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33Y1 - 천장식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천장식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33Y1
KR200483033Y1 KR2020150006279U KR20150006279U KR200483033Y1 KR 200483033 Y1 KR200483033 Y1 KR 200483033Y1 KR 2020150006279 U KR2020150006279 U KR 2020150006279U KR 20150006279 U KR20150006279 U KR 20150006279U KR 200483033 Y1 KR200483033 Y1 KR 200483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ire
drying unit
hole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주)세양아트
이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양아트, 이수현 filed Critical (주)세양아트
Priority to KR202015000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향상되고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이 용이한 가이드 롤러와,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고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시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부드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천장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각각 체결되어 와이어에 의해 변형되며, 천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승강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부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메인 건조부 및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부를 연결하되 서로 교차하는 링크부재를 힌지결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메인 건조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식 빨래 건조대{Clothes drying rack}
본 고안은 천장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고,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시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부드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천장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빨래 건조대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골조 구조물로서,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가공되어 좁은 면적에 많은 세탁물을 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스탠드형과, 측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벽걸이형 및 천정에 붙여 사용하는 천장형으로 크게 구분되며 각 타입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천장형 빨래 건조대의 경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주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베란다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천장형 빨래 건조대의 경우 제품으로 시판되어 사용된지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이미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빨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본질에 대한 기술개발보다는 "빨래 건조대(공개특허 10-2004-0053731)" 및 "천정 부착용 자동 빨래 건조대의 승하강 제어장치(공개실용신안 20-2009-0006051)"와 같이 빨래 건조대의 높이를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편리성과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편리성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모터, 제어부 등을 추가로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가 매우 높아져 실제 제품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빨래 건조대의 높낮이 조절시 와이어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와이어를 지탱하는 가이드 롤러에 매우 큰 하중이 가해져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 롤러가 정상적을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향상되고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이 용이한 가이드 롤러와,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고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시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부드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천장식 빨래 건조대를 개발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53731 (2004. 06. 24) 한국공개실용신안 10-2009-0006051 (2009. 06. 18)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향상되고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이 용이한 가이드 롤러와,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고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시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부드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천장식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각각 체결되어 와이어에 의해 변형되며, 천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승강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부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메인 건조부 및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부를 연결하되 서로 교차하는 링크부재를 힌지결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메인 건조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몸체 양쪽에 각각의 회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이에 따라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한 쌍의 회전부재에 의해 제1가이드 롤러 및 제2가이드 롤러가 용이하게 회전함으로써 지지부의 높이 조절이 쉬운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곡률지는 제1링크부재와 직선 형상의 제2링크부재를 교번하여 연결함으로써 딱딱한 느낌이 아닌 부드러운 느낌의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였다.
넷째, 본 고안은 꼬임방지부재를 적용하여 양가닥의 와이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조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지지부의 높이와 무관하게 와이어를 손쉽게 잡아당길 수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재와 와이어고정홀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후크 형상의 고리를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링크부재의 오작동을 방지하였다.
여섯째, 본 고안은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진 보조 건조부를 추가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에 더욱 많은 빨래를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보조 건조부의 수를 조절함에 건조 가능한 의류의 양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곱째, 본 고안은 보조 건조부를 별도의 공간을 추가하여 구비하는 것이 아닌 승강부에 구비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높이에 따라 빨래를 구분하여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제2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승강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보조 건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확장부재의 접은 상태(a) 및 펼친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지지부 및 메인 건조부, 승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스토퍼의 잠금(a) 및 풀림(b)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와이어고정홀 및 걸림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꼬임방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2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B-B'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가이드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100)는 한 쌍의 회전부재(110) 및 몸체(15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10)는 가이드 롤러(100)가 주변 시설물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몸체(150)가 회전부재(11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조의 편이성 및 부품의 호환성을 위해 회전부재(110)로 볼 베어링을 적용하였으나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른 종류의 베어링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150)는 가이드 롤러(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양단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50)의 내측 양단부에는 상술한 회전부재(110)가 각각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며 구비된다.
이러한 몸체(150)와 회전부재(11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회전부재(110)는 인서트 사출 시 몸체(150)를 이루고 있는 재료들이 중심부 방향으로 수축되며 회전부재(110)를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인서트 사출시 플라스틱 재료인 몸체(150)가 몸체(150)의 중심부에 위치한 회전부재(110)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면서 굳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회전부재(11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부재(110)의 외주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여 몸체(150)의 일부분이 홈에 삽입된 상태로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150)의 내측에 회전부재(110)가 하나만 구비되면 가이드 롤러(100)가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몸체(150)에 가해지는 하중이 매우 클 경우 하나의 회전부재(110)에 응력이 집중되어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롤러(100)는 하나의 몸체(150)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부재(110)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롤러(100)에 가해지는 응력이 양단부로 분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이에 따라 원활한 회전과 내구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구현하였다.
몸체(15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경사지는 플랜지부(151)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부(151) 사이에는 몸체(15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요철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플랜지부(151)는 몸체(15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대상물(후술하는 와이어(900)와 같은)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고 몸체(150)의 중심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152)에 의해 대상물과 몸체(150) 사이의 마찰력 및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대상물이 몸체(15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는 한 쌍의 고정부(200), 한 쌍의 승강부(300), 한 쌍의 지지부(400), 메인 건조부(500), 제1가이드 롤러(700), 스토퍼(800) 및 와이어(900)를 포함하며, 제1가이드 롤러(700)의 구조는 상술한 가이드 롤러(100)가 적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0)는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00)의 상면에는 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홀(210)이 형성되고,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측면에는 후술하는 승강부(30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라이딩홀(220)이 이격 형성된다.
마주보는 한 쌍의 슬라이딩홀(220) 사이에는 제1가이드 롤러(700) 또는 스토퍼(800)가 위치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가이드 롤러(700)가 위치하는 고정부(200)를 제1고정부(201), 스토퍼(800)가 위치하는 고정부(200)를 제2고정부(202)라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부(300)는 한 쌍의 고정부(200)에 각각 체결되어 자바라식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링크부재(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링크부재(3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320)와, 한 쌍의 제1링크부재(320) 끝단부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다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는 한 쌍의 제2링크부재(330)를 포함하며, 가장 상측에 위치한 한 쌍의 제1링크부재(320)는 상술한 한 쌍의 슬라이딩홀(22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서로 교차하는 링크부재(310)의 중심부는 핀과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후술하는 와이어(900)에 가해지는 텐션에 따라 제1링크부재(320)의 끝단부가 슬라이딩홀(220)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링크부재(320) 사이의 간격과 제2링크부재(3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승강부(300)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320)는 양단부가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곡률지게 경사지는 곡률플레이트(321)와, 곡률플레이트(321)의 양측면을 따라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플레이트(322)를 포함하며, 제2링크부재(330)는 직선 형상의 평판플레이트(331)와, 평판플레이트(331)의 양측면을 따라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플레이트(332)를 포함한다.
즉, 곡률지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320)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링크부재(330)가 서로 교번하며 연결됨으로써 딱딱하고 단조로워 보일 수 있는 승강부(300)의 형상을 보다 부드럽게 하여 시각적 아름다움과 안정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절곡플레이트(322)와 제2절곡플레이트(332)를 형성함으로써 승강부(300)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해지는 하중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한 쌍의 승강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건조부(6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보조 건조부(600)의 양 끝단부는 서로 교차하는 링크부재(310)를 연결한다.
즉, 일반적인 천장식 빨래 건조대의 경우 후술하는 메인 건조부(500)만으로 의류를 건조하게 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의 경우 메인 건조부(500)뿐만 아니라 보조 건조부(6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공간에 더욱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 건조부(600)의 수량을 조절함에 따라 건조할 수 있는 의류의 양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320)와 제2링크부재(330)는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전개 및 절첩 가능한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보조 건조부(600) 양단부 각각이 연결부재를 대신하여 서로 교차하는 제1링크부재(320)와 제2링크부재(330)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조 건조부(600)와 링크부재(310)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610)와 확장부재(6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힌지결합과 동일하게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확장부재(620)는 보조 건조부(6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확장부재(620)는 장착홀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체결부재(6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홀(62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상측에는 보조 건조부(600)의 끝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6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부재(620)를 장착홀에 삽입한 후 체결부재(610)를 회전시키면서 결합홀(621)에 삽입시키면 체결부재(610)의 외경만큼 확장부재(620)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장착홀의 내측에 확장부재(62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부(300) 끝단에는 각각 지지부(400)가 결합되며, 지지부(400)에는 상술한 고정부(200)와 동일하게 한 쌍의 슬라이딩홀(220)이 형성되어 승강부(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지지부(400)에는 빨래와 같은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건조부(500)가 결합되며, 메인 건조부(500)는 다수 개의 걸이봉(5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걸이봉(510)을 구비하였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봉안착홀(420) 역시 4개를 형성하였지만 걸이봉(510)의 수가 달라지면 봉안착홀(420)의 수량 역시 달라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00)에는 걸이봉(510)이 견고하게 삽입 안착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봉안착홀(420)이 이격 형성되며, 이러한 봉안착홀(420)은 걸이봉(510)을 결합할 때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610) 없이 수작업만으로 손쉽게 결합 가능하도록 걸이봉(5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1안착홀(421)과, 제1안착홀(4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안착홀(422)을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안착홀(421)이 제2안착홀(422)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서로 연통되며, 걸이봉(510)의 끝단부를 제2안착홀(422)을 통해 삽입한 후 제1안착홀(421)에 안착시킴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다수 개의 봉안착홀(4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봉안착홀(420) 중 일부는 제1안착홀(421)과 제2안착홀(422)이 직선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00)에는 후술하는 와이어(900)의 끝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고정홀(410)이 형성되며, 와이어고정홀(410)은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직경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는 제1삽입홀(411) 및 제2삽입홀(412)과, 제1삽입홀(411) 및 제2삽입홀(412)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서로를 연통하며 형성되는 연결홀(413)을 포함한다.
제1고정부(201)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롤러(700)는 와이어(900)를 잡아당겼을 때 와이어(900)가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천정식 빨래 건조대의 경우 대량의 빨래가 걸려있을 경우 빨래 건조대와 빨래를 더한 전체 하중이 제1가이드 롤러(700) 및 스토퍼(800)에 가해지므로 상술한 가이드 롤러(10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여 하중의 분산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800)는 와이어(90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제2고정부(202)에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8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202)에 구비되는 하우징(810)과, 하우징(810) 내에 회전핀(84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 롤러(820)와, 하우징(8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며 와이어(900)의 상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자유롤러(830)를 포함하며, 제2가이드 롤러(820)러와 자유롤러(830) 사이에 와이어(900)가 위치한다.
이때, 자유롤러(830)가 위치하는 하우징(810)의 후면은 반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와이어(900)에 가해지는 텐션 방향에 따라 자유롤러(83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자유롤러(830)와 제2가이드 롤러(820) 사이에 와이어(900)가 강제 끼임 또는 해제되면서 와이어(90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가이드 롤러(820) 역시 매우 큰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이드 롤러(10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900)는 제1가이드 롤러(700) 및 스토퍼(800)를 경유하여 한 쌍의 지지부(400)에 양 끝단이 연결됨으로써 지지부(400)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부에는 걸림부재(910)가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고정홀(410)에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부재(910)는 와이어(900)의 끝단이 내측에서 벤딩된 후 양 가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 양단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납작한 형상을 가진다. 걸림부재(910)의 전체 두께는 상술한 와이어고정홀(4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상술한 와이어고정홀(410)과 대응되는 직경 및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부재(910)가 구비된 와이어(900)의 끝단부가 와이어고정홀(410)을 통과한 후 지지부(400)의 무게에 의해 텐션이 작용되면 걸림부재(910)에 의해 와이어고정홀(4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일반적인 후크구조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링크부재(31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승강부(300)의 외측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와이어(900)의 일측에는 메인 손잡이(920)가 구비되며, 와이어(900)의 일단부가 메인 손잡이(920)의 일측을 관통하여 벤딩됨으로써 두 가닥이 된다.
이렇게 벤딩된 와이어(900)의 양 끝단은 스토퍼(800)의 내측에 위치한 제2가이드 롤러(820)와 자유롤러(830) 사이를 통과한 후 한쪽 끝단은 제2고정부(202)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400)에 연결되고, 나머지 끝단은 제1가이드 롤러(7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후 제1고정부(201)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40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메인 손잡이(920)를 잡아당길 경우 와이어(900)에 그 힘이 1차적으로 전달된 후 와이어(900)의 끝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부(400)로 다시 힘이 전달되며, 이때 가해진 힘에 의해 링크부재(310)의 구조가 변형되면서 지지부(40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하나의 메인 손잡이(920)를 기준으로 하나의 와이어(900)가 양가닥으로 벤딩되었기 때문에 메인 손잡이(920)를 잡아당길 경우 양가닥의 와이어(900)에 동일한 힘이 전달되지 못하고 불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손잡이(920)를 중심으로 양가닥의 와이어(900)가 동일하게 잡아당기거나 풀리지 않고 어느 한 가닥이 더 많이 잡아당기거나 풀리게 되며, 결국 와이어(900)가 스토퍼(800) 내외측에서 꼬여 천장식 빨래 건조대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천장식 빨래 건조대는 메인 손잡이(920)의 상측에 위치하고 메인 손잡이(920)를 중심으로 벤딩된 와이어(900)의 양가닥을 고정하는 꼬임방지부재(93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꼬임방지부재(930)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1밀착유닛(931)과 제2밀착유닛(933)을 포함하며, 제1밀착유닛(931)과 제2밀착유닛(933)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림돌기(932)가 돌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밀착유닛(931)과 제2밀착유닛(933) 사이에 와이어(900)의 양가닥을 위치시킨 후 제1밀착유닛(931)과 제2밀착유닛(933)을 밀착시키면서 걸림돌기(932)를 이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함으로써 두 가닥의 와이어(900)가 따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꼬임방지부재(930)에 의해 와이어(900)의 양가닥에 균일한 힘이 전달된다.
이러한 꼬임방지부재(930)는 와이어(900)의 양가닥에 균일한 힘을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보조 손잡이의 기능도 한다. 즉, 와이어(900)의 길이와 지지부(400)의 높이에 따라 상술한 메인 손잡이(920)가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거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손잡이(920)를 잡아당기기 위해 허리를 숙이거나 손을 밑으로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꼬임방지부재(930)는 메인 손잡이(920)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메인 손잡이(920)가 아래측에 위치하더라도 꼬임방지부재(930)를 잡아당겨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가이드 롤러 110 : 회전부재
150 : 몸체 200 : 고정부
220 : 슬라이딩홀 300 : 승강부
310 : 링크부재 400 : 지지부
410 : 와이어고정홀 420 : 봉안착홀
500 : 메인 건조부 510 : 걸이봉
600 : 보조 건조부 700 : 제1가이드 롤러
800 : 스토퍼 900 : 와이어
920 : 메인 손잡이 930 : 꼬임방지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각각 체결되어 와이어에 의해 변형되며, 천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승강부;
    상기 한 쌍의 승강부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메인 건조부; 및
    피건조물을 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부를 연결하되 서로 교차하는 링크부재를 힌지결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메인 건조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롤러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스토퍼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및 스토퍼를 경유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양 끝단이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부가 곡률지게 경사지는 제1링크부재와, 직선 형상의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1링크부재 또는 제2링크부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며 연결되되,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는 서로 교번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고정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과,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서로를 연통하며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와이어고정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관통 삽입되어 벤딩되는 메인 손잡이와,
    상기 메인 손잡이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손잡이를 중심으로 벤딩된 상기 와이어의 양가닥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꼬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고정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자유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자유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건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의 걸이봉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는 각각의 걸이봉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봉안착홀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봉안착홀은 상기 걸이봉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1안착홀과 상기 제1안착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안착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안착홀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안착홀과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식 빨래 건조대.
  12. 삭제
KR2020150006279U 2015-09-21 2015-09-21 천장식 빨래 건조대 KR200483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79U KR200483033Y1 (ko) 2015-09-21 2015-09-21 천장식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79U KR200483033Y1 (ko) 2015-09-21 2015-09-21 천장식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33Y1 true KR200483033Y1 (ko) 2017-03-27

Family

ID=5849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79U KR200483033Y1 (ko) 2015-09-21 2015-09-21 천장식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5129A (zh) * 2018-06-30 2018-10-09 靖江市悦达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监室用防自杀晾衣架
CN113789643A (zh) * 2021-09-29 2021-12-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285A (ja) * 1994-06-15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40053731A (ko) 2003-03-27 2004-06-24 (주)우리기술 빨래 건조대
KR20080074516A (ko) * 2007-02-09 2008-08-13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KR20090006051A (ko) 2005-12-20 2009-01-14 포비스 메디-테크 인코포레이티드 하나 이상의 파이토스테롤 및/또는 파이토스탄올, 또는이들의 유도체, 및 고 에이치엘비 유화제를 포함하는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285A (ja) * 1994-06-15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40053731A (ko) 2003-03-27 2004-06-24 (주)우리기술 빨래 건조대
KR20090006051A (ko) 2005-12-20 2009-01-14 포비스 메디-테크 인코포레이티드 하나 이상의 파이토스테롤 및/또는 파이토스탄올, 또는이들의 유도체, 및 고 에이치엘비 유화제를 포함하는조성물
KR20080074516A (ko) * 2007-02-09 2008-08-13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5129A (zh) * 2018-06-30 2018-10-09 靖江市悦达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监室用防自杀晾衣架
CN113789643A (zh) * 2021-09-29 2021-12-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机
CN113789643B (zh) * 2021-09-29 2024-05-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98888B (zh) 改进衣架
KR200483033Y1 (ko) 천장식 빨래 건조대
KR100717589B1 (ko) 접철식 행어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CN205474442U (zh) 洗衣机
KR20170001285U (ko) 난간 설치용 건조대
KR101048379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접혀지는 빨래 건조대
KR100960813B1 (ko) 접철식 빨래건조대
AU2014339741B2 (en) Drying assembly
US7188741B1 (en) Over the door support apparatus
PT888071E (pt) Guarda-sol com base de apoio
KR20110005722U (ko) 옷걸이
KR100452187B1 (ko) 빨래건조대
KR101885176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976072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JP3747201B2 (ja) 室内用物干しに於ける吊掛棒
KR20026870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JP2006280872A (ja) 物干し具
KR100799173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376202Y1 (ko) 빨래건조대용 건조장치
KR102100218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294325Y1 (ko) 빨래건조대
CN211022081U (zh) 一种便携式晾衣架
KR102573912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옷걸이
KR101889966B1 (ko) 빨래건조대용 역회전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