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731A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731A
KR20040053731A KR1020030019215A KR20030019215A KR20040053731A KR 20040053731 A KR20040053731 A KR 20040053731A KR 1020030019215 A KR1020030019215 A KR 1020030019215A KR 20030019215 A KR20030019215 A KR 20030019215A KR 20040053731 A KR20040053731 A KR 2004005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unit
warm air
hold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325B1 (ko
Inventor
박광선
Original Assignee
(주)우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기술 filed Critical (주)우리기술
Priority to KR10-2003-001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3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Abstract

한 쌍의 지지판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가 와이어를 통해 본체로 승하강 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 와이어가 모터의 와이어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 및 상기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Wash drying shelf}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래 건조대에 거치된 세탁물을 온풍장치와 수분흡수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건조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바닥에 세워 놓고 세탁물을 거치하는 입식형과, 천장에 매달에 둔 채 빨래를 거치하는 견인형이 있다.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베란다가 마련된 공동주택에 주로 설치되는 견인형 빨래 건조대는 주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방식으로서, 절첩링크에 의해 승하강하는 걸이대에 세탁물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걸이봉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재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12523호의 ' 전자식 자동 빨래 건조대'와 제 2001-36869호의 ' 빨래 건조대'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빨래 건조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빨래 건조대(10)는 천장에 절첩(折帖) 가능하도록 절첩간(1)이 복수개의 빨래 걸이봉(2)을 가지는 받침대(3)에 설치되어 와이어(4)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하도록 본체부(5)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5)의 내부에는 입력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4)를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부(6)를 구비함으로써, 빨래 걸이봉(2)에 거치된 세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빨래 건조대(10)는 일반적으로 세탁된 의류를 건조시킬 때에 빨래 건조대에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온의 상태에서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온 상태에서의 자연 건조는 기후 조건에 따라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이 많이 차이가 난다. 또한, 추운 겨울, 장마철 및 하루종일 햇볕이 들지 않는 공간에서는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창문을 닫아놓았을 경우 통풍이 되지 않아 세탁물에 곰팡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형 빨래 건조대(10)가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될 경우 베란다에 설치된 조명을 가리게 되어 베란다의 실내를 어둡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곤 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건조시 빠른 시간 안에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고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이 빠르게 건조되도록 온풍으로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에 대해 살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대 자체에 조명기능을 가질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빨래 건조대 101 : 본체
110 : 거치대 111 : 지지판
112 : 주 걸이봉 114 : 승강부
114a : 절첩링크 114b : 와이어
115 : 보조 걸이봉 120 : 구동부
121 : 모터 122 : 와이어드럼
123 : 가이드롤러 130 : 온풍공급부
131 : 온풍구 132 : 온열판
133 : 송풍기 134 : 흡입기
135 : 수분흡수필터 136 : 흡입구
140 : 제어부 150 : 입력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살균부
171 : 자외선 살균램프 172 : 안정기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지지판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가 와이어를 통해 본체로 승하강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 와이어가 모터의 와이어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 및 상기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부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가열되는 온열판에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온풍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열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방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수분흡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와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를 구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어두운 공간을 조명하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대(100)는 세탁물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110), 상기 거치대(1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부(114), 및 상기 승강부(11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거치대(110)에 거치된 세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기 위한 온풍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 본체(10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거치대(110)는 한 쌍의 지지판(111)에 복수개의 주 걸이봉(112)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111)의 일면에는 각각 상기 거치대(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부(114)의 와이어(114b) 일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1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으로 주 걸이봉(112)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주 걸이봉(112)에 삽입되어지는 보조 걸이봉(115)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걸이봉(115)은 주 걸이봉(11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각각의 주 걸이봉(112)과 보조 걸이봉(115)의 간격은 세탁물이 거치되었을 때 햇볕에 충분히 노출될 수 있고 통풍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114)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111)과 상기 본체(101)의 내부 지지체 사이에 상기 거치대(1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X' 자 형태의 절첩링크(114a)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거치대(110)는 상기 지지판(111)에 연결된 와이어(114b)가 본체(101)로부터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절첩링크(114a)가 힌지에 의해 접히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114b)가 본체(101)로부터 풀리게 되면 상기절첩링크(114a)가 힌지에 의해 펼쳐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본체(10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10)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120), 상기 거치대(110)의 주 걸이봉(112)과 보조 걸이봉(115)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130), 및 상기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외부에는 상기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개의 입력키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입력부(150; 도 3 참조)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 도 3 참조)가 구비된다.
구동부(120)는 상기 본체(101)의 내부 중앙 일면에 모터(12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21)에는 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와이어드럼(122)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드럼(122)에는 본체(101)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23)에 의해 가이드되어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111)에 연결된 와이어(114b)의 타단이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111)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114b)는 상기 모터(121)의 정회전에 따라 동시에 당겨지고 역회전에 따라 동시에 풀려지도록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와이어드럼(1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의 모터(121)는 구동축과 와이어드럼(122)의 연결축이 90°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와이어드럼(122)의 연결축에서는 기어의 치형이 파손될 정도의 힘(약 200 ㎏)이 가해지지 않으면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즉, 감속기어 구조가 셀프 로킹(Self-locking)되는 웜 기어 브레이크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121)의 와이어드럼(122)의 연결축에 제어부(140)에 접속되는 감지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거치대(110)의 하강시 거치대(110)에 장애물이 닿으면, 상기 감지장치(미도시)가 와이어(114b)의 풀림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12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121)가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모터(121)에 연결된 와이어드럼(122)에 와이어(114b)가 당겨지고 풀려지게 함으로써, 상기 거치대(11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다.
온풍공급부(130)는 상기 본체(101)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온풍구(131) 상부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노딜리움(Anodilium) 등으로 제작된 온열판(132)이 설치되고, 상기 온열판(132)의 상부에는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시키기 위한 송풍기(133)가 설치된다.
한편, 온풍공급부(130)의 온열판(132)이 소정의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온열판(132)에 일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열방지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온풍공급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열판(132)이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온열판(132)에 송풍기(133)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온풍구(131)를 통해 상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말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외에, 상기 거치대(110)의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한 수분흡수필터(135)가 상기 온풍구(131)의 양측에 형성된 흡입구(136)의 안측에 더 설치된다. 이 경우, 세탁물로부터 수분흡수필터(135)로 수분 유입을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수분흡수필터(135) 상에 팬과 모터가 구비된 흡입기(134)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세탁물의 수분을 건조대 본체의 수분흡수필터에서 제거한 후 온풍공급부(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빨래 건조물에 공급됨으로써, 장마철 등과 같은 수분이 많은 시기 등에 있어서 신속히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열판(132)과 송풍기(133)의 동작은 상기 입력부(150)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본체(10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공급부(160)로부터 공급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부(150)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와 온풍공급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중앙처리장치(미도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동작 흐름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50)로부터 거치대(110)의 주 걸이봉(112) 또는 보조걸이봉(115)에 거치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대(110)를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120)의 모터(12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모터(12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121)에 연결된 와이어드럼(122)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122)에 결합된 와이어(114b)가 상기 가이드롤러(12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14b)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판(111)이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거치대(110)의 주 걸이봉(112) 또는 보조 걸이봉(115)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입력부(150)로부터 상기 온풍공급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온풍공급부(130)의 온열판(132)과 송풍기(13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온열판(132)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가열되고, 상기 송풍기(13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열된 온열판(132)에 공기를 송풍하여 온풍구(131)를 통하여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상기 온열판(132)과 송풍기(133)가 입력부(150)에 입력된 시간 동안만 동작되도록 온열판(132)과 송풍기(133)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33)로부터 세탁물에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흡입기(134)와 수분흡수필터(135)를 통해 필터링되어 상기 송풍기(133)에 습기가 없는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후, 거치대(110)의 세탁물이 모두 건조된 후 입력부(150)로부터 상기 거치대(110)를 상승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온열판(132)과 송풍기(133)의 입력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온풍공급부(130)의 온열판(132)과 송풍기(13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모터(12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121)에 연결된 와이어드럼(122)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122)에 결합된 와이어(114b)가 상기 가이드롤러(12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14b)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판(111)이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온열판(132)을 가열시키고 상기 가열된 온열판(132)에 송풍기(133)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발생되는 온풍을 세탁물에 공급시키거나 온풍의 공급과 동시에 세탁물의 수분을 보다 빨리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빨래 건조대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본체(101)의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130)가 설치되어 세탁물에 온풍만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본체(101)의 외부에 자외선 살균램프를 구비하여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시키는 빨래 건조대(100)를 제공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살균부(170)를 제외하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살균부(1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살균부(170)는 상기 본체(101) 외부 하단 양 측면에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램프(171)가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171)의 일단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171)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안정기(17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171)와 같이 방전에 의해 발광하는 방전램프는, 전류가 흐르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떨어지므로, 일정한 전압을 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 때, 전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가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안정기(172)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살균부(170)는 상기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150)의 입력에 의한 시간동안 살균부(170)의 자외선 살균램프(171)가 동작되어 상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세탁물에 자외선을 공급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전술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성외에 살균부(170)를 더 구비하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일반적으로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베란다의 조명등을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본체의 양측이나 중앙에 조명등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거나 온풍의 공급과 동시에 수분을 필터링함으로써, 채광이 없는 공간에서도 빠른 시간에 세탁물을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한 쌍의 지지판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가 와이어를 통해 본체로 승하강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 와이어가 모터의 와이어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 및
    상기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부와 온풍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부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가열되는 온열판에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온풍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에 온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방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수분흡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와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를 구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어두운 공간을 조명하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03-0019215A 2003-03-27 2003-03-27 빨래 건조대 KR10049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215A KR100497325B1 (ko) 2003-03-27 2003-03-27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215A KR100497325B1 (ko) 2003-03-27 2003-03-27 빨래 건조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40U Division KR200316690Y1 (ko) 2003-03-27 2003-03-27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31A true KR20040053731A (ko) 2004-06-24
KR100497325B1 KR100497325B1 (ko) 2005-06-29

Family

ID=3734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215A KR100497325B1 (ko) 2003-03-27 2003-03-27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3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97B1 (ko) * 2007-01-25 2008-03-04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KR100861115B1 (ko) * 2007-02-05 2008-09-30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KR100866396B1 (ko) * 2007-06-20 2008-11-03 서관택 실내용 빨래 건조대
KR101055897B1 (ko) * 2009-04-21 2011-08-10 박술목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200483033Y1 (ko) 2015-09-21 2017-03-27 (주)세양아트 천장식 빨래 건조대
CN109876170A (zh) * 2019-04-19 2019-06-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动晾衣机的照明消毒一体式装置及运行方法
CN110607667A (zh) * 2019-09-16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组件
CN112359567A (zh) * 2019-12-02 2021-02-12 杭州邦先生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晾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500A (ko) *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97B1 (ko) * 2007-01-25 2008-03-04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KR100861115B1 (ko) * 2007-02-05 2008-09-30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KR100866396B1 (ko) * 2007-06-20 2008-11-03 서관택 실내용 빨래 건조대
KR101055897B1 (ko) * 2009-04-21 2011-08-10 박술목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200483033Y1 (ko) 2015-09-21 2017-03-27 (주)세양아트 천장식 빨래 건조대
CN109876170A (zh) * 2019-04-19 2019-06-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动晾衣机的照明消毒一体式装置及运行方法
CN110607667A (zh) * 2019-09-16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组件
CN112359567A (zh) * 2019-12-02 2021-02-12 杭州邦先生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晾衣机
CN112359567B (zh) * 2019-12-02 2023-10-10 杭州邦先生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晾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325B1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936A (ko)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KR100497325B1 (ko) 빨래 건조대
CN110454901B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杀菌能力强的新风系统
KR101368656B1 (ko)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KR200291502Y1 (ko) 위생 신발장
CN105725900A (zh) 带翻转消毒功能的毛巾架
KR200316690Y1 (ko) 빨래 건조대
KR102015870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KR20140101641A (ko) 스탠드형 간이 건조기
KR100763344B1 (ko)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KR100758647B1 (ko) 신발 살균건조장치 및 방법
KR20049708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2136738B1 (ko) 세탁물 건조 장치
KR20100003022A (ko) 원적외선 빨래건조대
KR100497327B1 (ko) 빨래 건조함
KR20090115388A (ko) 원적외선 빨래 건조대
CN105686732A (zh) 毛巾架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CN110904650A (zh) 晾衣机
KR20190009140A (ko) 스마트형 건조장치
KR200332504Y1 (ko) 빨래 건조함
CN215133960U (zh) 一种消毒阳台柜
CN208920824U (zh) 一种具有除菌去味功能的烘干机
CN212213071U (zh) 一种自动烘干杀菌的智能衣柜
KR20080029344A (ko) 세탁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