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73B1 -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73B1
KR102315373B1 KR1020210065061A KR20210065061A KR102315373B1 KR 102315373 B1 KR102315373 B1 KR 102315373B1 KR 1020210065061 A KR1020210065061 A KR 1020210065061A KR 20210065061 A KR20210065061 A KR 20210065061A KR 102315373 B1 KR102315373 B1 KR 10231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grid
task
schedule
con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순
지석호
문성현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21006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잡도가 높은 건설 프로젝트 내에서, 공정을 구성하는 각 작업의 특성 및 각 작업를 구성하는 세부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정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여러 제약 조건의 변경시, 해당 제약 조건을 반영하여 최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단위 작업 영역을 형성하는 그리드 설정 단계;와 층별로 진행되어야 할 개별 작업의 적용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선택하는 작업맵 설정 단계;와 설정된 작업맵 설정에 따라서 공사의 전체 공정을 수립하는 공정 수립 단계와; 각 작업별 생산성 또는 선행 작업의 완료 영역 또는 납기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조건을 설정하는 제약조건 설정단계와; 제약 조건 변경이 있는 경우, 각 제약 조건의 특성에 따라서 각 제약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전체 공정의 일정이나 개별 작업의 일정이나 작업 강도를 수정하고 이를 제안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Construction process navigation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잡도가 높은 건설 프로젝트 내에서, 공정을 구성하는 각 작업의 특성 및 각 작업을 구성하는 세부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정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여러 제약 조건의 변경시, 해당 제약 조건을 반영하여 최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작업을 누락없이 적시에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업 수행 과정 동안 때로는 고객 요구 사항이나 설계변경에 의해 추가 작업이 발생하거나 계획된 수행 방법을 변경해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복잡도가 높은 작업일수록 성과나 성공확률은 현저하게 낮아진다.
공정관리는 이러한 복잡도가 높은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목표한 예산과 기간을 맞추기 위해 상세한 계획과 현황을 시각화, 수치화 하여 프로젝트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공정 관리에는 PERT/CPM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공정과 LOB(Line of Balance)로 대표되는 자원 기반 공정계획법인 LSM(Linear Scheduling Method)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를 개선하는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택트공정 계획법, CPM과 LOB의 복합활용법 등의 방법론도 선행연구를 통해서 소개되었다.
이중 PERT/CPM은 작업간 선후 관계와 작업별 기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공사 기간의 적정성 판단과 진도관리의 장점이 있지만, 반복적인 프로젝트 스케쥴링에는 작업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형 공정관리의 대표적인 기법인 LOB는 반복적인 작업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기업이나, 작업 계획과 실시된 현황을 비교하고 대응 계획을 수립하는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고, 다양한 평면을 가지는 시설이나 평면상 공간을 구획하여 관리하는 시설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CCPM은 제약이론(TOC)를 기반으로 한 기법으로 작업 기간에 대한 버퍼를 이용한다. 주공정은 변하지 않으며, 프로젝트 버퍼와 피드버퍼를 감시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공기 지연을 예방하는 기법이나, 아직 건설업에 적용 사례가 많지 않다.
택트 공정 관리는 각층 또는 규격화된 공간에 대해 세부 작업을 정의하고 작업 선후행 연결을 반복하여 관리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공기 단축 및 비용 감소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기법으로서, 초고층 빌딩이나 공동 주택과 같은 유사 평면을 가진 프로젝트의 마감 공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건축 트렌드인 대공간이나 비정형 디자인에 적용함에 한계가 있고, 선행작업의 지연이 발생할 경우 후행 작업에 대한 면밀한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 특허등록 공보 10-2244587에서는 "건설현장의 작업일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여러 이해관계가가 작업일보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특징만 개시되어 있을 뿐 제약조건(납기일, 생산성, 선후행 작업의 특징)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공정의 수정 및 업데이트하는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13-0130100에서는 "건설 공사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건설공사관리에서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공사관련 정보를 발주자, 설계자 및 공종별 전문건설업자가 공유하게 되고, 발주자의 위탁을 받아 건설공사를 통합관리를 하는 관리자와 발주자 및 설계자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발주자는 관리서버의 공종별 시공관리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지만, 여기서도, 제약조건(납기일, 생산성, 선후행 작업의 특징)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공정의 수정 및 업데이트하는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PPM(Proper Path Management)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세하게는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건설 상세공정관리 도구를 개발하고, 계획과 관리 작업 효율화로 관리 생산성 향상하며,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 데이터 축적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단위 작업 영역을 형성하는 그리드 설정 단계;와 층별로 진행되어야 할 개별 작업의 적용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선택하는 작업맵 설정 단계;와 설정된 작업맵 설정에 따라서 공사의 전체 공정을 수립하는 공정 수립 단계와; 각 작업별 생산성 또는 선행 작업의 완료 영역 또는 납기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조건을 설정하는 제약조건 설정단계와; 제약 조건 변경이 있는 경우, 각 제약 조건의 특성에 따라서 각 제약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전체 공정의 일정이나 개별 작업의 일정이나 작업 강도를 수정하고 이를 제안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리드는 각 작업별로 1일치 작업 수행 분량을 정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그리드 설정 단계는; 각 층의 업무레이어의 평면을 평면 그리드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각 층의 업무 레이어의 측단면을 단면 그리드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업무 레이어별로 정립되면서, 업무의 각 작업 내용과, 각 업무의 각 작업별 생산성과, 선행 작업 완료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업무 템플릿을 생성하는 업무 템플릿 생성 단계와; 상기 각 업무 탬플릿에 수록된 작업 간의 선후 관계 중 그 선후 관계가 변경되는 것이 금지되는 하드 로직 선후 관계를 정의하는 선후 관계 탬플릿을 생성하는 선후 관계 탬플릿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후 관계 탬플릿 정렬단계를 더 포함하되, 선후 관계 탬플릿 정렬 단계는;
선후 관계 탬플릿에 모든 작업의 선후 관계가 포함되었는지 점검하는 단계와; 선후 관계 탬플릿 내에 루프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 이상의 업무의 세부 작업이 선후 관계에서 누락되거나, 루프가 발생하는 경우 알람을 주고 관리자에게 수정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 수립 단계는; 선후 관계 탬플릿에 정의되지 않는 작업은 랜덤하게 정렬하는 단계와; 선후 관계 탬플릿에 정의되지 않는 작업 중 가장 많은 작업이 배정된 그리드를 기준으로 동일 작업 일정을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약조건 설정단계는; 작업 생산성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와;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와; 전체 일정 준수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 생산성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는; 특정 그리드에 조정 대상이 되는 해당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작업 일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1일 생산성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위 세 개의 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 그리드가 있는지 판단하고 다음 그리드가 있는 경우 다음 그리드에서 위 세 개의 판단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와; 위 세 개의 판단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선행 및 후행 작업이 적은 그리드의 작업을 뒤로 연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조정 단계는; 당해 수행 작업 이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선행 작업이 이루어진 그리드와, 당해 수행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그리드 간의 요구 거리가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당해 수행 작업을 진행하도록 조정하도록 하고, 상기 요구 거리 내의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수행 작업의 일정을 상기 요구 거리 내의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의 종료 일정 이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일정 준수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는;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조정 단계에 따른 전체 일정이 기준 일정을 초과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작업 생산량이 기준 이하인 작업의 생산량을 기준 이상으로 높이도록 자원 투입량 증가를 제안하여 전체 일정이 기준 일정을 충족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료된 작업의 실적을 입력하는 단계와; 잔여 기간과 잔여 작업 및 설정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잔여 계획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업무별 바(bar)차트를 생성하며, 업무별 바차트를 각 업무레이어와 연동시키고, 각 업무 레이어의 그리드에는 각 업무별 대상 영역과, 진행 영역과, 완료 영역을 포함하는 세부 현황이 표시됨으로써, 특정한 일정에 특정한 업무와 그 업무를 구성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업무별 바차트별로 해당 특정한 일정의 특정한 업무의 특정한 작업의 진행 현황이 표시된 업무 레이어가 각각 연동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관리기법인 CPM, LOB의 이해와 공정관리 전문 소프트웨어를 다루지 않고도 논리적인 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수작업을 최소화하는 프로그래밍으로 매우 상세한 수준의 공정계획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공정현황이나 범위 변경 발생시 잔여 공정계획을 재수립하는 계획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3D BIM모델 없이도 작업을 시각화하여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세공정계획 수립을 위한 주간, 월간 계획의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작업의 생산성 데이터 축적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운영 단계에서 실적현황에 따라 새로운 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루의 실적이 입력되면 잔여기간과 잔여작업을 가지고 여러가지 제약조건에 따라서 잔여 계획이 자동으로 수정된다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평면 그리드 분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단면 그리드 분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흙막이 공사의 업무 레이어와 업무 템플릿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흙막이 지지 말뚝공사의 업무 레이어와 업무 템플릿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터파기 공사의 업무 레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업무별 바차트와 업무 레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서 전체적인 공정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서 그리드에서의 요구 거리 기준을 정의한 그래프이다.
도14은 본 발명에서 전체적인 공정 관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4 내지 도23은 본 발명에서 업무레이어 상 작업 진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4 내지 도28은 본 발명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킨 경우 업무레이어 상 작업 진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9 내지 도30은 본 발명에서 후속 작업 투입 시점을 도시한 작업 진척 상태 도면이다.
도31은 본 발명에서 업무 레이어로 그리드별 작업 범위를 설정한 것과 작업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32는 본 발명에서 업무 레이어로 취합된 그리드별 작업을 선후 관계에 따라 작성한 것이다.
도33은 본 발명에서 동일 작업별 동일시점 배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4는 본 발명에서 작업별 생산성을 반영한 작업 일정표이다.
도35는 본 발명에서 선행작업 완료 영역 제약을 반영한 작업 일정표이다.
도36와 도37은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전체 기간 제약을 반영한 작업 일정표이다.
도38은 본 발명에서 가장 많은 작업이 배정된 그리드를 기준으로 동일 작업별 동일시점 배정한 것을 도시한 일정표이다.
도39 내지 도48은 본 발명에서 작업별 생산성 제약 조건에 따라서 조정된 일정표이다.
도49 내지 57은 본 발명에서 선행 작업 완료 제약 조건에 따라서 조정된 일정표이다.
도 58 내지 64는 본 발명에서 전체 일정 준수 제약 조건에 따라서 조정된 일정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시스템(1)은 여러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0)와, 정보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20)와, 외부의 통신망에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신부(30)와, 공정에 관한 작업, 작업별 세부 작업, 제약 조건, 공정 도면 등이 수록되는 DB(40)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의 수립 및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연산부(5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DB(40)는 작업맵DB(1), 작업별 레이어DB(42), 작업별 바차트 DB(43), 템플릿DB(44), 제약조건DB(45), 공정계획 DB(46)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모든 작업을 적시에 수행 관리한다는 PPM(Proper Path Management)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한다.
PPM(Proper Path Management)는 본 발명자의 제안 기법으로 1) 모든 작업은 최적정 시점이 존재하고, 2) 기존 Critical Path Method에서 주공정 Critical Path의 작업은 유동적인 Float 여유기간을 갖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PPM은 여유기간을 제시하지 않고 최적시점을 제시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PPM은 그리드를 활용하여 작업 구역을 세분화 하고, 1일 단위 일정을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모든 작업을 주공정과 같이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에 네비게이션 구현 방안으로 설계 정보 입력과 현황관리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네비게이션은 운전의 효율성을 높이고, 목적지를 향하는데 실패확률을 낮춰주는 도구이다.
건설 프로젝트에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같이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가장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하는 도구가 있다면 공정관리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최근의 모바일 인터넷, 컴퓨터 성능, 빅데이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복잡한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관리에도 네비게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단어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용어 정의
최적경로관리기법 모든 작업은 최적의 수행 시점을 가지며,모든 작업을 주공정으로 간주하여 관리
그리드(블록) 일일 작업구역을 시각화하는 일정 규격의 블록단위 영역구분(프로젝트에 따라 크기 조절 가능)
업무레이어 그리드(블록)로 해당 업무의 적용 영역을 표현하는 도구
업무템플릿 작업의 세부작업단계, 작업레이어별로 정립, 생산성,선행작업 완료영역의 정보를 담는 테이블
선후관계템플릿 세부작업 간 하드로직(필연적) 선후관계를 정의하는 도구, FS(Finish to Start)만 적용
소프트로직 선후관계가 필수적이지 않은 작업간 관계,선후관계 템플릿에 정의되지 않는 관계
제약프로그래밍 지정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연산하도록 코딩한 것
그리고, 본 발명의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공정 관리 기법의 룰(rule)은 아래와 같다. 이하 설명에서 '업무'는 영어로 Work, workpackage, Task 등으로 표현되는 소단위 성과물이고 작업은 업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써, 활동(activity)을 의미한다.
1) 건설 프로젝트의 성과물은 물리적인 공간에 이루어진다.
2) 프로젝트 내에 수행해야 하는 모든 작업은 최적정 시점을 가진다.
3) 최적경로관리 기법은 그리드를 활용한다. 그리드는 작업 구역을 평면, 단면에 일정 규격의 영역으로 1일 작업 표현 요소이다.
4) 그리드의 사이즈는 특정 기준작업을 하루에 할 수 있는 작업의 면적으로 볼 수 있다.
5) 그리드 내에 포함되는 작업은 선후관계의 변경이 불가한 하드로직으로 구성된 작업과 선후관계 변경이 가능한 소프트로직 관계가 공존한다.
6) 선후관계는 업무를 구성하는 작업레벨에서 정해진다.
7) 하드로직은 선후관계 템플릿으로 정의한다.
8) 소프트로직은 제약 프로그래밍으로 최적 시점을 배정받는다.
9) 하루에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그리드의 개수가 해당 작업의 생산성을 의미한다.
10) 그리드 그룹 간 선후관계는 소프트로직이다.
11) 업무(work) Layer를 가진다. 업무는 타입별로 다양한 Layer를 가진다. 업무레이어는 구성 작업 내용에 따라 업무레이어(토공, 골조, 외장, 칸막이벽), 가설레이어(가시설), 실레이어(실별 마감공사)로 표현할 수 있다.
12) 투입 작업팀을 추가하여 1일 작업 가능한 그리드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13) 업무는 하나 이상의 작업으로 구성된다. 타입별로 작업의 종류나 개수가 달라진다.
14) 업무 템플릿으로 업무별 타입별 구성된 작업을 정의한다.
15) 제약 프로그래밍에 업무별 제약 조건을 달리 할 수 있다. 제약조건에 따라 소프트로직 연산이 달라진다.
16) 작업 통로 확보를 고려할 수 있다.(가설Layer)
17) 동일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 될 수 있도록 한다. (연속성 떨어질 시 벌점 부여 등)
18) 현황에 따라 잔여 작업이 프로그램에 의해 재배열된다.
도2는 본 발명에서 공정 계획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그리드 설정 단계(S21)가 제시된다.
그리드(grid) 설정 단계는 건축물의 각 층의 도면에 그리드를 형성하는 단계이며, 그리드는 작업별로 1일치 작업 수행 분량을 정의한다.
그리드 설정 단계(S21)는 도3과 같이 각 층의 평면도에 평면 그리드를 분할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도4와 같이, 건축물의 측단면을 층별로 분할한 단면 그리드를 분할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도3에서 각 그리드를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한 것을 예로 들었다. 여기서 길이방향(본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는 1~10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폭 방향(본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는 A~H의 구역을 분할하였다. 즉, 8개의 행과, 10개의 열로 구현되었다.
도4에서 L1, L2, L3, L4는 지상1,2,3,4층을 의미하고, B1,B2,B3,B4는 지하 1,2,3,4층을 의미한다 그리고 D1~D10은 도3에서 나타난 D1~D10으로 정의된 그리드 행을 의미한다.
그리드 설정 단계(S21)가 완료되면, 층별로 진행되어야 할 개별 작업의 적용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선택하는 작업맵 설정 단계(S22)를 수행한다.
작업맵 설정 단계의 예로서, 도5의 흙막이 벽 공사의 공사영역, 도6의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 영역, 도7의 터파기 공사 영역이 나타난다.
도5에서 흙막이 벽 공사가 '업무'의 카테고리에 속하고, 이를 현실적으로 완성하고 구성하는 라인마킹, 가이드빔 설치, 천공 및 철근망 설치, 타설이 '작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그리고, 도6에서는 흙막이 지지 말뚝공사가 '업무'의 카테고리에 속하고, 이를 현실적으로 완성하고, 구성하는 라인마킹, 천공 및 철골근업, 되메우기가 '작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또한, 도7에서 터파기 공사가 '업무'의 카테고리에 속하되, 터파기 공사는 단순히 파는 작업만 수반하므로 별도의 작업이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도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흙막이 벽 공사의 공사영역의 작업맵은 관리자가 L1 레벨의 평면 그리드맵을 구성하는 개별 그리드 중 흙막이 벽 공사가 이루어져야 할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지정하여 이루어진다. 도5에서는 파란색의 그리드가 흙막이 벽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그 옆에는 흙막이 벽 공사를 구성하는 개별작업(라인마킹, 가이드빔 설치, 천공 및 철근망 설치, 타설)에 관한 업무 템플릿이 표시된다.
흙막이 벽 공사는 라인마킹->가이드빔 설치->천공 및 철근망 설치->타설 순으로 진행된다.
라인마킹의 경우, 하루에 10개의 그리드(또는 이에 상응하는 영역 거리)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고, 가이드 빔 설치의 경우, 앞선 10개 그리드(또는 이에 상응하는 영역 거리)에서 라인마킹이 완료되면 수행되는 것으로서, 하루에 5개의 그리드 영역(또는 이에 상응하는 영역 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선행작업완료조건이 그리드의 갯수로 표현된 경우, 이는 그리드의 갯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영역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천공 및 철근망 설치의 경우, 가이드 빔 설치가 완료되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5개의 그리드 영역에서 가이드빔 설치가 완료되면, 수행할 수 있으며, 하루에 3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다.
타설의 경우, 천공 및 철근망 설치가 완료되면, 수행되는 것으로서, 최소한 1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천공 및 철근망 설치가 완료만 되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루에 3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타설을 수행할 수 있다.
도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의 공사영역의 작업맵은 관리자가 L1 레벨의 평면 그리드맵을 구성하는 개별 그리드 중 흙막이 벽 공사가 이루어져야 할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지정하여 이루어진다. 도6에서는 파란색의 그리드가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그 옆에는 흙막이 벽 공사를 구성하는 개별작업(라인마킹, 천공 및 철골근입, 되메우기)에 관한 테이블이 표시된다.
흙막이 지지 말뚝공사는 라인마킹->천공 및 철골근입->되메우기 순으로 진행된다.
라인마킹의 경우, 하루에 10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고, 천공 및 철골 근입은 5개에 그리드에서 라인마킹이 완료되면 수행되는 것으로서, 하루에 3개의 그리드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다.
되메우기 경우, 천공 및 철골 근입이 완료되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최소한 1개의 그리드 영역에서 천공 및 철골 근입이 완료되면, 수행할 수 있고, 하루에 3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다.
도7은 터파기 공사에 관한 작업맵이다. 터파기 작업은 흙막이 안쪽에 작업이 존재하고 L1레벨에서 B1, B2, B3로 레벨이 내려가면서 작업이 진행된다.
터파기 작업은 하나의 그리드가 완료되었다고 다음 레벨의 작업이 시작될 수는 없는데, 장비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토사를 모아두고 덤프트럭에 싣는 장소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터파기가 일정이상의 영역이 완료되야 그 후에 아래 레벨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업맵 설정 단계는 업무Layer별로 해당 작업이 있는 그리드를 선택한다(토공사, 골조공사, 칸막이벽공사, 외장공사). 그리고, 가설layer로 해당 그리드를 선택한다(공통). 또한, 실layer별로 그리드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마감공사 작업레이어연계).
작업맵 설정 단계(S22)가 완료되면, 제약 조건 설정 단계(S23)가 이루어진다.
제약 조건 설정 단계(S24)는 작업별 생산성 또는 선행 작업의 완료 여부 또는 납기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것인데, 제약조건의 예로써, 전체일정, 작업별 생산성(1일 작업그리드수), 선행/후행 작업 및 세부 작업, 작업별 투입 팀수(그리드 수 증가), 작업별 야간조 투입여부(1일 내 후속 작업 진행), 주변 그리드에 선행작업이 진행 시 일정 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약조건 설정단계(S23)가 완료되면, 탬플릿 수정 단계(S24)를 수행한다.
도5나 도6과 같이, 작업맵 옆에 배열된 세부작업 항목 등이 표현된 사항을 업무 탬플릿이라고 정의하며, 탬플릿 수정 단계에서는 작업layer 수정, 실layer 수정, 세부작업 수정, 자재이동, 검측방법이나 공법 추가, 선후 관계 수정/추가/삭제 과정 등을 포함한다.
탬플릿 수정 단계(S24)가 완료되면, 일정 계획 연산 단계(S25)가 수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작업 및 이에 따른 세부작업, 그리고 이들의 선후 관계에 따른 업무별 바 차트(bar chart)가 생성되고, 또한, 업무layer별 작업 구역이 종합적으로 생성된다
도8에서는 일정 계획 연산 단계에 따른 업무별 바차트 및 업무layer별 작업 구역이 표시된다.
업무별 바차트에서 맨 윗행의 숫자는 매일의 공사 일자를 의미하고, 첫번째 열의 각 행에는 각 작업의 명칭이 배치되며, 그 옆에는 각 작업별 세부 작업의 현황이 나타난다.
업무별 바차트는 업무layer와 연동되며, 각 업무layer의 그리드에는 세부 작업 현황이 구분된다. 예를 들어, 각 그리드를 채운 파란색은 작업영역, 분홍색은 진행영역, 연두색은 완료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업무별 바 차트에서 업무의 세부작업 항목은 각 업무layer와 연동된다. 예를 들어서, 바 차트에서 9일차와 연동되는 업무는 흙막이 공사와 토공사인데, 9일차의 작업 흐름에 맞는 업무layer(예, 흙막이 공사 업무layer, L1레벨에서의 토공사 업무 layer)가 표시될 수 있고, 또한 17일차 흐름에 맞는 업무(예, L2레벨에서의 토공 업무 layer, 기초 업무 layer)가 연동되게 설정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9 내지 도11은 공정 관리 기법의 세부적인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드에 배정된 작업을 모으고(S9100), 이를 선후 관계 템플릿에 따라서 정렬(S9200)한다.
선후 관계 템플릿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S9200)는 아래와 같이 세분화 된다.
즉, 선후 관계 템플릿을 점검하고(S92100), 선후 관계 템플릿에 모든 작업의 선후 관계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S9220), 그러하지 않은 경우, 수정 알림을 주고, 관리자가 이를 고칠 수 있도록 안내한다(S9250).
선후 관계 템플릿에 모든 작업의 선후 관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후 관계 템플릿에서 루프(loop)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930) 루프가 발생한 경우, 수정 알림을 주고, 관리자가 이를 고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루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후 관계 템플릿을 사용한다(S9240). 이에 의하여, 선후 관계 템플릿에 따라 하드로직에 따른 작업들이 정렬된다(S9200).
그리고, 선후 관계 템플릿에 정의되지 않은 작업은 랜덤하게 정렬하고(S9300), 가장 많은 작업이 배정된 그리드를 기준으로 동일 작업 일정을 배정한다(S9400).
이렇게 일정이 배정된 상태에서,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500)과,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600)과, 전체 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700)에 따라서 각 작업에 따른 세부 작업의 일정들이 연산에 의하여 조정되고, 이에 의하여 전체적인 공정 계획이 확정되고(S9800), 이를 토대로 공정 계획을 운영한다(S9900).
그리고 공정 계획을 운영하면서, 추후에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과,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과, 전체 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이 있는 경우에,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에 따라서, 최종 목표(최종 마감 시한 및 완성도)에 맞추어 각 작업 및 이의 세부 작업의 일정이 업데이트 된다(S10000).
S10000 단계 이전에, 현재 완료된 작업의 실적을 입력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S10000 단계에서는 잔여 기간과 잔여 작업 및 설정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잔여 계획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차량 운행시 목표지점이 변하면 최적 경로 및 소요 시간을 업데이트 하여 알려주는 것과 동일하다.
도9에서 나타난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과정(S95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 생산성 제약은 특정 작업에 대한 세부 작업 중 하루에 할 수 있는 그리드 수로 정의된다.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500)의 경우, 우선 특정 그리드에 해당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501), 그러하다면, 작업이 동종 여부를 판단하고(S9502), 그러하다면 1일 생산성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503), 1일 생산성이 초과한다면, 선행 및 후행 작업이 적은(작업량이 적은) 그리드의 작업을 뒤로 연기함으로써 수행된다(S9504).
만약에 위 세 개의 판단에서 어느 하나라도 No로 판단되면, 다음 그리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505), 그러하다면, 다음 그리드로 이동하여 전술한 단계를 수행한다(S9506).
만약에 다음 그리드가 없다면 다음에 후행하는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507), 다음에 후행하는 작업이 있으면 다음 작업으로 이동하여(S9508) 전술한 특정 그리드에 해당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작업 일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 1일 생산성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고, 다음 작업이 없다면,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S9600)를 수행한다.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S9600)의 경우, 작업별로 요구되는 거리 이내에 선행작업이 진행중인지 판단한다(S9601).
요구되는 거리는 도12에서 나타난 그리드 표 기준으로, 0인 지점에서 상하 좌우로 한칸씩 떨어진 지점과의 거리를 1로 정의하고, 두 칸 씩 떨어진 지점의 거리를 2로 정의하고, 대각선으로 한 칸 떨어진 지점의 거리를 1.4로 지정한다.
따라서, 0인 지점에서 특정한 작업의 작업(예, 마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철거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마킹 작업의 원할한 작업을 위해서는 철거 작업은 0인 지점 뿐만 아니라, 위로 한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해서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때, 0인 지점 및 위로 한칸 떨어진 지점에 대한 철거가 완료되어야 비로소 마킹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별로 요구되는 거리 이내에서 선행작업이 진행중이면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해당 작업을 뒤로 연기한다(S9602).
만약에 작업별로 요구되는 거리 이내에서 선행작업 완료되었으면, 도10에서 나타난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S95)를 거치고, 다음 작업이 있으면 다음 작업에 대해서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를 거치고, 다음 작업이 없으면, 이러한 조정으로 인하여 전체 작업이 지정된 전체 기간 내에 완료되는지 판단한다(S9603).
만약에 위와 같은 조정에 의하여 전체 공사에 대한 소요 기간이 기준 기간이내에 완료되는 경우에는 공정 계획 초안이 작성된다(S9604).
반면, 만약에 위와 같은 조정에 의하여 전체 공사에 대한 소요 기간이 기준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일정을 앞당기기 위해서 전체 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700)을 거치는데, 여기서 생산성이 낮은 작업 및 초반 작업에 대해서 팀을 추가하여 공정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하는 공정 계획 초안을 보여준 후, 팀 추가 알림을 주고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한다(S9605)
그리고, 이렇게 작성된 초안에 맞추어서 공정 계획이 확정된다(S9606).
이후에 공정이 진행되다가, 특정 작업에 대한 세부 작업의 일정이 지연되는 등의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대한 현황을 입력한다(S1).
현황 입력(S1) 후에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600a)과,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500a) 및, 전체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700a)이 순차적으로 이루지는데, 위 3종류의 조정의 흐름은 도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방지를 위해 생략한다.
다만, 전체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S9700a)에서는 공정 계획 초안이 아닌 변경 사항에 따른 공정 계획 업데이트 제안을 보여주고(S9604a), 이를 위해서 팀 추가 알람을 주고 관리자로 하여금 수정하게 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제안을 유지하는 경우(S9605a), 최종적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공정 업데이트를 확정한다(S9606a).
도 14 내지 도23에서는 흙막이 벽 공사를 위해서 1개조를 투입하는 경우의 흙막이 벽 공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1개 조의 하루 작업량은 3개의 그리드로 정의되고, 파란색 그리드는 작업 대상 영역, 빨간색 그리드는 현재 작업 진행중인 영역, 연두색 그리드는 작업 완료 영역을 의미한다.
도14는 흙막이 작업 1일차, 도15는 2일차, 도16은 3일차, 도17은 4일차, 도18은 5일차, 도19는 6일차, 도20은 7일차, 도21은 8일차, 도22은 9일차, 도23은 10일차(완료)를 나타낸다.
만약에 흙막이 벽 공사의 소요 기간 단축을 위해서 2개 팀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도24와 같이 1일차의 빨간색 그리드가 2배로 늘어나고, 도25는 2일차, 도26은 3일차, 도27은 4일차, 도28은 5일차(완료)가 되어 소요기간이 절반으로 단축된다.
도29 및 도30은 선행 완료 제약에 따른 작업 투입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선행작업이 흙막이 벽 공사이고, 후행하는 작업이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인 경우,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는 흙막이 벽 공사가 일정 구간이 완료되어야 진행이 가능하다.
도29에서 나타난 흙막이 벽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공정률 약 40~50%) 진행 완료 그리드(녹색 표시)가 나타나고, 녹색으로 표시된 흙막이 벽 공사의 진행 완료 구간과, 도6에서 나타난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의 전체 영역이 중첩되는 구간의 일부에서 비로소 흙막이 지지 말뚝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도30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H2, H3 영역)
공정 계획 기본 수립을 시각화한 차트가 도31 이하에서 나타난다.
도3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대한 업무를 구성하는 작업이 철거-> 마킹-> 칸막이A -> 칸막이B -> 방통 -> 천정 -> 바닥 -> 도어 -> 가구 -> 가전 순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자.
이 경우, 작업의 선후 관계는 가장 우측에 나타난 표와 같이 하드 로직으로서 선행 공정이 완료되어야 후행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31에서 철거 작업은 A1, A2 그리드에서, 마킹 작업은 A1, B1, B2에서, 칸막이A 작업은 A, A2, B1에서, 칸막이B 작업 A1, A2, B1, B2에서 이루어진다고 예를 들었다. 나머지 나타나지 않은 작업들도 그 필요에 맞게 특정한 그리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도3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업무Layer에서 취합된 그리드 별 작업을 선후 관계에 따라서만 작성한다. 그리드가 A1, A2, B1, B2로 구분되는 있는 경우에 각 그리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종류, 작업의 작업량이나 작업의 소요 기간은 달라질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선후 관계만 고려하여 배열하여 작성한다.
그리고 도3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그리드에 대해서 동일 작업별로 동일 시점으로 배정한다.
예를 들어 1일차에는 철거 작업을, 2일차에는 마킹 작업을, 3일차에는 칸막이A 작업을 , 4일차에는 칸막이B 작업을, 5일차에는 방통 작업을, 6일차에는 천정작업을, 7일차에는 바닥 작업을, 8일차에는 도어 작업을, 9일차에는 가구 작업을, 10일차에는 가전 작업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별 생산성을 반영하여 작업별로 재배치한다.
도34에서 파란색 바탕의 1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1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고, 살구색 바탕에 2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2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며, 녹색 바탕에 3으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3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예를 들어서 철거 작업의 경우, 1팀이 하루에 한 개 그리드에 대해서만 할 수 있으므로 도33에서 1일차에서 A1그리드에 대한 철거 작업과 A2그리드에 대한 철거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없다.
따라서, 도3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A1그리드에 대한 철거를 1일차에, A2 그리드에 대한 철거는 2일차에 진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서 도33에서 나타났던 A2에 대한 일정은 하루씩 뒤로 밀린다.
B1 그리드나 B2 그리드에 대해서 철거 작업이 없지만, B1 그리드의 처음 작업인 칸막이A작업이나 또는 B2 그리드의 처음 작업인 마킹은 A1, A2에 대한 철거가 완료되어야 할 수 있으므로 B1 그리드에 대한 일정 및 B2 그리드에 대한 일정도 A2가 하루 밀리면서 자동적으로 하루씩 밀린다.
도35는 선행작업 완료 제약에 따른 조정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말로 작업 투입 조건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요구 거리 이내에 선행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일정을 조정한다.
실선 박스 내에 0은 해당 그리드에서만 선행 작업이 완료되면 착수할 수 있는 작업을 의미하고, 작은 점 박스 내의 1은 해당 그리드 뿐만 위/아래/옆에서 한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해서도 선행 작업이 완료되어야 비로소 착수 할 수 있는 작업를 의미하며, 두꺼운 파선 박스 내의 2는 해당 그리드 뿐만 위/아래/옆에서 한 칸 및 두 칸 떨어진 그리드 또는 대각선 한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해서도 선행 작업가 완료되어야 비로소 착수할 수 있는 작업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마킹 작업은 요구거리 1의 값을 가지므로, A1에서의 마킹 작업은 A1의 철거와 A2의 철거가 완료되어야 비로소 3일차에 수행할 수 있다(B1 , B2는 철거 필요없음). 따라서 A1에 대한 마킹 작업을 3일차로 조정한다.
한편 마킹 작업은 하루에 2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데, B2에 대한 마킹 작업은 A2에 대한 철거가 완료되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A1에 대한 마킹 작업과 같이 3일차에 진행할 수 있다.
칸막이 A 작업은 당해 그리드에 대해서만 선행작업(철거-마킹)이 이루어지면 되나, 하루에 한개씩만 할 수 있으므로, A1의 칸막이A 작업은 4일차에, A2의 칸막이 A 작업은 5일차에, B1의 칸막이 A작업은 5일차에 하나씩 수행한다.
칸막이 B 작업은 요구거리가 2이고, 하루에 두 개의 그리드씩 수행할 수 있다.
칸막이 B작업은 요구거리가 2이므로 당해 그리드 뿐만 아니라, 주위의 모든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이 완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B1에 대한 칸막이A 작업이 완료된 후(6일차 완료), A1, A2에 대한 칸막이B 작업을 7일차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B1, B2에 대한 칸막이 B 작업는 8일차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방통 작업은 하루에 3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으나 요구거리가 2이므로 당해 그리드 뿐만 아니라, 주위의 모든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이 완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B1, B2에 대한 칸막이 B 작업이 완료되는 8일차 완료 다음인 9일차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천정 작업은 당해 그리드에 대해서만 선행작업이 완료되면 되나, 하루에 한개의 그리드에 대해서만 할 수 있으므로 A1에 대해서는 10일차에, B1에 대해서는 11일차에, B2에 대해서는 12일 차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바닥 작업은 하루에 2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으나, 요구 거리1을 가지므로 당해 그리드 뿐만 아니라 좌우 상하 1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한 선행 작업(천정 작업)이 완료되어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A1, A2에 대한 바닥 작업은 요구 거리 1이 되는 그리드에 대한 천정 작업이 종료되는 11일차가 끝난 후 12일차에 같이 진행하고, B1, B2에 대한 바닥 작업은 요구 거리 1이 되는 그리드에 대한 천정 작업이 종료되는 12일차가 끝난 후 13일차에 같이 진행한다.
도어 작업의 경우, 하루에 한 그리드에 대해서만 할 수 있고, 요구거리가 2이므로, 요구거리 2를 만족하는 그리드 내에서 바닥 작업이 종료된 후 14일차(A1그리드), 15일차(A2그리드), 16일차(B2 그리드)에 차례차례 진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가구 작업의 경우, 당해 그리드에 대한 선행 작업이 이루어지면 되고, 하루에 2개의 그리드를 수행할 수 있으나, 도어 작업의 일정에 밀려서 A1에 대해서는 15일차, A2에 대해서는 16일차, B2에 대해서는 17일차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가전 작업의 경우, 가구 작업이 종료된 후 A1에 대해서는 16일차, A2에 대해서는 17일차에 수행한다.
도36과 도37은 프로젝트 전체 기간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도35에 나타난 방식에 의해서 17일의 공정일정이 도출되었는데, 프로젝트 기간이 15일로 단축된 경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하루에 한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해서 하루에 두 개의 그리드를 할 수 있는 작업조를 투입을 권고하고, 초기 작업에 우선하여 생산성 향상 권고 알람을 준다.
도3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거 및 칸막이 A 작업은 하루에 한 그리드만 가능한 작업이나, 생산성이 높은 작업조를 투입하거나 두 개의 작업조를 투입함으로써, A1, A2에 대한 철거작업을 1일차에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고, A1, A2에 대한 칸막이A작업을 3일차에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전체 공정 소요 기간을 기존의 17일에서 15일로 단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생산성(또는 작업속도)을 향상시킨 작업을 의미한다.
한편, 도38과 같이, 가장 많은 작업이 배정된 그리드를 기준으로 동일 작업별로 동일 시점에 배정할 수 도 있다.
도38에서 A1그리드는 누적 10일, A2그리드는 누적 8일, B1그리드는 5일, B2그리드는 6일의 작업 소요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이 제일 많은 A1을 기준으로 하고, 생산성을 따져서 나머지 그리드의 작업일정을 뒤로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3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별 생산성을 반영하여 개별 작업을 재배치한다.
도39에서 파란색 바탕의 1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1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고, 살구색 바탕에 2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2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며, 녹색 바탕에 4로 표시된 것은 1팀이 하루에 4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다.
도39 및 이후의 도면에서 "전"으로 표시된 그리드 영역의 각 작업은 변경 전의 작업 배치를 의미하고(바로 앞 도면에서 표시되는 "후(변경 후)"와 동일함), "후"로 표시된 그리드 영역은 해당 도면에서 설명하는 변경 과정에 따른 변경 후 상태를 의미한다.
즉, 도39의 "전"은 도38의 상태를 의미하고, 도40의 "전"은 도39의 "후"를 의미한다. 이는 변화된 상태의 용이한 비교를 위해서이다.
도38및 도39에서, 철거의 경우, 1팀이 하루에 한 개 그리드에 대해서만 할 수 있으므로 1일차에서 A1그리드에 대한 철거와 A2그리드에 대한 철거를 동시에 할 수 없다.
따라서, 도39의 '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A1그리드에 대한 철거를 1일차에, A2 그리드에 대한 철거는 2일차에 진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즉, 논리적으로 철거는 하루에 1개의 그리드만 할 수 있으며, A1에 철거가 있고, A2에도 철거가 있으므로 서로 겹치기 때문에, A2의 철거 일정을 하루 연기한다. 한편,B1과 B2에서는 철거가 없으므로 동일 작업 일정(철거)에 대해서 그리드 1개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철거 작업에 대한 조정은 종료한다.
도40에서 마킹 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2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마킹 작업은 A1에 있고, A2에 없고, B1에는 없고, B2에는 있어서 겹치지만, 동일 작업(마킹 작업)이 그리드2개 이하 조건을 충족하므로 마킹 작업에 대한 조정은 종료한다.
도41에서 칸막이 A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1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칸막이A작업은 A1에 있고,또한 A2, B1에 있어서 겹치고, B2에는 없다. A2, B1에 대한 칸막이 A작업에 대한 일정을 뒤로 연기하는데, 전체 누적일정이 B2(전체 잔여 누적 소요 일정 5일)가 A2(전체 잔여 누적 소요 일정 7일(선행완료된 철거 일정 제외))보다 짧으므로 A2에 대한 칸막이A작업을 하루 뒤(4일차)로 연기하고, B2에 대한 칸막이A작업을 이틀 뒤(5일차)로 연기한다.
따라서 동일 작업(칸막이A작업)에 대한 일정이 3일차에 그리드 1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칸막이A작업에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도42에서 칸막이B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2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칸막이 B 작업은 A1과, B2에 각각 있고, A1, B1에는 없으므로 동일 작업(칸막이 B 작업)에 대해서 일정이 4일차에 그리드 2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칸막이 B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도43에서 방통 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4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방통 작업은 A1과 B2에 각각 있고, A1, B1에는 없으므로 동일 작업(방통 작업)에 대해서 일정이 5일차에 그리드 2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방통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도44에서 천정 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1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천정 작업은 6일차에 A1그리드와 B2그리드에 있고, A2와 B1그리드에는 없다. 따라서 겹치는 B2 일정을 하루 뒤로 연기한다. 이에 따라서 일정 6일차에 천정 작업 일정이 그리드 1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천장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도45에서 바닥 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2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바닥 작업은 A1과, A2에 각각 있고, B1, B2에는 없으므로 동일 작업(바닥 작업)에 대해서 일정이 7일차에 그리드 2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바닥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도46에서 도어 작업은 하루에 그리드 1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도어 작업은 8일차에 A1그리드와 A2그리드에 있고, B1와 B2그리드에는 없다. 따라서 겹치는 A2 일정을 하루 뒤로 연기한다. 이에 따라서 일정 8일차에 도어 작업 일정이 그리드 1개 이하에 존재한다.
다만, 도어 작업의 A2 일정을 하루 뒤로 연기되면, 도어 작업이 9일차에 B2 그리드와 A2 그리드에 있고, A1와 B1그리드에는 없다. 따라서 겹치는 B2와 A2 일정 중 잔여 일정이 적은 B2에 대한 도어 작업 일정을 하루 뒤로 연기한다. 이에 따라서 일정 9일차에 도어 작업 일정이 그리드 1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도어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을 종료한다.
가구 작업의 경우 하루에 그리드2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도47의 "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 작업은 A1에 있고, A2, B1, B2에는 없으므로 동일 작업(가구 작업)에 대해서 일정이 9일차에 그리드 2개 이하에 존재하므로 가구 작업 일정에 대한 조정 없이 종료한다.
가전 작업의 경우 하루에 그리드 1개에 대해서 가능하다.
도48의 "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 작업은 A1에 있고, 다른 그리드에는 없으므로 조정 없이 종료한다.
이로써 작업 생산성 제약에 따른 조정이 완료되고,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조정이 수행된다.
도49 및 그 이하는 선행작업 완료 제약에 따른 조정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말로 작업 투입 조건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요구 거리 이내에 선행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일정을 조정한다.
실선 박스 내에 0은 해당 그리드에서만 선행 작업이 완료되면 착수 할 수 있는 작업를 의미하고, 작은 점 박스 내의 1은 해당 그리드 뿐만 위/아래/옆에서 한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해서도 선행 작업이 완료되어야 비로소 착수 할 수 있는 작업을 의미하며, 두꺼운 파선 박스 내의 2는 해당 그리드 뿐만 위/아래/옆에서 한칸 및 두칸 떨어진 그리드 또는 대각선 한칸 떨어진 그리드에 대해서도 선행 작업가 완료되어야 비로소 착수 할 수 있는 작업를 의미한다.
도49에서 마킹 작업은 요구거리 1의 값을 가지므로, A1에서의 마킹 작업은 A1의 철거와 B2의 철거가 완료되어야 하고 B2 마킹 작업을 위해서는 A2, B1에 대한 선행작업(철거작업)가 완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A1, B2에 대한 마킹 작업을 A2 이후에 연기하는데, 마킹 작업 일정이 겹치긴 하지만, 마킹 작업은 하루에 2개 그리드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적절하므로 조정을 종료한다.
한편 도50에서 칸막이A작업은 선행작업영역 제약이 없으며, A1에서 선행되는 마킹작업이 밀리면서 A1과 A2에 대한 칸막이A작업 일정이 겹친다. 여기서, 잔여 작업이 적은 A2에 대한 칸막이A작업을 뒤로 연기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생산성을 재검토하고, 하루에 한개의 그리드에 대해서만 가능한 A2의 도어작업과, B2의 도어작업을 하루씩 뒤로 연기하고, 다시 전체적인 생산성을 재검토 하고, 이상이 없으면 칸막이A를 기준으로 한 일정 조정을 종료한다.
도51에서 칸막이B작업은 요구거리 2이내에 선행작업이 완료되어야 진행할 수 있다. 칸막이 A작업이 모두 완료되는 일정으로 칸막이 B작업을 연기한다. 칸막이A의 마지막 완료는 B1그리드에 대해서 6일차에 종료되므로, A1, A2에 대한 칸막이 B작업을 7일차로 조정하고, B1,B2에 대한 칸막이 B 작업을 8일차로 조정한다.
B2에 대한 칸막이B작업은 원래 4일차에 있지만, B1에 대한 칸막이 B2 작업과 동시에 하기 위해서 8일차로 연기하고, 이에 의하여 B2에 대한 방통 작업은 9일차, 천정은 10일차로 연기된다.
그리고, 천정 작업은 하루에 한 개의 그리드 밖에 되지 않으므로 B1에 대한 천정 작업은 11일 차로 연기되는데, 이는 B1에 대한 잔여 작업량이 B2보다 적기 때문이다.
도52에서 방통은 요구거리 2이내에 선행작업이 완료되어야 진행하는데, 모든 칸막이 B작업이 완료되는 일정으로 연기한다. 즉, B1, B2에 대한 칸막이B작업이 완료된 후인 9일차에 방통 작업을 수행하며, 방통작업은 작업 생산성이 4 이하이므로 A1, A2, B1, B2 모두에 대해서 방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A1과, A2에 대한 방통작업이 9일차가 되면서, A1의 방통 작업에 후행하는 천정 작업이 10일차로 연기되고, 천정은 작업 생산성이 1이하이므로 B1과 B2에 대한 천정 작업이 각각 하루씩 연기된다.
즉, B2의 천정작업은 11일차, B1의 천정작업은 12일차로 연기된다.
도53에서, 천정은 요구거리 제약이 없으며, 10일차에서 천정 작업은 A1에만 1개가 있으므로 조건을 만족한다.
도54에서 바닥은 요구거리 1이내 선행 작업 완료를 요하므로. A1에 대한 바닥 작업은 B1에 대한 천정 작업(12일차) 이후인 13일차로 연기한다.
그리고, A2에 대한 바닥 작업은 A1,B2에 대한 천정 작업(10일차, 11일차) 이후인 12일차로 연기한다.
그리고, B2에 대한 바닥 작업은 B1의 천정 작업(12일차) 이후인 13일차로 연기한다.
한편, B1에 대한 바닥작업은 바닥 작업의 생산성 2를 고려하고, B1에서의 작업은 바닥 작업만 남은 것을 고려하여, A1, B2에 대한 바닥 작업이 13일차에 먼저 수행되도록 하고, B1에서의 바닥 작업은 14일차에 이루어지도록 연기한다.
또한 A1에 대한 도어 작업 일정이 14일차로 밀리는데, 도어 작업의 생산성은 1이므로, B2에 대한 도어 작업과 겹치지 않도록, B2에 대한 도어 작업은 15일차로 밀린다.
도5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는 요구거리 2이내 선행 작업이 완료되어야 한다. A1에 대한 도어 작업은 A2, B1에 대한 바닥 작업 이후로 연기하고, A2에 대한 도어 작업은 A1,B2에 대한 바닥 작업 이후로 연기하며, B2에 대한 도어 작업은는 A2, B1에 대한 바닥작업 이후로 연기한다.
다만, 도어의 생산성은 1이하 이므로 B2에 대한 도어 작업 일정을 뒤로(16일차로) 연기한다.
비로소 3일차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A1에 대한 마킹을 3일차로 조정한다.
도5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 작업은 요구거리 제약이 없으며, 생산성은 2 이하인데, 문제되는 것이 없으므로 현 상태를 유지한다.
도5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 작업도 요구거리 제약이 없으며, 생산성은 1 이하이지만, 문제되는 것이 없으므로 현 상태를 유지한다.
도58 이하는 전체 일정 준수 제약에 따른 일정 조정 방식을 나타낸다.
도57 및 그 이전의 조정 방식에 의해서 17일의 공정일정이 도출되었는데, 프로젝트 기간이 15일로 단축된 경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하루에 한개의 그리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해서 하루에 두 개의 그리드를 할 수 있는 작업조를 투입을 권고하고, 초기 작업에 우선하여 생산성 향상 권고 알람을 준다.
여기서 초반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서 일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철거 작업과 칸막이 A 작업에 대한 생산성 향상을 제안한다.
즉, A1과 A2에 대한 철거를 동시에 1일차에 진행하고, 이에 따라 마킹 작업이 2일차에 가능해지면, A1, A2에 대한 칸막이 작업을 3일차에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모든 그리드에 대한 작업 일정을 17일에서 15일로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59와 같이, 철거작업이 지지부진하여, A2에 대한 철거가 2일차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 후속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권고하되, 특히 초기 작업을 우선하여 생산성 향상을 권고하는 알람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작업이 알람 대상이 되는 작업이다.
알람을 받은 경우, 도60과 같이, 칸막이A 뿐만 아니라 천정 작업도 생산성 향상 권고 대상이 되어, A1에 대한 천정 작업과, B1에 대한 천정 작업 모두 9일차에 동시 진행할 것을 제안하여 마감일을 15일차에 맞추도록 한다.
알람을 받은 경우, 도60과 다른 도61과 같은 방식도 가능하다.
즉, 칸막이 A 작업을 하루에 세 그리드(A1, A2, B1)에 가능하도록 제안하고, A1, B1에 대한 천장 작업이 8일차레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이 경우 마감일은 14일차로 더 단축된다.
다만, 도61과 같이 제안된 경우, 생산성이 지나치게 초과하여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도62와 같이, B1에 대한 천정 작업을 원래대로 9일차에 진행도록 하여, 마감일을 15일차로 복귀시키는 것도 제안할 수 있다.
또는, 도63과 같이, 자동으로 잔여 작업(B2에 대한 칸막이B, A1~B2에 대한 방통)을 뒤로 연기하고, 천정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서 15일인 목표일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조정하도록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64와 같이, 전체 일정이 단축되면서, 잔여 작업에 대한 조정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공기 단축을 15일에서 14일로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공정 운영 단계에서 실적현황에 따라 새로운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하루의 실적이 입력되면 잔여기간과 잔여작업을 가지고 기 언급된 제약조건으로 잔여 계획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시스템 10: 입력부
20: 출력부 30: 통신부
40: DB 50: 연산부
60: 제어부

Claims (11)

  1.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외부 통신망과 접속가능하게 되는 통신부와, 정보가 수록되는 DB와, 공정의 수립 및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연산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연산부가 일 단위 작업 영역을 형성하는 그리드 설정 단계;와
    입력부를 통해서 진행되어야 할 개별 작업의 적용 영역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선택입력 받아서 연산부가 수행하는 작업맵 설정 단계;와
    연산부가 수행하며, 설정된 작업맵 설정에 따라서 공사의 전체 공정을 수립하는 공정 수립 단계와;
    입력부를 통해서 각 작업별 생산성 또는 선행 작업의 완료 영역 또는 납기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조건을 설정하는 이를 DB에 설정하도록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제약조건 설정단계와;
    입력부의 입력을 통한 제약 조건 변경이 있는 경우, 각 제약 조건의 특성에 따라서 각 제약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연산부가 전체 공정의 일정이나 개별 작업의 일정이나 작업 강도를 수정하고 이를 제안하되,
    연산부는 작업맵을 기반으로 바(bar)차트를 생성하며,
    업무별 바차트를 각 업무레이어와 연동시키고,
    특정한 일정에 특정한 업무와 그 업무를 구성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업무별 바차트는 해당 특정한 일정의 특정한 업무의 특정한 작업의 진행 현황이 표시된 업무 레이어와 각각 연동되며,
    그리드는 일정한 단위 면적을 정의하되,
    전체 작업 영역은 복수의 그리드로 나뉘어 구획되어 표시되고,
    각 작업의 난이도에 따라서 해당 작업을 하루동안 수행할 수 있는 작업량을 반영한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리드로 표현될 수 있도록 구획하여 표시하되,
    하루동안 수행할 수 있는 작업량이 반영된 영역의 그리드와 그렇지 아니한 영역의 그리드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설정 단계는; 각 층의 업무레이어의 평면을 평면 그리드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각 층의 업무 레이어의 측단면을 단면 그리드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연산부가 수행하되, 상기 업무 레이어별로 정립되면서, 업무의 각 작업 내용과, 각 업무의 각 작업별 생산성과, 선행 작업 완료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업무 템플릿을 생성하는 업무 템플릿 생성 단계와;
    연산부가 수행하되, 상기 각 업무 탬플릿에 수록된 작업 간의 선후 관계 중 그 선후 관계가 변경되는 것이 금지되는 하드 로직 선후 관계를 정의하는 선후 관계 탬플릿을 생성하는 선후 관계 탬플릿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연산부가 수행하는 선후 관계 탬플릿 정렬단계를 더 포함하되,
    선후 관계 탬플릿 정렬 단계는;
    선후 관계 탬플릿에 모든 작업의 선후 관계가 포함되었는지 점검하는 단계와;
    선후 관계 탬플릿 내에 루프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 이상의 업무의 세부 작업이 선후 관계에서 누락되거나, 루프가 발생하는 경우 알람을 주고 관리자에게 수정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공정 수립 단계는;
    선후 관계 탬플릿에 정의되지 않는 작업은 랜덤하게 정렬하는 단계와;
    선후 관계 탬플릿에 정의되지 않는 작업 중 가장 많은 작업이 배정된 그리드를 기준으로 다른 그리드의 작업 일정을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약조건 설정단계는;
    작업 생산성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와;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와;
    전체 일정 준수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작업 생산성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는;
    특정 그리드에 조정 대상이 되는 해당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작업 일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1일 생산성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위 세 개의 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 그리드가 있는지 판단하고 다음 그리드가 있는 경우 다음 그리드에서 위 세 개의 판단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와;
    위 세 개의 판단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선행 및 후행 작업이 적은 그리드의 작업을 뒤로 연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조정 단계는;
    당해 수행 작업 이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선행 작업이 이루어진 그리드와, 당해 수행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그리드 간의 요구 거리가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당해 수행 작업을 진행하도록 조정하도록 하고,
    상기 요구 거리 내의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수행 작업의 일정을 상기 요구 거리 내의 그리드에 대한 선행작업의 종료 일정 이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전체 일정 준수 제약 조건에 따른 일정 조정 단계는;
    선행 완료 제약 조건에 따른 조정 단계에 따른 전체 일정이 기준 일정을 초과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작업 생산량이 기준 이하인 작업의 생산량을 기준 이상으로 높이도록 자원 투입량 증가를 제안하여 전체 일정이 기준 일정을 충족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완료된 작업의 실적을 입력하는 단계와;
    잔여 기간과 잔여 작업 및 설정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잔여 계획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각 업무 레이어의 그리드에는 각 업무별 대상 영역과, 진행 영역과, 완료 영역을 포함하는 세부 현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KR1020210065061A 2021-05-20 2021-05-20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KR10231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61A KR102315373B1 (ko) 2021-05-20 2021-05-20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61A KR102315373B1 (ko) 2021-05-20 2021-05-20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73B1 true KR102315373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061A KR102315373B1 (ko) 2021-05-20 2021-05-20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13113A1 (en) * 2022-07-08 2024-01-11 Samsung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stablishment of optimal schedule for construction proje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42A (ko) * 2008-04-29 2009-11-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 여건 분석 시스템
JP2011065626A (ja) * 2009-08-20 2011-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の建設計画支援装置及び方法
KR20180001297A (ko) * 2016-06-27 2018-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42A (ko) * 2008-04-29 2009-11-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 여건 분석 시스템
JP2011065626A (ja) * 2009-08-20 2011-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の建設計画支援装置及び方法
KR20180001297A (ko) * 2016-06-27 2018-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13113A1 (en) * 2022-07-08 2024-01-11 Samsung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stablishment of optimal schedule for construction pro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Resource-activity critical-path method for construction planning
US20080126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risk in contruction location-based planning
US7349863B1 (en) Dynamic planning method and system
US2006007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riance in building structures
EP1643335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building structures with associated estimates and schedules
US8244569B2 (en) Non-destructive element splitting using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models
US11017335B1 (en) Graphical schedule risk analyzer
CN105069524A (zh) 基于大数据分析的计划调度优化方法
US20210065006A1 (en) Construction sequencing optimization
Arditi et al. Scheduling system for repetitive unit construction using line‐of‐balance technology
JP5342507B2 (ja) 搬入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
KR102315373B1 (ko) 건설 공정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Choo et al. Space scheduling using flow analysis
Dal Borgo et al. Production and shipment planning for Project Based Enterprises: Exploiting learning-forgetting phenomena for sustainable assembly of Curtain Walls
JP2006201979A (ja) 建築物の施工計画支援プログラム
Zahran et al. The effect of learning on line of balance scheduling: Obstacles and potentials
JP4896832B2 (ja) 工程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239410A1 (en) Location-based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CN109034551B (zh) 用于施工计划编制的资源平衡方法
KR102112749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타워크레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8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Yi et al. Network creation and development for repetitive-unit projects
Cheng Workflow analysis for the lean construction process of a construction earthmoving project
Hassan CONPLAN: construction planning and buildability evaluation in an integrated and intelligent construction environment
KR100469832B1 (ko)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