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285U - 난간 설치용 건조대 - Google Patents

난간 설치용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285U
KR20170001285U KR2020150006544U KR20150006544U KR20170001285U KR 20170001285 U KR20170001285 U KR 20170001285U KR 2020150006544 U KR2020150006544 U KR 2020150006544U KR 20150006544 U KR20150006544 U KR 20150006544U KR 20170001285 U KR20170001285 U KR 20170001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rod
hinge
arm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섭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2020150006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28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일체로 형성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절곡된 힌지블록과, 상기 힌지블록의 결속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암 및 상기 힌지블록을 관통하여 힌지 암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난간 설치용 건조대{clothes horse}
본 고안은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난간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손쉬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대는 이불이나 각종 빨래 등의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통상 특정 장소에 이동식 혹은, 고정식으로 설치되면서 단일 혹은, 복수의 건조물을 널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집합건물에 제공되는 베란다는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건조를 위한 건조물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최근에는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면서 건조물에 대한 실외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건조대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공보 제10-1203704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934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무게가 무거운 건조물(예컨대, 이불 등)의 건조시 건조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를 가진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원형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난간에 대하여는 그의 설치가 극히 어렵고,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건조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난간의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었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생산 원가를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704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934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난간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손쉬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일체로 형성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절곡된 힌지블록과, 상기 힌지블록의 결속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암 및 상기 힌지블록을 관통하여 힌지 암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암은 그 하부에 힌지 체결된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이 상기 난간의 수직 봉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은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그 내부에 논-슬립 패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암은 축선 방향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 암과 로드는 각각 힌지 암과 로드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힌지블록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힌지 암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결속 핀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 암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속 홀 및 상기 레버의 끝단이 상기 힌지 암을 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암은 그 자유단에 로드가 설치되어 힌지 암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힌지 암은 로드의 인출을 단속하는 길이조절유닛이 마련되되,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로드의 표면에 형성되되 로드의 인출방향을 따라 나열된 걸림 홈 및 상기 걸림 홈에 부합하게 상기 힌지 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게 상기 힌지 암의 일부가 절개된 탄성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의하면, 클램프와 홀더에 의해 건조대가 난간의 수평 봉 및 수직 봉과 결속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여 건조대의 설치가 편리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건조대의 폭 및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빨래를 건조시킬 때에는 건조대의 폭 및 길이를 최대로 하고, 건조대를 난간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보관할 때에는 건조대의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는 힌지 암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그 위치가 변경하여 힌지 암을 보강하는 지지대가 마련되어 많은 양의 빨래가 건조대에 널리더라도 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 암을 접어 보관할 때 힌지 암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거리며 난간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는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10), 클램프(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절곡된 힌지블록(20), 힌지블록(20)의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암(30) 및 힌지블록(20)을 관통하여 힌지 암(3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4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클램프(10)는 본 고안의 건조대를 아파트, 빌라 등의 베란다에 시공된 난간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난간의 최상층에 해당하는 수평 봉(1)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형상을 갖되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난간의 수평 봉이 클램프(10)에 물리게 된다.
이때, 클램프(10)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클램프(10)의 내경 지름은 난간의 수평 봉(1)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클램프(10)가 난간의 수평 봉(1)에 끼워졌을 때 클램프(10)의 탄성력에 의해 난간의 수평 봉(1)을 조임하게 된다.
이렇게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10)의 정면에는 힌지블록(20)이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블록(20)은 클램프(10)의 정면에서 난간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데, 힌지블록(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중공 관 형상을 갖고 힌지 암(30)과 결속 핀(50)을 통해 결속되어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힌지 암(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힌지블록(20)은 하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힌지 암(30)이 회전하게 될 때 힌지 암(3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힌지 암(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암(30)의 타단이 결속 핀(50)에 의해 힌지블록(20)과 결속되어 힌지 암(30)이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힌지 암(30)은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게 로드(31)가 설치된다. 로드(31)는 힌지 암(30)의 자유단에 설치되되 힌지 암에 부합하게 사각형의 중공 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로드(31)는 힌지 암(30)의 축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축선을 갖도록 힌지 암(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힌지 암(30)을 신축시킬 때 로드(31)를 힌지 암(30)의 자유단에서 인출시켜 힌지 암(30)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 암(30)은 로드(31)의 인출을 단속하는 길이조절유닛(21)이 마련된다.
즉, 길이조절유닛(21)은 힌지 암(30)의 자유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로드(31)에 형성된 걸림 홈(22), 힌지 암(30)에 형성되는 걸림 턱(23) 및 걸림 턱(23)이 걸림 홈(22)을 억압하게 걸림 턱(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2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유닛(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표면에 형성되되 로드의 인출방향을 따라 걸림 홈(2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 또한, 걸림 홈(22)에 부합하게 힌지 암(30)의 내측면에 걸림 턱(23)이 형성되는데, 걸림 턱(23)은 힌지 암(30)의 일부가 절개된 탄성편(24)에 형성되어 걸림 턱(23)이 걸림 홈(22)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여 억압하게 되어 로드(31)가 힌지 암(30)으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힌지 암(30)과 로드(31)는 각각 힌지 암(30)과 로드(31)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32)가 마련되어 본 고안의 건조대를 난간의 수평 봉(1)에 대한 축선방향으로 신축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대(32)는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각각 형성되어 상대편에 위치한 힌지 암(30) 및 로드(31)를 향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대(32)는 신축되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제 1 연결대(32a)와 제 2 연결대(32b)로 구성되고, 제 2 연결대(32b)는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에 삽입된다.
제 1 연결대(32a)는 어느 일측에 위치한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설치되되 힌지 암(30) 및 로드(31)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건조대의 폭방향)으로 마련되고, 상대편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제 2 연결대(32b)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대(32b)의 자유단이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에 삽입되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게 되면 필요에 따라 건조대를 폭 방향으로 가변시켜 건조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 암(30)을 힌지블록(20)으로부터 회전시켜 힌지 암(30)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하기 위해 힌지블록(20)과 힌지 암(30)에 각도조절유닛(40)이 마련된다. 각도조절유닛(40)은 도 2 및 도 3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1), 결속 홀(42) 및 탄성부재(43)로 구성된다.
레버(41)는 힌지블록(20)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힌지 암(30)의 측면, 즉, 힌지 암(30)의 타단에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33)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원형의 플레이트(33)에는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다수의 결속 홀(42)이 형성되어 레버(41)의 끝단이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힌지 암(30)이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레버(41)의 끝단이 해당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힌지 암(30)이 무단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41)의 끝단이 힌지 암(30)을 향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레버(41)에는 탄성부재(43)가 개재되는데, 힌지블록(20)을 관통한 레버(41)의 일단 외경에는 걸림 턱(41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43)가 걸림 턱(41a)과 힌지블록(2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41)를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는 한 레버(41)는 탄성부재(43)로부터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그 끝단이 힌지 암(30)의 원형 플레이트(33)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난간의 수평 봉(1)에 설치된 힌지블록(20)으로부터 힌지 암(30)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때 사용자는 힌지블록(20)으로부터 돌출된 레버(41)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레버(41)의 끝단을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속 홀(42)로부터 인출시킨 후 힌지 암(30)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후 잡아당기고 있던 레버(41)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43)에 의해 레버(41)가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각도 조절이 된 힌지 암(3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건조대를 난간에 설치하기 위해 먼저 클램프(10)를 난간의 수직 봉(2)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10)가 설치되면 힌지 암(30)을 난간의 외측을 향하도록 펼치게 되며, 이때 힌지 암(30)의 각도를 각도조절유닛(40)을 통해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 암(30)의 각도가 조절되면 힌지 암(30)으로부터 로드(31)를 인출시킨 후 빨래를 연결대(32)에 널게 된다.
그리고, 빨래를 널지 않을 경우에는 건조대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힌지 암(30)을 접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난간 설치용 건조대에 의하면, 클램프(10)와 홀더(61)에 의해 건조대가 난간의 수평 봉(1) 및 수직 봉(2)과 결속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여 건조대의 설치가 편리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건조대의 폭 및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빨래를 건조시킬 때에는 건조대의 폭 및 길이를 최대로 하고, 건조대를 난간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보관할 때에는 건조대의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어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는 힌지 암(30), 로드(31), 연결대(60)가 원형이 형상을 갖으며, 힌지 암(30)이 펼쳐 졌을 때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대(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4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10)의 상부에는 힌지블록(20)이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블록(20)은 클램프(10)의 상부에서 난간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구조를 갖는데, 힌지블록(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힌지 암(30)과 결속 핀(50)을 통해 결속되어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힌지 암(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힌지블록(20)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힌지 암(30)이 회전하게 될 때 힌지 암(3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되어 힌지 암이 회전하게 될 때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힌지 암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암(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암(30)의 타단에 원형의 플레이트(33)가 형성되며 플레이트(33)의 중심이 결속 핀(50)에 의해 힌지블록(20)과 결속된다. 따라서, 힌지 암(30)은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힌지 암(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힌지 암(30)은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게 로드(31)가 설치된다. 로드(31)는 힌지 암(30)의 자유단에 설치되되 힌지 암(30)의 축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축선을 갖도록 힌지 암(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힌지 암(30)을 신축시킬 때 로드(31)를 힌지 암(30)의 자유단에서 인출시켜 힌지 암(30)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 암(30)의 자유단에 삽입되는 로드(31)는 외경에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로드(31)가 힌지 암(30)으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힌지 암(30)에 삽입된 로드(31)의 일부가 원뿔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로드(31)가 힌지 암(30)의 자유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따라 로드(31)의 외경이 힌지 암(30)의 자유단에 억압되어 로드(31)가 힌지 암(30)으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 암(30)과 로드(31)는 각각 힌지 암(30)과 로드(31)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32)가 마련되어 본 고안의 건조대를 난간의 수평 봉(1)에 대한 축선방향으로 신축하게 된다. 이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는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연결대(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대(32)는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각각 형성되어 상대편에 위치한 힌지 암(30) 및 로드(31)를 향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대(32)는 신축되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제 1 연결대(32a)와 제 2 연결대(32b)로 구성되고, 제 2 연결대(32b)는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에 삽입된다.
제 1 연결대(32a)는 어느 일측에 위치한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설치되되 힌지 암(30) 및 로드(31)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건조대의 폭방향)으로 마련되고, 상대편 힌지 암(30) 및 로드(31)에 제 2 연결대(32b)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대(32b)의 자유단이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에 삽입되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게 되면 필요에 따라 건조대를 폭 방향으로 가변시켜 건조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 연결대(32b)는 외경에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제 1 연결대(32a)에 삽입된 제 2 연결대(32b)의 일부가 원뿔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따라 제 2 연결대(32b)의 외경이 제 1 연결대(32a)의 자유단에 억압되어 제 2 연결대(32b)가 제 1 연결대(32a)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힌지 암(30)을 힌지블록(20)으로부터 회전시켜 힌지 암(30)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하기 위해 힌지블록(20)과 힌지 암(30)에 각도조절유닛(40)이 마련된다. 각도조절유닛(40)은 도 2 및 도 3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1), 결속 홀(42) 및 탄성부재(43)로 구성된다.
레버(41)는 힌지블록(20)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힌지 암(30)의 측면, 즉, 힌지 암(30)의 타단에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33)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원형의 플레이트(33)에는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다수의 결속 홀(42)이 형성되어 레버(41)의 끝단이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힌지 암(30)이 결속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레버(41)의 끝단이 해당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힌지 암(30)이 무단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41)의 끝단이 힌지 암(30)을 향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레버(41)에는 탄성부재(43)가 개재되는데, 힌지블록(20)을 관통한 레버(41)의 일단 외경에는 걸림 턱(41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43)가 걸림 턱(41a)과 힌지블록(2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41)를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는 한 레버(41)는 탄성부재(43)로부터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그 끝단이 힌지 암(30)의 원형 플레이트(33)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난간의 수평 봉(1)에 설치된 힌지블록(20)으로부터 힌지 암(30)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때 사용자는 힌지블록(20)으로부터 돌출된 레버(41)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레버(41)의 끝단을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속 홀(42)로부터 인출시킨 후 힌지 암(30)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후 잡아당기고 있던 레버(41)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43)에 의해 레버(41)가 결속 홀(42)에 삽입되어 각도 조절이 된 힌지 암(3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힌지 암(30)이 도 7과 같이 난간의 외측으로 펼쳐져 젖은 빨래가 연결대(32)에 놓여져 하중이 가해질 때 힌지 암(30)을 보강할 수 있게 힌지 암(30)에는 지지대(60)가 마련된다. 지지대(60)는 힌지 암(30)의 하부에 힌지 체결되며, 지지대(60)의 자유단은 난간의 수평 봉(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게 지지하는 수직 봉(2)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대(60)의 자유단은 수직 봉(2)에 결속되는 홀더(61)가 마련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홀더(61)는 앞서 설명한 클램프(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홀더(61)는 원통의 형상을 갖되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수직 봉(2)이 홀더(61)에 물리게 된다.
이때, 홀더(61)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홀더(61)의 내경 지름은 수직 봉(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홀더(61)가 수직 봉(2)에 끼워졌을 때 홀더(61)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 봉(2)을 조임하게 된다.
또한, 홀더(61)는 그 내부에 논-슬립 패드(62)가 마련되어 수직 봉(2)에 홀더(61)가 물렸을 때 수직 봉(2)의 표면과 논-슬립 패드(62)가 접촉하게 되어 홀더(61)가 수직 봉(2)과 결속되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논-슬립 패드(62)는 고무와 같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홀더(61)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 봉(2)을 조일 때 논-슬립 패드(62)도 이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어 수직 봉(2)의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60)의 자유단에 마련되는 홀더(61)는 지지대(60)의 자유단과 힌지 결속되어 지지대(60)의 기울어짐에 따라 홀더(61)가 수직 봉(2)에 밀착되도록 각도가 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을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설치용 건조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건조대를 난간에 설치하기 위해 먼저 클램프(10)를 난간의 수직 봉(2)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 암(30)에 마련된 지지대(60)의 자유단이 수평 봉(1)을 지지하는 난간의 수직 봉(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클램프(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지대(60)의 자유단에 마련된 홀더(61)를 수직 봉(2)과 결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10)가 설치되면 힌지 암(30)을 난간의 외측을 향하도록 펼치게 되며, 이때 힌지 암(30)의 각도를 각도조절유닛(40)을 통해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 암(30)의 각도가 조절되면 힌지 암(30)으로부터 로드(31)를 인출시킨 후 빨래를 연결대(32)에 널게 된다.
그리고, 빨래를 널지 않을 경우에는 건조대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힌지 암(30)을 접게 되는데, 이때 각도조절유닛(40)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힌지 암(30)을 수직 봉(2)과 평행한 상태를 갖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 암(30)에 마련된 지지대(60)는 힌지 암(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지지대(60)의 홀더(61)가 수직 봉(2)의 적정한 곳에 위치할 수 있게 사용자가 그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 암(30)에 지지대(60)가 마련되면 많은 양의 빨래가 건조대에 널리더라도 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 암(30)을 접어 보관할 때 힌지 암(30)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거리며 난간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클램프(10)가 난간의 수평 봉(1)에 결속될 때 더욱 견고하게 클램프(10)가 수평 봉(1)에 결속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5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0)의 개방된 부분에는 볼트와 너트가 결속되는 서포터(11)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의 조임에 따라 클램프(10)가 수평 봉을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도 있다.
1 : 수평 봉 2 : 수직 봉
10 : 클램프 11 : 서포터
20 : 힌지블록 21 : 길이조절유닛
22 : 걸림 홈 23 : 걸림 턱
24 : 탄성편 30 : 힌지 암
31 : 로드 32 : 연결대
32a : 제 1 연결대 32b : 제 2 연결대
33 : 플레이트 40 : 각도조절유닛
41 : 레버 41a : 걸림 턱
42 : 결속 홀 43 : 탄성부재
50 : 결속 핀 60 : 지지대
61 : 홀더 62 : 논-슬립 패드

Claims (6)

  1. 난간에 설치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와 일체로 형성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절곡된 힌지블록;
    상기 힌지블록의 결속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암; 및
    상기 힌지블록을 관통하여 힌지 암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은 그 하부에 힌지 체결된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이 상기 난간의 수직 봉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은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그 내부에 논-슬립 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은 축선 방향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 암과 로드는 각각 힌지 암과 로드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힌지블록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힌지 암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레버;
    상기 결속 핀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 암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속 홀; 및
    상기 레버의 끝단이 상기 힌지 암을 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은 그 자유단에 로드가 설치되어 힌지 암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힌지 암은 로드의 인출을 단속하는 길이조절유닛이 마련되되,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로드의 표면에 형성되되 로드의 인출방향을 따라 나열된 걸림 홈; 및
    상기 걸림 홈에 부합하게 상기 힌지 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게 상기 힌지 암의 일부가 절개된 탄성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설치용 건조대.
KR2020150006544U 2015-10-05 2015-10-05 난간 설치용 건조대 KR201700012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4U KR20170001285U (ko) 2015-10-05 2015-10-05 난간 설치용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4U KR20170001285U (ko) 2015-10-05 2015-10-05 난간 설치용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85U true KR20170001285U (ko) 2017-04-13

Family

ID=5860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44U KR20170001285U (ko) 2015-10-05 2015-10-05 난간 설치용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28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173A (zh) * 2017-11-07 2018-02-16 广西大学 一种仿含羞草的曲柄滑块可折展单元晾衣架
CN109576961A (zh) * 2019-01-16 2019-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架及具有该衣架的电暖器
CN109730457A (zh) * 2019-01-09 2019-05-10 夏高强 一种具有两种晾晒方式的多功能的衣柜
KR101987027B1 (ko) * 2018-01-29 2019-06-10 이제우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102218159B1 (ko) * 2019-09-04 2021-02-23 최지훈 소독형 빌트인 건조대
CN115110277A (zh) * 2022-07-05 2022-09-27 广东晾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旋转的晾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47A (ko) 1996-12-31 1998-10-07 손욱 플리커리스 음극선관용 이중 층의 형광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03704B1 (ko) 2009-09-25 2012-11-21 이기명 옥외용 건조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47A (ko) 1996-12-31 1998-10-07 손욱 플리커리스 음극선관용 이중 층의 형광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03704B1 (ko) 2009-09-25 2012-11-21 이기명 옥외용 건조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173A (zh) * 2017-11-07 2018-02-16 广西大学 一种仿含羞草的曲柄滑块可折展单元晾衣架
KR101987027B1 (ko) * 2018-01-29 2019-06-10 이제우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CN109730457A (zh) * 2019-01-09 2019-05-10 夏高强 一种具有两种晾晒方式的多功能的衣柜
CN109730457B (zh) * 2019-01-09 2020-12-08 广东皮阿诺科学艺术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两种晾晒方式的多功能的衣柜
CN109576961A (zh) * 2019-01-16 2019-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架及具有该衣架的电暖器
KR102218159B1 (ko) * 2019-09-04 2021-02-23 최지훈 소독형 빌트인 건조대
CN115110277A (zh) * 2022-07-05 2022-09-27 广东晾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旋转的晾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285U (ko) 난간 설치용 건조대
CA2846740C (en) Collapsible hat rack
KR101920054B1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US3058707A (en) Christmas tree holder
US8296879B2 (en) Foldable bed
KR200483033Y1 (ko) 천장식 빨래 건조대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US9282832B2 (en) Corner clamp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spension poin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KR20110007989U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379339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리접지대가 설치된 이젤
KR200173946Y1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0349479Y1 (ko) 천장 빨래 건조대
KR20026870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329603B1 (ko)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KR101704968B1 (ko) 빨래 건조대
KR102091545B1 (ko) 빨래 건조대
KR200491589Y1 (ko)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976662A (en) Support for ironing-boards and similar devices.
JP3927166B2 (ja) 物干し用折畳式ハンガー
KR200347478Y1 (ko) 빨래 건조대
CA3040208A1 (en) Device for airing out blankets and the like
KR200447054Y1 (ko) 접철식 빨래건조대의 버팀대 고정용 클립
US4275826A (en) Pants rack
KR20180017960A (ko)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