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382A -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382A
KR20030094382A KR10-2003-7014445A KR20037014445A KR20030094382A KR 20030094382 A KR20030094382 A KR 20030094382A KR 20037014445 A KR20037014445 A KR 20037014445A KR 20030094382 A KR20030094382 A KR 20030094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ucoidan
feed
algae
sh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모토다케시
오무라히로시
오쿠무라다케카즈
나카오마스미
우에야마사다오
나가오카마사토
하마사토가즈아키
야마시타데쯔로
가네미쯔아키오
가와노도시로
사사키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미야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미야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Publication of KR2003009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개다시마속 조류, 감태속 조류, 자이언트 켈프, 아스코필럼속 조류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본 발명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사용하면 어개류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 특히 PRDV 감염을 유효하게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이 예방 및/또는 치료제는 어개류를 양식할 때 사료에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Description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Preventives and/or remedies for fish infections}
보리새우나 방어, 참돔, 광어 등의 양식장에서는 어개류가 높은 밀도로 사육되고 있기 때문에 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병의 원인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에 의한 감염이 주된 것으로 이것에 대해 여러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감염증 중에서도 수년 전부터 대만이나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급격하게 유행하기 시작한 새우류를 사멸시키는 바이러스 감염증(PRDV: Penaeid Rod-Shaped DNA Virus)은 수입업자에 의해 일본에도 전파되어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방어의 이리도바이러스(Iridovirus) 감염증이나 연쇄구균증 등도 발생빈도가 높은 감염증으로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들 감염증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항생물질이나 면역활성물질 등을 투여하는 등의 대항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그러나, 항생물질을 투여하는 경우, 양식어 등으로의 잔류가 우려되고 또한 그 효과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최근들어 다당류의 어류 감염에 대한 효과도 알려지게 되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02-21865호 공보에는 버섯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용성 글루칸이 어류 감염증의 예방·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WO 98/42204호 공보에는 황산화 다당류가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어개류의 양식장 등에 있어서의 감염을 예방·치료하는 시도는 여러 종류가 행해지고 있지만, 아직 피해 발생은 감소하고 있지 않아 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예방·치료제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항생물질이나 푸코이단(fucoidan) 등의 황산화 다당을 대량으로 함유하는 매생이(mozuku; Nemacystus decipiens)는 값이 비싼 것이 많아 양식용 사료용으로서는 비용면에서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 감염에 대한 우수한 예방·치료 효과를 갖는 동시에 값이 싸고 안전성이 높은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어개류의 바이러스 또는 병원성 세균 등에 의한 감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약제, 이것을 함유하는 사료 및 이것의 투여에 의한 어개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 등은 개다시마(tororokonbu; Kjellmaniella crassifolia), 감태(kajime; Ecklonia maxima), 자이언트 켈프(giant kelp; Laminaria), 아스코필럼(Ascophyllum;Ascophyllum nodosum) 등이 바이러스, 병원성 세균에 의한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개다시마속 조류, 감태속 갈조류, 자이언트 켈프, 아스코필럼속 조류 및 이들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어개류의 양식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해당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또는 해당 사료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개다시마속 해조류, 감태속 갈조류, 자이언트 켈프, 아스코필럼속 갈조류 및 그들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성분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각종 해조 추출물의 PRDV 감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각종 해조 추출물의 PRDV 감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종 해조 추출물과 푸코이단의 병용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각종 해조 추출물과 푸코이단 및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의 병용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다시마란 홋카이도의 쿠시로(釧路)·네무로(根室) 등의 홋카이도 동쪽지방에 많이 번식하는 개다시마속 갈조로, 점질이 풍부한 길이 1~5 m, 폭 10 cm 정도의 가늘고 긴 띠형상 또는 판형상의 잎을 갖고 있으며 그 표면에 복잡한 구름 문양의 요철이 인지된다. 조체(藻體)에는 칼륨이나 나트륨, 비타민 A, 요오드, 알긴산 등의 영양소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개다시마속 조류로서는 예를 들면, 개다시마(Kjellmaniella crassifolia), 가고메(gagome; Kjellmaniella gyrata) 등을 들 수 있고,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감태란 일본 관동지방 이남의 태평양 연안의 암초지대에 군생하는 감태속의 갈조로, 가늘고 긴 줄기의 상부에 판형상 또는 띠형상의 중앙엽(中央葉)을 갖고 그 좌우에 날개를 펼친 듯한 측엽(側葉)이 인지된다. 조체는 만니톨, 요오드, 알긴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이들의 제조원료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감태속 갈조류로서는 예를 들면 감태(Ecklonia maxima), 쿠로메(kurome; Ecklonia kurome), 곰피(Ecklonia stolonifera) 등을 들 수 있고,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자이언트 켈프란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연안의 암초지대에 생육하는 다시마목의 갈조로, 가늘고 긴 줄기에 다수의 측엽이 있고 수십미터까지 성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조체에는 칼슘이나 비타민 B1, 요오드, 알긴산 등의 영양소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스코필럼속 조류란 북유럽의 해안을 따라 많이 번식하는 히바마타(fucus)속의 갈조로, 베타인류, 옥신, 시토키닌, 아브시스산, 다당류, 올리고당, 미네랄, 비타민류, 아미노산 등의 영양소를 포함하고, 특히 알긴산의 함유량이 높은 해조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스코필럼속 조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코필럼·노도섬(Ascophyllum nodosum)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해조류는 그대로 또는 분쇄 등을 행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물, 친수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에 의해 추출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온도나 시간은 각각의 해조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면 저온 또는 실온에서 수일간 침윤시켜도 되고, 가열하여 수 분에서 수 시간 동안 추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정제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는 상기 해조류 또는 그 추출물에 더하여 추가로 푸코이단을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푸코이단이란 주로 푸코오스로 된 분자량 수 십만 전후의 황산화 다당류로서 갈조류의 매생이, 시팬(sea fan), 참다시마(Laminaria japonica),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ceae), 참그물바탕말(Dictyota dichotoma)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푸코이단으로서는 푸코이단을 함유하는 갈조류를 분쇄 등을 행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 정제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추출에 사용하는 해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비용 등의 면에서 매생이 또는 오키나와 매생이가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산 추출이나 열수 추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해조로부터 추출된 고분자의 것을, 예를 들면 약산처리 등에 의한 가수분해에 의해 저분자화 또는 올리고당화시킨 후에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감염 예방·치료제에는 추가로 바실러스 푸밀러스 또는 바실러스 렌터스(Bacillus lentus)에 속하는 세균을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실러스 푸밀러스 또는 바실러스 렌터스에 속하는 세균으로서는 특히, WO 98/045402호에 개시된 바실러스 푸밀러스 A-1주(FERM BP-6280), 바실러스 렌터스 A-2주(FERM BP-6278), 바실러스 렌터스 A-3주(FERM BP-6279), 바실러스 푸밀러스 A-4주(FERM BP-6281)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는 그대로 투여할 수 있지만, 통상 어개류의 양식에 사용되는 사료원료에 혼합 또는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사료에 혼합 또는 배합하는 양으로서는 어개류나 양식 방법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0 mg/kg~500 mg/kg 정도, 더욱이 50 mg/kg~300 mg/kg 정도, 특히 100 mg/kg~200 mg/kg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사료의 급이량(給餌量)은 하루에 어개류 체중의 3% 정도가 좋다.
한편, 푸코이단의 배합량도 어개류의 종류 등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하면 되며, 통상 50 mg/kg~100 mg/kg 정도, 특히 60 mg/kg~80 mg/kg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실러스 푸밀러스 또는 바실러스 렌터스에 속하는 세균의 투여형태로서는 균체를 통상의 증식용 배지, 예를 들면 건조 부용(bouillon) 등으로 증식시킨 것을 그대로 투여해도 되고, 해당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 정치(靜置)하여 상청을 제거하거나 하여 회수한 균체를 투여해도 된다. 또한, 균체는 전분, 탈지유 등의 부형제와 함께 동결 건조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더욱이, 배양 후의 균체를 담체에 담지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담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올라이트, 맥반석, 활성탄, 화성암, 산호석 등이 균체의 보유능 면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제올라이트가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해조류, 푸코이단 및 바실러스속 세균은 각각을 별개로 투여할 수 있다. 즉, 상기 해조류를 그대로 또는 추출물을 직접 급이하고, 별도로 푸코이단을 그대로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해조류나 추출 건조물을 투여해도 된다. 한편, 상기 바실러스속 세균의 배양액 또는 원심분리 등의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한 균체를 그대로 또는 담체에 담지하여 별도로 투여해도 된다.
또한, 이들은 통상 어개류의 양식에 사용되는 사육원료에 혼합 또는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사료에 혼합 또는 배합하는 양으로서는 어개류나 양식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해조류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통상 하루에 어개류 1 kg당 10 mg~500 mg 정도, 더욱이 50 mg~300 mg 정도, 특히 100 mg~200 mg 투여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푸코이단의 배합량은 통상 하루에 어개류 1 kg당 50 mg~100 mg 정도, 특히 60 mg~80 mg 투여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바실러스속 세균의 배합량도 어개류의 종류 등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하면 되고, 통상 1×105~1×109cfu/g-사료, 특히 1×106~1×108cfu/g-사료로 설정하면 양식어의 수확량, 비용면, 작업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을 함유하는 사료의 급이량은 하루에 어개류 체중의 3% 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감염 예방·치료제를 적용할 수 있는 어개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담수어로서 뱀장어, 잉어, 무지개송어, 은어, 티라피아(tirapia), 붕어 등, 해수어로서 방어, 도미, 은연어, 전갱이, 광어, 가자미, 조피볼락, 자주복, 앰버잭(amberjack) 등, 무척추 동물로서 보리새우, 소새우(블랙 타이거), 흰새우, 대하, 꽃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용할 수 있는 감염증으로서는 이리도바이러스, 비르나바이러스(Birnavirus), PRDV 등의 바이러스 감염증, 비브리오, 슈도모나스(pseudomonasis), 연쇄구균, 유결절증 등의 세균 감염증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RDV에 대한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해조의 조제 방법
해조(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노도섬, 자이언트 켈프)로서는 염장(鹽藏)된 것을 사용하였다. 각 해조를 균질화하고, 그 습중량과 같은 양의 물에 현탁시켜 염을 제거하였다. 더욱이 조체 1 kg당 1 L의 비율로 물에 현탁하여 100℃에서 2시간 가열하고, 그 후 실온에서 정치하여 추출하였다. 거즈로 조체를 여과하여 모아 그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였다(9,000 rpm, 60분). 더욱이 그 상청(上淸)을 건조시켜 각 해조 추출물을 분말로서 얻었다.
실시예 2 푸코이단의 조제 방법
원료에는 염장된 오키나와 매생이를 사용하였다. 오키나와 매생이를 그 습중량과 같은 양의 물에 현탁시켜 염을 제거한 후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pH 3으로 조정하였다. 본 현탁액을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푸코이단을 추출하였다. 더욱이,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7,000 G로 불용분을 제거하고, 분획 분자량 6,000의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pH 3에서 회분 가수여과를 반복함으로써 분자량 6,000 이하의 저분자 획분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5.5~6.0 범위로 조정하였다. 이 푸코이단을 주성분으로 하는 농축액을 분무에 의해 건조하여 습조체 1 kg에 대해 5 g의 푸코이단 획분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을 이하 「푸코이단(F15)」이라고 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은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및 자이언트 켈프의 분말화 추출물(MARINE SCIENCE CO., LTD.제)을 사용하여 그들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들 분말화 추출물을 각각 「개다시마(X-240)」, 「감태(X-241)」, 「아스코필럼(X-243)」 및 「자이언트 켈프(X-242)」라 한다.
(시험에 제공한 보리새우) 미쯔이노린(MITSUI NORIN CO., LTD.)으로부터 입수한 평균체중 8 g의 것을 사용하여 시험개시까지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후 시험에 제공하였다.
(사육 방법) 0.6 m×0.4 m×0.3 m의 수조에 저면 여과장치를 설치하고 에어레이션(aeration)을 충분히 행하여 사육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마리수) 대조구 및 시료 투여구에 각각 20마리의 보리새우를 제공하였다. 사료 급이는 저녁의 정해진 시각에 행하고 급이율은 새우 체중당 2%로 하였다.
(사료) 대조구에는 통상사료(Evian Kyowa제)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1(개다시마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개다시마 60 mg(XF-240)이 투여되도록 첨가 배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2(감태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더하여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감태 60 mg(XF-241)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3(자이언트 켈프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더하여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자이언트 켈프 60 mg(XF-242)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4(아스코필럼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더하여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아스코필럼 60 mg(XF-243)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각각의 사료를 17일간 연속 급이하였다. 사료 급이를 개시한 후 8일째에 바이러스(PRDV)에 감염시키고 공격 후 10일째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감염 방법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보리새우의 두흉갑(頭胸甲)을 멸균해수 중에서 균질화한 후 고속 원심분리하고 얻어진 상청액을 해수에 약 8000배 희석되도록 현탁하였다. 이 액 중에 보리새우를 넣어 2시간 에어레이션하면서 침지하여 감염시켰다. 사육기간 중의 수온은 23℃로 하였다. 또한, 실험기간 중에 폐사한 보리새우는 PCR법을 사용해 바이러스 검출을 시도하여 해당 바이러스에 의한 폐사인 것을 확인하였다.
감염 후의 생존율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조를 투여함으로써 보리새우의 PRDV에 의한 사망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고, 특히 개다시마 및 아스코필럼의 사망저지 효과가 높았다.
실시예 4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또는 자이언트 켈프와 푸코이단과의 병용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보리새우, 사육 방법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마리수) 대조구 및 시료 투여구에 각각 20마리의 보리새우를 제공하였다. 사료 급이는 저녁의 정해진 시각에 행하고 급이율은 새우 체중당 2%로하였다.
(사료) 대조구에는 통상사료(Evian Kyowa제)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1~시험구 4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5(개다시마, 푸코이단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개다시마 100 mg(XF-240)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6(감태, 푸코이단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감태 100 mg(XF-241)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7(자이언트 켈프, 푸코이단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자이언트 켈프 100 mg(XF-242)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8(아스코필럼, 푸코이단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아스코필럼 100 mg(XF-243)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또는 자이언트 켈프를 투여함으로써, 보리새우의 PRDV에 의한 사망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었다. 또한, 통상은 효과를 보이지 않는 1일 투여량인 푸코이단 15 mg/kg과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또는 자이언트 켈프를 병용함으로써 PRDV에 의한 사망저지 효과가 증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또는 자이언트 켈프와 푸코이단 및 바실러스 푸밀러스와의 병용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보리새우, 사육 방법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마리수) 대조구 및 시료 투여구에 각각 20마리의 보리새우를 제공하였다. 사료 급이는 저녁의 정해진 시각에 행하고 급이율은 새우 체중당 2%로 하였다.
(사료) 대조구에는 통상사료(Evian Kyowa제)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1(바실러스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더하여 사료 1 g당 바실러스 푸밀러스 A-1주를 106개(바실러스)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2(개다시마, 푸코이단, 바실러스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사료 1 g당 바실러스 푸밀러스 A-1주를 106개(이하, 「바실러스 푸밀러스(B)」라 한다) 및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개다시마 100 mg(XF-240)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3(감태, 푸코이단, 바실러스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사료 1 g당 바실러스 푸밀러스 106개(B) 및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감태 100 mg(XF-241)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4(자이언트 켈프, 푸코이단, 바실러스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사료 1 g당 바실러스 푸밀러스 106개(B) 및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을 15 mg(F15) 및 자이언트 켈프 100 mg(XF-242)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구 5(아스코필럼, 푸코이단 바실러스 병용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사료 1 g당 바실러스 푸밀러스 106개(B) 및 하루에 보리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F15) 및 아스코필럼 100 mg(XF-243)이 투여되도록 첨가 혼합하고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은 효과를 보이지 않는 1일 투여량인 푸코이단 15 mg/kg과 바실러스 푸밀러스 및 개다시마, 감태, 아스코필럼 또는 자이언트 켈프를 병용함으로써 PRDV에 의한 사망저지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증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흰새우를 사용하여 아스코필럼·노도섬 및 푸코이단 병용 투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새우) 어린 흰새우[후자어(post larva) 15일령]를 시험에 제공하였다.
(사육 방법) 10,000 ㎡의 깊게 판 새우양식지 3곳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제공한 마리수) 대조구, 푸코이단 투여구 및 시료 투여구에 각각 80,000마리의 흰새우를 제공하였다. 각 시험구에 있어서 사료의 양은 흰새우의 발육에 따라 보다 적절히 증가시키고, 총 급이율은 새우 체중당 2-20%로 하였다. 그러나, 푸코이단 첨가사료 및 푸코이단, 아스코필럼 병용 첨가사료(시료)의 급이율은 새우 체중당 2%로 하여 총 급이율에서 부족한 분량은 통상사료를 공급하였다.
(사료) 대조구에는 통상사료(NASA Lab Co., Ltd.제)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1(푸코이단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흰새우 1 kg당 푸코이단 60 mg/kg(F15)이 투여되도록 첨가 배합하고 성형하여 2% 급이되도록 사용하였다. 부족한 분량은 통상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2(사료 투여구)에는 통상사료에 하루에 흰새우 1 kg당 푸코이단 15 mg/kg(F15) 및 아스코필럼 100 mg(XF-243)이 투여되도록 첨가 배합하고 성형하여 2% 급이되도록 사용하였다. 부족한 분량은 통상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각각의 사료를 89일간 연속 급이하였다. PRDV의 자연 감염에 의한 감모(減耗)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중에 폐사한 흰새우는 PCR법을 사용해 바이러스 검출을 시도하여, 해당 바이러스가 주원인이 된 폐사인 것을 확인하였다.
사육시험 종료시의 생존율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은 효과를 보이지 않는 1일 투여량인 푸코이단 15 mg/kg과 아스코필럼을 병용함으로써, 하루에 푸코이단 60 mg/kg을 투여한 것과 동등한 PRDV에 의한 사망저지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사용하면 어개류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 특히 PRDV 감염을 유효하게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이 예방 및/또는 치료제는 어개류를 양식할 때 사료에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Claims (9)

  1. 개다시마속 조류, 감태속 갈조류, 자이언트 켈프, 아스코필럼속 조류 및 이들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푸코이단을 함유하는 것인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바실러스 푸밀러스 또는 바실러스 렌터스에 속하는 세균을 함유하는 것인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양식용 사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양식 방법.
  6. 제4항의 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양식 방법.
  7. 개다시마속 조류, 감태속 갈조류, 자이언트 켈프, 아스코필럼속 조류 및 이들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성분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푸코이단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추가로 바실러스 푸밀러스 또는 바실러스 렌터스에 속하는 세균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인 방법.
KR10-2003-7014445A 2001-05-11 2002-05-08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KR20030094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1272 2001-05-11
JPJP-P-2001-00141272 2001-05-11
PCT/JP2002/004457 WO2002092114A1 (fr) 2001-05-11 2002-05-08 Agents prophylactiques et/ou remedes aux infections des poiss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382A true KR20030094382A (ko) 2003-12-11

Family

ID=1898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445A KR20030094382A (ko) 2001-05-11 2002-05-08 어개류의 감염 예방 및/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4326B2 (ko)
KR (1) KR20030094382A (ko)
CN (1) CN1523995A (ko)
WO (1) WO2002092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172B2 (ja) * 2003-04-02 2010-01-13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魚類の感染予防・治療剤
FR2998176B1 (fr) * 2012-11-16 2015-01-16 Univ Blaise Pascal Clermont Ii Composition de polysaccharide sulfate
CN107751051A (zh) * 2017-10-31 2018-03-06 合肥申仁养殖有限公司 一种降低鲫鱼发病率的养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498B1 (ko) * 1987-06-18 1990-10-11 구레하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다당류 및 그것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약제
JPH07108858B2 (ja) * 1992-06-08 1995-11-22 三菱化学株式会社 魚類の感染症の予防用薬剤
JPH07108859B2 (ja) * 1992-06-08 1995-11-22 三菱化学株式会社 魚類の感染症予防用薬剤
JPH11180813A (ja) * 1997-12-19 1999-07-06 Ichimaru Pharcos Co Ltd 海藻抽出物含有抗菌・防腐剤
TW526060B (en) * 1998-08-04 2003-04-01 Takara Shuzo Co Animal feedstuff and its additive
WO2000062785A1 (fr) * 1999-04-15 2000-10-26 Takara Shuzo Co., Ltd. Remedes
JP4331824B2 (ja) * 1999-05-26 2009-09-16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魚介類の感染症予防・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3995A (zh) 2004-08-25
JP4294326B2 (ja) 2009-07-08
WO2002092114A1 (fr) 2002-11-21
JPWO2002092114A1 (ja)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oldaeng et al. Studies on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gel extracted from Durio zibethinus in Penaeus monodon shrimp against Vibrio harveyi and WSSV
Musthafa et al. Effect of Shilajit enriched diet on immunity, antioxidants, and disease resistance in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DK179845B1 (da) Veterinary composition of marine algae and andrographis sp extracts, which can be used to treat infections in fish
El-Sayed et al. Effect of dietary chitosan on challenged Dicentrarchus labrax post larvae with Aeromonas hydrophila
Kasiri et al. Effects of supplemented diets by levamisole and Echinacea purpurea extract on growth and reproductive parameters in angelfish (Pterophyllum scalare).
Wahjuningrum et al. Feeding duration of dietary Nodulisporium sp. KT29 to prevent the infection of Vibrio harveyi on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JP4331824B2 (ja) 魚介類の感染症予防・治療剤
Wang et al. Recent advances on bioactivity of seaweed polysaccharides
JP4294326B2 (ja) 魚介類の感染予防及び/又は治療剤
JP4398172B2 (ja) 魚類の感染予防・治療剤
KR20000075860A (ko) 어패류의 감염증 예방 ·치료제
CA2972175C (en) Use of quillaja saponaria extrac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bacterial infections in fish
JP2002302454A (ja) アオサを原料とする抗ウイルス剤
KR101904371B1 (ko) 새우의 급성간췌장괴사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163559B1 (ko) 면역력 증진 및 천연 항생제 효과를 갖는 사료첨가제 및 건강식품
CA2972174C (en) Use of quillaja saponaria extrac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viral infections in fish
JP2008285431A (ja) 養殖魚の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治療組成物
Pratama et al. Seaweed phytochemicals utilization in marine aquaculture.
CN103750069A (zh) 一种预防和治疗鱼类细菌和病毒性疾病的饲料添加剂
JPH10229831A (ja) 甲殻類の免疫賦活方法及び飼料添加剤
JP2006262877A (ja) オーレオバシジウムのβ−1,3−1,6−D−グルカンを含む魚飼料組成物
Rani et al. Effect of Fucoidan of Brown Seaweeds on the Immuno-haematological Change and the Disease Resistance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Martina et al. Effects of Kappaphycus striatum as Binder for Fish Feed Formulation
Ghosh et al. Efficacy of a novel anti–WSSV drug integrated feed supplement derived from terrestrial plants, in various life stages of Litopenaeus vannamei
Raju et al. Effect of certain immunomodulatory substances on the growth and disease resistance of Penaeus monodon (Fabrici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