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923A -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923A
KR20230169923A KR1020230178158A KR20230178158A KR20230169923A KR 20230169923 A KR20230169923 A KR 20230169923A KR 1020230178158 A KR1020230178158 A KR 1020230178158A KR 20230178158 A KR20230178158 A KR 20230178158A KR 20230169923 A KR20230169923 A KR 2023016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rebar
workers
work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옥
Original Assignee
양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옥 filed Critical 양경옥
Priority to KR102023017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923A/ko
Publication of KR2023016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아파트 공사의 골조공사를 건설하는 형틀 목수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의 작업장소 이동함에 있어서 층별 또는 존별 작업 장소의 이동 경로를 개인별로 계획하고 실적자료를 수집하여 최적의 작업자 이동경로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 working area and route of form worker and rebar worker at a hous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아파트의 공사에서의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시공하는 형틀 목수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의 개인별로 작업할 내용을 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같은 층 또는 다음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일한 골조 평면 구역 또는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공사계획 및 인원투입 방법을 제공한다.
국토교통부 2017년 주택 인허가 발표에 따르면 아파트는 47만 가구이다. 아파트 공사는 2개동 내지 6개동으로 구성되며 최대 20개동의 대단지도 있다.
아파트 유형은 타워형과 판상형으로 구분된다. 판상형의 최근 유형은 일자형 또는 'ㄱ'자 'ㄴ'자 형태이다. 1개 층의 세대수는 4세대 내지 6세대이다. 세대는 남쪽 방향으로 배치되고 계단실 및 엘리베이터로 구성되는 코어는 북쪽에 위치하며 통상 2개이다.
판상형은 전면에 배치되는 공간이 많아 채광, 일조량이 우수하고 거실과 주방이 마주보는 형태로 맞통풍에 유리하다. 아파트 동을 'ㅡ'자로 구성하는 것보다 'ㄱ'자로 구성할 때 가구수를 최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아파트들이 'ㄱ'자로 설계되고 있다.
평면의 배치는 'ㄱ'자의 모서리가 남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V자 형태를 나타내는데 오전에 동쪽인 오른쪽 부분이 햇빛을 받고 오후에는 나머지 반쪽인 서쪽이 햇빛을 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단실 및 엘리베이터의 코어는 북쪽에 배치하여 조망이나 햇빛을 가리지 않도록 한다.
대부분의 아파트 조감도나 동의 배치도를 보면 위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조형식을 보면 철근콘크리트 구조이고 수직하중은 벽체가 지지하는 벽식구조이고 슬라브는 보가 없는 무량판 플랫 슬라브이다.
아파트 공사는 터파기를 한 후 아파트 기초 매트를 시공한 후 지하층을 완성한 후 지상층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중 지상층 골조공사의 높이는 20층 내지 49층 규모이다.
지상 골조는 아래층을 시공한 후 위층으로 올라가며 10층을 시공한 후 11층을 시공하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이 명확한 구조를 갖는 직렬방식의 공사 방식의 특징을 갖는다.
골조공사는 건물의 뼈대이므로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가 많으며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된다.
이러한 골조공사는 인력에 의해 시공되는데 통상 1개층 시공에 6일 내지 8일이 소요된다. 1개층의 작업순서는 먹매김, 벽체 기둥 철근, 벽체 기둥 거푸집, 슬라브 동바리 및 슬라브 거푸집, 슬라브 철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형틀은 목수 작업자, 형틀 작업자에 의해 시공되며, 거푸집, 합판으로서 박스 기능을 하며 그 안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으면 골조가 완성된다.
콘크리트는 마지막날에 타설되므로 그 이전 단계는 대부분 목수작업인 거푸집 형틀 작업과 철근 작업의 주요 작업이다. 나머지는 전기, 설비 작업이 있다.
아파트 1개층 4세대의 경우, 작업자가 150명 정도 투입된다. 이중 형틀(목수) 작업자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철근작업자이며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를 합하면 전체의 약 70% 내지 80%를 차지한다.
따라서 골조공사는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에 의해 시공되어 생산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01동 10층 골조공사 기간이 6일 싸이클인 경우,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는 일별로 필요한 인원수가 불규칙한 구조를 갖는다.
마지막날인 6일차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5일차까지 형틀이나 철근작업이 완료되어 6일차에는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가 100명 이상이 필요가 없다.
1일차부터 5일차까지는 형틀이나 철근작업이 많거나 적게 불규칙하게 진행되므로 이에 따라 작업자도 불규칙하게 출역한다.
이에 따라 남는 작업자는 다른 동인 102동에서 작업을 하거나, 다른 인근 현장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제조업과 달리 건설 현장에서는 날짜별로 불규칙적인 작업자 수요에 따라 작업자를 배치해야 하므로 작업자 관리자의 작업자 동원 계획이나 관리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자 관리자가 형틀, 철근 작업자를 배치하는 작업은 현재 자신의 경험이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작업자 배치 작업에 있어서 기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아파트는 각각의 현장이나 동별로 평면 모양이 다양하여 경험을 적용하는 경우 오차가 커질 수 있다.
일별 인원수가 불규칙하므로 필요한 인원이나 남는 인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인원이나 인건비 손실이 최소화할 수 있으나 이를 계산하는 방법이 수계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아파트 작업자 배치나 순환에 관한 기존의 논문이나 연구는 동별로 순환 싸이클인 순서를 제시하고 있으나, 아파트 평면이나 철근, 콘크리트 수량에 기반한 구체적인 형틀 및 철근 작업자의 인원수를 제시하는 방법은 없다.
형틀 및 철근 작업자는 몇 개의 팀으로 구성되고 다시 개인별로 작업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팀별 개인별 작업장소 이동 또는 어떠한 부재(기둥)를 시공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이 없다.
불규칙한 작업자 출역에 따른 남은 인원과 인원손실, 인건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이나 신속 정확한 계산 사례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작업자가 하루에 얼마만큼의 시공을 하는지 작업생산성 실적을 수집하고 이를 계획에 반영함에 있어, 골조공사 작업자 개인별 분석 방법이나 실시예가 없다.
형틀 및 철근 작업자들은 개인별로 특정 부재를 작업하고 있으나, 작업자들이 시공해야 할 골조공사(예 101동 10층 골조)에 대하여 개인별로 역량을 고려하여 배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건물로 구성되는 아파트 골조공사에서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가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자 개인의 작업장소 이동경로 배치계획 분석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아파트 골조공사에서 형틀 및 철근 작업자가 시공해야 할 작업 장소, 작업 대상 및 수량을 개인별로 할당하고 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골조공사에서 형틀 및 철근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 배정 방법 및 장치는 1개층의 거푸집 및 철근 물량을 산출하고, 각각의 기둥(벽체)에 작업생산성을 고려하여 작업자를 할당하고, 슬라브의 실별 또는 면적을 기준으로 작업자를 배정한 후, 작업이 종료되면 다음 층이나 다른 존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지정하여 각각의 부재에 대응하는 작업자가 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조공사의 각각의 기둥이나 벽체를 누가 언제 어떤 순서로 시공할 것인가를 세부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작업시간은 부재의 물량을 작업자의 1일 작업생산성으로 나누어 산출되므로 객관적이고 정확하다.
작업자 개인은 각 층의 작업위치와 시간 및 작업할 수량을 사전에 정확히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래의 일을 사전에 알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시공한 수량을 알 수 있고 자신의 일당 또는 임금 추이를 사전에 알 수 있다.
작업자를 배정하는 작업자 관리자는 작업자 개인의 역량을 고려하여 작업자를 배정할 수 있고 성과측정을 과학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음 층 또는 다른 공사에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자 배정을 할 수 있다.
시공사는 계획한 작업자 배정 대비 시공한 실적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세부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인별로 알 수 있어 문제점을 파악이 용이하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동 901호 안방의 작업이 다른 구역보다 지연되어 전체 일정이 영향을 받는 경우, 안방에 배정된 작업자가 누구 인지 알 수 있고 생산성을 분석하여 작업자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교체하는 등 대책수립이 신속하고 용이해진다.
작업자 개인의 작업배정을 합하여 팀별 시공계획을 수립하고 시공사 전체의 시공계획이 정확히 수립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기단축과 최소의 작업자수를 배정하여 인건비를 절감하는 공사방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작업자가 잘 알고 있거나 손에 익숙한 작업에 배정하고, 반복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배정하므로써 학습효과나 습숙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생산성이 10% 이상 높아질 수 있다.
작업생산성이 높아지면 동일한 인원으로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거나 공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불규칙한 작업자 출역이나 불합리한 배정에 따른 인력 및 시간손실을 줄어든다.
작업자가 동일하고 반복적으로 작업함에 따라 자산의 작업에 대해 보다 잘 알게 되므로 품질이 향상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줄어든다.
상기 작업자 배정 방법을 사용하는 건설사 또는 철근 콘크리트 전문건설업체는 다른 경쟁사에 비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자를 배정 관리할 수 있고 공사 일수를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 아파트 골조공사의 수주 및 생존 경쟁력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작업배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작업배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아파트의 공사개요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조공사 공정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재에 대한 번호부여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부재에 대한 철근 수량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개인별 생산성 실적 데이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각각의 부재에 작업자를 배정한 내용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별 작업자의 이동경로의 표시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 대비 실적과의 차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1동과 102동을 합한 2개동의 철근 작업자의 일별 소요인원 추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 개인별 작업 배정방법 분석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작업배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작업배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장치(10)는 제어부(11), 건축 도면 데이터 베이스(12), 기준층 평면 공구 분할 데이터 베이스(13), 자재 수량 데이터 베이스(14),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 및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는 기준층 평면 공구 분할 데이터 베이스(13)상의 공구분할에 따른 공구별 자재 부재의 물량(수량)을 자재 물량 데이터 베이스(14)로 부터 산출하고,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로부터 부재(기둥, 벽체, 실별 슬라브)별 작업시간을 산출하고,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로부터 다음 공구 또는 층으로 작업자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과를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4개 동의 35층 아파트 골조공사에서 제어부(11)는 각 동의 건축도면과 구조도면, BIM 도면을 건축도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 기준층 평면을 A와 B의 2개로 분할한다.
101동 9층 901호의 안방 거실 주방 공부방 작은방 화장실1 화장실2, 현관 베란다의 면적과 기둥 벽체 슬라브의 거푸집과 철근 수량을 산출한다. 가장 바깥쪽의 안방은 4개의 벽체와 1개의 천정 슬라브로 구성되며 4개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형틀의 수량이 산출된다.
바닥인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 형틀과 철근 수량도 산출된다.
안방 벽체1을 시공하기 위한 수량에 대한 작업자를 배정하며 작업시간은 수량을 1일 생산성 또는 시간당 생산성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생산성은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를 이용한다.
위와 같은 순서로 901호 세대에 대한 작업자 배정이 완료되면, 그 옆 세대인 902호 세대에 배정한다. 그리고 계단과 엘리베이터로 구성된 코어 1번에 대한 배정된 실시한다. 다음으로 903호, 904호, 코어 2번에 대해서도 901호와 같은 방식으로 배정한다.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로부터 공정표를 읽고 9층에 대한 배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10층에 대한 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그 상층인 11층부터 35층까지 작업자를 배정하고 그 결과를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에 저장한다.
건축도면 데이터베이스(12)는 건축도면, 구조도면, BIM을 저정한다. 작업인원과 자재 물량을 산정하기 평면도, 단면도, 층고, 기둥 벽체의 치수를 포함한다. 건설현장은 도면에 따라 시공하므로 도면은 공사 착수전에 이미 CAD 등으로 완성되어 있다.
기준층 평면분할 데이터 베이스(13)는 1개층을 일반적으로 2개의 공구 존으로 분할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공구분할의 기준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위이다. 예를 들어 101동에 4개의 세대와 코어 2개로 구성되는 경우, 901호와 902호 및 코어 1번을 포함하는 A공구는 콘크리트를 월요일에 타설하고 나머지 B공구(903호, 904호, 코어 2번)는 수요일에 타설한다.
자재 수량 데이터 베이스(14)는 세대별 실별 벽체 및 슬라브의 형틀, 철근의 수량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101동 9층 901호의 안방 거실 주방 공부방 작은방 화장실1 화장실2, 현관 베란다에 대한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과 철근 수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수량은 적산 전문회사에서 일반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기존의 업무에 해당한다.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는 형틀 작업자, 철근 작업자의 개인별 1일 시공능력 또는 시간당 시공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철근 작업자 1번인 홍길동은 과거 기록상 벽체 철근을 하루에 1.2톤을 시공하며 슬라브 철근은 1.5톤을 시공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는 층별 세대별 작업일정을 나타낸 공사 일정이며 형틀 공사, 철근공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01동 9층 901호의 안방 거실 주방 공부방 작은방 화장실1 화장실2, 현관 베란다에 대한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과 철근 시공에 관한 일자 및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는 동별 층별 세대별 실별 부재에 대한 작업자를 배정한 결과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101동 9층 901호의 안방 벽체 1번을 어떤 작업자가 언제 시공해야 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나타낸다. 안방 벽체 1번 철근은 하루 만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철근 작업자 1번인 홍길동을 배정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작업배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아파트 골조의 건축도면, 구조도면, BIM 도면을 저장한다(S10). 아파트 각 동 1개 층을 2개의 존으로 분할한다(S20). 예를 들어 'ㄱ'자 모양의 평면 아파트에서 A존(101호, 102호, 코어 1번)과 B존(103호, 104호, 코어 2번)으로 2개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된 A존과 B존에 대한 공정표를 작성하여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에 저장한다(S30).
101동과 102동은 짝을 이루어 A공구로 분할되고, 각 동의 A존과 B존의 1개층 작업일수는 4일이며, A존과 B존은 2일 차이로 진행하고, 101동과 102동은 1일 차이 또는 3일 차이로 진행하는 공정표를 작성한다. 공정표의 최소 시간단위는 시간대별 또는 적어도 오전 오후 단위이다.
1일차에는 101동 A존 101호, 102호, 코어 1번에 대하여 먹매김, 철근 양중, 벽체 철근 설치, 벽체 형틀 설치 작업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각 실별 부재별 형틀 및 철근의 수량을 산출하여 자재 수량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한다(S40).
예를 들어 101동 101호의 안방 거실 주방 공부방 작은방 화장실1 화장실2, 현관 베란다에 대한 각각의 벽체와 슬라브에 대하여 거푸집과 철근 수량을 저장한다.
그리고 각 실별 부재별 형틀 및 철근의 수량을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의 작업자 생산성으로 나누어 각 부재에 대해 작업자를 배정한다(S50).
예를 들어 101동 101호의 안방의 4개의 벽체 중 벽체 1번과 2번의 철근이 각각 1,000kg이고 철근 작업자 1번인 홍길동의 생산성이 1일 1,500kg이면 벽체 1번에 과 철근 작업자 1번을 벽체 1번에 100% 배정하고 벽체 2번에 50%를 배정한 후, 2번 벽체의 나머지 50%에는 다음으로 2번 철근 작업자를 배정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101호부터 104호 순서로 형틀 및 철근 작업자를 배정하여 1개층 배정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그 상층인 2층에 대하여 작업자를 1층에서의 배정과 같은 방식으로 배정한다(S60). 그리고 마지막 층인 35층까지의 배정을 완료하여 골조공사에 대한 배정을 완료한다.
배정이 완료되면, 시간대별 오전 오후 단위로 필요한 작업자수를 산출하여 작업자 소요추이를 산출한다(S70).
작업자수 추이를 판단한 결과 작업자수가 불규칙하면(S80), 다른 배정 안을 적용하여 인원을 산출하는 과정을 되풀이 한다(S90).
다수의 경우의 수에 대한 작업자 배정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뮬레이션별
인원수 소요추이, 작업시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지수 지표를 산출한다(S100).
이중 가장 우수한 작업자 배정안을 판단한 후 제1안으로 선정한다(S110).
상기 단계에서 제1안이 선정되면 부재리스트와 그에 대응하는 작업자 리스트를 표 또는 평면도 상에 나타내어 용이하게 알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도록 나타낸다(S120).
이상의 과정을 통해 작업자 개인별 작업자 배정 계획이 수립완료 되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산출된 작업자 배정 결과를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에 저장한다(S130).
다음은 공사착수에 따라 공사실적을 수집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1층 101동 101호 공사가 시작되면 1일차에 작업자를 투입하고 오전 오후 또는 1일차 작업 실적을 수집한 후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에 저장한다(S140).
실적이 수집되면 상기(S50)의 계획단계의 생산성 값과 상기 (S140)단계의 실적 생산성 값을 비교하여 차이를 산출한다(S150).
그리고 산출된 생산성 데이터는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에 저장한다. 데이터는 공사명, 동, 층, 세대, 방의 명칭으로 구성된 위치 및 부위 정보에 대한 생산성 및 작업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생산성 차이의 분석결과에 따라, 작업자 개인의 생산성 차이(작업한 철근 수량 차이)를 산출하여 미달되는 작업자와 초과하는 작업자를 판단한다(S160).
미달되는 공사구역에는 작업자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교체하여 각 공사 구역별로 계획된 공사일정과 작업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S170).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획 대비 실적을 비교 분석하고 차이에 대한 보정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180).
골조공사 몇 개층 단위, 5개층 또는 10개층 단위 그리고 골조공사 완료 시점에 대한 개인별 및 전체 생산성 분석을 실시한다(S190).
이상의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101동과 102동의 구역을 이동해가면서 한 개층 한 개층 시공하는 과정에 대한 공사방법을 분석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제 공사에 대한 적용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아파트의 공사개요이다. 조감도를 보면 아파트 동수는 20개동 3,000세대 이상의 초대형 아파트 단지이며 중앙의 배치도를 보면 평면은 'ㄱ'자 형태이고 4개 세대와 2개의 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하단 세대 평면도를 보면 침실 1(안방) 작은방 거실 부엌 화장실 등이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와 무량판 슬라브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조공사 공정표이다. 각 동은 A존(2세대와 코어 1번)과 B존(2개 세대와 코어 2번)으로 분할되고, A존과 B존은 층당 4일 싸이클이며, 2일차이로 진행된다. 101동과 102동은 A공구로 분할되고 1일 또는 3일 차이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101동 5층 A존(501호, 502호, 코어 1번)은 월요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102동 5층 A존(501호, 502호, 코어 1번)은 화요일에 타설하고, 101동 5층 B존(503호, 504호, 코어 2번)은 수요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102동 5층 B존(503호, 504호, 코어 2번)은 목요일에 타설하는 일정으로 진행한다.
도 6보다 하위 레벨의 상세 공정표로서 일자별 존별 세대별 부재별 상세 공정표는 별도로 작성되고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1동 501호 세대의 각각의 벽체 부재에 대한 번호부여를 세대 평면도상에 나타낸 것이다. 안방 거실 주방 공부방 작은방 화장실1 화장실2, 현관 베란다에 대한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과 철근 부재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7의 각각의 부재에 대한 각 실별 벽체 부재에 대한 철근 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 외에 슬라브 철근, 벽체 형틀, 슬라브 형틀 수량을 산출된다.
상기 부재별 수량은 적산 전문회사에서 일반적으로 산출하고 있으나 자재 종류와 규격별로 층별로 집계하므로 다시 세대 및 부재별로 나눌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개인별 생산성 실적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철근 작업자 1번인 홍길동의 벽체 철근과 슬라브 철근의 1일 생산성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철근 콘크리트 전문회사에 속하는 형틀 작업자와 철근 작업자의 생산성 데이터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다.
형틀 작업자의 생산성 데이터도 별도로 산출되고 관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각각의 부재에 작업자를 배정한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101동 501호 안방 벽체 01번에는 철근작업자 1번 홍길동이 배정되어 있고, 주방 벽체 04번에는 철근작업자 1번 홍길동과 철근 5번 작업자가 동시에 배정되어 있다.
형틀 작업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실에 배정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별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도면상에 나타낸 것이다. 철근 작업자 1번 홍길동은 1일차에는 101동 A존인 501호에서 작업하고 2일차에는 102동 A존 501호에서 작업하고 3일차에는 101동 B존인 503호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 대비 실적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철근 작업자 1번 홍길동은 1일차에는 101동 A존인 501호에서 작업하였으나 계획된 수량을 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작업자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야간작업을 지시하거나 작업자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
원인과 문제점을 개인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해진 공정표대로 공사를 진행하는 능력이 높아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1동과 102동을 합한 2개동의 철근 작업자의 일별 소요인원 추이를 나타낸다. 소요인원이 균등함을 나타내며 월요일에 101동에서 남은 인원이 102동에서 작업하면 반대의 경우로 화요일에는 102동에서 남은 인원이 101동에서 작업하면서 전체적인 밸런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균등한 작업자 수요는 작업자 손실을 줄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품질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공사기간과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빠른 시간에 동일한 부재를 시공함에 따라 학습효과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개인별 작업자 배정 방법으로부터 팀별 작업자 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전문 건설회사는 상기 개념과 사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작업자 배정과 운용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 골조공사의 핵심인 철근 및 형틀 작업자의 최소단위인 작업자 개인별 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작업자 운용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작업해야할 대상인 형틀과 철근 수량과 이를 소화하는 작업자의 개인 역량에 따라 작업시간과 순서를 결정하여 최적의 공사방법을 위한 작업자 배정 방법을 분석하여 최적의 인력운용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서는 판상형 아파트에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타워형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골조공사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과 순서로 골조공사를 시공하므로 상기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건설기술자들은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개인별 작업 배정 방법을 위한 공사방법 분석장치(10)
제어부(11)
건축도면 데이터베이스(12)
기준층 평면분할 데이터 베이스(13)
자재 수량 데이터 베이스(14)
작업자 개인별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

Claims (5)

  1.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의 배정방법에 있어서,
    (a) 아파트 각 동의 1개층을 2개의 존으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각 존별 형틀 및 철근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각 존별 형틀 및 철근 수량을 작업자의 작업생산성으로 나누어 각 존에 대해 작업자를 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의 배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d) 아파트 각 동의 골조 도면을 저장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의 배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e) 상기 2개존으로 분할된 동별 존별 작업일정을 나타낸 공정표를 작성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의 배정방법.
  4. 아파트 골조공사의 각 동별 존별 형틀, 철근공사의 작업자 배정 분석장치로서,
    아파트 1개층을 2개의 공구 존으로 분할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층 평면분할 데이터 베이스(13);
    상기 기준층 평면분할 데이터 베이스(13)상의 공구분할에 따른 자재 수량을 산출하는 제어부(11); 및
    상기 산출된 결과를 작업자 배정 데이터 베이스(17)에 저장하는 제어부(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골조공사의 형틀 및 철근공사의 작업자 배정 분석장치
  5. 건축도면, 구조도면을 저장하고, 평면도, 단면도, 층고의 치수정보를 저장하는 도면 데이터베이스(12) ;
    벽체 및 슬라브의 형틀, 철근의 수량정보를 저장하는 자재 수량 데이터 베이스(14) ;
    형틀 작업자, 철근 작업자의 시공능력을 저장하는 작업자의 작업생산성 데이터 베이스(15) ;
    동별 층별 존별 형틀 공사, 철근공사의 공사일정을 저장하는 공정표 데이터 베이스(1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골조공사의 각 동별 존별 형틀, 철근공사의 작업자 배정 분석장치.


















KR1020230178158A 2018-02-19 2023-12-08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KR20230169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158A KR20230169923A (ko) 2018-02-19 2023-12-08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76A KR102613585B1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KR1020230178158A KR20230169923A (ko) 2018-02-19 2023-12-08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76A Division KR102613585B1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923A true KR20230169923A (ko) 2023-12-18

Family

ID=677752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76A KR102613585B1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KR1020230178158A KR20230169923A (ko) 2018-02-19 2023-12-08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76A KR102613585B1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3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18B1 (ko) * 2020-09-10 2021-05-18 윤지용 건축 자재 생산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048A (ja) * 2000-08-08 2002-02-20 Maeda Corp 建築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077159A (ko) * 2007-06-25 2007-07-2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62458B1 (ko) * 2010-12-17 2012-07-04 현대건설주식회사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585B1 (ko) 2023-12-12
KR20190099747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beltagi et al. Dynamic layout of construction temporary facilities considering safety
KR20230169923A (ko)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US2006007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riance in building structures
Huang et al. Planning gang formwork operation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imulations
KR20190039012A (ko) 작업인원 산출을 위한 건물 골조공사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US8244569B2 (en) Non-destructive element splitting using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models
Faghirinejadfard et al. Economic comparison of 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system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am et al. Evalu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and performance for high rise public housing construction in Hong Kong
CN117993671A (zh) 一种施工派单方法、系统和存储介质
Safa et al. A decision-making method for choosing concrete forming systems
Sacks et al. A project model for an automated building system: design and planning phases
KR101162458B1 (ko)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JP2006201979A (ja) 建築物の施工計画支援プログラム
JPH0589211A (ja) 建築物の総合生産管理システム
Schramm et al. The role of production system design in the management of complex projects
Okodi-Iyah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refabrication versus conventional construction in UAE’s construction industry
Francis et al. Spatiotemporal chronographical modeling of procurement and material flow for building projects
Katti et al. Project crashing to solve time-cost trade-off
Florez et al. Labor management in masonry construction: a sustainable approach
Hazem et al. Construction Automation: Post-Pandemic Integrated Robotized Construction Sites
Zhang Constr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industrialized construction methods
EP4407504A1 (en) Building planning system and method
Abidin Simulation of industrialised building system formation for housing construction
Cheshire FIT FOR THE FUTURE-SUSTAINABILITY AND ADAPTIVE BUILDINGS
Oleinik et al. Methods of estimating reserves of productivity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