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403A -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403A
KR20030097403A KR1020020034757A KR20020034757A KR20030097403A KR 20030097403 A KR20030097403 A KR 20030097403A KR 1020020034757 A KR1020020034757 A KR 1020020034757A KR 20020034757 A KR20020034757 A KR 20020034757A KR 20030097403 A KR20030097403 A KR 2003009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od support
laundry
main body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씨앤엠 filed Critical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to KR102002003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403A/ko
Publication of KR2003009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40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7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or suspension to central heating radia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장착되는 건조대본체와, 세탁물을 거는 복수의 걸이봉이 장착되는 걸이봉지지대와,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에 의해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기 건조대본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복수의 로프를 갖는 세탁물 건조대에 있관한 것으로, 상기 건조대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상승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시키고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하강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로울러와;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로울러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소정의 한계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상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걸이봉지지대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걸이봉지지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하고, 열풍분사 방식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로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걸이봉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대{Washing drier}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걸이봉지지대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걸이봉지지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하고, 열풍분사 방식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로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걸이봉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0049호에 개시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는, 고정부재(2)에 의해 천장(T)에 장착되도록 양 끝단으로 각각 체결공(3)이 형성된 고정프레임(4)이 구비되고, 고정프레임(4)의 양측에는 X형으로 절첩가능한 링크부재(5)가 하향 수직되게 설치되며, 링크부재(5)의 하단에는 링크부재(5)의 절첩상태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향되도록 걸이봉지지대(6a,6b)가 서로 마주본 상태로 결합된다.
걸이봉지지대(6a,6b)의 양단에는 세탁물(7)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이봉(8)이 각각 결합되며, 걸이봉지지대(6a,6b)의 외측면에는 인위적으로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와이어(9)의 일단이 연결되며, 와이어(9)의 다른 일단에는 양측 와이어(9)를 동시에 잡아당기거나 그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도록 손잡이(10)가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놓으면 와이어(9)를 통해 걸이봉지지대(6a,6b)에 전달된 승강력으로 X형 링크부재(5)를 절첩시킴과 동시에 걸이봉지지대(6a,6b)와 세탁물(7)을 상하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세탁물(7)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하부공간이 이용가능하게 되어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의 협소한 베란다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도 8과 같은 세탁물 건조대의 사용으로 세탁물을 널고 걷기가 편해졌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세탁물 걸이봉의 높이조절이 전적으로 인력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작동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걸이봉에 많은 세탁물이 널려있는 경우 상당한 힘으로 손잡이를 당겨야 하므로 주부들이 그 높이를 조절하는 데 비교적 많은 힘이 들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당김에 따라 그만큼 와이어가 하향으로 늘어나므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데에불편을 주며, 와이어를 당긴 후 세탁물 건조대 일측에 록킹시켰을 때에는 세탁물이 갖는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건조대의 형체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후 상기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세탁물 건조대를 전동식으로 설계하여 건조대의 승강작업을 인위적으로 행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도 9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68978호에 개시된 종래의 다른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보면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는, 천장(T)에 고정되는 몸체(10)로 내설된 전동모터(40)의 구동축(42)으로 착설되어진 권취드럼(41)에 권선되어 권취드럼(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신축되어지는 한 쌍의 로프(50)에 매달려 승강되는 절첩간(20)과, 절첩간(20) 사이에 걸이봉지지대(32)에 의해 장착된 복수개의 걸이봉(30)과, 몸체(10)의 양측에 로프(50)의 긴장 정도에 의하여 탄동되면서 접점스위치(70)를 작동케 하는 고정풀리(60) 및 몸체(10)의 하면에 마련된 송풍팬(8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 9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는, 걸이봉을 포함하여 걸이봉지지대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이들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상기의 "전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부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또한, 도 9에 채용된 전동모터는 통상적으로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로 채용하고 있는 바, 장시간 사용에 불리하고 과부하의 위험이 따른다.
그리고, 송풍팬에 의해 젖은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는 있으나, 열풍분사 방식에 비해서는 세탁물의 건조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로는 한 쌍의 로프의 늘어진 길이를 상호 동일하게 조정하여 걸이봉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걸이봉지지대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걸이봉지지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열풍분사 방식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로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걸이봉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건조대본체의 정면도,
도 4a는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된 작동상태제어부의 스위치작동편이 일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 따라 세탁물 건조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된 작동상태제어부의 스위치작동편이 도 4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에 따라 세탁물 건조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건조대가 도 2와는 다른 상태로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컨트롤박스와 열풍분사장치 간의 제어블럭도,
도 7b 내지 도 7e는 각각 송풍팬의 온오프(On/Off) 주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건조대본체 120 : 연결링크
130 : 걸이봉 132 : 걸이봉지지대
140 : 구동부 142 : 회전축
150 : 작동상태제어부 160 : 열풍분사장치
170 : 컨트롤박스 180 : 입력장치
190 : 로프길이조절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천장에 장착되는 건조대본체와, 세탁물을 거는 복수의 걸이봉이 장착되는 걸이봉지지대와,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에 의해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기 건조대본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복수의 로프를 갖는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상승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시키고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하강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로울러와;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로울러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소정의 한계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상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상태제어부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볼스크루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편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정역구동가능한 직류구동모터와, 상기 직류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직류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갖는다.
상기 각 권취로울러는 상기 볼스크루에 마련되어 상기 볼스크루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메인로울러부와, 상기 건조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로울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봉을 향한 상기 건조대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풍분사구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는 상기 열풍분사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걸이봉에 걸린 세탁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풍분사장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송풍팬과; 상기 걸이봉을 향한 상기 팬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발열가능한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대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열풍분사장치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컴에 의해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오프(On/Off) 주기가 설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 사이의 로프 길이를 조절하는 로프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로프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로프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로프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는 적외선 살균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천장(T)에 장착되는 건조대본체(110)와, 세탁물을 거는 복수의 걸이봉(130)이 장착되는 걸이봉지지대(132)와,건조대본체(110)와 걸이봉지지대(132)를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120)와, 복수의 연결링크(120)에 의해 걸이봉지지대(132)를 건조대본체(110)에 대해 승강시키는 복수의 로프(135a,135b)를 갖는다.
건조대본체(110)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장(T)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건조대본체(110)는 내부에 자세하게 후술할 구동부(140), 회전축(142), 권취로울러(미도시), 작동상태제어부(150) 및 열풍분사장치(160) 등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케이스(111)와, 메인케이스(111)의 개구를 덮는 커버케이스(112)를 갖는다.
메인케이스(111)의 개구 연부면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커버케이스(112)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케이스(112)의 판면에는 후술할 열풍분사장치(16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이 분사되는 복수의 열풍분사구(112a)가 형성되어 있다. 열풍분사구(112a)의 양측에는 연결링크(120)가 출입하는 한 쌍의 링크출입부(1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분사구(112a)가 2개로 되어 있고 후술할 열풍분사장치(160) 역시, 2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열풍분사구(112a) 및 열풍분사장치(160)의 개수는 세탁물 건조대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건조대본체(110)는 천장(T)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대본체(110)는 천장(T)에 매립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6의 경우라도,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와동일한 바, 도 6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건조대본체(110)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원형이나 기타의 다각 형상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걸이봉지지대(132, 도 4b 참조)는 건조대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이봉지지대(132)의 판면에는 세탁물을 거는 복수의 걸이봉(130)이 장착되는 걸림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공(132a)의 주변에는 연결링크(120)의 최하단이 유동가능하게 걸림유지되는 장공(132b)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대본체(110)와 걸이봉지지대(132)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링크(120)가 장착되어 있다. 각 연결링크(120)들은 상호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걸이봉지지대(132)가 건조대본체(110)에 접근되는 승강 위치와 건조대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하강 위치로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걸이봉지지대(132)의 승하강운동은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로프(135a,135b)가 메인로울러부(144, 도 3 참조)에 권취 및 권취해제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는, 직류구동모터(140a)와, 직류구동모터(140a)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직류구동모터(140a)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40b)를 포함한다. 이 때, 직류구동모터(140a)로는 정역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지각 제어가능한 스태핑모터 등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처럼 직류구동모터(140a)를 채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과부하의 위험이 제거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감속기(140b)의 구동축에는 건조대본체(11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42)이 마련되어 있다.
건조대본체(110) 내에는 걸이봉지지대(132)가 상승될 경우, 복수의 로프(135a,135b)를 권취시키고 걸이봉지지대(132)가 하강할 경우, 복수의 로프(135a,135b)를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로울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권취로울러는 아래의 메인로울러부(144)와 보조로울러부(145)를 포함하고 있는 바, 편의상 권취로울러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한다.
권취로울러는 후술할 볼스크루(151)에 마련되어 볼스크루(15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메인로울러부(144)와, 건조대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연결링크(120)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로울러부(145)를 포함한다. 따라서, 걸이봉지지대(132)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로프(135a,135b)는 한 쌍의 연결링크(120)를 따라 건조대본체(110) 내의 한 쌍의 보조로울러부(145)에 지지된 후, 메인로울러부(144)에 권취될 수 있다.
이에, 직류구동모터(140a)가 작동되어 로프(135a,135b)의 단부가 메인로울러부(144)에 권취되면 걸이봉(130)을 포함하여 걸이봉지지대(132)는 상승되며, 로프(135a,135b)의 단부가 메인로울러부(144)에 권취해제되면 걸이봉지지대(132)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직류구동모터(140a)의 작동에 의해 로프(135a,135b)가 메인로울러부(144)에 권취되면서 걸이봉지지대(132)가 상승될 경우,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상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직류구동모터(140a)의 계속동작해서는 안된다.
즉,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상승된 후에는 직류구동모터(140a)의 작동이 정지되어야 하며, 반대로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하강된 후에도 직류구동모터(140a)의 작동은 정지되어야 직류구동모터(140a)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로프(135a,135b)가 메인로울러부(144)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소정의 한계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상태제어부(150)를 마련하고 있다. 작동상태제어부(150)는, 회전축(142)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가능한 볼스크루(151)와, 볼스크루(151)의 양단에 배치되어 걸이봉지지대(132)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구동부(14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152a,152b)와, 볼스크루(151)에 결합되어 볼스크루(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152a,152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리미트스위치(152a,152b)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편(1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작동편(144)이 전술한 메인로울러부(144)가 되는 바, 스위치작동편과 메인로울러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구동모터(140a)가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스위치작동편(144)은 제1리미트스위치(152a)로 향한다. 이 때, 로프(135a,135b)는 스위치작동편(144)으로부터 권취해제되고 걸이봉(130)을 포함하여 걸이봉지지대(132)는 하강하기 시작한다. 어느 정도 작동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하강하면 볼스크루(151)를 따라 이동하던스위치작동편(144)은 제1리미트스위치(152a)에 접촉하여 제1리미트스위치(152a)를 작동시킴으로써 직류구동모터(140a)는 오프(Off)된다. 이 때가 건조대의 사용위치가 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천장(T)으로부터 하강된 걸이봉(130)에 젖은 세탁물을 걸 수 있다.
반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구동모터(140a)가 전술한 반대향으로 작동하면 제1리미트스위치(152a)에 접촉되어 있던 스위치작동편(144)은 제2리미트스위치(152b)로 향한다. 이 때, 로프(135a,135b)는 스위치작동편(144)으로부터 권취되고 걸이봉(130)을 포함하여 걸이봉지지대(132)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어느 정도 작동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상승하면 볼스크루(151)를 따라 이동하던 스위치작동편(144)은 제2리미트스위치(152b)에 접촉하여 제2리미트스위치(152b)를 작동시킴으로써 직류구동모터(140a)는 역시 오프(Off)된다. 이 때는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어 세탁물 건조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걸이봉(13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세탁물은 자연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젖은 세탁물이 보다 빨리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열풍분사장치(160)를 더 마련하고 있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열풍분사장치(160)는 선택 여하에 따라 세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사용되고 그러하지 않다면 사용되지 않는다.
건조대본체(110) 내에 마련되어 걸이봉(130)에 걸린 세탁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장치(160)는 팬하우징(160a)과, 팬하우징(160a)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송풍팬(160b)과, 걸이봉(130)을 향한 팬하우징(160a) 내에 마련되어 발열가능한 히터(160c)를 포함한다. 이에, 히터(160c)가 작동된 상태에서 송풍팬(160b)이 회전하면 히터(160c)에 의해 형성된 열기가 송풍팬(160b)에 의해 세탁물로 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훨씬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대본체(110)에는 구동부(140)와 열풍분사장치(1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17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박스(17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80)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 입력장치(180)는 컨트롤박스(170)와 함께 건조대본체(11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를 컨트롤박스(170)로 전달하는 리모콘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180)에는 구동부(14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온오프버튼(180a)과, 직류구동모터(140a)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버튼(180b)과, 열풍분사장치(160)를 작동시키는 분사장치작동버튼(180c)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건조대본체(110)의 일측에는 건조대본체(110)와 걸이봉지지대(132) 사이의 로프(135a,135b) 길이를 조절하는 로프길이조절부재(190, 도 1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로프길이조절부재(190)는, 로프(135a,135b)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로프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미도시)와,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로프(135a,135b)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프길이조절부(190)로 인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로프(135a,135b)의 길이가 서로 달라 걸이봉(13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로프(135a,135b)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탁물 건조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130)과 걸이봉지지대(132)가 상승된 상태에서 걸이봉(130)에 세탁물을 걸고자 걸이봉(130)과 걸이봉지지대(132)를 하강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입력장치(180)의 온오프버튼(180a)을 작동시켜 구동부(14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소정의 입력신호를 컨트롤박스(170)로 전송한다. 입력된 신호에 의해 직류구동모터(140a)가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스위치작동편(144)은 제1리미트스위치(152a)로 향한다. 이 때, 로프(135a,135b)는 스위치작동편(144)으로부터 권취해제되고 걸이봉(130)을 포함하여 걸이봉지지대(132)는 하강하기 시작한다.
어느 정도 작동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하강하면 볼스크루(151)를 따라 이동하던 스위치작동편(14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미트스위치(152a)에 접촉하여 제1리미트스위치(152a)를 작동시킴으로써 입력장치(180)에 의해 온(On)되어 있던 직류구동모터(140a)는 오프(Off)된다.
이처럼 직류구동모터(140a)가 오프(Off)되고 걸이봉(130)이 하강 완료되면 사용자는 걸이봉(130)에 젖은 세탁물을 건다. 그리고는, 입력장치(180)에 마련된 분사장치작동버튼(180c)을 조작한다. 분사장치작동버튼(180c)의 조작에 의해 히터(160c)가 발열된 상태에서 송풍팬(160b)이 회전하면, 히터(160c)에 의해 형성된 더운 열기는 송풍팬(160b)을 통해 걸이봉(130)에 걸린 세탁물로 향하게 된다.따라서, 세탁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만일, 세탁물을 좀 더 일찍 건조시키고자 한다면, 입력장치(180)의 온오프버튼(180a)을 작동시켜 구동부(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직류구동모터(140a)의 동작에 의해 걸이봉(130)을 포함한 걸이봉지지대(132)를 건조대본체(110) 측으로 좀 더 가까이 상승시킨다. 어느 정도 상승되면, 다시 입력장치(180)의 온오프버튼(180a)을 작동시켜 구동부(140)에 전원을 차단한 후, 걸이봉(130)을 포함한 걸이봉지지대(132)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열풍분사장치(160)를 작동시키면 된다.
젖은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입력장치(180)에 마련된 분사장치작동버튼(180c)을 조작하여 열풍분사장치(1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입력장치(180)에 의해 직류구동모터(140a)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스위치작동편(144)이 제2리미트스위치(152b)로 향하도록 한다. 직류구동모터(140a)에 의해 상승하던 걸이봉지지대(132)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상승하면 스위치작동편(144)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리미트스위치(152b)에 접촉하여 제2리미트스위치(152b)를 작동시킴으로써 직류구동모터(140a)는 오프(Off)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걸이봉지지대(132)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걸이봉지지대(132)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14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구동부(140)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분사장치(160)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로프길이조절부재(190)로 인해 로프(135a,135b)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걸이봉(130)의 수평상태를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건조대본체(110) 내에 적외선 살균기를 더 마련하다면 신속한 세탁물의 건조와 더불어 곰팡이 및 세균번식을 방지하는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박스(170)가 열풍분사장치(160)를 컨트롤한다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입력장치(180)에 의한 열풍분사장치(16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170) 내에 마이컴(171)을 마련하고 열풍분사장치(160)에는 송풍팬(160b)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160d)를 마련한다. 그리고는 마이컴(171)에 의해 팬구동부(160d)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컴(171)의 프로그램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면, 마이컴(171)에 의한 팬구동부(160d)에 의해 송풍팬(160b)이 10분 동작한 후, 5분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따라서, 걸이봉(130)에 걸린 세탁물이 쉽게 건조될 수 있다.
이 때, 마이컴(171)의 프로그램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마이컴(171)에 의해 송풍팬(160b)이 30분 동작한 후, 10분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71)에 의해 송풍팬(160b)이 30분 동작하고 정지하도록 하거나,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71)에 의해 송풍팬(160b)이 60분 동작하고 정지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 형태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처럼, 마이컴(171)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열풍분사장치(160)의 송풍팬(160b)의 온오프(On/Off)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마이컴(171)에 의해 송풍팬(160b)의 온오프(On/Off) 주기를 설정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히터(160c) 역시 마이컴(171)에 의한 온오프(On/Off) 주기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봉지지대가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걸이봉지지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대에 의하면, 열풍분사 방식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로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걸이봉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천장에 장착되는 건조대본체와, 세탁물을 거는 복수의 걸이봉이 장착되는 걸이봉지지대와,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에 의해 상기 걸이봉지지대를 상기 건조대본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복수의 로프를 갖는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상승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시키고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하강시 상기 복수의 로프를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로울러와;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로울러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소정의 한계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상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상태제어부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걸이봉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볼스크루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역구동가능한 직류구동모터와, 상기 직류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직류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로울러는 상기 볼스크루에 마련되어 상기 볼스크루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메인로울러부와, 상기 건조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로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을 향한 상기 건조대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풍분사구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는 상기 열풍분사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걸이봉에 걸린 세탁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장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송풍팬과;
    상기 걸이봉을 향한 상기 팬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발열가능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열풍분사장치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컴에 의해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오프(On/Off) 주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건조대본체와 상기 걸이봉지지대 사이의 로프 길이를 조절하는 로프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로프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로프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본체 내에 마련되는 적외선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KR1020020034757A 2002-06-21 2002-06-21 세탁물 건조대 KR20030097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757A KR20030097403A (ko) 2002-06-21 2002-06-21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757A KR20030097403A (ko) 2002-06-21 2002-06-21 세탁물 건조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26U Division KR200290612Y1 (ko) 2002-06-21 2002-06-21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403A true KR20030097403A (ko) 2003-12-31

Family

ID=3238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757A KR20030097403A (ko) 2002-06-21 2002-06-21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4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7B1 (ko) * 2007-09-12 2008-04-23 한준석 빨래 건조장치
KR20160065634A (ko) * 2014-12-01 2016-06-09 리우인더스테크 주식회사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CN106894207A (zh) * 2017-03-13 2017-06-27 成都万家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具有调节晾晒杆长度功能的晾晒机构
CN108385343A (zh) * 2018-04-25 2018-08-10 佛山市海顿灯饰电器有限公司 一种置顶隐藏式晾衣机及其置顶隐藏晾衣杆的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495A (ja) * 1994-10-14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JPH08173690A (ja) * 1994-12-26 1996-07-09 Osaka Gas Co Ltd 乾燥設備
KR19990014283U (ko) * 1998-12-29 1999-04-26 백금주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JP2001017795A (ja) * 1999-07-08 2001-01-23 Sekisui Chem Co Ltd 昇降式物干し装置及びその据付け方法
KR20010070850A (ko) * 2001-06-13 2001-07-27 박창록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274950Y1 (ko) * 2002-02-07 2002-05-13 이재남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288370Y1 (ko) * 2002-06-11 2002-09-09 주식회사 이디오 송풍장치를 가진 빨래 건조대
KR20020074548A (ko) * 2001-03-20 2002-10-04 주식회사 이디오 전자식 자동 빨래건조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495A (ja) * 1994-10-14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JPH08173690A (ja) * 1994-12-26 1996-07-09 Osaka Gas Co Ltd 乾燥設備
KR19990014283U (ko) * 1998-12-29 1999-04-26 백금주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JP2001017795A (ja) * 1999-07-08 2001-01-23 Sekisui Chem Co Ltd 昇降式物干し装置及びその据付け方法
KR20020074548A (ko) * 2001-03-20 2002-10-04 주식회사 이디오 전자식 자동 빨래건조대
KR20010070850A (ko) * 2001-06-13 2001-07-27 박창록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274950Y1 (ko) * 2002-02-07 2002-05-13 이재남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288370Y1 (ko) * 2002-06-11 2002-09-09 주식회사 이디오 송풍장치를 가진 빨래 건조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7B1 (ko) * 2007-09-12 2008-04-23 한준석 빨래 건조장치
KR20160065634A (ko) * 2014-12-01 2016-06-09 리우인더스테크 주식회사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CN106894207A (zh) * 2017-03-13 2017-06-27 成都万家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具有调节晾晒杆长度功能的晾晒机构
CN108385343A (zh) * 2018-04-25 2018-08-10 佛山市海顿灯饰电器有限公司 一种置顶隐藏式晾衣机及其置顶隐藏晾衣杆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1820U (ja) 知能型物干し枠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KR100664989B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의 제어시스템
CN113047011B (zh) 一种晾衣装置、空调器和烘干控制方法
WO2019201097A1 (zh) 烘干晾衣组件和烘干下置式晾衣机
KR101143376B1 (ko) 전동식 회전빨래 건조대
KR101393643B1 (ko)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KR2002906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30097403A (ko) 세탁물 건조대
CN201817712U (zh) 一种电动升降晾衣架
CN208980971U (zh) 一种省力型晾衣架伸缩机构
KR100733819B1 (ko) 빨래 건조대
WO2020175964A1 (ko) 의류 처리장치
KR200445388Y1 (ko) 온풍 공급 기능을 갖는 세탁물 건조장치
CN215405182U (zh) 一种风向感应晾衣架
KR20090107576A (ko) 다기능 빨래건조대
KR200239588Y1 (ko) 천정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
KR102157299B1 (ko) 의류 걸이대
KR20040053731A (ko) 빨래 건조대
KR20210097971A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102269447B1 (ko) 건조장치
KR101875929B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101789727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KR200393825Y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제어장치
KR19990014283U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