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835A -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835A
KR20030094835A KR1020020032159A KR20020032159A KR20030094835A KR 20030094835 A KR20030094835 A KR 20030094835A KR 1020020032159 A KR1020020032159 A KR 1020020032159A KR 20020032159 A KR20020032159 A KR 20020032159A KR 20030094835 A KR20030094835 A KR 2003009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work type
type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832B1 (ko
Inventor
김우영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 엘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콘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엘콘시스템
Priority to KR10-2002-003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건축, 토목공사 등과 같은 건설공사 또는 공정관리가 필요한 각종 공사의 공정표작성의 기준을 정의하고, 상기 기준인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켬퓨터 시스템상에서 입력하여 공정표상의 액티비티를 생성하고, 상기 액티비티 각각의 선, 후행관계를 자동적으로 결정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 및 공종분류에 따른 공정표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공정표작성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적, 비용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정상의 액티비티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공간정보와 작업공종정보가 상기 시스템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및 저장되는 단계(s10); 상기 입력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의해 공정상의 액티비티 및 액티비티의 선, 후행 관계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단계(s20); 및 상기 선, 후행관계가 생성된 액티비티에 의해 공정표가 작성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automation method of making process schedule using space hierarchy and work hierarchy information}
본 발명은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특정 건축, 토목공사 등과 같은 건설공사 또는 공정관리가 필요한 각종 공사의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는 켬퓨터 시스템상에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하여 액티비티를 생성하고, 각각의 액티비티의 선, 후행관계를 자동적으로 결정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 및 공종분류에 따른 공정표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공정표작성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적, 비용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사에 있어 공사관리는 크게 보면 실제 공사를 위한 기획, 설계단계에서 정하여진 작업스케쥴에 따라 소요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현장의 실제작업을 관리하는 활동을 지칭하며, 좁게 보면 공사관리레벨에 따른 작업스케쥴에 따라 세부공종을 도시한 공정표를 기준으로 소요품질을 확보하면서 공사를 완성시키는 활동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상기 공정표작성은 공사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관리수단이 된다고 할 것이며, 특히 건설공사에 있어 공정표 작성은 공사초기 단계에서부터 포괄적, 세부적으로 작성되어,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수시로 확인되고, 수정되는 작업에 의해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공정표는 건설공사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종래에는 상기 건설공사의 공정표를 작성함에 있어 발주처 등에서 제공된 설계도면 및 내역서를 근거하여 수행해야할 관리레벨에 따라 수많은 단위작업 즉, 액티비티를 생성한 후, 이러한 액티비티를 Next pert, 프리마벨라와 같은 상용 공정관리프로그램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단위작업들 간의 선, 후행 관계를 작업기간을 고려하여 역시 수작업으로 연결시켜 최종적인 공정표를 막대그래프형 공정표 등과 같은 각종 형식으로 출력하여 실제 공사관리에 이용되고 있다.
건설공사의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액티비티 수는 500개에서 2000개 정도가이용되는데, 상기 액티비티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 선, 후행 관계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고, 이를 수작업으로 모두 연결시키는 작업 또한 건설공사의 전반적인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공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에 따라 작성되는 공정표의 정확성 및 세부구성이 다를 수밖에 없어, 최초의 작업자가 작성한 공정표를 후임자와 같은 새로운 작업자가 이를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투자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작업자라 할지라도 설계변경 등에 의해 공정표를 수정하고자 할 때, 새로운 공정의 도입에 의한 공정표 제작 작업 시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많고, 새로운 공종의 액티비티와 다른 기존 공종의 액티비티와 연계시키는 작업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각 공종에 따른 수많은 액티비티를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정관리프로그램에 입력하거나 상기 액티비티의 선, 후행관계를 일일이 입력하는 수고로움을 덜고, 나아가 작성된 공정표를 수정하거나 작업자가 원하는 관리레벨에 따른 공정표를 용이하게 출력하여 볼 수 있는 새로운 공정표 작성방법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공정표작성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공정표 작성작업과 같이 수많은 액티비티의 입력 및 각 액티비티의 선, 후행 연결관계를 각 공종에 따라 작업자가 별도로 입력하지 않도록, 특정 공사에 대한 세부 공종에 대한 공간 및 공종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라면누구라도 가독 가능한 보편적인 기준으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에 의한 액티비티 및 그 선, 후행관계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공정표 작성작업에 의한 수많은 액티비티 및 그 선,후행 관계를 입력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공정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에 관한 구성도의 구체예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작성방법의 순서도의 구체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상기 도3 상태에서 작업자가 계층적공간정보를 입력, 저장시키는 구체예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상기 도3 상태에서 기본 작업기간을 입력, 저장시키는 구체예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상기 도3 상태에서 전체 액티비티가 자동으로 생성, 저장되는 구체예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의 유형을 작업자가 선택하는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를 기준으로 작업공종정보의 공간순서가 도시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작업공종정보를 기준으로 작업공종정보의 공간순서가 도시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보조계층적 공간정보를 기준으로 작업공종정보의 공간순서가 도시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작업공종정보를 기준으로 작업공종정보의 공종순서가 도시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액티비티의 선,후행관계 설정방식의 구체예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최종적인 액티비티의 선,후행관계의 구체예이다.
본 발명은 공사관리에 필요한 공정표 작성이 가능한 켬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공정표의 세부내용이 되는 액티비티 및 그 선, 후행 관계를 나타내는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이 제공됨으로서(계층적공간 및 작업공종정보가 켬퓨터 시스템 상에 입력), 이를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레벨(작업자가 임의로 정하는 작업의 계층적레벨, 즉 상급관리자는 진행되어야 할 공사의 상위레벨, 예컨대 건물의 경우 단지별 공사진행과정을 알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고, 하급관리자는 보다 세부적인 층별 공사진행과정을 알기를 원하는 것이 통상적이다.)의 공정표를 종래의 수많은 액티비티 및 그 선, 후행관계를 수작업으로 입력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자동 작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은 포괄적으로는 후술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작업자가 상기 켬퓨터 시스템상의 모니터에 현시되는 작업창에서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후, CD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이러한 입력, 저장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가 특정 켬퓨터프로그램에 의하여 공정표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로 가공된 것을 지칭하며 구체적으로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의미하며 이하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준의 입력, 저장 및 가공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 상기 기준을 처리할 수 있는 특정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켬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이하 도1 내지 도13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이 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먼저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공정표 작성방법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의 정의>
계층적공간정보는 작업자의 기준에 따라서 특정공사(건설공사를 기준으로 한다.)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건축물이 형성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건물의 경우 그 건물이 속하는 단지, 공구, 동, 층 등과 같이 건물을 공간적으로 특정 지울 수 있는 공간(SPACE)정보를 의미하며, 그 정보의 세부내용은 그 건물의 속하는 단지와 같은 상위개념으로부터, 그 건물내부의 층과 같은 하위개념까지 계층적구조(HIERARCHY)로서 분류된다. 이러한 계층적구조로 이루어진 공간정보를 본 발명에서는 계층적공간정보(SH)라 하며, 이러한 계층적 공간정보를 도시한 것이 도1이다. 즉 계층적 공간정보의 최상위 레벨을 SH1(예컨데, 건물의 특정 단지) 이라 한다면, 상기 SH1레벨의 바로 아래 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는 SH11 및 SH12(예컨대 건물의 특정단지의 특정 동)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 이하의 계층적공간정보는 SH111,SH112,SH113,SH114,SH115,SH116(예컨대 건물의 특정단지의특정 동의 특정 층)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층적공간정보는 공정표 작성 세부내역을 위한 집계 및 관리에 이용되는 기준역할을 하게된다. 즉 상기 계층적공간정보에 따라 공정표의 세부내역이 결정된다.
상기 계층적공간정보는 3가지 레벨의 계층적분류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으며 건물의 특성에 따라 더 다양한 계층적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각 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는 그 사이사이에 보조계층적공간정보(본 발명에서는 SECTION(절)이라 지칭한다.)가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계층적공간정보의 내용상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가 다수의 상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에 속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1에서 공간적으로 층에 대한 공간정보 SH111(1층),SH112(2층),SH113(3층),SH114(4층),SH115(5층),SH116(6층) 중 각 층의 공간정보는 크게는 SH11 레벨(특정 동)의 계층적공간정보에 속하게 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는 공정표 작성상 각 층에 대한 공종분류적 특성을 가지는 철골, 외벽과 같은 보조적인 계층구조에 속하도록 구성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계층적구조는 본 발명에서 절(SECTION)에 의해 정의된다.
즉 건물에 있어 철골절 및 외벽절이라는 보조계층적공간정보는 도1에서 SH11 과 SH111 레벨의 사이에 SE11, SE12, SE13, SE21 및 SE22 등과 같이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보조계층적공간정보 중 철골절은 설치위치상 1층(SH111), 2층(SH112) 및 3층(SH113) 등과 같은 다수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외벽절이라는 보조계층적공간정보도 1층(SH111), 2층(SH112) 등과 같은 다수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을 포함할 수 있어, 동일한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가 다수의 상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에 속할 수 있어 계층적공간 위계에 있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보조적으로 보조계층적공간정보를 정의하여 이용하게 되는데 도1에서는 SE11,SE12 및 SE13는 하위레벨로서 2개씩의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를 포함하고, SE21 및 SE22는 하위레벨로서 3개씩의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건물의 특성 또는 작업자에 따라 그 수 및 어느 레벨 사이에 속하는 가는 변경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특정레벨의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용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입력, 저장된 계층적공간정보는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 도3에서 동, 철골절, 마감절 및 층이 이에 속하게 되며, 각 층은 지하 2층으로부터 지상 8층까지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공종정보(WH)는 공사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되는 추상화된 작업분류정보로서, 공사를 구성하는 각 작업을 유형별로 나눈 것이다. 이를 도3의 입력창 좌측단의 건축공사(세부적으로는 공통가설공사, 가설공사, 철근 및 콘크리트 공사, 조적공사, 방수공사 등), 토목공사, 전기공사 및 설비공사 등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통상 내역서 상의 공사분류에 따른 세부 공사로서 정의된다고 할 것이어서, 작업공종정보의 수 및 세부공종은 당연히 공사 및 작업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계층적공간정보(SH) 및 작업공종정보(WH)는 켬퓨터시스템상에서는 구체적으로 코드화되어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입력,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이용된다.
상기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따라 본 발명의 액티비티가 정의될 수 있는데, 상기 액티비티는 각 작업공종정보에 계층적공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서 공정표상에 표현되는 구체적인 작업공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액티비티는 작업자가 지정하는 구체적인 계층적레벨 및 작업공종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개략공정표를 작업자가 작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되도록 상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의해, 세부공정표를 작업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위레벨부터 특정 하위레벨의 계층적공간정보 및 세부 작업공종정보가 정의되어 액티비티가 정의되는데, 그 예를 도시한 것이 도7이다. 상기 도7에서는 작업자가 정의한 계층적공간정보(WH) 및 작업공종정보(SH)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다수의 액티비티가 생성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계층적공간정보는 작업공종정보에 따라 일정한 순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본 발명에서 공간순서라한다. 예컨대 조적공사라는 세부 작업공종정보는 공간상으로 지하2층, 지하1층,......,지상 1층,지상 2층...,지상 8층과 같은 레벨로 작업이 순서적 선,후행 관계를 이루면서 구성 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공종기준의 계층적공간작업순서를 공간순서라하고, 작업공종정보는 특정 계층적공간정보에 따라 일정한 순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본 발명에서 공종순서 라한다. 예컨대 지상3층이라는 세부 계층적공간정보는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레미콘타설, 양생, 거푸집해체, 조적공사, 미장공사...등과 같은 레벨로 공종이 순서적 선,후행 관계를 이루면서 구성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계층적공간기준의 공정작업순서를 공종순서라 한다.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본 발명의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은 소정의 건축 또는 제조분야와 같이 공정관리를 위한 정보를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공정상의 액티비티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공간정보와 작업공종정보가 상기 시스템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및 저장되는 단계(s10); 상기 입력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의해 공정상의 액티비티 및 액티비티의 선,후행 관계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단계(s20); 및 상기 선, 후행관계가 생성된 액티비티에 의해 공정표가 작성되는 단계(s30)를 포함하며, 도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s10 단계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켬퓨터시스템상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창을 이용하여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이로서 공정표상에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액티비티가 자동적으로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s10단계는 세부적으로, 공정표를 작성해야할 대상에 따른 상위공간개념 및 하위공간개념에 의한 공간순서인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 및 구체적인 공종순서를 기준으로 한 작업공종정보가 입력,저장 되는 단계(s11); 상기 작업공종정보에 작업자에 의해 특정되어 적용되는 계층적공간레벨정보가 선택되어 입력, 저장되는 단계(s12); 및 상기 작업공종정보에 대한 기본작업기간이 입력, 저장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s11단계의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는 도3과 같이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대상이 건물일 경우, 동(오피스텔), 마감절(보조계층적공간정보), 층(지하8층부터 지상4층)을 의미하는데 이는 건물을 특징지우는 공간에 대한 기초적인 공간정보라 할 것이며, 이는 켬퓨터시스템상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정형화된 입력창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3은 이러한 입력창에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가 입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기본적인 작업공종정보는 도3 왼쪽단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층이라는 계층적공간정보를 기준으로 건축공사(공통가설공사, 가설공사 등), 토목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와 같은 건물을 구축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정해놓은 기초적인 작업종류에 관한 정보라 할 것인데 역시 켬퓨터시스템상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정형화된 입력창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며, 도3은 이러한 입력창에 기본적인 작업공종정보가 입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건축공사에는 공통가설공사를 포함한 14개의 공사가 입력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자 또는 내역서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고, 토목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의 세부적으로는 건축공사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작업공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수는 작업자가 작성코자 하는 공정표가 상위레벨인가 하위레벨인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가 입력되면 도3과 같이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가 조합된 표형식의 데이터가 작성되는데 교차되는 지점(예컨대 지상7층이라는 계층적공간정보에 RC공사라는 작업공종정보의 교차점)에 액티비티가 생성되는 인터페이스가 프로그램상에서 구축된다.
상기 s12단계는 기 입력된 작업공종정보에 작업자가 임의로 계층적공간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4와 같이 공통가설공사의 경우 동, 층, 마감절이라는 특정 계층적공간정보를 하부입력창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를 정하는 작업은 본 발명에서 종래의 공정표의 작성이 단순히 작업공종정보에 의해서만 작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매우 중요한 기준을 정하는 것이 된다. 즉, 작업공종에 공간이라는 기준을 별도로 정하여 줌으로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공간이라는 별도의 기준을 정하지 않음으로서 중복되는 수많은 액티비티를 입력하고, 그 선,후행 관계를 정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도4에서 SH선택이라는 하부입력창에 입력된 계층적공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13단계는 기 입력된 작업공정정보에 따른 작업공정에 따라 기본적으로 소요되는 작업기간을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정하는 단계이다, 즉 도5와 같이 작업자는 공통가설공사의 경우 5개월(지하8층부터 지상4층까지의 총 공통가설공사의 작업기간)이라는 개략적인 기간을 정해놓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술하였듯이 이 단계에서는 실제의 공정표상에서 표시되는 액티비티가 아직 확정, 생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각 층에서 소요되는 공통가설공사의 작업소요기간을 세부적으로 확정지을 수 없어 일단 개략적으로 작업공정별로 작업기간을 정하여 놓음으로서 작업공종의 총 개략적인 선, 후행관계를 정해놓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이며 이는 액티비티가 구체적으로 생성되면 그 액티비티별 작업량을 고려하여 정확한 작업기간을 다시 산정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정확한 소요 작업기간을 미리 정할 수도 있다.
상기 s20단계는 s10단계에서 입력된 계층적공간정보, 작업공종정보 및 작업기간이 입력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공정표작성에 필요한 액티비티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전체적으로는 도6은 액티비티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 저장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인데 지하2층부터 지상8층까지의 공간에서 생성될 수 있는 모든 공종의 액티비티가 자동적으로 생성, 저장된다고 할 것이며, 이로서 작업자가 수 많은 액티비티를 별도로 입력하는 수고를 덜게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6에 그 세부적인 액티비티의 생성결과가 도시되었다. 즉 공정표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액티비티가 모두 생성되는데 그 세부내용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비용이라는 새로운 설정기준값이 포함되어 공정표상에서 비용기준으로 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과정이 된다고 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액티비티의 선, 후행관계를 설정하는 수단뿐만아니라 새로운 기준에 의하여 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을 새로이 구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정표상에서 표시되어야 할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의한 액티비티가 생성되면 작업자는 액티비티간의 실제 작업기간을 입력하는데 이러한 구체적인 작업기간은 액티비티의 선,후행관계에 있어 수행되는 시간을 시각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7 내지 도11에서 각 공종이 시간적으로 줄을 달리하여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생성된 액티비티간의 공간 및 공종순서에 따라 그 선, 후행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설정작업은 공정표가 일종의 시간에 따른 작업흐름적 표시를 한다는 것에 의해 필요한 과정인데, 본 발명에서는 공종 외에 공간이라는 공정표작성기준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기준이 존재할 이유가 있다. 실제 이러한 작업은 정형화된 기준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되어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계층적공간정보의 선, 후행관계는 통상적으로 상위개념(건물의 경우 단지)으로 하위개념상(건물의 경우 동, 층 등)으로 선, 후행관계가 정해지므로 이를 정하여 주면 된다.(단지 작업공정정보에는 반드시 공간적으로 선, 후행 관계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공종이 있는데, 예컨대 내부마감공종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공종은 공간적으로 반드시 최하위층으로부터 최상위층까지 또는 그 역으로 수행되어야 할 이유가 없다. 내부마감공종이 수행되어야 할 공간이 존재하기만 하면 현장여건에 따라 조정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건물의 작업 공종 중 철근콘크리트공사는 층이라는 하위공간에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으로 공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므로 기본적인 순서에 따른다고 할 것이며 이는 하층부의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고는 최상층의 구조물이 형성될 수 없다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수행되어야 할 공간순서는 상술하였듯이 기본적인 디폴트값으로 최하위층으로부터 최상위층으로 정해놓고, 특정공종에 따라 별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이 도8 및 도10이다.
도8에서는 특정공종 즉 철골1, 철골2라는 계층적공간정보가 포함된 작업공종정보에 따라 공간순서 즉 SH 유형리스트라는 하위입력창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위입력창에는 TYPE1으로부터 TYPE5까지의 공간순서의 유형이 표시되어 있고 TYPE5를 작업자가선택한경우가도시되어있다.(작업자는 특정공종에 따른 별도의 공간순서가 필요한 경우 이를 임의로 정한다고 할 것이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TYPE6라는 유형을 새로이 지정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9는 작업자가 TYPE2(층)라는 공간순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정해지는 공간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각 층은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상에서 인식되도록 코드화 되어있고, 우측에는 수행되어야 할 공간순서가 작업소요기간별로 줄을 달리하여 표시되어 있다. 하단에는 작업자가 기초를 지정한 경우, 텍스트로 후행 공간순서의 코드 및 명칭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 의하여 특정공종 즉 부대공사라는 작업공종정보에 의하여 공간순서가 도시된 결과가 도9이다. 도9의 우측 상단에는 부대공사라는 공종이 수행되어야 할 공간이 좌측에 일렬 하방으로 표시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소요작업기간에 따라 줄을 달리하여 공간순서가 통상적인 최하위 기초로부터 최상위 지상12층까지 순서적으로 정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특정의 계층적공간레벨에 따라 공간순서를 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계층적공간정보 중 절이라는 공간을 기준으로 공간순서를 정할 수 있는 데 이러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 도10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순서를 임의적으로 재조정 가능하여 원하는 공정표를 임의적으로 레이아웃 시킬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계층적공간정보의 공간순서가 정해지면 생성된 액티비티의 공종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공종순서가 입력되어 생성된 결과를 도시한 것이 도11이다. 도11에서 작업자는 각 공종이 어떠한 순서를 가지고 수행되는지 지정하고, 재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의 경험, 정형화된 순서에 의해 정해진다고 할 것이며,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는 건축공사의 공종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행되어야 할 순서가 거의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유형을 상술한 공간순서와 같이 별도의 하부입력창으로 선택하여 지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공간순서와 공종순서의 조합에 의하여 정해지는 액티비티의 선, 후행관계의 설정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 작업 역시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되는데, 공간순서의 개념이 포함된 방식이라는데 특성이 있다고 할 것이며, 도1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12와 같이 계층적공간정보(WH)간의 선,후행 관계에 의하여 우선 각 액티비티간의 선후행 관계가 먼저 설정된다.
예컨대 WH01과 WH02는 선후행 관계에 있다(WH RELATION). 이 경우에 ACT0101, ACT0201, ACT0301, ACT0401이 WH01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ACT0102, ACT0202, ACT0302, ACT0402가 WH02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ACT0101->ACT0102, ACT0201->ACT0202, ACT0301->ACT0302, ACT0401->ACT0402 등의 액티비티 선후행 관계가 형성된다(ACTIVITY RELATION).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로줄이 형성된 액티비티들의 선후행 관계가 설정되며, 도12의 SH RELATION과 같이 WH01과 WH02에는 각각 나름대로의 공간간의 선후행 관계가 있다. WH01은 순차적으로 공간의 선후행 관계가 정해져 있고, WH02는 그 역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WH01과 WH02의 속성을 가진 액티비티들은 각각의 공간 선후행 관계에 따라서 그 선후행 관계가 정해지며 이러한 선,후행관계는 ACTIVITY RELATION의 경사진 세로줄이 형성된 관계로 표현된다.
최종적으로 액티비티 선,후행관계의 설정이 도1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현된 선후행관계는 ACT0401과 ACT0402의 선후행관계와 WH02타입의 액티비티의 선후행 관계에 의하여 무용지물이 되었다. 이와 같이 SH의 선후행관계가 서로 역순일 경우에 선행하는 공종의 최종 관계(LAST RELATION)만이 유효하고 나머지의 관계는 무시함으로써 공정계산상의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즉 공간순서의 역순이 설정됨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수행경로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행되지 말아야할 선, 후행관계가 된다.)
상기 s30단계는 모니터, 프린터, 플로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의해 다양항 형식으로 표시된 공정표가 출력되는 단계이다. 작업자를 상위관리자, 중간관리자 및 하위관리자로 구분하다면 작업자에 따라 원하는 공정표의 레벨이 다를 것인데, 상위관리자는 공사 전체의 공정을 보길 원할 것이며, 하위관리자는 세부적인 공사의 공정을 보길 원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에 따라 원하는 레벨에 따라 다양항 형식의 공정표를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쉽게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공정표의 작성 및 이용에 매우 효율적이며, 재수정작업 역시 상기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의 재수정 만으로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공정표 작성작업과 같이 수많은 단위작업의 입력 및 각 단위작업의 선,후행 연결관계를 각 공종에 따라 작업자가 별도로 입력하지 않도록, 특정 공사에 대한 세부 단위작업에 대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자동으로 공정표를 위한 액티비티가 생성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가능한 공정표 작성작업이 가능하다.

Claims (6)

  1. 소정의 건축 또는 제조분야와 같이 공정관리를 위한 정보를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공정상의 액티비티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공간정보와 작업공종정보가 상기 시스템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및 저장되는 단계(s10);
    상기 입력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에 의해 공정표상의 액티비티 및 액티비티의 선, 후행 관계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단계(s20); 및
    상기 선, 후행관계가 생성된 액티비티에 의해 공정표가 작성되는 단계(s30);
    를 포함하며,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의 조합에 의해 공정표상의 액티비티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공정표 자동작성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s10단계는
    공정표를 작성해야할 대상에 따른 상위공간개념 및 하위공간개념에 의한 공간순서인 기본적인 계층적공간정보 및 구체적인 작업순서를 기준으로 한 작업공종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1);
    상기 작업공종정보에 작업자에 의해 특정되어 적용되는 계층적공간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2); 및
    상기 작업공종정보에 대한 기본작업기간이 입력되는 단계(s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s20단계의 액티비티 생성단계에,
    생성된 액티비티의 기본작업기간이 실제작업기간으로 수정되어 입력되는 단계가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s20단계의 액티비티 선,후행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에,
    상기 작업공종정보 중 특정 작업공종정보에 대하여, 계층적공간정보의 선, 후행이 결정되어 입력되는 단계가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s20단계의 액티비티 선,후행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에,
    상기 작업공종정보 중 특정 작업공종정보에 대하여는, 작업공종정보의 선, 후행이 결정되어 입력되는 단계가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공정표는 작업자의 임의의 선택에 따라 특정공간 또는 특정공종별로 공정표가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 자동작성방법.
KR10-2002-0032159A 2002-06-08 2002-06-08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KR10046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59A KR100469832B1 (ko) 2002-06-08 2002-06-08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59A KR100469832B1 (ko) 2002-06-08 2002-06-08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835A true KR20030094835A (ko) 2003-12-18
KR100469832B1 KR100469832B1 (ko) 2005-02-02

Family

ID=3238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159A KR100469832B1 (ko) 2002-06-08 2002-06-08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38B1 (ko) * 2007-06-12 2008-03-07 (주)상아매니지먼트컨설팅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0844467B1 (ko) *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204356B1 (ko) * 2011-03-29 2013-03-18 (주) 명진소프트컨설팅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3B1 (ko) * 2012-12-05 2014-1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현금흐름 예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35A (ja) * 1998-05-12 2000-02-02 Takiya Kensetsu Kogyo Kk 工事管理システム及び工事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タ可読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38B1 (ko) * 2007-06-12 2008-03-07 (주)상아매니지먼트컨설팅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0844467B1 (ko) *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204356B1 (ko) * 2011-03-29 2013-03-18 (주) 명진소프트컨설팅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832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ikhkhoshkar et al. Automated planning of concrete joint layouts with 4D-BIM
Chavada et al. Construction workspace managemen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ovel nD planning approach and tool
US2006007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riance in building structures
EP1643335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building structures with associated estimates and schedules
US77520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construction risk using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models
JP4982531B2 (ja) 作業領域配置支援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8268707A (zh) 一种基于revit的转运站标准模板绘制方法及转运站构建方法
US8244569B2 (en) Non-destructive element splitting using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models
Riley Modeling the space behavior of construction activities
JP3337207B2 (ja) 建方支援システム
KR100469832B1 (ko)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JP4896832B2 (ja) 工程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30169923A (ko)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Tauscher et al. Automated generation of construction schedules based on the IFC object model
KR102315373B1 (ko)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US20070239410A1 (en)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Pikas et al. Go or no-go decisions at the construction workface: Uncertainty, perceptions of readiness, making ready and making-do
US20130151420A1 (en) Online building
JP3135951B2 (ja) 建築躯体の構造設計システム
JP2791197B2 (ja) プレハブ工事工程管理装置
Peticila Structural Precast for Revit–Fast and Accurate Modeling in a Single BIM Model
Forsythe et al. Measuring installation productivity on panellised and long span timber construction
JP2791198B2 (ja) プレハブ工事工程管理装置
Miyagawa et al. Construction planning and manageability prediction
JP2791199B2 (ja) プレハブ工事工程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