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968B1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68B1
KR101704968B1 KR1020160054433A KR20160054433A KR101704968B1 KR 101704968 B1 KR101704968 B1 KR 101704968B1 KR 1020160054433 A KR1020160054433 A KR 1020160054433A KR 20160054433 A KR20160054433 A KR 20160054433A KR 101704968 B1 KR101704968 B1 KR 10170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line
support
horizontal connection
support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향순
Original Assignee
진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향순 filed Critical 진향순
Priority to KR102016005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연결부의 양단에 제1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연결부의 양단에 제2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를 펴거나 접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중간에 힌지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신축성을 갖는 빨랫줄과, 일단부는 상기 제1 수평연결부의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의 중앙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빨랫줄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제1 및 지2지지대를 펼친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으로 탄성을 갖는 빨랫줄을 팽팽하게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며 지지하여 전체적으로 빨래 건조대를 펼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 {FOLDING LANDUARY HANGER}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빨래를 널기 위해 빨랫줄을 펼친 상태에서 텐션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신축성있는 플랫(flat) 형상의 빨랫줄로 적용하여 빨래를 널어 접히더라도 충분한 통풍 공간을 확보하여 건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빨래 건조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두고 사용할 때는 펼쳐서 실내나 실외에서 빨래를 널어 건조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417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고정브라켓, 한쌍의 U자형 틀로 이루어지며 이 틀의 각 단부에 L자형 회전브라켓의 일측이 고정되는 지지대, 한쌍의 U자형 틀로 이루어지며 이 틀의 각 단부에 L자형 회전브라켓의 일측이 고정되는 빨래걸이부, 및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빨래걸이부를 지지하는 제1받침대로 구성되고, 지지대와 빨래걸이부의 각 L자형 회전브라켓의 다른 일측이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지지대의 L자형 회전브라켓은 내측에 그리고 빨래걸이부의 L자형 회전브라켓은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지지대의 L자형 회전브라켓은 축회전시 고정브라켓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나 빨래걸이부의 L자형 회전브라켓은 자유롭게 축회전 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양측의 빨래걸이부를 한손으로 빨래걸이부를 수평으로 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지지대에 받침대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빨래걸이부를 지지하고, 빨래걸이부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손으로 빨래걸이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받침대를 하측으로 회동킨 후 빨래걸이부를 하측으로 회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빨래 건조대는 지지대와 빨래걸이부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빨래걸이부를 편 상태에서 받침대를 지지하더라도 빨래걸이부의 단부에 무거운 빨래를 널어놓는 경우 빨래걸이부의 단부가 받침대의 받침부위를 중심으로 하부로 처지며 파손되는 취약성이 있다.
더욱이 지지대와 빨래걸이부의 체결구조 및 받침대 구조로 인해 전체적으로 빨래 건조대의 구조가 복잡하고, 빨래 건조대를 편 상태에서도 약간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빨래걸이부가 받침대에서 이탈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도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빨래를 널기 위해 빨랫줄을 펼친 상태에서 텐션을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빨래 건조대가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봉이나 단순 원형 단면 구조를 갖는 빨랫줄 대용으로 일정폭을 갖는 신축성을 갖는 플랫(flat) 형상의 빨랫줄을 적용하여 빨래를 너는 경우 빨래가 접히더라도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연결부의 양단에 제1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연결부의 양단에 제2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를 펴거나 접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중간에 힌지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신축성을 갖는 빨랫줄과, 일단부는 상기 제1 수평연결부의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의 중앙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빨랫줄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제1 및 지2지지대를 펼친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으로 탄성을 갖는 빨랫줄을 팽팽하게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며 지지하여 전체적으로 빨래 건조대를 펼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폭을 갖는 신축성을 갖는 플랫(flat) 형상의 빨랫줄을 적용하여 빨래를 널어도 빨랫줄의 일정폭에 의해 통풍공간이 확보되어 빨래의 건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고정구 및 지지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고정구 및 고정관체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빨랫줄 및 이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텐션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텐션조절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연결부(110)의 양단에 제1 지지부(120)가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대(100)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연결부(210)의 양단에 제2 지지부(220)가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대(200)와,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를 펴거나 접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의 중간에 힌지결합되는 중심축(300)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신축성을 갖는 빨랫줄(400)과, 일단부는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의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의 중앙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빨랫줄(40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 지지대(100)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연결부(110)의 양단에 제1 지지부(120)가 절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120)의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120)의 하단에는 마감구(130)로 마감처리함으로서 바닥에 지지하는 경우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지지부(120)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제작함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대(200)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연결부(210)의 양단에 제2 지지부(220)가 절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지지부(220)의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부(220)의 하단에는 마감구(230)로 마감처리함으로서 바닥에 지지하는 경우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지지부(220)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틀 형상으로 제작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는 전체적으로 금속관체를 굴곡시켜 제작하며 표면에 도금 또는 도장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의 중간부분을 교차시키고 중심축(300)의 전후 양단에 힌지결합된다. 이 경우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1 지지대(100)의 제1 지지부(120) 사이에 제2 지지대(200)의 제2 지지부(220)가 위치하도록 사이즈를 달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대(100)의 제1 수평연결부(110)와 제2 지지대(200)의 제2 수평연결부(210)는 빨래를 널어놓을 수 있는 빨랫줄(400)의 양단부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빨랫줄(400)은 빨래를 널면 접히더라도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일정폭을 갖는 신축성을 갖는 플랫 형상의 빨랫줄로서, 설정폭(예를 들어 10 ~ 20㎜)을 갖는 플랫(flat)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두줄 이상의 탄성을 갖는 나일론, 합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와이어(41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연질 PE 등의 합성수지를 플랫(flat) 형상으로 압출하여 피복(420)을 형성한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빨랫줄(400)은 상기 제1 지지대(100)의 제1 수평연결부(110)와 제2 지지대(200)의 제2 수평연결부(210) 사이에 상하면이 평평한 상태로 고정되어 빨래를 널더라도 빨랫줄(400)의 너비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며 접히게 되어 통풍이 잘 이루어지므로 빨래의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빨랫줄(400)은 복수가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간격은 일정 간격(예를 들어 50 ~ 100㎜)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대(100)의 제1 수평연결부(110)와 제2 지지대(200)의 제2 수평연결부(210)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빨랫줄(400)은 양단을 제1 지지대(100)의 제1 수평연결부(110)와 제2 지지대(200)의 제2 수평연결부(210)를 감싸고 클립 등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복수의 빨랫줄(400)는 사용중에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고정된 설치 위치를 벗어날 우려가 높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빨랫줄(40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구(600)가 각각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600)는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마주하도록 나사 등의 체결수단(602)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빨랫줄(40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된다. 특히 고정구(600)가 제1 수평연결부(110)와 제2 수평연결부(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수단(602)은 리벳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구(600)는 몸체(610)의 후면에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밀착되도록 대응되게 곡면 형상의 밀착면(62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하측에 지지공간(40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빨랫줄(400)의 단부를 접은 상태로 삽입되는 하부관통공(63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하측 후단에는 빨랫줄(400)의 지지공간(401)에 쫄대(421)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되는 쫄대안착홈(632)이 하부관통공(630)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상측에는 상기 빨랫줄(400)이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를 감싼 상태로 통과하는 상부관통공(6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쫄대(421)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요철(4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쫄대안착홈(632)에는 요철(634)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통공(630)에 빨랫줄(400)이 쫄대(421)를 감싼 상태로 지지되면 빨랫줄(400)이 미끄러지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610)의 후측에는 상기 빨랫줄(400)의 말단부위(402)가 안착되는 지지홈(622)이 형성된다.
이상의 고정구(600)를 이용해 빨랫줄(400)을 고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고정구(600)의 하부관통공(63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빨랫줄(400)을 지지공간(401)이 생기도록 접어 관통시키고 지지공간(401)에 쫄대(421)를 끼워 쫄대안착홈(632)에 압입한다. 이후 빨랫줄(400)의 말단부위(402)를 지지홈(622)에 위치시킨 후 몸체(610) 후면의 밀착면(620)을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602)인 리벳을 사용해 일체로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에도 빨랫줄(40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관체(700)가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관체(700) 역시 리벳 등의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관체(700)는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가 관통되도록 몸체(710)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7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710)의 하단 외측에는 빨랫줄(400')의 지지공간(401)에 쫄대(7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쫄대안착홈(732)이 형성되는 쫄대안착부(73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712) 내에는 빨랫줄(400')이 안착되는 지지홈(740)이 관통부(7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때, 상기 쫄대(720)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쫄대안착홈(732)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빨랫줄(400')이 쫄대(720)를 감싼 상태로 지지되면 빨랫줄(400')이 미끄러지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고정관체(700)를 이용한 빨랫줄(400')을 고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고정관체(700)의 관통부(712)로 빨랫줄(400')을 통과시킨 후 지지공간(401)이 생기도록 접고 지지공간(401)에 쫄대(720)를 끼워 쫄대안착홈(732)에 압입한다. 이후 빨랫줄(400')을 지지홈(7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를 관통부(712)로 관통시켜 적절한 높이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관체(700)를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빨랫줄(400)은 탄성을 갖는 플랫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를 근접시켜 빨래 건조대(1)를 접철시에는 빨랫줄(400)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처지게 되고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를 펼치는 경우 여전히 빨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텐션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빨랫줄(400)이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텐션조절수단(500)으로 빨랫줄(400)의 텐션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텐션조절수단(500)은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가 안착되는 힌지공(512)이 몸체(510)에 형성되며 몸체(511)의 일측에 고정돌부(514)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510)와, 상기 고정돌부(514)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봉(520)과, 상기 지지봉(520)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532)이 형성되는 볼트부재(530)와, 상기 볼트부재(53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542)가 형성되는 너트부재(540)와, 상기 너트부재(540)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가 지지되는 지지홈(555)이 형성되는 가압부재(5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51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몸체(511)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가 관통되어 안착되는 힌지공(51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몸체(511)의 일측에는 고정돌부(514)가 돌출 형성되며, 고정돌부(514)의 표면에는 결합공(5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510)의 고정돌부(51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봉(520)의 일단부에 삽입되며 지지봉(520)과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봉(520)의 일단부에는 결합공(515)에 대응되는 체결공(5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를 힌지공(512)에 끼워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의 중간부분에 회전부재(5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봉(520)의 일단부에 회전부재(510)의 고정돌부(514)를 삽입한 후 체결공(525)을 결합공(515)에 일치 시킨 후 체결수단(526)인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일체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20)의 타단에 결합되는 볼트부재(530)는 몸체(531)의 외주면에 수나사산(532)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고정돌부(533)가 형성되어 지지봉(520)의 타단에 삽입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부(533)의 외주면에는 지지홈(53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533)를 지지봉(520)의 타단에 삽입한 후 콕킹 처리하여 고정돌부(534)를 지지봉(520)에 일체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볼트부재(532)에는 암나사(542)가 형성되는 너트부재(540)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부재(540)는 몸체(541)의 외주면에 널링 또는 돌기(545) 등을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540)의 일단부를 상기 볼트부재(53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시켜 너트부재(540)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53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너트부재(540)는 타단부 외주면에 지지턱(543)이 형성되어 가압부재(55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재(550)는 몸체(551)의 일단부에 너트부재(54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5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55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가 밀착되는 지지홈(55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50)의 삽입홈(5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너트부재(540)의 타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543)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돌기(55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551)의 타단부 하측에는 받침부(554)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의 하측을 받쳐줌으로서 제2 수평연결부(210)가 안정적으로 가압부재(55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재(550)의 받침부(554)에 제2 수평연결부(210)를 받쳐놓은 상태에서 너트부재(5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부재(53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재(550)가 제2 수평연결부(210)를 가압하면서 제2 수평연결부(210)가 지지홈(555)에 밀착되며, 너트부재(5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부재(530)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재(550)가 제2 수평연결부(210)에 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제2 수평연결부(210)를 지지홈(555)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50)의 몸체(55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552)의 중앙에는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을 갖는 다각 가이드공(556)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530)는 몸체(531)의 타단부에는 상기 다각 가이드공(556)에 삽입되어 전후진되는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의 다각 가이드돌부(536)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볼트부재(530)의 다각 가이드돌부(536)가 상기 가압부재(550)의 몸체(551)의 일단부의 가이드공(556)에 삽입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55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텐션조절수단(500)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하더라 가압부재(550)가 헛돌지 않아 상기 가압부재(550)의 받침부(554)에 제2 수평연결부(210)를 곧바로 받쳐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550)의 몸체(551)의 타단 상측에는 제2 수평연결부(210)이 타고넘을 수 있는 경사면(557)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550)의 몸체(551)의 타단 상측에 제2 수평연결부(210)를 받침부(554) 방향으로 밀착시 경사면(557)을 타고 넘어 빨랫줄(400)이 당겨지게 되어 약간의 너트부재(540) 조절만으로도 제2 수평연결부(210)가 지지홈(555)에 지지되는 빨랫줄(400)을 더욱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수단(500)을 작동시켜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 사이가 멀어지도록 가압하면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 사이에 고정되는 빨랫줄(400)이 팽팽하게 텐션이 작용하게 되어 빨래 건조대(1)의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줌은 물론 빨랫줄(400)이 팽팽하게 펼여진 상태에서 빨래를 널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빨랫줄(400)이 팽팽하게 펼여진 상태에서 빨래를 너는 경우 여전히 빨랫줄이 아래로 처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빨랫줄(400)과 직각으로 지지부재(80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8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금속재 와이어(810)로 이루어지며 양단을 절곡하여 고정부(820)를 형성하여 복수의 빨랫줄(400) 중 외측의 빨래줄(400a)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내측의 빨래줄(400b)의 하부를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와이어(810)가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800)는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의 중간에 전후방향으로 설치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제1 또는 제2 수평연결부(110,210)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800)의 중간부분은 지지봉(520)에 지지되므로 빨래줄(400)의 처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빨래 건조대(1)를 사용시에는 중심축(300)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를 X자 형상으로 펼치면 빨랫줄(400)이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빨래 건조대(1)가 불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로서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 상단의 전후방향으로 빨랫줄(400)이 늘어진 상태로 빨래를 널어놓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텐션조절수단(500)을 제1 수평연결부(110)을 중심으로 수평 회동시켜 가압부재(550)의 받침부(554)에 제2 수평연결부(210)를 받쳐놓은 상태에서 너트부재(540)를 일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550)가 제2 수평연결부(210)를 가압하면서 밀게 되어 제2 수평연결부(210)가 지지홈(555)에 밀착되면서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 사이에 고정되는 빨랫줄(400)이 팽팽하게 텐션이 작용하게 되어 빨래 건조대(1)의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줌은 물론 빨랫줄(400)이 팽팽하게 펼여진 상태에서 빨래를 널 수 있다.
이후, 빨래를 널어 건조시킨 후 빨래 건조대(1)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너트부재(540)를 타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550)가 제2 수평연결부(210)에 가한 가압력이 저하되면서 제2 수평연결부(210)를 지지홈(555)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550)에서 제2 수평연결부(210)를 이탈시킨 후 하측으로 제1 수평연결부(110)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시킨 후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빨래 건조대 100: 제1 지지대
200: 제2 지지대 300: 중심축
400: 빨랫줄 500: 텐션조절수단
600: 고정구 700: 고정관체
800: 지지부재

Claims (12)

  1.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연결부(110)의 양단에 제1 지지부(120)가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대(100)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연결부(210)의 양단에 제2 지지부(220)가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대(20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를 펴거나 접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의 중간에 힌지결합되는 중심축(300)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신축성을 갖는 빨랫줄(400)과, 일단부는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의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의 중앙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빨랫줄(40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500)으로 이루어진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랫줄(400)은 설정폭을 갖는 플랫(flat) 형상의 신축성 빨랫줄로서, 탄성을 갖는 탄성 와이어(410) 여러가닥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연질 합성수지를 플랫(flat) 형상으로 압출하여 피복(420)을 형성한 것이고;
    상기 텐션조절수단(500)은 상기 제1 수평연결부(110)가 안착되는 힌지공(512)이 몸체(510)에 형성되며 몸체(511)의 일측에 고정돌부(514)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510)와, 상기 고정돌부(514)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봉(520)과, 상기 지지봉(520)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532)이 형성되는 볼트부재(530)와, 상기 볼트부재(53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542)가 형성되는 너트부재(540)와, 상기 너트부재(540)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가 지지되는 지지홈(555)이 형성되는 가압부재(5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550)는 몸체(551)의 일단부에 너트부재(54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너트부재(540)의 타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543)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돌기(55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55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가 밀착되는 지지홈(555)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551)의 타단부 하측에는 상기 제2 수평연결부(210)의 하측을 받쳐주는 받침부(55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551)의 타단부 상측에는 제2 수평연결부(210)를 받침부(554) 방향으로 밀착시 타고넘을 수 있는 경사면(557)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550)는 몸체(551)의 일단부에 다각 가이드공(556)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530)는 몸체(531)의 타단부에는 상기 다각 가이드공(556)에 삽입되어 전후진되는 다각 가이드돌부(5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빨랫줄(40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구(600)가 체결수단(602)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0)는 몸체(610)의 후면에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에 밀착되도록 대응되게 곡면 형상의 밀착면(62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하측에 지지공간(40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빨랫줄(400)의 단부를 접은 상태로 삽입되는 하부관통공(63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하측 후단에는 빨랫줄(400)의 지지공간(401)에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요철(422)이 형성된 쫄대(421)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되는 쫄대안착홈(632)이 하부관통공(630)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상측에는 상기 빨랫줄(400)이 제1 및 제2 수평연결부(110,210)를 감싼 상태로 통과하는 상부관통공(6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쫄대안착홈(632)에는 요철(634)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통공(630)에 빨랫줄(400)이 쫄대(421)를 감싼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몸체(610)의 후측에는 상기 빨랫줄(400)의 말단부위(402)가 안착되는 지지홈(62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100,2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20,220)에는 빨랫줄(40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관체(700)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랫줄(400)과 직각으로 지지부재(80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8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와이어(810)로 이루어지며 양단을 절곡하여 고정부(820)를 형성하여 복수의 빨랫줄(400) 중 외측의 빨래줄(400a)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내측의 빨래줄(400b)의 하부를 와이어(810)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54433A 2016-05-03 2016-05-03 빨래 건조대 KR10170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433A KR101704968B1 (ko) 2016-05-03 2016-05-03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433A KR101704968B1 (ko) 2016-05-03 2016-05-03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68B1 true KR101704968B1 (ko) 2017-02-08

Family

ID=5815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433A KR101704968B1 (ko) 2016-05-03 2016-05-03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650A (ko) * 2018-06-03 2019-12-11 김규현 접이식 빨래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22U (ko) * 2010-01-28 2011-08-03 김영식 다목적 건조대
KR20120085346A (ko) * 2011-01-22 2012-08-01 정명철 세탁물 간편고정장치
KR200464173Y1 (ko) * 2011-06-23 2012-12-14 한충국 빨래고정장치를 갖는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150028129A (ko) * 2013-09-05 2015-03-13 조남규 개폐식 세탁물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22U (ko) * 2010-01-28 2011-08-03 김영식 다목적 건조대
KR20120085346A (ko) * 2011-01-22 2012-08-01 정명철 세탁물 간편고정장치
KR200464173Y1 (ko) * 2011-06-23 2012-12-14 한충국 빨래고정장치를 갖는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150028129A (ko) * 2013-09-05 2015-03-13 조남규 개폐식 세탁물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650A (ko) * 2018-06-03 2019-12-11 김규현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2100218B1 (ko) * 2018-06-03 2020-04-13 김규현 접이식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280B1 (en) Portable clothes hanging rod
US8870145B1 (en) Clothes hanging assembly
US20170112334A1 (en) Towel rack
KR101704968B1 (ko) 빨래 건조대
US20160348300A1 (en) Drying assembly
KR200468280Y1 (ko) 건조 장치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KR101689523B1 (ko)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 간격과 각도 조절용 건조장치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50027232A (ko) 빨래 건조대
KR101885176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180120833A (ko) 스탠드형 의류 건조대
US11246363B2 (en) Hair extension washboard
KR101687148B1 (ko)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20110057946A (ko) 빨래 건조대 연장장치
KR102100218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063101B1 (ko) 이부자리 건조대
KR200376202Y1 (ko) 빨래건조대용 건조장치
KR101877762B1 (ko) 협소한 공간용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0808556B1 (ko)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KR20100127085A (ko) 빨래 건조용 햇빛 공급장치
KR200473369Y1 (ko) 베란다 거치형 햇볕 건조대
KR101680209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73082Y1 (ko) 건조 장치
KR200309353Y1 (ko) 건조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옥외 세탁물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