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574A -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574A
KR20170034574A KR1020150133029A KR20150133029A KR20170034574A KR 20170034574 A KR20170034574 A KR 20170034574A KR 1020150133029 A KR1020150133029 A KR 1020150133029A KR 20150133029 A KR20150133029 A KR 20150133029A KR 20170034574 A KR20170034574 A KR 20170034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vacuum
transfer
transfer she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정진명
손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to KR102015013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574A/ko
Publication of KR2017003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26Details
    • B41F1/28Sheet-conveying, -aligning or -clamping devices
    • B41F1/32Sheet-conveying, -align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air pressur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중 사방이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곡면 글라스에 대해 진공 및 열원이 공급된 전사작업환경을 조성하여 글라스를 향한 전사시트의 전사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지며 사방이 곡률을 갖는 글라스를 효율적으로 열전사함을 제공하도록,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에 전사시트를 면 접합하여 열전사하는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안착지지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하로 수직왕복운동가능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 접합하고 내부에 진공 및 열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사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열 전사작업을 위한 내부 진공영역을 구획하면서 글라스 및 전사시트를 향해 열원이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브리더;를 포함하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Vacuum Bagging Type Thermal Transferring Apparatus of Curved Surface Glass}
본 발명은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중 사방이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곡면 글라스에 대해 진공 및 열원이 공급된 전사작업환경을 조성하여 글라스를 향한 전사시트의 전사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지며 사방이 곡률을 갖는 글라스를 효율적으로 열전사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시대로 접어들면서 각종 전기적 신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저전압 구동, 저소비 전력, 풀 칼라 구현 등의 특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고밀도의 반도체 패키지와 함께 글라스를 기본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에는 외관 마감 및 기타 기능적 효과를 구현해주기 위하여 강화유리 등과 같은 글라스를 주재로 하되 글라스의 일면 테두리 부위에 전사시트를 이용한 열전사 방식으로 잉크층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글라스의 일면에 전사시트를 열전사함에는 스테이지 상에 글라스를 안착한 상태에서 전사시트를 배치하고, 전사시트에 고온과 압력을 가하여 잉크층을 전사하도록 구성된 열전사장치를 사용한다.
그런데 기존의 열전사장치에서는 작업시 금형의 전체를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소모가 크고, 열전사작업에 필요한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장치의 부품에 열화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2390호(2014.07.16.)에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리가능한 제2금형과, 상기 금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금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분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금형 사이에 공급되는 수지체에 전사면을 맞대여서 전사성형을 행하는 전사부재와,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전사부재를 분리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사부재의 전사면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서 냉각하는 냉각부재와, 상기 양 금형을 접근시켜 상기 냉각부재, 전사부재 및 상기 수지체를 끼어 지지하고 상기 전사 성형에서의 가압력보다도 작은 제1설정치로의 가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지체를 냉각시킨 후 상기 제1설정치보다도 작은 제2설정치까지 제압한 상태에서 상기 수지체를 더욱 냉각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토록 구성됨에 따라 전사 성형한 후에 변형 없이 소망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전사성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1377호(2000.05.25.)에서는 패널을 사이에 끼워 이동시키는 이송롤러 및 콘베이어와, 상기 패널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전사테이프를 공급하는 전사테이프롤과, 상기 전사테이프를 패널의 입체표면에 가열압착하여 패널의 표면에 전사지부분만을 열전사하는 열전사롤러와, 상기 열전사롤러의 외측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판을 포함한 테이프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롤러 뒤쪽에 전사테이프 보호용 코팅필름을 공급하는 코팅필름 권취롤과, 이 코팅필름 권취롤에서 인출되는 코팅필름을 패널의 표면형상대로 안내하는 필름안내롤러과, 상기 필름안내롤러를 거쳐 패널 표면형상대로 안내되는 코팅필름을 테이프 전사된 패널 표면 위에 열전사하는 열전사롤러 및 상기 패널 표면 위에 코팅필름을 전사하고 남은 보호필름을 권취하는 보호필름 권취롤로 이루어진 필름코팅장치를 더 설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패널의 표면형상에 어긋나서 주름이 생기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코팅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열전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1422390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1377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글라스를 지지한 후 평평한 면 접촉에 의해 잉크층을 열전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평면 글라스만이 적용가능할 뿐이며, 최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외측 둘레에 2~4면이 곡률을 이루는 곡면 글라스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열전사장치의 경우에는 열전사작업이 일반적인 대기환경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글라스 상에 열전사 작업 면이 이물유입에 따른 결함이 발생하거나 전사작업을 위해 압착할 때에 구동원에 의한 가압량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작업불량이 발생하거나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1377호의 경우에는 열전사롤러가 글라스를 향해 전사시트를 부분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등록특허공보 제1422390호의 경우에는 작업시 글라스에 전사시트를 일괄적으로 가압하지만 열전사작업을 위한 가압력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글라스 전체면적에 대한 전사압력이 불균일하여 작업품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22390호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13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위치한 작업공간에 진공 및 열원을 일률적으로 공급하여 열 전사하도록 구성하므로 평면 글라스는 물론 다수의 곡률 엣지면을 갖는 곡면 글라스의 우수한 열 전사작업을 도모하고, 진공상태에서 작업하여 이물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글라스의 전체면적에 균일한 압력과 열을 가하여 제품의 생산품질을 높일 수 있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는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에 전사시트를 면 접합하여 열전사하는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안착지지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하로 수직왕복운동가능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 접합하고 내부에 진공 및 열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사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열 전사작업을 위한 내부 진공영역을 구획하면서 글라스 및 전사시트를 향해 열원이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브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챔버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글라스를 구분되게 지지수용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전사시트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시 전사시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시트고정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챔버에는 상기 상부챔버로부터 유입된 진공을 작업영역 둘레를 따라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진공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라인에는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위치한 작업영역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진공포켓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단이 진공생성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진공공급공과,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상단이 열원생성수단에 연결되어 열원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열풍공급공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하면에 열 전사작업시 상기 하부챔버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에어브리더가 접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작업시 에어브리더의 유동을 방지토록 고정하는 배깅고정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브리더에는 상기 전사시트에 접하되 글라스를 향한 전사영역을 구획하고 열원의 빠지는 경로를 제공하여 진공형성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진공팩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의하면 상하로 구분된 챔버 내에 글라스와 전사시트를 위치한 후 진공영역을 구획한 상태에서 진공 및 열원을 공급하여 열 전사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곡면 글라스의 원활한 열 전사작업을 도모하여 전사작업공정의 적용 폭을 확대함은 물론 곡면 글라스에 대한 열 전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시 글라스의 전체면적에 균일한 압력과 열을 가하여 제품의 작업품질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는 작업시 구분된 열 전사환경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유입에 따른 결합을 방지하며 작업시 물리적인 접촉이 없어 제품의 손상이나 결함 요인을 제거하므로 제품의 양품생산을 도모하면서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하부챔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상부챔버를 나타내는 저면도.
본 발명은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에 전사시트를 면 접합하여 열전사하는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안착지지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하로 수직왕복운동가능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 접합하고 내부에 진공 및 열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사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열 전사작업을 위한 내부 진공영역을 구획하면서 글라스 및 전사시트를 향해 열원이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브리더;를 포함하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G)에 전사시트(S)를 면 접합하여 열전사하는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하부챔버(10) 및 상부챔버(20)와, 에어브리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챔버(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글라스(G) 및 전사시트(S)를 모두 지지하되 전사시트(S)가 글라스(G)를 향해 열 전사작업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챔버(10)에는 글라스(G) 및 전사시트(S)가 서로 면 접촉할 수 있게 안착하되 상하로 각각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하부챔버(10)의 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글라스(G)를 전사시트(S)와는 구분되게 지지수용하는 안착홈(11)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11)의 경우 글라스(G)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작업대상인 글라스(G)의 형상이 2면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G)인 경우 상기 안착홈(11)의 해당 위치에도 대응되게 2면 곡률의 지지면을 형성토록 구성하고, 글라스(G)의 형상이 4면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G)인 경우에도 상기 안착홈(11)의 해당 위치에도 대응되게 4면 곡률의 지지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챔버(10)의 상면에는 작업시 전사시트(S)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전사시트(S)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시트고정패드(17)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고정패드(17)는 상기 안착홈(11)의 상면에 구비하되 전후 좌우로 복수 개(도 4에는 4개)를 구비토록 배치하여 전사시트(S)를 작업중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고정패드(17)에 적용가능한 소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 발포수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챔버(10)에 시트고정패드(17)를 구성하게 되면, 전사시트(S)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한 채 정확한 작업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전사작업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챔버(10)에는 상기 상부챔버(20)로부터 유입된 진공이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글라스(G) 및 전사시트(S)가 위치한 작업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진공이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진공라인(13)을 형성한다.
상기 진공라인(13)은 상기 하부챔버(10)의 상면에 홈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진공의 유동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진공라인(13)에는 글라스(G) 및 전사시트(S)가 위치한 작업영역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진공포켓(14)을 구비한다. 즉 상기 상부챔버(20)를 통해 유입된 진공은 상기 진공라인(13)을 따라 유동하되 상기 진공포켓(14)을 향해 유도되어 작업영역에 진공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챔버(20)는 상기 하부챔버(10)의 상면에 접합하여 내부 작업영역을 향해 진공 및 열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챔버(20)는 상기 하부챔버(10)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하로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상부챔버(20)는 상기 하부챔버(10)를 향해 승강가능한 구조로서, 상부에 구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여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챔버(20)는 상기 하부챔버(10)에 접하여 외부로부터 작업영역을 폐쇄한 상태에서 내부에 진공 및 열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챔버(20)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단이 진공생성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어 진공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진공공급공을 구비한다.
상기 진공생성수단에서는 Max 20㎏/f의 힘을 갖는 진공을 공급한다.
상기 진공공급공(21)은 상기 하부챔버(10) 진공라인(13)의 경로 상에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상단에는 진공개폐밸브(V1)를 구비하여 진공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챔버(20)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상단이 열원생성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어 열원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열풍공급공(23)을 구성한다.
상기 열풍공급공(23)의 상단에도 상기 열원생성수단에 따른 열원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열원개폐밸브(V2)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챔버(20)에는 상기 하부챔버(10)와 접합한 상태에서 내부 작업영역의 폐쇄상태를 도모토록 실링부재(25)를 구비한다.
상기 실링부재(25)는 상기 상부챔버(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챔버(10)의 상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챔버(20)와 상기 하부챔버(10) 간의 상호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챔버(20)에는 작업시 상기 에어브리더(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에어브리더(30)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배깅고정패드(27)를 구비한다.
상기 배깅고정패드(27)는 상기 상부챔버(20)의 하면 즉 상기 에어브리더(30)가 접하는 접촉면 상에 구비하되 상기 상부챔버(20)의 하면 전후 좌우로 복수 개(도 5에는 4개)를 구비토록 배치하여 에어브리더(30)를 작업중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깅고정패드(27)에 있어서도 상기 시트고정패드(17)와 동일한 소재(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발포수지 등)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브리더(30)는 열 전사작업을 위한 내부 진공영역을 구획하면서 글라스(G) 및 전사시트(S)를 향해 열원이 공급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에어브리더(30)는 상기 상부챔버(20)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사시트(S)의 상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에어브리더(30)는 상기 상부챔버(20)의 열풍공급공(23)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열풍공급공(23)을 통해 유입된 열풍을 작업영역을 향해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체가 유동가능한 직물소재(예를 들면, 부직포 등)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브리더(30)에는 하부에 구비되어 전사시트(S)에 접하되 글라스(G)를 향한 전사영역을 구획하는 진공팩(35)을 구비한다.
상기 진공팩(35)은 진공이 가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열풍공급공(23)을 통해 유입된 열원이 글라스(G) 및 전사시트(S)에 가해지되 열원의 빠지는 경로를 제공하여 진공형성을 유도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 전사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외부에서 글라스(G) 및 전사시트(S)를 각각 차례로 로딩하여 하부챔버(10)의 안착홈(11)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에어브리더(30)를 상부챔버(20)의 하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로딩한다. 이후 상부챔버(20)가 하부챔버(10)를 향해 하강하여 접합하고 진공공급공(21) 및 열풍공급공(23)을 통해 각각 진공 및 열풍을 유입시켜 상부챔버(20) 및 하부챔버(10)의 내부 작업영역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열풍이 가해지므로 글라스(G)의 일면에 잉크층을 열 전사하게 된다. 이어 진공 및 열풍의 유입을 차단한 후 상부챔버(20)를 상향이동시키고, 전사시트의 필름과 에어브리더(30)를 제거한 다음 하부챔버(10)에서 글라스(G)를 분리하여 열 전사 제품을 취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의하면, 상하로 구분된 챔버 내에 글라스와 전사시트를 위치한 후 진공영역을 구획한 상태에서 진공 및 열원을 공급하여 열 전사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곡면 글라스의 원활한 열 전사작업을 도모하여 전사작업공정의 적용 폭을 확대함은 물론 곡면 글라스에 대한 열 전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시 글라스의 전체면적에 균일한 압력과 열을 가하여 제품의 작업품질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작업시 구분된 열 전사환경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유입에 따른 결합을 방지하며 작업시 물리적인 접촉이 없어 제품의 손상이나 결함 요인을 제거하므로 제품의 양품생산을 도모하면서 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하부챔버 11 : 안착홈
13 : 진공라인 14 : 진공포켓
17 : 시트고정패드 20 : 상부챔버
21 : 진공공급공 23 : 열풍공급공
25 : 실링부재 27 : 배깅고정패드
30 : 에어브리더 35 : 진공팩
G : 글라스 S : 전사시트

Claims (6)

  1. 곡률의 엣지면을 갖는 글라스에 전사시트를 면 접합하여 열전사하는 글라스 열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안착지지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하로 수직왕복운동가능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 접합하고 내부에 진공 및 열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사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열 전사작업을 위한 내부 진공영역을 구획하면서 글라스 및 전사시트를 향해 열원이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브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글라스를 구분되게 지지수용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전사시트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시 전사시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시트고정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에는 상기 상부챔버로부터 유입된 진공을 작업영역 둘레를 따라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진공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라인에는 글라스 및 전사시트가 위치한 작업영역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진공포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단이 진공생성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진공공급공과,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상단이 열원생성수단에 연결되어 열원의 공급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열풍공급공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하면에 열 전사작업시 상기 하부챔버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에어브리더가 접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작업시 에어브리더의 유동을 방지토록 고정하는 배깅고정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에는 상기 전사시트에 접하되 글라스를 향한 전사영역을 구획하고 열원의 빠지는 경로를 제공하여 진공형성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진공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KR1020150133029A 2015-09-21 2015-09-21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KR20170034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029A KR20170034574A (ko) 2015-09-21 2015-09-21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029A KR20170034574A (ko) 2015-09-21 2015-09-21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574A true KR20170034574A (ko) 2017-03-29

Family

ID=5849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029A KR20170034574A (ko) 2015-09-21 2015-09-21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5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05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지디테크놀러지 레진의 가압을 이용한 벤딩 커버글라스의 열전사 장치 및 방법
KR20190002507U (ko) * 2018-03-29 2019-10-10 임채열 일체형 모바일기기용 열 접합 장치
CN110667244A (zh) * 2019-09-30 2020-01-10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动加热原理消除内外压差的烫金设备
CN111302062A (zh) * 2020-02-21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加工平台
KR102394165B1 (ko) * 2020-10-29 2022-05-06 주식회사 케이스메이커 3차원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77Y1 (ko) 2000-01-15 2000-08-16 장재옥 필름코팅장치가 구비된 테이프 열전사장치
KR101422390B1 (ko) 2012-11-05 2014-07-2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사 성형 방법, 및, 전사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77Y1 (ko) 2000-01-15 2000-08-16 장재옥 필름코팅장치가 구비된 테이프 열전사장치
KR101422390B1 (ko) 2012-11-05 2014-07-2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사 성형 방법, 및, 전사 성형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05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지디테크놀러지 레진의 가압을 이용한 벤딩 커버글라스의 열전사 장치 및 방법
KR20190002507U (ko) * 2018-03-29 2019-10-10 임채열 일체형 모바일기기용 열 접합 장치
CN110667244A (zh) * 2019-09-30 2020-01-10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动加热原理消除内外压差的烫金设备
CN111302062A (zh) * 2020-02-21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加工平台
WO2021164427A1 (zh) * 2020-02-21 2021-08-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加工平台
KR102394165B1 (ko) * 2020-10-29 2022-05-06 주식회사 케이스메이커 3차원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4574A (ko) 진공 배깅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CN102177010B (zh) 利用热板加热的热成型装置以及热成型方法
EP3315467B1 (en) Substrate vacuum forming mold and method
TWI543945B (zh) 從二維玻璃片形成三維玻璃製品的方法
JP5947766B2 (ja) 金型セット、熱成形装置、熱成形方法、及び熱成形品
CN102602113B (zh) 大尺寸复杂面壳表面装饰加工方法及面壳和装置
TW201532983A (zh) 用於塑形玻璃基板的設備
KR20150082252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KR101730041B1 (ko) 열 성형 장치
KR20170034579A (ko) 프레스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JP5957131B1 (ja) 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KR101175679B1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377648B (zh) 弯曲薄玻璃
KR20190046660A (ko) 수지 성형품의 제조 장치, 수지 성형 시스템,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5054412B2 (ja) 熱プレス成形装置及び同装置のための金型システム
JP5845496B1 (ja) 板ガラス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
KR20150055488A (ko) 보호윈도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088094A (ko) 진공 성형 장치 및 진공 성형 방법
JP4907316B2 (ja) 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2002172628A (ja) ゴム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6741406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3708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rticles from preformed materials
KR102528343B1 (ko) 에어포켓 모듈 진공 성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7819B1 (ko) Cid용 멀티 곡률 윈도우 글라스 제조 방법
JPH04212851A (ja) 合成樹脂シート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