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56B1 -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56B1
KR101204356B1 KR1020110027941A KR20110027941A KR101204356B1 KR 101204356 B1 KR101204356 B1 KR 101204356B1 KR 1020110027941 A KR1020110027941 A KR 1020110027941A KR 20110027941 A KR20110027941 A KR 20110027941A KR 101204356 B1 KR101204356 B1 KR 10120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17A (ko
Inventor
황희석
Original Assignee
(주) 명진소프트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명진소프트컨설팅 filed Critical (주) 명진소프트컨설팅
Priority to KR102011002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5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 및 그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현장의 공사여건이나 공사기간, 작업의 선후행 관계 및 공사진척도 등의 파악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주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을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고,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을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며, 그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표시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정보저장수단(100)과;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고,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작업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며,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입력수단(200)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300)과;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 요청을 처리 제어한 후 이를 상기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주 제어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for which a matrix technique was use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 및 그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현장의 공사여건이나 공사기간, 작업의 선후행 관계 및 공사진척도 등의 파악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주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의 일정관리란 건설공사계약을 위한 공사내역을 실제 시행할 작업(Activity)들로 분류,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들이 주어진 기간 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법으로서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CPM(Critical Path Method)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도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보통의 건설 공사에서 작업관리를 하고자 할 경우 수백에서 수천개의 작업(Activity)마다 각각 PERT/CPM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에 의한 2차원 공정관리도표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2차원 공정관리도표인 공정관리 차트의 수가 방대하여 PERT/CPM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에 의한 2차원 공정관리도표를 통해 건설공사 현장의 공사여건이나 공사기간, 작업의 선후행 관계 및 공사진척도 등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PERT/CPM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에 의한 2차원 공정관리도표에 표현되는 작업(Activity)과 관련한 공사관련정보는 시간흐름에 따른 1차원적인 작업정보만 기재되기 때문에 다양한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의 다양한 공사관련정보를 표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 및 그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현장의 공사여건이나 공사기간, 작업의 선후행 관계 및 공사진척도 등의 파악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주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의 다양한 공사관련정보를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여 주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는,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을 공종분류체계 축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고,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을 시설분류체계 축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며, 그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로 표시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가 저장된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출력 요청,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고, 시설분류체계 축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며,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입력수단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과;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 시설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 요청을 처리 제어한 후 이를 상기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주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저장수단에는,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 및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과 상기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로 이루어진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가 저장된 신규 매트릭스 시트DB와;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 시설분류체계 축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해당 정보가 입력되어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가 저장된 가공 매트릭스 시트DB와; 상기 가공 매트릭스 시트DB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링크되는 정보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건설공사 캐드도면D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공 매트릭스 시트DB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저장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이 저장되며, 상기 주 제어수단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시설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시설분류체계 축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과;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주 제어수단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들을 선택하여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해당하는 실제 작업인 건설 세부 공사들의 선후행 관계의 안내가 요청되면,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은 입력요청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들의 선택 순번대로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표시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주 제어수단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링크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 및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되는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를 요청하면,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은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건설공사 캐드도면DB에서 출력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캐드도면 팝업창 형태로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상기 정보입력수단의 캐드도면 팝업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주 제어수단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을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주 제어수단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각 축의 교차점으로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로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서 줌아웃, 줌인 및 패닝이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정보입력수단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를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정보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공종분류체계 축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시설분류체계 축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시설분류체계 축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입력수단에서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주 제어수단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 및 그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건설공사 현장의 공사여건이나 공사기간, 작업의 선후행 관계 및 공사진척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관리 또한 편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 영역인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의 다양한 공사관련정보를 레이어로 표시가능하게 제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공사관련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링크된 2차원(3차원도 포함)의 캐드도면도 팝업창 형태로 출력한 상태로 수정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매트릭스인 공종분류체계 축과 시설분류체계 축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해당하는 세부작업목록에 대해서 작업일정을 순차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되는 많은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중 원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로의 이동을 줌인, 줌아웃 및 패닝을 통해 구현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 및 열람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들에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캐드도면 팝업창이 팝업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저장되는 여러 개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layer)로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이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표시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들에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 캐드도면 팝업창이 팝업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에 저장되는 여러 개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layer)로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에 포함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에 의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이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는 크게 정보저장수단(100), 정보입력수단(200), 정보출력수단(300) 및 주 제어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정보저장수단(100)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을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고,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을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며, 그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표시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Y축에 해당하는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되는 정보의 경우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로 구분하여 표시제공한다.
즉, 건설공사 명인 고속도로 제 40호선 충주-제천 2공구 건설공사가 헤더노드로 표시되고, 그 헤더노드의 하부에는 진행되는 공사종목인 굴착, 갱내버럭처리, 사토장 정지 등의 제 1하부노드가 표시되며, 각 제 1하부노드의 하부에는 제 1 하부노드에 해당되는 건설 작업의 세분화된 작업들이 제 2하부노드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X축에 해당하는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표시되는 정보의 경우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로 구분하여 표시제공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건설공사 명인 고속도로 제 40호선 충주-제천 2공구 건설공이 헤더노드로 표시되고, 그 헤더노드의 하부에는 진행되는 공사종목의 공간인 OPEN TBM터널, PILOT, 사급자재대 등의 제 1하부노드가 표시되며, 각 제 1하부노드의 하부에는 제 1 하부노드에 해당되는 진행되는 공사종목의 세부공간인 제 2하부노드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표시되는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은 공사지역이나 공사부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는 후술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 의해 가공처리되는데 관리자가 후술되는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구현되는 팝업메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하부노드 추가", "이전 추가", "이후 추가" 등의 노드생성메뉴를 통해 표시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노드 추가는 현재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노드가 추가되는 메뉴이며, 이전추가는 현재 노드에서 이전 이웃한 노드로 추가되는 메뉴이고, 이후 추가는 현재노드의 이후의 이웃한 노드가 추가되는 메뉴이다.
이와 더불어, 팝업메뉴에는 “이름변경” 메뉴도 구비되어 현재 선택한 노드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고, “노드삭제”메뉴도 구비되어 현재 선택한 노드를 삭제할 수 있으며, “노드 텍스트 스타일설정”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노드의 화면에서 보여지는 속성을 설정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은 관리자가 노드를 추가함에 따라서 X축과 Y축의 교차하는 객체의 사이즈는 자동으로 조절되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반영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수단(100)의 세부구성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111),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이루어진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신규 매트릭스 시트DB(101)와,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정보가 입력되어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와,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에 링크되는 정보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1)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이 저장된다.
정보입력수단(200)은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고,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며,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로서 키보드, 마우스, 라이트펜 등이 조합되어 제공되어진다.
정보출력수단(30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디스플레이부 등이 제공되어진다.
주 제어수단(40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추출한 후 이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 요청을 처리 제어한 후 이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이러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엔진 운영하여 제어한다.
먼저,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과,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이 탑재되어진다.
여기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의 경우 매트릭스인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는 앞에서 언급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과 같이 관리자가 표시를 원하는 다양한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즉, 일반적인 텍스트뿐만 아니라 계산식에 필요한 수식값, 스프레트시트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셀의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도 표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준다.
또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은 관리자가 특정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배경 색상, 폰트의 종류, 스타일을 개별적으로 선택 적용할 경우에도 이를 처리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관리자는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되는 많은 건설 공사 관련정보들을 레이어 별로 한 영역에 여러 항목에 대하여 중복 입력할 수 있으며, 원하는 레이어의 선택을 통해 그 선택된 레이어를 뷰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이 탑재되는데 이처럼,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을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layer)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를 레이어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를 레이어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건설 공사 세부 공사비정보를 레이어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관리자는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매트릭스인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하는 세부작업목록에 대해서 작업일정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이 탑재되어 지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을 선택하여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하는 실제 작업인 건설 세부 공사들의 선후행 관계의 안내가 요청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은 입력요청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의 선택 순번대로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114)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하여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114)는 도 3에서처럼, 지시선과 같은 이미지정보로 표시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숫자와 같은 이미지정보로도 표시되는 등 다양한 선후행 식별수단을 고려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링크된 2차원(3차원도 포함)의 캐드도면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이 탑재되어 지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링크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 및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되는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를 요청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에서 출력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캐드도면 팝업창(115) 형태로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정보입력수단(200)의 캐드도면 팝업창(115)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은 캐드도면의 처리를 위해 벡터 기반의 엔진을 통해 구현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관리자는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되는 많은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중 원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의 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이 탑재되어 지고,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각 축의 교차점으로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및 패닝이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줌아웃 처리한 상태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넓게 잡아 공사일정 간극에 차이가 큰 각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사이로 이동 시에 사용된다.
도 9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줌인 처리한 상태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를 하나하나 관리 시에 사용된다.
도 10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패닝을 처리한 상태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한쪽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서 다른 한쪽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 이동 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기법을 통해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11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자는 수주한 건설공사와 관련한 건설공사 관련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컴퓨터에 설치된 본 발명의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를 실행한다.
이후, 정보입력수단(20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을 요청하면,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은 신규 매트릭스 시트DB(101)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S100)한다.
관리자는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S110)한다.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S120)한다.
또한, 관리자는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S130)한다.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S140)한 후 그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에 저장한다.
이처럼,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는 관리자가 정보 열람, 정보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요청할 경우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요청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즉, 관리자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을 선택하여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하는 실제 작업인 건설 세부 공사들의 선후행 관계의 안내를 요청(S150)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은 입력요청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의 선택 순번대로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114)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60)한다.
또한, 관리자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링크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 및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되는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를 요청(S170)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에서 출력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캐드도면 팝업창(115) 형태로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정보입력수단(200)의 캐드도면 팝업창(115)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80)한다.
또한, 관리자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S190)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겹쳐 표시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S200)한다.
또한, 관리자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각 축의 교차점으로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를 요청(S210)하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은 그 요청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구현되도록 제어(S220)한다.
100 : 정보저장수단 101 : 신규 매트릭스 시트DB
102 : 가공 매트릭스 시트DB 103 : 건설공사 캐드도면DB
110 :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 111 : 공종분류체계 축
112 : 시설분류체계 축
113 :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114 :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
115 : 캐드도면 팝업창 200 : 정보입력수단
300 : 정보출력수단 400 : 주 제어수단
410 :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
420 :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
430 :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
440 :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
450 :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
460 :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

Claims (12)

  1.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을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고,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을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며, 그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표시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정보저장수단(100)과;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고,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며,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입력수단(200)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300)과;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 요청을 처리 제어한 후 이를 상기 출력되는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주 제어수단(4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는,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111),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상기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이루어진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신규 매트릭스 시트DB(101)와;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정보가 입력되어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1)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이 저장되며,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과;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을 선택하여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하는 실제 작업인 건설 세부 공사들의 선후행 관계의 안내가 요청되면,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은 입력요청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의 선택 순번대로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114)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는, 상기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에 링크되는 정보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링크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 및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되는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를 요청하면,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에서 출력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캐드도면 팝업창(115) 형태로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의 캐드도면 팝업창(115)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수단(100)에는, 상기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에 링크되는 정보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및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을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layer)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각 축의 교차점으로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및 패닝이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7. 삭제
  8. 정보입력수단(20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0)와;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10)와;
    상기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에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30)와;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을 선택하여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하는 실제 작업인 건설 세부 공사들의 선후행 관계의 안내를 요청하는 단계(S150)와;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서 수행공사 선후행 안내엔진(430)을 운영하여 입력요청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 들의 선택 순번대로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행 공사 선후행 인지정보(114)를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방법.
  9. 정보입력수단(20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0)와;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10)와;
    상기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에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30)와;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링크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 및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되는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S170)와;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서 건설공사 도면작성 엔진(440)을 운영하여,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출력 요청에 의해 상기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에서 출력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캐드도면 팝업창(115) 형태로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의 가공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의 캐드도면 팝업창(115)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0. 정보입력수단(20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0)와;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10)와;
    상기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에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30)와;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하는 단계(S190)와;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서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을 운영하여,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겹쳐 표시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2. 정보입력수단(20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0)와;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표시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 요청 및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10)와;
    상기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에서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30)와;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에서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각 축의 교차점으로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로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단계(S210)와;
    상기 주 제어수단(400)에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이동 처리엔진(460)을 운영하여, 그 요청된 줌아웃, 줌인 또는 패닝 중 어느 하나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방법.
KR1020110027941A 2011-03-29 2011-03-29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0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41A KR101204356B1 (ko) 2011-03-29 2011-03-29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41A KR101204356B1 (ko) 2011-03-29 2011-03-29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17A KR20120110217A (ko) 2012-10-10
KR101204356B1 true KR101204356B1 (ko) 2013-03-18

Family

ID=472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941A KR101204356B1 (ko) 2011-03-29 2011-03-29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274A (ja) * 1992-06-11 1993-12-24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要因数次元空間管理方式
KR2002007510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통합db를 이용한 건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30094835A (ko) * 2002-06-08 2003-12-18 (주) 엘콘시스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274A (ja) * 1992-06-11 1993-12-24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要因数次元空間管理方式
KR2002007510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통합db를 이용한 건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30094835A (ko) * 2002-06-08 2003-12-18 (주) 엘콘시스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익수. 매트릭스 기법에 의한 EVMS 구현 모델. (주)한과박소프트 자료실(www.hnpsoft.com), 2010.08.05. [2012년 8월24일 검색], 인터넷 *
박익수. 매트릭스 기법에 의한 EVMS 구현 모델. (주)한과박소프트 자료실(www.hnpsoft.com), 2010.08.05. [2012년 8월24일 검색], 인터넷 <www.google.co.k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1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8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ted computer visualization of historic events
KR101794373B1 (ko) 선택된 데이터의 일시적인 포맷팅 및 도표화 기법
US8321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data modeling utilizing tags
IL248314A (en)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data structures through a graphical and interactive interface
US2012024656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thumbnail images with filtering and editing functions
US10705806B1 (en) Managing an application variable using variable attributes
US201101489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077350A (zh) 使用可视化查询系统的对象的可视化
US10467782B2 (en) Interactive hierarchical bar chart
CN108073436B (zh) 用于编辑对象的设备
KR101279437B1 (ko) 맵 템플릿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35467B1 (ko)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4차원 건설 공사 관리 장치
KR20130082869A (ko) 비아이엠 정보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기반의 건설 공사 관리 장치
US10809904B2 (en) Interactive time range selector
US6141665A (en) Model-based job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12293B1 (ko) 건설공사용 개략견적산출 시스템
KR101204356B1 (ko)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82872A (ko) 실시간 건설자재 부품가격이 안내되는 매트릭스 기반의 건설 공사 관리 장치
KR20130082870A (ko) 리스크 우선관리순위가 안내되는 매트릭스 기반의 건설 공사 관리 장치
KR101498877B1 (ko) 프로그램 작성 장치 및 화상 제어 시스템
US7876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a strategy for use in a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instructions which effectuate the method
JP4959404B2 (ja) 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KR101818527B1 (ko)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역상자 관리 방법
KR101099170B1 (ko) 타임라인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방법
KR101722610B1 (ko) 구조물의 소구역 단위의 물량 산출 장치 및 그의 물량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