녹는점까지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금형(12)의 가열되는 부분(120)에 눌어붙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융착부 및 그 인접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융착부(30)가 더 상세히 도시된다. 융착부(30)는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가 서로 융착 결합되어 있는 중앙부(31), 상부 시트(22)와 중앙부(31) 사이의 경계 지역인 상부 경계부(33), 하부 시트(24)와 중앙부(31) 사이의 경계 지역인 하부 경계부(3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융착부(30)의 두께(S)는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의 두께(D)를 합한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진다. 본 예에서,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는 동일한 두께(D)를 가진다. 따라서, S > 2D 이다. 이때, S와 2D 사이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상부 및 하부 경계부(33, 35)의 구조적 변화 구배가 심할 것이며, 따라서 이 지역에서 파손 위험이 클 것이다. 따라서, S와 2D 사이의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저온 융착 방식일 뿐만 아니라, S와 2D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상부 금형(18)이 시트(20)의 녹는점까지 가열된 경우에 S는 2D에 비하여 약 10 ~ 15% 정도 감소된다. 반면에, 본원 발명에 따른 저온 융착의 경우 S는 2D에 비하여 5.0 ~ 6.5%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종래 고온 융착 방식에 의하면 시트(TPU) 각각의 두께가 0.45mm 일 때, 융착부의 두께 S는 2D = 0.90mm에 비하여 약 0.12mm 즉 약 13.3%가 감소된 약 0.78mm을 보여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융착 제조 방법에서, 시트(TPU) 각각의 두께가 0.40mm 일 때, 융착부의 두께 S는 2D = 0.80mm에 비하여 약 0.05mm 즉 약 6.25%가 감소된 약 0.75mm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융착 방식에 의하면 융착부의 치수 감소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제조를 위한 시트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시트(20)가 가열될 때, 가열원 즉 상부 금형(18)이 상부 시트(22)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 사이의 치수 감소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시트(22)와 하부 시트(24) 사이의 치수 감소분이 서로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어 블래더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 경계부(33)와 상부 시트(22) 사이의 치수 감소분을 상부 감소분(d1)이라 하고, 하부 경계부(35)와 하부 시트(24) 사이의 치수 감소분을 하부 감소분(d2)이라고 하자. 이 경우, d1과 d2는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종래 상부 금형(18)이 시트(20)의 녹는점까지 가열된 경우에 d1은 d2에 비하여 약 3 ~ 5배 이상 큰 값을 가진다. 반면에, 본원 발명에 따른 저온 융착의 경우 d1은 d2에 비하여 1 ~ 2배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 블래더(50)는 위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열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저온 융착 방식으로 형성한 융착부(51)를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융착부(51)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패턴을 가지지만, 본 발명에 따라 융착부(51)의 패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융착부(51)로 둘러싸인 부분은 밀폐되고 공간, 즉 주머니부(53)를 형성한다. 주머니부(53)에는 개폐가능한 밸브 등이 설치된 주입구(57)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다. 주머니부(53)에 공기가 주입되면, 탄성적인 시트가 늘어나 부풀어 오름으로써 일정한 형상의 쿠션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 블래더(50)는 융착부(51)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지역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에어 블래더(50)를 차량의 시트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5)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으로서, 공기 주머니에 공기가 없는 경우와 공기가 주입된 경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블래더(50)는 융착부(51) 사이에 주머니부(53)를 가지지는 것이 도시된다. 주머니부(53)에 공기가 없는 경우에 주머니부(53)는 최소 부피를 가지며, 도 6의 상부에 도시된다. 한편, 도 6의 하부에는 주머니부(53)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로서 주머니부(53)를 이루는 시트가 탄성적으로 늘어나 부피가 증가된 형태를 보여준다. 이렇게 주머니부(53)를 이루는 시트는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와 공기가 빠지는 경우에 탄성적으로 늘어났다 원래대로 줄어들었다를 반복한다. 이때, 융착부(51)와 주머니부(53)의 경계 지역인 제 1 경계부(513) 및 제 2 경계부(515)에는 불균일한 힘이 작용하여 구조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즉, 융착부(51) 측으로는 늘어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는 반면 주머니부(53) 측으로는 시트의 탄성적인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저온 융착 방식으로 제조된 에어 블래더(50)의 경우, 제 1 및 제 2 경계부(513, 515)가 종래에 비해 구조적인 구배가 크지 않으므로, 보다 파손에 강한 에어 블래더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열프레스 장치
12 : 하부 금형
18 : 상부 금형
20 : 시트
22 : 상부 시트
24 : 하부 시트
30 : 융착부
31 : 중앙부
33 : 상부 경계부
35 : 하부 경계부
50 : 에어 블래더
51 : 융착부
513 : 제 1 경계부
515 : 제 2 경계부
53 : 주머니부
55 : 고정부
57 : 주입구

Claims (10)

  1.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 2장을 서로 열융착되도록 한 융착부에 둘러싸인 상기 시트 사이의 공간에 개폐가능한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블래더로서,
    상기 융착부는, 고정된 하부 금형 상에 상기 시트 2장을 배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부 금형을 상기 시트 2장의 위에서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가압하는 열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융착부는 상기 상부 금형이 온도 50 ~ 80℃에서 3 ~ 5초간 상기 시트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각각의 두께는 0.30 ~ 0.8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2장의 시트의 두께(2D)보다 5.0 ~ 6.5%만큼 감소한 두께(S)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의 두께 감소분 중 상부 감소분은 하부 감소분 보다 1 ~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6.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 2장을 서로 열융착되도록 한 융착부에 둘러싸인 상기 시트 사이의 공간에 개폐가능한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블래더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탄한 상부면을 가지는 고정된 하부 금형, 상기 융착부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열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면에 상기 시트 2장을 배치하는 단계,
    히터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의 패턴부를 50 ~ 80℃로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시트 2장의 위에서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3 ~ 5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각각의 두께는 0.30 ~ 0.8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2장의 시트의 두께(2D)보다 5.0 ~ 6.5%만큼 감소한 두께(S)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의 두께 감소분 중 상부 감소분은 하부 감소분 보다 1 ~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래더 제조 방법.
KR1020150044960A 2015-03-31 2015-03-31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6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60A KR20160116754A (ko) 2015-03-31 2015-03-31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60A KR20160116754A (ko) 2015-03-31 2015-03-31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754A true KR20160116754A (ko) 2016-10-10

Family

ID=5714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60A KR20160116754A (ko) 2015-03-31 2015-03-31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01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자동차용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및 그 인슐레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01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자동차용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및 그 인슐레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1175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EP2674706A2 (en) Doo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773447B2 (ja) プレス成形型を用いてプレス成形する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JP6543791B2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JP6667208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JP544872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ラミネータ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030075275A1 (en) IC-card manufacturing apparatus
JP2023158195A (ja) プリフォーム賦形装置、プリフォーム賦形方法及び複合材成形方法
KR20190124264A (ko) 섬유 복합 구조물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및 플랜트
KR20160116754A (ko) 에어 블래더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4574A (ko)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US2022019397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andwich composite component with pressed two or three-dimensional shape and such a composite component
KR101794197B1 (ko)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KR20190138507A (ko) 스킨 포장 장치
JP2014094489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20150001448U (ko) 열풍 융착 장치
US11867316B2 (en) Flow rate control valve and producing method of flow rate control valve
KR20200057317A (ko)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적층형 판재에 대한 압축 성형 금형
JP2015024657A (ja) プレス成形装置
KR20010006962A (ko) 열가소성 물품을 몰딩하기 위한 장치
KR102634838B1 (ko) 자동차 시트 커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시트 커버 제조 방법
US20220395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resin composite
JP6741406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1626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6289249B2 (ja) 液体収納容器及び圧力調整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