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344B1 -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344B1
KR100763344B1 KR1020060051134A KR20060051134A KR100763344B1 KR 100763344 B1 KR100763344 B1 KR 100763344B1 KR 1020060051134 A KR1020060051134 A KR 1020060051134A KR 20060051134 A KR20060051134 A KR 20060051134A KR 100763344 B1 KR100763344 B1 KR 10076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unit
hot air
laundry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조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현 filed Critical 조상현
Priority to KR102006005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8Target temperature for the drying process, e.g. low-temperature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공간을 조절할 수 있고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는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열풍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진퇴가능하도록 주름진 측벽을 포함하여 세탁물의 건조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주름진 측벽의 진퇴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이 조절되는 건조부; 상기 캐비넷 내에 회전축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옷걸이대;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옷걸이대 사이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봉에 감겨지는 권선수만큼 상기 온걸이대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BUILT-IN TYPE FOLDABLE LAUNDRY DRIER}
도 1은 일반적인 세탁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세탁물 건조기 10,113 : 프레임
11,111: 건조공간 12,112 : 도어
13 : 삽입홈 21 : 상판
22 : 송풍구 23 : 송풍장치
24 : 송풍기 25 : 히터
26 : 확산기 27 : 흡입구
28 : 배수구 30,130 : 옷걸이봉
50,150 : 제어부 110, 210 : 캐비넷
114 : 고정부 120 : 건조부
126 : 분사부 128 : 분사구
135 : 덮개 140 : 측벽
142 : 레이스 145 : 측벽 지지바
150, 216 : 컨트롤러 155 : 롤러
160 : 덮개 지지바 170 : 적외선 수신부
171 : 메모리 172 : 온도감지센서
173 : 메인 컨트롤러 174 : 열풍기 구동회로
175 : 타이머 178 : 리모콘
180 : 열풍기 190 : 구동부
212 : 옷걸이대 214 : 모터
218 : 회전봉 220 : 지지와이어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공간을 조절할 수 있고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택은 거실과 통하여지는 소정 공간의 베란다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베란다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화초 및 관엽식물을 키우거나, 집안의 물건들을 보관하거나, 어린아이들의 놀이공간 또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베란다에는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세탁물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빨래 건조대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러한 세탁물 건조대는 베란다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된다. 이렇게 베란다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된 세탁물 건조대에 세탁물을 걸어 건조시킬 경우에는 세탁물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고 특히 베란다 창문을 열어 놓았을 경우에는 주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로 인해 세탁물이 다시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물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물이 각종 유해세균에 노출될 수 있다.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오염된 옷을 사용자가 입고다닐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가 오는 날에는 세탁물의 건조가 쉽지않고 더욱이 추운 겨울철에는 베란다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와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아 세탁물이 잘 건조되지 않거나 심한 경우 세탁물이 얼어 붙게되는 문제가 있고, 이를 감안할 경우에는 세탁물을 실내에 적당한 곳에 걸어 놓고 건조시킬 수 밖에 없으므로 실내환경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각형상의 함체가 밀폐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세탁물 건조기(1)는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 하부에 형성되어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처리실(20)과, 프레임(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옷걸이를 걸 수 있는 옷걸이봉(30)과, 열풍처리실(20)의 송풍장치(23)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사격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세탁물(6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세탁물 건조공간(11)이 형성되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세탁물 건조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12a)를 갖는 도어(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상부는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자연순환이 가능토록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의 상면에 다수의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옷걸이봉(30)이 삽입된다.
열풍처리실(20)은 프레임(10)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상면에는 다수의 송풍공(22)이 형성되어 송풍장치(23)에서 송출되는 열풍이 세탁물 건조공간(11)로 유입되도록 한다.
열풍처리실(20)의 내부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구(27)가 형성되고 이의 타측에는 세탁물 건조공간(11)의 세탁물에서 빠진 물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열풍처리실(20)의 중앙에는 송풍장치(23)가 형성되는데, 송풍장치(23)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24)가 형성 되고 송풍기(24)의 일측에는 송풍기(24)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25)가 형성되며 히터(25)의 일측에는 히터(25)를 통과한 열풍의 공기를 세탁물 건조공간(11)로 분사시키도록 확산기(26)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어부(50)의 스위치 작동에 의해서 구동하게 된다.
제어부(50)는 프레임(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코드(51)가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50)의 전원스위치를 온(ON) 오프(OFF) 작동시키면 전원스위치에 연결된 타이머(53)를 조작하여 송풍장치(23)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때 타이머(53)의 조작이 완료되면 전원은 트랜스(55)를 거쳐 송풍기(24)와 히터(25)를 구동시킴으로써 송풍기(24)를 거친 공기가 히터(25)로부터 발생된 열과 함께 열풍을 확산기(26)를 통하여 세탁물 건조공간(11)로 송출된다.
이러한 세탁물 건조기(1)는 아파트나 빌라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 설치한 다음 세탁물 건조기(1) 내부의 세탁물 건조공간(11)에 설치된 옷거리봉(30)에 세탁물(60)을 걸쳐놓고 송풍기(24)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를 히터(25)를 통해 가열하고 이 가열된 공기를 확산기(26)를 통하여 세탁물 건조공간(11) 내부의 세탁물을(60) 건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물 건조기(1)는 건조할 세탁물(60)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공간을 조절하여 공간 활 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는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열풍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진퇴가능하도록 주름진 측벽을 포함하여 세탁물의 건조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주름진 측벽의 진퇴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이 조절되는 건조부; 상기 캐비넷 내에 회전축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옷걸이대;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옷걸이대 사이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봉에 감겨지는 권선수만큼 상기 온걸이대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부는 사용자가 상기 건조공간 내외로 출입가능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부의 전면에서 상기 주름진 측벽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건조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좌우 측벽에 체결되어 상기 측벽을 지지하는 다수의 좌우 측벽 지지바; 일측이 상기 좌측벽 지지바와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우측벽 지지바와 체결되는 다수의 덮개 지지바; 상기 덮개 지지바들을 덮는 덮개;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좌우 측벽 지지바들 아래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 상기 건조공간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열풍기에 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건조공간 내로 고르게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100)는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캐비넷(110), 캐비넷(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190), 열풍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분사시키는 분사부(126), 캐비넷(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구동부(190)로 송신하는 제어부(150),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 건조공간(111)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건조시킬 세탁물이 없을 때에 캐비넷(110) 내로 삽입되는 건조부(120)를 구비한다.
건조부(120)는 출입구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113), 전면 프레임(113)과 캐비넷(110) 내의 벽면 사이에 설치된 주름진 좌우 측벽(140a, 140b), 좌우 측벽(140a, 140b)에 체결되어 그 측벽들(140a, 140b)을 지지하는 다수의 측벽 지지바(145), 좌우로 대향하는 측벽 지지바(145a, 145b)의 상단에 연결되는 아치형 덮개 지지바(160), 아치형 덮개 지지바(160)에 얹혀진 아치형 덮개(135), 아치형 덮개 지지바(160) 아래에서 좌우로 대향하는 측벽 지지바들(145a, 145b) 사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옷걸이봉(130), 인접한 옷걸이봉(130)에 체결되어 건조공간(111)의 크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바(165)로 구성된다.
캐비넷(110)은 사각형상의 함체로 제작되고, 아파트 발코니의 시공 단계에서 발코니 벽면에 내장될 수 있다. 세탁물 비건조시에 캐비넷(110) 내에 건조부(120) 전체가 삽입된다. 이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열풍기 및 건조시킬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공간(111)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부(120) 및 구동부(190)가 실장된다. 또한, 캐비넷(110)의 외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동방지수단 예컨대,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유동방지수단으로 레버가 설치된다면, 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캐비넷(110) 내에 삽입된 건조부(120)가 캐비넷(1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레버가 캐비넷(110)의 유동을 제한하거나 레버로부터 캐비넷(110)의 진퇴가 가능하도록 캐비넷(110)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레버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캐비넷(110)의 재질로는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캐비넷(110)의 전면에 부착된 전면 프레임(113)의 일측에는 열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설치된다.
전면 프레임(113)은 건조부(120)의 전면에서 건조부(120)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12)와 고정부(114)가 형성된다. 도어(112)에는 지퍼가 설치된다. 고정부(114)는 도어(112)가 개방되면 도어(112)를 말아서 고정부(114)에 고정시킨다.
프레임(113)의 좌우측 하단에는 접철 가능한 좌우 측벽(140a, 140b)과 체결되어 건조부(120)를 지지하며 전면 프레임(113)의 하측에는 전면 프레임(113)이 유동가능하게끔 롤러(15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면 프레임(113)은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측벽(140)은 좌우측에 접철 가능한 주름진 형태로 제작된다. 좌측벽(140a)의 전단은 전면 프레임(113)의 좌측단과 체결되고, 그 후단은 캐비넷(110) 내의 내벽면에 체결된다. 우측벽(140b)의 전단은 전면 프레임(113)의 우측단과 체결되고, 그 후단은 캐비넷(110)에 체결된다. 이러한 캐비넷(110), 측벽(140) 및 전면 프레임(113)의 체결을 통해서 건조공간(111)이 마련된다. 이러한 건조공간(111)은 측벽(140)이 접철되고 접철된 측벽이 다시 펴짐에 따라서 그 공간이 조절된다.
좌측벽(140a)에는 좌측벽(140a)을 지지하는 다수의 좌측벽 지지바(145a)가 체결되고 우측벽(140b)에는 우측벽(140b)을 지지하는 다수의 우측벽 지지바(145b)가 체결된다. 이러한 측벽 지지바(145)에는 옷걸이봉(130)이 체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옷걸이봉 체결부가 형성된다.
측벽(140)은 합성섬유 또는 내열 및 내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측벽(140)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측벽(140)의 접철에 따라서 그 길이가 조절되어 세탁물 건조공간(1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건조부(120)를 전방 즉, 전면 프레임(113)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측벽(140)의 주름이 펴지면서 건조공간(111) 넓어지게 되고, 건조부(120)를 후방의 캐비넷(110) 쪽을 향해 밀면 측벽(140)의 주름이 접혀지면서 내부의 건조공간(111)이 좁아진다. 건조부(120)를 후방으로 더 밀면 측벽(140)이 주름들에 의해 완전히 접철되면서 건조부(120) 모두가 캐비넷(110) 내부로 삽입된다. 측벽(140)의 하부에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레이스(142)가 형성되고, 측벽 지지바(145)가 체결된 측벽(140)의 하단에는 롤러(155) 가 설치되어 측벽(140)의 길이 조절이 용이토록 한다.
덮개 지지바(160)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일측 끝부분이 좌측벽 지지바(145a)와 체결되고 다른 일측 끝부분이 우측벽 지지바(145b)에 체결된다. 측벽 지지바(145)와 체결된 덮개 지지바(160)위에는 합성섬유 또는 내열 및 내수성 재질의 덮개(135)가 설치된다.
옷걸이봉(130)은 측벽 지지바(145)에 형성된 옷걸이봉 체결부에 체결되어 건조공간(111)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인접한 옷걸이봉(130)에는 세탁물의 건조시 건조공간(11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바(165)가 체결된다. 이러한 옷걸이봉(130)에 세탁물을 건 옷걸이 또는 세탁물을 걸쳐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열풍기(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82)와, 송풍기(182)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필터가 형성된 송풍구(183)와, 송풍기(18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84)로 구성된다.
송풍기(182)는 송풍구(18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송풍구(183)에는 공기필터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송풍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송풍기(182)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관(181)을 통해서 히터(184)로 보내진다.
히터(184)는 세라믹코아(185)와 열선(186)으로 구성되며 열선(186)이 가열되어 송풍기(182)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184)의 일측에는 히터(184)를 통과한 열풍을 건조공간(111)로 분사시키 는 다수의 분사구(128)가 형성된 분사부(126)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분사부(126)는 건조부(120)가 설치된 바닥면에 건조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건조부(120)의 크기 조절에 따라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이 체결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분사부(126)에는 다수의 분사구(128)가 형성된다. 열풍기(180)로부터 발생된 열풍은 분사부(126)에 형성된 분사구(128)를 통해서 건조공간(111)에 유입되어 건조공간(111)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캐비넷(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150)에는 세탁물 건조기(100)를 온(ON)/오프(OFF) 시키는 전원스위치(151)와, 열풍기(180)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강도를 제어하는 열풍제어 스위치(153)와 적외선 리모콘(178)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17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제어부(150)에 형성된 다수의 조작 스위치 또는 적외선 리모콘(178)을 이용하여 세탁물 건조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90)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기(180)와 열풍기(180)를 구동시키는 열풍기 구동회로(174)와 열풍기 구동회로(174)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73)와, 구동부(190)의 구동 프로그램 및 메인 컨트롤러(173)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71)와, 세탁물 건조기(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세(172)와, 세탁물 건조기(100)의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175)와 세탁물이 건조되는 건조부(120)로 구성된다.
타이머(175)는 사용자가 입력한 세탁물 건조기(100)의 작동시간을 메인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온도감지센서(172)는 세탁물 건조기(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세탁물 건조기(100) 내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메인 컨트롤러(173)로 온도감지 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건조시킬 세탁물을 건조공간(111)에 형성된 옷걸이봉(130)에 걸은 후 제어부(150) 또는 적외선 리모콘(178)의 조작을 통해 세탁물 건조기(100)를 작동시키면 메인 컨트롤러(173)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모리(171), 사용자가 타이머(175)에 설정한 건조시간 및 온도감지센서(17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열풍기 구동회로(174)를 제어한다.
열풍기 구동회로(174)는 메인 컨트롤러(173)의 제어에 따라서 열풍기(180)를 구동시킨다. 열풍기(18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를 히터(184)를 통해 가열하여 가열된 온풍을 다수의 분사구(128)가 형성된 분사부(126)를 통해 건조공간(111)로 분사시켜 건조공간(111)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는 벽면에 내장되는 캐비넷(210), 캐비넷(2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옷걸이대(212), 캐비넷(210) 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218), 회전봉(218)과 옷걸이대(212)의 끝단 사이에 감겨진 지지와이어(220), 캐비넷(210) 내에 설치되어 회전봉(218)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14), 모터(214) 및 도 6에 도시된 구동부(19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16)를 구비한다.
캐비넷(210)에는 도 3과 유사하게 주름진 측벽(140), 주름진 측벽(140)의 전단에 설치된 전면 프레임(113), 덮개(135), 그들 내부의 지지체(145, 16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주름진 측벽(140), 전면 프레임(113), 및 덮개(135)에 의해 마련된 건조공간(111)에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옷걸이대(212), 옷걸이봉(218), 및 지지와이어(220) 등이 위치한다.
옷걸이대(212)는 양측의 회전축(213) 사이에서 "ㄷ"자 형태로 절곡된 외곽 프레임(212a), 외곽 프레임(212a)의 양측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내부 프레임(212b)을 포함한다.
회전봉(218)은 모터(214)에 의해 회전하거나 수동으로 회전하여 자신과 옷걸이대(212)의 회전축(213) 반대편 끝단 사이에 감겨 있는 지지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한다. 즉, 회전봉(218)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회전봉(218)에 감겨지는 지지와이어(220)의 권선수가 증가하여 회전봉(218)과 옷걸이대(212) 사이의 지지와이어(220)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그 결과, 옷걸이대(212)가 지지와이어(220)에 연동하여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캐비넷(210) 안쪽으로 회동하여 캐비넷(210) 내로 내장된다. 반면에, 회전봉(218)이 타측으로 회전하면 회전봉(218)에 감겨지는 지지와이어(220)의 권선수가 감소하여 회전봉(218)과 옷걸이대(212) 사이의 지지와이어(220) 길이가 그만큼 길어지게 되고, 그 결과, 옷걸이대(212)가 지지와이어(220)에 연동하여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캐비넷(210) 바깥 쪽으로 회동하여 캐비넷(210) 외부로 개방된다.
개방된 옷걸이대(212)의 아래에는 도 3과 같은 방열 분사부(126)가 배치된다.
모터(214)는 컨트롤러(216)의 제어 하에 회전봉(218)을 회전시켜 옷걸이대(212)의 회동을 자동화한다.
컨트롤러(216)는 상기 모터(214) 이외에 개방된 옷걸이대(212) 쪽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도 6의 구동부(190)를 제어하여 옷걸이대(212)에 걸려진 세탁물에 대한 열풍 공급 동작 전체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216)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거나 도 6과 같이 무선 방식으로 원격 조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캐비넷, 구동부 및 세탁물의 건조공간이 조절가능한 건조부를 구비하여 구동부를 통해서 외부 공기를 흡입 가열하고 가열된 온풍을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통해서 건조부에 분사시켜 세탁물을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의 측벽을 접철이 가능토록 형성하여 건조할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 건조기의 건조공간을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물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건조부를 캐비넷 방향으로 밀어면서 접철시켜 캐비넷 내부로 실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과 방법을 통해 세탁물 건조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열풍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진퇴가능하도록 주름진 측벽을 포함하여 세탁물의 건조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주름진 측벽의 진퇴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이 조절되는 건조부;
    상기 캐비넷 내에 회전축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옷걸이대;
    상기 캐비넷 내에 설치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옷걸이대 사이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봉에 감겨지는 권선수만큼 상기 온걸이대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사용자가 상기 건조공간 내외로 출입가능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부의 전면에서 상기 주름진 측벽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건조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좌우 측벽에 체결되어 상기 측벽을 지지하는 다수의 좌우 측벽 지지바;
    일측이 상기 좌측벽 지지바와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우측벽 지지바와 체결되는 다수의 덮개 지지바;
    상기 덮개 지지바들을 덮는 덮개;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좌우 측벽 지지바들 아래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
    상기 건조공간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열풍기에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건조공간 내로 고르게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건조부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덮개는 합성섬유 또는 내열 및 내수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 및 프레임은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플라스틱의 재질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KR1020060051134A 2006-06-07 2006-06-07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KR10076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34A KR100763344B1 (ko) 2006-06-07 2006-06-07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34A KR100763344B1 (ko) 2006-06-07 2006-06-07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344B1 true KR100763344B1 (ko) 2007-10-04

Family

ID=3941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134A KR100763344B1 (ko) 2006-06-07 2006-06-07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3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41B1 (ko) 2010-06-01 2010-11-18 이상훈 건조대가 내장되는 수건수납장
KR101822379B1 (ko) * 2017-03-22 2018-01-26 이윤찬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CN108642818A (zh) * 2018-05-24 2018-10-12 苏州瓦尔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晾衣架
CN110331567A (zh) * 2019-07-30 2019-10-15 李炳义 一种衣物快速烘干设备
CN110629482A (zh) * 2019-09-19 2019-12-3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干衣装置
CN113047012A (zh) * 2021-01-28 2021-06-29 湘潭大学 一种窗帘式便携烘干衣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96Y1 (ko) * 2020-02-12 2020-09-14 한정구 펜스 연결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96Y1 (ko) * 2020-02-12 2020-09-14 한정구 펜스 연결 브라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41B1 (ko) 2010-06-01 2010-11-18 이상훈 건조대가 내장되는 수건수납장
KR101822379B1 (ko) * 2017-03-22 2018-01-26 이윤찬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CN108642818A (zh) * 2018-05-24 2018-10-12 苏州瓦尔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晾衣架
CN110331567A (zh) * 2019-07-30 2019-10-15 李炳义 一种衣物快速烘干设备
CN110629482A (zh) * 2019-09-19 2019-12-3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干衣装置
CN110629482B (zh) * 2019-09-19 2021-08-0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干衣装置
CN113047012A (zh) * 2021-01-28 2021-06-29 湘潭大学 一种窗帘式便携烘干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344B1 (ko) 내장형 접철 세탁물 건조기
KR101923031B1 (ko) 욕실용 건조부스
JP2008061733A (ja) 衣類乾燥システム
JP3600106B2 (ja) 衣類乾燥機
JP2011101785A (ja) 衣類の乾燥方法と衣類の乾燥システム
KR20120113644A (ko) 공기 분사 기능을 갖는 세탁물 건조 장치
CN2876649Y (zh) 一种干衣消毒柜
JP2006254883A (ja) 渋抜き装置を備えた柿の乾燥干し機器
KR200459092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세탁물건조기
KR100497325B1 (ko) 빨래 건조대
CN2613507Y (zh) 电热烘干干衣柜
KR20040092296A (ko)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KR20190139092A (ko) 수납 가구의 핸디형 옷장 클리너
KR102240519B1 (ko) 자동 빨래 건조대
CN105755777B (zh) 一种干衣晾衣柜
CN207405382U (zh) 室内用快速干衣装置
KR200316690Y1 (ko) 빨래 건조대
KR200298653Y1 (ko) 빨래 건조기
KR200380531Y1 (ko) 샤워바람식 빨래건조대
KR20080035936A (ko) 다목적용 건조기
KR200268735Y1 (ko) 빨래 건조장치
JP6087844B2 (ja) 洗濯物を乾かすための送風機
JP4672986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2351074B1 (ko) 빨래 건조대용 송풍장치
KR200335982Y1 (ko) 세탁물의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